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CD 마요르카/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104407_t181_2022_0_001_000.png|width=100%]]}}} || ||<-2> '''{{{#fff704 RCD 마요르카 No. 1}}}''' || ||<-2> '''{{{#fff704 {{{+1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br] {{{-2 Предраг Рајковић | Predrag Rajkovic}}}}}}''' || ||<|2> '''{{{#fff704 출생}}}''' ||[[1995년]] [[10월 31일]] ([age(1995-10-31)]세)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네고틴 || || '''{{{#fff704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 || '''{{{#fff704 신체조건}}}''' ||[[키(신체)|키]] 191cm / [[체중]] 85kg || || '''{{{#fff704 포지션}}}''' ||[[골키퍼]] || || '''{{{#fff704 주발}}}''' ||오른발 || || '''{{{#fff704 등번호}}}''' ||[[RCD 마요르카]] - 1번[br][[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12번 || || '''{{{#fff704 유스클럽}}}''' ||FK 야고디나 || || '''{{{#fff704 소속클럽}}}''' ||FK 야고디나 (2012~2013) [br]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12~2017) [br] [[마카비 텔아비브 FC]] (2015~2019) [br] '''[[스타드 드 랭스]] (2019~2022)'''[br]'''[[RCD 마요르카]] (2022~ )''' || || '''{{{#fff704 국가대표}}}'''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0]]]] 30경기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 2013~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르비아 국적의 축구선수로 현재 [[라리가]] [[RCD 마요르카]]에서 활약하고 있다. 포지션은 [[골키퍼]]. == 클럽 경력 == === 경력 초기 === 네고틴에서 태어난 라이코비치는 축구선수였던 아버지를 따라 7살때부터 축구를 시작했다. 2009년, FK 야고디나에 입단하여 4년간 유스팀에서 활약 후 2011-12 시즌에 1군으로 승격됐다. 2013년 3월 9일 [[파르티잔]]과의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경기에서 데뷔하였으며, 이후에는 기라성같은 선배들의 존재로 인해 서드 키퍼에 머물렀다. 그러다 2013 UEFA U-19 챔피언쉽에서 맹활약하고 복귀한 뒤 구단 측에서 기회를 주기로 결정했다. 2경기를 출전한 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로 이적한다.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2013년 8월 28일, 즈베즈다와 4년 계약을 채결했다. 등번호는 자신이 태어난 해인 1995년을 의미하는 95번을 달았다.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지는 못했고, 백업 키퍼로 머물며 시즌 마지막 경기에 출전한게 전부였다. 2014-15 시즌에도 라이코비치는 백업 키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주전 키퍼로 데려온 다미르 카흐리만의 부상으로 인해 골문을 지키게 되었다. 그리고 어린 나이에도 긴장하지 않고 안정감있는 모습을 보이며 시즌 기간 골문을 든든히 지켰다. 그 결과 라이코비치는 리그 28경기에서 16번의 클린시트를 기록했고, 리그 베스트에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 [[마카비 텔아비브 FC]] === 즈베즈다와 [[2015 FIFA U-20 월드컵]]에서 맹활약하며 주가를 올린 라이코비치는 이스라엘의 텔아비브로 300만 유로의 이적료와 함께 5년 계약을 맺고 입단했다. 이스라엘 리그에서도 뛰어난 실력을 선보이며 리그 최고의 골키퍼로 거듭나기에 이르었다. 또한 리그에서 뿐만 아니라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유로파 리그]] 등 유럽 대항전 무대에서도 존재감을 발휘하며 많은 유럽팀들의 관심을 받았다. === [[스타드 드 랭스]] === 2019년 7월 23일, 시즌을 앞두고 스타드 드 랭스로 이적하였다. 데뷔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27경기 18실점 12[[클린시트]]를 달성하며 [[리그 1]] 최고의 골키퍼 중 한 명으로 발돋움하며 팀의 다음 시즌 [[UEFA 유로파 리그]] 진출의 1등 공신이 되었다. 2020-21 시즌에는 지난 시즌에 비해 부진한 활약을 보이며 많은 실점을 기록하고 있다. 2021-22 시즌 35R 로리앙전에서 맹활약했다. === [[RCD 마요르카]] === [[마놀로 레이나]]와 [[세르히오 리코]]가 떠난 마요르카로 이적했다. 4년 계약이며 이적료는 €2M이고 등번호는 1번을 배정받았다. ==== 2022-23 시즌 ==== 입단동기 [[베다트 무리치]]와 고군분투할 예정이다. 2022년 8월 15일, [[아틀레틱 빌바오]]와의 리그 첫 경기에서 선발로 나섰다. 그리고 경기 내내 빌바오의 공격을 모조리 막아냈는데, 특히 후반 37분에는 [[고르카 구루세타]]의 슛이 [[안토니오 라이요]]를 맞고 안으로 굴절되며 실점이 되는 듯 하였으나. 기여코 역동작 상태에서 손으로 쳐내는 슈퍼세이브를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의 활약에 마요르카는 빌바오 원정에서 0:0 무승부를 거두며 귀중한 승점 1점을 따냈다.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대 대표팀 시절에는 2013 UEFA U-19 챔피언십, [[2015 FIFA U-20 월드컵]] 우승 멤버로써 주전 골키퍼로 맹활약했다. 특히 후자의 대회에서는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FIFA 월드컵]] 엔트리 23인에 선발되었다. 하지만 블라디미르 스토이코비치의 존재로 인해 1경기에도 나서지 못하며 조국의 조별리그 탈락을 벤치에서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 [[UEFA 네이션스 리그/2020-21 시즌|2020-21 UEFA 네이션스 리그]]부터는 서서히 출전 수가 증가하며 세르비아의 주전 수문장 자리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마르코 드미트로비치]]와 치열한 경쟁 중이다. 그리고 2021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A조|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부터는 주전으로 등극한 모양새이다. 이후 본선 직행의 분수령이었던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과의 최종전에서 후반 막판 [[미트로비치]]의 결승골로 2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 지었다. 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베니아]]와의 원정경기에서 후반 45분에 어이없는 퇴장을 당했다. 최종 예선 이후부터는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는 경기가 잦아지기 시작하더니, 2022년 11월 25일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카타르 월드컵 G조|G조]] 1차전에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가 주전으로 나섬에 따라 끝내 자신의 [[카타르 월드컵|두 번째 월드컵]] 무대도 서브 키퍼로 벤치에 앉게 되었다. 세르비아는 브라질과 스위스에 밀려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페널티 킥]]을 굉장히 잘 막는 선수이다. 특히 2019-20 시즌의 경우 팀이 허용한 PK 4개 중 3개를 막아낼 정도. 기본적인 반사신경이 좋아서 역방향이 걸려도 긴 팔을 뻗어 공을 걷어내는 장면은 단연 압권. 큰 키를 바탕으로 한 공중볼 처리 능력도 좋은 편. 다만, 발밑이 매우 투박해서 빌드업 능력을 기대하기는 힘든 편. 주로 롱킥을 자주 시도하는 데 정확도는 떨어지는 편. 전반적으로 같은 국적의 [[마르코 드미트로비치]]와 매우 비슷한 플레이 스타일을 보여준다. == 기록 == === 대회 기록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2013~ ) * [[FIFA U-20 월드컵]]: 2015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RCD 마요르카)][include(틀: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분류:1995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보르구 출신 인물]][[분류:세르비아의 축구선수]][[분류:FK 야고디나/은퇴, 이적]][[분류:FK 츠르베나 즈베즈다/은퇴, 이적]][[분류:마카비 텔아비브 FC/은퇴, 이적]][[분류:스타드 드 랭스/은퇴, 이적]][[분류:RCD 마요르카/현역]][[분류:세르비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 참가 선수]][[분류:골키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