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유럽 신화/신]][[분류:풍요의 신]][[분류:빛의 신]][[분류:비의 신]] || {{{+1 '''프레이'''}}}[br]Frey / Frey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eyr_by_Johannes_Gehrts.jpg|width=100%]]}}}|| || {{{-1 《[[굴린부르스티]]와 프레이》[br]Johannes Gehrts 作, 190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유럽 신화]]의 신. 풍요와 햇빛, 비를 관장하는 신이다. == 이름 == 영어로는 'Frey' 혹은 'Freyr' 등으로 표기되며, '프레이르' 라고도 한다. 로마의 라틴어 기록에선 '프로위르'(Froyr) 또는 '프리코'(Fricco)로 표기되었다. 프레이르의 후손이라 일컬어지는 잉링(Yingling) 왕조, 《잉링 사가》에 언급된 이름 Yngvi-Freyr, 그리고 '잉구나르-프레이'라고도 하는 그의 별명들을 고려하면 '나으리/주인님'을 뜻하는 '프레이르'는 그의 칭호이고, 본명은 윙비/잉비(Yngvi/Ingvi)로 추정된다. == 특징 == 망토 정도만 두른 나체의 건장한 남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스웨덴에서 발기된 남근 부적이 발견됐는데, 이는 프레이를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더불어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 중 제일 미남이기도 하다. 고대 스칸디나비아인들은 이 신에게 말을 제물로 바쳤다. 미의 여신 [[프레이야]]의 오빠이기도 하다. [[애시르 신족]]인 [[오딘]]이나 [[토르(북유럽 신화)|토르]]와는 달리, [[바니르 신족]]이며, 두 신족이 전쟁을 멈추고 화해할 때 아버지 뇨르드를 따라 인질로 왔다. 만화로 보는 북유럽 신화에서 차용한 전승에서는 함께 인질로 올 예정이었던 어머니가 원래는 아버지 뇨르드의 여동생이며, 바니르 신족의 근친혼 풍습을 통해 오빠와 맺어진 사이였는데, 애시르 신족은 근친혼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어머니를 바나헤임에 남겨두고 이산가족이 되고 말았다고 전한다. 남매가 미남•미녀신들인데 프레이야에 비해 미남이라는 속성이 드러나는 일화가 거의 없다. 오히려 프레이에 버금가는 미남신인 발두르가 더 외모적인 이야기로 많이 얽힌다. == 전승 == 들고 있지 않아도 스스로 칼집에서 빠져나와 적을 베는 칼을 가지고 있었는데 신들의 왕인 오딘만이 앉을 수 있는 의자에 호기심이 동해서 앉았다가 거인족 미녀 [[게르드]]를 보고는, 그대로 홀랑 넘어가 구혼을 하면서 [[뚜쟁이]] 노릇을 한 [[스키르니르]]에게 선물로 줘버렸다. 이 칼이 없어서 [[라그나로크]] 때 [[수르트]]에게 패배해 세계가 멸망하고, 본인은 수르트의 칼날에 쓰러진다고 한다. 프레이가 줘버린 칼은 공식적으로 이름이 전혀 언급되지 않으나, 그 칼의 이름을 [[레바테인]]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수르트의 검을 레바테인이라고 하기도 하고, 거인족의 손에 넘어간 레바테인이 돌고 돌아 불의 거인한테까지 가 결국 수르트의 검이 됐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레바테인은 그냥 《[[에다(북유럽 신화)|에다]]》에 딱 한 줄 나온 칼일 뿐이니 누구 칼인지는 너무 신경 쓰지 말도록 하자. 설정놀음을 하고 싶다면 좋아하는 쪽을 고르면 된다. 그 외에도, 북유럽 신화와 연관성이 많을 것으로 추측되는 [[켈트 신화]]에서 [[마나난 막 리르|마나난]]과, [[루]]의 검인 [[프라가라흐]]와도 약간 비슷한 점이 있다. 프레이는 게르드와 결혼한 이후 함께 숲속에서 신혼을 즐기는데, 그 시대 북유럽에서도 숲속 깊은 곳에서 신혼생활을 보냈다. 낭만이 이유였다면 좋았겠지만 보쌈이 팽배했던 그 때, 화가 난 신부측의 가족이 신랑을 죽이러 찾아오는 일이 잦았고, 때문에 그들에게 죽지 않기 위해 숲속에서 숨어 지냈다. 참고로 스키르니르는 실수로 게르드의 오빠를 죽여버려서 어쩔 수 없이 게르드를 협박해 끌고 왔다. 이후 게르드한테서 아들 푤니르를 얻었다고 전해진다. 프레이르는 엘프들의 세계 [[알프헤임]]의 지배자라고도 하는데, 북유럽 민담에서는 인간 영웅이나 조상신들이 [[엘프]]로 숭배받기도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스웨덴 왕가의 조상이 신격화된 사례일 수도 있다. == 기타 == * [[스웨덴]] 왕가의 가계에는 이 프레이가 포함되어 있어서 조상신으로 모시고 있다. 현재의 왕조가 아니라 옛날, 고대 스웨덴의 왕조일 뿐만 아니라 북유럽의 첫 통일 왕가라고 전해지는 잉글링 왕조의 시조다. 스웨덴의 잉글링 왕조는 역사적으로는 증명된 바 없이 전설상으로만 전해져 내려오고, 이 가문이 역사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이 가문의 후손인 [[하랄 1세 하르파그리]]가 [[노르웨이]]를 건국하면서부터다. 덴마크까지도 통치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legendary_kings_of_Sweden|#]] 뿐만 아니라 [[오딘]] 또한 실존 인물로 여기는데, 이는 현 북유럽 신화의 명맥을 잇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던 《[[에다(북유럽 신화)|신 에다]]》의 저자이자, 아이슬란드의 시인이며 역사가, 정치가였던 스노리 스툴루손이 엮은 《헤임스크링라》에 언급되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레이, version=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