[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미국의 스텔스 폭격기, rd1=F-117)] [include(틀:프랫 & 휘트니의 제트엔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Delta_Air_Lines_Boeing_757-212%3B_N750AT%40MSP%3B12.10.2011_624al_%286301316649%29.jpg|width=1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eing_C-17A_Globemaster_III%2C_USA_-_Air_Force_AN0558418.jpg|width=1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eing_757-2Q8%2C_TACV_Cabo_Verde_Airlines_JP485148.jpg|width=100%]] [[파일:il96pw2000.jpg|width=100%]] [목차] == 제원 == ||<#CD3861> {{{#FFFFFF '''명칭''' }}} ||<#CD3861> {{{#FFFFFF '''길이[br](m)''' }}} ||<#CD3861> {{{#FFFFFF '''지름[br](m)''' }}} ||<#CD3861> {{{#FFFFFF '''자체중량[br](kg)''' }}} ||<#CD3861> {{{#FFFFFF '''최대추력[br](lbf)''' }}} ||<#CD3861> {{{#FFFFFF '''압축기[br](LPC-HPC)''' }}} ||<#CD3861> {{{#FFFFFF '''터빈[br](HPT-LPT)''' }}} ||<#CD3861> {{{#FFFFFF '''압축비''' }}} ||<#CD3861> {{{#FFFFFF '''바이패스비''' }}} ||<#CD3861> {{{#FFFFFF '''적용기종''' }}} || || '''PW2037''' ||<|5> 3.73 ||<|5> 2.15 ||<|4> 3,310 ||<|2> 37,500 ||<|5> 4-12 ||<|5> 2-5 ||<|5> 27.6~31.8 ||<|5> 5.8~6.0 || [[B757]]-200/-300 || || '''PW2337''' || [[Il-96]]M || || '''PW2040''' || 40,900 || B757-200/-300/C-32A[* B757-200을 개조한 미국 [[미국 부통령|부통령]] 전용기인데 "Air Force Two"로 불리고 있다. [[에어포스 원]]에 준하는 통신시설과 아울러 B757 특유의 단거리 이륙능력, 무려 10,000km 이상의 항속거리를 지니고 있어 부통령의 외국 방문에 사용되는가 하면, [[높으신 분들]]을 모시고 뭐 이런저런 잡다한 용도에 [[마당쇠]]처럼 굴려지기도 한다. C-32B는 [[롤스로이스]]의 [[RB211]] 엔진이 적용되어 있다.] || || '''PW2043''' || 43,000 || B757-300 || || '''F117-PW-100''' || 3,270 || 40,900 || [[C-17|C-17A]] || == 개요 == [youtube(iePLePvgnEk)] '''Pratt & Whitney PW2000''' [[프랫&휘트니]]에서 개발한 [[터보팬]] [[제트엔진]]이다. 고바이패스 2축 방식으로 완벽한 전자식 엔진제어 (FADEC : Full Authority Digital Engine Control) 시스템을 지니고 있다. [[B757]]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했으며 1984년 10월 [[델타 항공]]을 첫번째 고객으로 상업적 운행을 시작했다. [[롤스로이스]]의 [[RB211]]과 경쟁했었는데 B757 자체가 크게 성공한 기종이라 보기 어렵기 때문에 한정된 수요를 나눠먹어야 했고, [[아메리칸 항공]]조차도 RB211을 선택하는 등 세일즈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PW2000 계열이 지닌 40,000 파운드가량의 추력은 [[B737]]과 같은 [[협동체]] 항공기에는 좀 과분했고 쌍발 [[광동체]] 여객기에 적용되기에는 살짝 모자라는 어정쩡한 수준[* [[RB211]] 주력 모델들의 추력은 50,000~60,000 파운드 수준이어서 [[B747]]이나 [[B767]]에도 충분히 써먹을 만한 파워를 지니고 있었고, 이걸 좀 굴려서 [[B757]] 시장까지 먹어보려는 욕심에 40,000 파운드 정도로 다운그레이드한 파생형을 제작한 것이라 PW2000과는 처해있는 상황이 크게 달랐다.]이어서 B757을 제외한 다른 항공기에는 채택된 실적도 거의 없다. 그러나 1991년 [[미 공군]]이 발주한 [[C-17]] 수송기의 엔진으로 채택되어 그나마 약간 팔자를 고치게 됐고, 일부 개량을 거친 후 F117-PW-100이라는 미 공군의 제식명칭도 부여받는다. C-17은 미 공군뿐만 아니라 [[영국 공군]]과 호주 공군, 중동 지역의 우방국 공군 등을 포함해 총 300대에 약간 못 미치는 물량이 생산되었는데, 4발기인 데다가 이런저런 예비부품까지 포함하면 C-17 기종만으로도 엔진 1,200대가량을 판매하는 실적을 거둔다. 어쨌든 이래저래 [[평타]]는 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흑역사]]로 둔갑할 위기에서 간신히 벗어난다. 1993년에는 [[일류신]]에서 개발한 [[Il-96]]의 개량형인 Il-96M에 적용되었으나, B757과는 감히 비교가 민망할 만큼의 커다란 실패작[* 모든 파생형을 다 합쳐봤자 판매대수는 30대가 안 된다.]이었기에 별 다른 의미를 지니지는 못한다. 한편 1990년대 후반에는 PW2043으로 [[A340]]-500/-600에 채택되도록 시도했었으나, 50,000 파운드급의 롤스로이스 [[트렌트]] 500 모델에 밀려 탈락한 사연이 있다. 2008년 10월 미 [[연방 교통안전 위원회]]는 미국 연방항공청에 PW2037 엔진의 터빈 결함에 대해 누적 비행시간에 관계없이 긴급점검을 하도록 권고했다. 한편 [[미 공군]]은 과거부터 [[B-52 스트라토포트리스|B-52]]H의 유지비 절감[* 많은 연료소모는 둘째치고 [[TF33]] 엔진의 유지/정비비용이 너무나 높은게 가장 큰 문제로 도래했고, 이 비용은 엔진의 연식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계속 올라갈 것이 자명하다.] 목적으로 엔진 교체사업을 계획했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그냥 흐지부지 취소되고 말았으나 2015년 2월 민관협력방식 (Public-Private Partnership)이라는 새로운 구상을 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기름먹는 하마 [[TF33]] 엔진은 엿으로 바꿔먹고 PW2000으로 교체하는 작업인데, [[프랫&휘트니]]에게 엔진값을 완납하는게 아니라 차후 운용하면서 절감된 연료값[* PW2000 계열로 교체했을 시 25~30%가량의 [[항속거리]]와 체공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에 따르는 연비 향상의 효과는 쉽게 무시하지 못할 수준이다.]으로 차근차근 갚아나가는 기발한 방식을 고안해냈다. 그런데 프랫&휘트니의 입장에서도 민수용 엔진사업은 경쟁사들에 비해 좀 밀리는데다가 [[C-17]]의 생산까지 종료되면 PW2000의 판로도 함께 사라지는 터라 어떻게 해서든 이 사업을 구체화해보고자 매력적인 조건을 제안하는 등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데, 4기를 장착하거나 심지어 8기를 때려박는 기술적인 방안까지 모두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 어차피 [[미 공군]]도 2040년까지 운용한다는 방침을 밝혔고, 좀 부끄럽지만 이런 돌려막기와 같은 수단까지 생각하는 것으로 봐서는 정말 급하긴 급한 모양인 듯 하나 여러 가지 기술적인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엔진 8개를 장착하는 방안은 과잉추력에다 유지비가 높아져서 미 공군에서 거절했고 4개의 경우 엔진 하나가 꺼지는 비대칭 추력의 상황에서는 조종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됐는데, 그 안정성을 보장하고자 날개를 수정했을 경우 총체적인 사업비용이 급상승하여 이도저도 못하고 있는 상태에 이르렀다. 이판사판으로 [[PW1000G]]를 8개 붙이자는 루머까지 들리고 있으나[* 한편 PW의 경쟁사 GE는 리저널기에 많이쓰는 CF34를 제안했었다.] 결국 [[롤스로이스 plc]]의 [[BR700]]이 선정되었다. == 외부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Pratt_%26_Whitney_PW2000|(영문 위키백과) Pratt & Whitney PW2000]] == 관련 문서 == * [[제트엔진]] * [[터보팬]] * [[프랫&휘트니]] [[분류:프랫&휘트니]][[분류:제트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