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식물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프레데터 플랜츠)]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7년)]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17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일어판명칭=捕食植物(プレデター・プランツ)ドラゴスタペリア, 영어판명칭=Predaplant Dragostapelia,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700, 수비력=1900, 종족=식물족, 소재=융합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 이 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가 발동한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는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V점프]] 2017년 1월호 부록으로 수록된 [[프레데터 플랜츠]]의 융합 몬스터.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에 이어서 두번째이다. 모티브는 [[드래곤]] + [[그랜디플로라스타펠리아]]. 뒷목 부분에 희미하지만 별모양의 잎이 있다. 1턴에 1번 프리 체인으로 상대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얹는 ①의 [[유발 즉시 효과]]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무효화하는 ②의 [[지속 효과]]가 있는 카드다. == 성능 == 지금까지 나온 포식 카운터를 쌓는 몬스터들은 별도의 서포트가 없으면 자신의 턴에만 카운터를 쌓을 수 있어 상대 전개를 방해하기 어려웠지만, 이 카드는 프리 체인이라 상대가 의식 / 싱크로 / 엑시즈 소환하려 할 때 카운터를 놓아 레벨을 낮춰 소환을 방해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거기다 포식 카운터가 놓힌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하면 그대로 무효화되기에 몬스터 효과도 못 쓰는 애물단지가 된다. 무효화 효과의 경우 이 카드의 효과로 쌓은 게 아니더라도 적용되기에, 플라이 헬이나 스피노 디오네아의 효과로 놓아도 무효화할 수 있다. 특히 스키드 드로세라와는 궁합이 좋은데, 필드의 스키드 드로세라를 소재로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하면 그 타이밍에 상대 필드에 존재하는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전부 틀어막을 수 있다. 플래닝과 함께하면 순간적인 스킬 드레인을 시전할 수도 있다. 효과 자체는 이 카드 혼자서도 운용 가능하고 프레데터 플랜츠 덱이라면 더더욱 유용하게 쓰일 테니 나쁘진 않지만, 문제는 저 빡센 소환 조건. 융합 몬스터를 소재로 써야 하기에 키메라플레시아나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보다 소환 난이도가 높다. 키메라플레시아를 소재로 소환하면 다음 턴 서치 효과도 쓸 수 있어 나쁘진 않지만 역시나 융합을 2번이나 해야 하기에 융합 회수 같은 카드라도 있지 않는 한 소환하기 까다롭다.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2 정도로만 나와줬어도 프레데터 플랜츠 덱에서 쓰기 편했을 것이다. 일단 쓴다면 정규 소환된 융합 몬스터보단 [[인스턴트 퓨전]]을 쓰는 게 좋을 것이다.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의 궁합은 괜찮은 편으로 상대 몬스터 1장을 제거하면서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할 수 있다. 썬듀 킨지나 초융합으로 상대 융합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수도 있지만, 상대가 융합을 반드시 쓴다는 보장이 없기에 보험 정도로만 생각해둬야 할 듯. 하지만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이 발매되고 너도나도 드라군을 쓰면서 '상대 드라군+메이저 속성인 어둠 속성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수 있기에 그 입지가 상승했다. 이후 드라군은 저세상으로 갔지만, 곧바로 똑같은 어둠 속성인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가 나오면서 똑같은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신 카드군에서 레벨 5인 암불로메리두스가 나오면서 자체 카드군만으로도 비교적 쉽게 부를 수 있게 되었다. 몇 안 되는 레벨 8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라, 이 카드군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의 부활용 코스트로도 쓸 수 있다. 신속한 융합 테마인 [[퍼니멀]]의 용병으로도 쓸 수 있다. [[데스완구]] 몬스터들이 대부분이 융합 몬스터고 에지임프는 어둠 속성이니 융합 소재에 알맞다. 그 외에도 [[낙인융합]]을 통해 낙인룡 알비온이나 [[신염룡 루벨리온]]으로 부를 수도 있다. 그 때문에 [[데스피아]]나 [[비스테드]] 등 낙인과 섞어 쓰는 경우가 많은 덱들에서 용병으로 쓰기도 한다. 사실 진짜로 덕을 본건 [[티아라멘츠]] 이후로, 기본적으로 덤핑을 통해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키토칼로스]]를 내고 키토칼로스로 추가 융합몹을 부르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둠속성 테마군인 티아라멘츠는 이 카드를 굉장히 잘 뽑기 때문. 이후 현세와 명계의 역전 카드군의 추가로 인해 덤핑이 더욱 쉬워져, 심하면 패유발로 상대턴에 덤핑을 해 이 카드를 뽑는 플레이를 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이시즈 티아라멘츠]] 문서 참조.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2]] || PP12-KR026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 DP22-KR053 || [[노멀]] || 한국 || || || [[V점프]] 2017년 1월호 부록 카드 || VJMP-JP12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 DP22-JP053 || [[노멀]] || 일본 || || || [[소울 퓨전|Soul Fusion]] || SOFU-EN09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Duel Power || DUPO-EN069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 LED5-EN053 || [[노멀]] || 미국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레데터 플랜츠, version=1207, paragraph=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