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 ||<-2> 이름 || プレクラスニー[br]Prekrasnie || ||<-2> 출생 || [[1987년]] [[6월 10일]] || ||<-2> 죽음 || [[1998년]] [[1월 30일]] (12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회색 (芦毛, 아시게) || ||<-2> 아비 || 크리스탈 팰리스 (Crystal Palace) || ||<-2> 어미 || 미토모 오 (ミトモオー) || ||<-2> 외조부 || 비미 (Vimy) || ||<-2> 생산자 || 시마다 목장 (嶋田牧場) || ||<-2> 마주 || 타지마 에이지로 (田島榮二郎) || ||<-2> 조교사 || 야노 테루마사 (미호) || ||<-2> 성적 || 15전 7승 (7-3-1-4) || ||<-2> 총상금 || 3억 402만 1000엔 || ||<|3> 주요[br]우승 || G1 || [[천황상 (가을)|천황상•秋]] (1991) || || G2 || [[마이니치 왕관]] (1991) || || G3 || [[엡섬 컵]] (1991)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87103934/|[[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200055/|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당대의 도주마 중 하나이자 일본 경마역사상 최초로 G1 경기에서 선두마의 강착에 의해 우승마로 격상된 말로 유명하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크리스탈 팰리스[br]{{{-2 Crystal Palace[br]197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2>카로[br]{{{-2 Caro[br]1967}}}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포르티노[br]{{{-2 Fortino}}}|| ||챔버드[br]{{{-2 Chambord}}}|| ||<|2>에르미에르[br]{{{-2 Hermieres[br]1958}}}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시캉브르[br]{{{-2 Sicambre}}}|| ||비에유 피에르[br]{{{-2 Vieille Pierre}}}|| ||<|4>미토모 오[br]{{{-2 ミトモオー[br]1971}}} ||<|2>비미[br]{{{-2 Vimy[br]195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와일드 리스크[br]{{{-2 Wild Risk}}}|| ||미미[br]{{{-2 Mimi}}}|| ||<|2>로열 리키[br]{{{-2 ロイヤルリツキ[br]1964}}} ||로열 챌린저[br]{{{-2 Royal Challenger}}}|| ||킹 세컨드[br]{{{-2 キングセカンド}}}|| ||<-3>* 리알토 5×4 9.375%|| 부마는 크리스탈 팰리스, 현역 9전 4승, 1977년 조케 클뤼브상, [[니엘상]] 우승마로 1985년 프랑스 리딩 사이어에 올랐던 적도 있지만 일본에 수입되고 나서 중앙 중상 자마는 프레크라스니뿐이다. 그래도 BMS 자마로 [[타니노 김렛]]이 나오기도 했다. 모마인 미토모 오는 53전을 뛴 체력전이 자랑인 말이었으나 모계혈통은 80년대 당시에도 "이거 참 그리운 혈통을 보게 되는군"이란 소릴 들을만큼 낡은 혈통이었다. 외조부 비미는 현역 6전 4승, 1955년에 외국산 말 최초로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말이다. 아일랜드에서 종마 활동을 하며 1963년 [[이클립스 스테이크스]]에서 우승한 암말 칼키스(Khalkis)등을 배출하고 1964년 일본으로 수입되어 중상마 셋[* 1970년 한신대상전 우승마 스피디 원더(スピーデーワンダー), 1972년 타카라즈카 기념 우승마 쇼후 미도리(ショウフウミドリ), 1972년 세키야 기념, 니가타 기념 우승마 패싱 골(パッシングゴール)]을 배출했다. == 생애 == === 데뷔부터 클래식 시즌까지 === 모마 미토모 오는 1977년 니가타 기념을 우승하고 마이니치 왕관 2착, 오크스 5착 등 나쁘지 않은 능력을 보이며 통산 53전 8승을 올린 강철체력의 말이다. 이에 조금 잘 달린다 싶은 암말이라면 일단 관심부터 갖고보는 타지마 카츠아키의 눈에 띄어 번식암말로서 선택되지만 53전이나 뛰며 근육을 너무 붙였는지 3년 연속으로 불수태 및 경주마로서는 쓸 수 없는 체형을 말을 낳는 등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다. 마주인 타지마가 포기하고 팔아버릴까 하다 결국 참아내고 계속 교배를 한 결과 5년째 부터 체형이 겨우 번식암말 수준으로 빠졌다. 그렇게 성과는 못 내도 번식암말로 자릴 잡아가던 중, 마주 타지마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마체를 가진 크리스탈 팰리스가 눈에 띄자 "그레이 소브린계면 스피드도 있는 편이고 그 자식인 포르티노계라면 스태미너도 어느정도 붙었을 것"이란 생각에 9번째 교배상대로 선택하게 되고 그렇게 크리스탈 팰리스의 4년째 산구 중 하나가 태어난다. 이 말은 타지마 카츠아키의 아들인 타지마 케이지로 소유의 말로 선택되어 러시아어로 '대단히 균형잡힌 아름다움"이란 뜻을 가진 프레크라스니라는 이름을 받게 된다. 6월 생이라는 늦은 나이 때문인지 4살(현 3살) 시즌 2월에 데뷔하게 되는데 더트 1200m인 신마전과 미승리전에서 패배, 기수와 마장조건(잔디 1800m)을 바꾼 3전째 미승리전에서 겨우 승리를 챙긴다. 이후 500만엔 이하 조건전에서 승리 후 900만엔 이하 조건전에서 패배하자 마체를 더 완성시킬 필요성을 느낀 진영 측에서 아예 장기 휴양을 결정, 4살 시즌을 종료한다. === 고마 시즌 === 1991념 1월 복귀한 프레크라스니는 승패를 반복하면서 꾸준히 실적을 쌓아 5월 경에는 드디어 오픈 클래스로 승격한다. 야노 조교사는 "마체가 점점 완성되어 가는게 보인다. 아마 가을쯤 부터는 충분히 활약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평가를 내렸다. 눈 부상을 당해 단기 휴양을 거치고 복귀한 6월의 앱섬컵에서는 토쇼 발칸, 메이쇼 비토리아와 함께 유력마로 뽑혔고 그 예상대로 3두가 각축전을 벌여 1.5마신차 승리를 거두며 첫 중상 승리를 거둔다. 게다가 이 승리는 사츠키상에서 [[토카이 테이오]]가 승리한 후 모든 경기에서 관서측 말들이 승리하는 와중에 오랜만의 관동소속마의 승리였고 코스 레코드에 0.8초 뒤진 뛰어난 성적이었기에 단숨에 관동 소속마 중의 유력마로 관심을 끌게 된다. 어느정도 가능성을 본 진영 측에선 가을의 천황상과 아리마.기념을 노리기 위해 휴양에 들어갔다. 이후 복귀전으로는 10월의 마이니치 왕관에 출전하는데, 이 경기에는 유력마들의 대거 참전으로 무려 6두의 말이 배당률 한자리수인 혼전 상태였다. 그 중 메지로 마셔스에 이은 인기 2위로 출전한 프레크라스니는 폭주하는 [[다이타쿠 헬리오스]]의 바로 뒤를 쫗는 선행책을 들고나와 경기를 하이페이스로 이끌었고, 후속마들의 페이스가 망가져 쫗아오지 못하자 헬리오스와의 1대1 대결을 벌여 골 직전에 선두를 빼았고 반마신차 승리를 거두며 중상 2승째를 거둔다. 파죽의 3연승에 중상 2연승, 도쿄 경마장의 잔디 코스로 한정하면 4전 전승에 1800m 거리에선 6전 5승에 2착 1회(중 도쿄경마장은 3전 3승)에 기록 역시 [[사쿠라 유타카 오]]가 보유한 레코드에 0.1초밖에 뒤지지 않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단숨에 고마 중 유력마로 떠오른다. 그리고 도전한 천황상 가을에선 당대 최강마로 꼽히기 시작한 [[메지로 맥퀸]], 오사카배 우승 이후 승리는 못했지만 성적 자체는 나쁘지 않았던 [[화이트 스톤]]에 이른 인기 3위로 도전한다. 스타트 직후 메지로 맥퀸에게 막혀 잠시 화이트 스톤과 함께 3두가 선두경쟁을 벌이다 다시 도주를 시전, 3코너 까지 버틴 끝에 실속하며 뒤쳐진 화이스 스톤을 떨구고 맥퀸과의 1대1 대결이 펼쳐진다. 하지만 역시 당대 최강마, 맥퀸은 특유의 스퍼트 능력을 발휘하며 간단하게 프레크라스니를 제쳐버린 채 앞서나갔고 후속의 카리브 송, [[카미노 크레세]], 리스토레이션, 누에보 토쇼등이 강습해 온다. 하지만 끈질기게 버텨낸 프레크라스니가 3/4마신차로 2착을 사수한다. 선전을 축하하는 진영이었으나 모든 말들이 다 들어온 후에 게시판에는 심의를 뜻하는 불이 들어온다. 2코너에서 도주를 시도하는 프레크라스니의 앞을 막아 선 맥퀸의 주행이 문제가 되었던 것. 선두로 치고 나가려다 맥퀸의 길막으로 실패한 프레크라스니가 주춤하면서 후속의 메이쇼 비토리아, 무비 스타, 프레지던트 시티 등이 단체로 밀려버렸고[* 이 때문에 경기 후 후속마들의 기수들이 단체로 타케 유타카를 찾아가 항의를 했을 정도였다. 특히 프레지던트 시티는 까딱하면 기수가 낙마할 뻔했을 정도로 크게 밀려났다.] 이를 단체 주행방해로 판단한 운영진에서 강착을 결정하면서 2착이었던 프레크라스니가 끌어올려져 우승을 하게 된 것. 이는 '''JRA 사상 최초 G1 1착마의 강착결정'''이었고 주행방해를 당한 말들 중 최하위의 말인 프레지던트 시티의 뒷 순위인 18위로 밀려버린다. 반대로 프레크라스니는 2위 입착(그것도 6마신차의 대패)후 승착으로 우승한 최초의 말이 되었고 당시 19세였던 기수 에다는 그 천재 [[타케 유타카]]보다 더 어린 나이에 천황상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기록을 세운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축하를 해 주는 와중에도 기수인 에다와 마주인 타지마는 오히려 불쾌한 기색을 드러낸다. "영광스런 가을의 방패를 이런 식으로 따고 싶진 않았다. 이건 이긴 게 아니다"라며 다음에는 축승회 건의도 거부하고 실력으로 이길 것을 다짐한다. "다시 한번 맥퀸과 싸울 땐 반드시 선두에서 도주승을 거두겠다."[* 프레크라스니도 천황상 가을에서 각질로서는 도주 각질로 우승했다. 하지만, 맥퀸이 강착이되어서 우승한 레이스라서 그런지, 일본에서도 프레크라스니의 천황상 가을 도주 우승은 도주마의 우승으로는 여겨지지않는다고한다. 여담으로 현재까지 천황상 가을의 마지막 도주마 우승은 1987년 천황상 가을에서 우승한 [[닛포 테이오]]가 한 것으로 여겨지는 중이다.]라 선언하며 도전한 아리마 기념에선 폭주하는 트윈 터보의 뒤에서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다 비출혈로 인해 실속하는 틈을 타 선두에 나서며 장기인 도주를 실행한다. 하지만 프레크라스니는 물론 트윈 터보, 다이타쿠 헬리오스라는 당대의 도주마들에 역시 강선행으로 유명한 [[오사이치 조지]]등 페이스를 흐트러트리는 말들이 폭주할 것을 예상한 후속 기수들은 침착하게 페이스를 조절하고 있었고 최종직선에 들어서자 남은 힘을 폭발시켜 스퍼트에 돌입, 2400m까지 악착같이 버티던 프레크라스니를 속속 제치며 나아갔다. 결국 경기는 사상최강의 한방을 작렬시킨 [[다이유우사쿠]]의 승리라는 대파란 결말을 맞이한다. 진영측에서는 이번에도 맥퀸에게 패배했다는 사실에 좌절하면서도 다시한번 재전을 다짐하지만 6살 시즌을 맞이한 1992년, 각부불안이 발견되어 어쩔 수 없이 은퇴를 결정하게 된다. == 은퇴 후 == 천황상 가을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지만 경마 관계자들에겐 그보단 "맥퀸의 강착으로 인한 어부지리 우승"이란 이미지가 강했고 이것에 다른 장점들이 다 가려져 종마로서의 인기는 거의 없었다. 초년도 산구 10두, 2년째 산구 4두라는 처참한 결과를 맞이해 결국 1998년 단 1두의 산구만을 남기고 만다. 결국 1998년 종마에서도 은퇴한 프레크라스니는 구 8대경주 승리마에게 부여되는 특권으로 JRA의 은퇴마 시설에서 여생을 보내게 되었으나 이적 후 1개월여 만에 골반골절이 발견되어 안락사 조치를 당한다. == 기타 == * 통산 성적에서 잔디 1800m는 7전 6승 2착 1회, 도쿄 경마장에서 압도적 성적을 보여주는 등 절대 능력적으로 모자란 말은 아니었기에 교배수만 받쳐 줬다면 최소한 마일-중거리 전에서 활약하는 말을 배출할 가능성이 높은 말이었을 거라는 평가다. 실제로 부마 크리스탈 팰리스의 BMS에는 타니노 김렛이 나오기도 해 직계가 끊긴 것을 안타까워 하는 의견도 있는 말이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0년 {{{-1 (4세, 현 3세)}}} || || 2.2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4세 신마 || || 더트 1200m || 4.2 || 2 || 3착 ||<|2> 타무라 마사미츠 || 슈퍼 올림피아 || || 3.18 || 나카야마 || 4세 미승리 || || 더트 1200m || 2.9 || 1 || 5착 || 지거 무사시 || || 4.21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4세 미승리 || || 잔디 1800m || 2.3 || 1 || '''{{{#red 1착}}}''' ||<|4> 마스자와 스에오 || (탭 온) || || 5.26 || [[도쿄 경마장|도쿄]] || 로벨리아상 || 500만 || 잔디 1800m || 2.2 || 1 || '''{{{#red 1착}}}''' || (나카미 슌란) || || 6.23 || 후쿠시마 || 샤쿠나게 스테이크스 || 900만 || 잔디 1700m || 2.5 || 1 || 5착 || 큐티 업 || || 7.8 || 후쿠시마 || 사쿠란보 스테이크스 || 900만 || 잔디 2000m || 5.0 || 3 || {{{#blue 2착}}} || 배틀 이니셔티브 || ||<-10> 1991년 {{{-1 (5세, 현 4세)}}} || || 1.5 || 나카야마 || 시노노메상 || 900만 || 더트 1800m || 7.2 || 5 || 10착 ||<|4> 마스자와 스에오 || 더 라스트 워드 || || 1.20 || 나카야마 || 와카시오상 || 900만 || 잔디 1800m || 8.0 || 4 || '''1착''' || (버닝 하트) || || 3.2 || 나카야마 || 나이가이 타임스배 || 1500만 || 잔디 2000m || 3.6 || 2 || {{{#blue 2착}}} || 레오 랭보 || || 3.30 || 나카야마 || 후나바시 스테이크스 || 1500만 || 잔디 1800m || 3.2 || 1 || {{{#blue 2착}}} || 레오 플라자 || || 4.20 || 도쿄 || 반슌 스테이크스 || 1500만 || 잔디 1800m || 2.8 || 1 || '''1착''' ||<|5> 에다 테루오 || (인드라) || || 6.8 || 도쿄 || [[엡섬 컵]] || GIII || 잔디 1800m || 2.8 || 1 || '''1착''' || (메이쇼 비토리아) || || 10.6 || 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600m || 5.4 || 2 || '''1착''' || ([[다이타쿠 헬리오스]]) || || 10.27 || 도쿄 || '''[[천황상 (가을)]]''' || '''GI''' || 잔디 2000m || 8.7 || 3 || '''1착'''[* 원래 2위로 들어왔으나 1위로 들어온 메지로 맥퀸이 진로 방해로 강착되면서 순위가 올라갔다.] || (카리브 송) || || 12.22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9.0 || 3 || {{{#000 4착}}} || [[다이유우사쿠]] ||}}}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 [include(틀:마이니치 왕관,grade=GII)] ---- [include(틀:엡섬 컵,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7년 출생/경주마]][[분류:1998년 죽은 동물]][[분류:회색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그레이 소버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