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프로게이머]] == 현재 활동하고 있는 프로게이머의 유명한 점, 유명한 별명, 접두사, 접미사. 해당 선수를 대표하는 별명은 굵게 강조하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유행 이전에 작성된 문서여서, [[스타크래프트]]나 [[카트라이더]] 등의 프로게이머 별명만 정리되어 있다. --10년이 넘는 동안 여기에 롤 프로게이머 적으려는 사람이 어떻게 한명도 없었다-- === ㄱ === * '''가림토스''':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아이디인 GARIMTO에서 유래 * [[각하|가카]]: [[박상우(1989)|박상우]], [[김영진(프로게이머)|김영진]]. 박상우는 [[노태우]] 전 대통령, 김영진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닮았다고 붙은 별명. * 갈빙리타: [[형독]]. 17차리그 16강에서 첫 라운드 맵인 갈라진 빙산에서 3등으로 유지하다 2랩때 빠지고 6등으로 유지하다가 8등으로 떨어지면서 리타이어. * 갓: [[이영호]]. 이영호의 [[혐산당|악질 팬]]들이 '이영호는 '''스타판의 모든 것을 이루었다''''며 그를 초대 [[갓라인]][* 별명이 나왔을 때 기준으로 양대 방송사 우승, 양대 방송사 연속 결승전 진출, 5회 우승 등]의 수장으로 앉혀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서 나온 별명.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갤]][* 2010년 [[스갤 어워드]] '올해의 별명' 상에 수상되었다. (여기서는 '갓영호'로 나옴)], [[포모스]]에서 모두 통용되고 있다. 신과 같은 용례 --어디까지나 스1에서의 이야기-- * [[갸라도스]]: [[구성훈]]이 이기면 갸라도스로 진화한다. * [[거침없이 하이킥|거침없이 김재춘]]: [[김재춘(프로게이머)|김재춘]]. 항목 참조 * '''고갓민''': [[고강민]] * 고덕후: [[고인규]][* 루X웹에 피규어 가격을 물어본 글이 걸려버리는 바람에 붙은 별명. 자신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 고베르만: [[고석현]] * [[고병재]]: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 '''곡예사''': [[김구현]]. 붉은 (그리고 [[HP]] 낮은) [[왕복선|셔틀]]로 상대를 능수능란하게 농락하는 것이 마치 곡예를 하는 것 같다고 해서 붙은 별명. --[[원이삭|그리고 이를 패러디한 명작이 나오게 되는데…….]]-- * 공명토스: [[박영민(1984)|박영민]] * '''[[과일장수]]''': [[김원기(프로게이머)|김원기]]의 아이디(FruitDealer)이자 별명 * 과학왕: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테테전]]에서 하나만 지어도 충분한 [[과학 시설|사이언스 퍼실리티]]를 4개나 지어 붙은 별명이다. --유령과 전투순양함을 동시에 뽑을 생각이었어도 2개면 됐을 것을-- * 광견, 꼬라박대호: [[박대호]] * '''광전사''': [[변형태]] * '''[[괴물]]''': [[최연성]], [[유임덕]] * '''[[괴수]]''': [[도재욱]] * 구희왕: 구성훈. [[박재혁(1987)|박재혁]]과의 경기에서 승리를 따낸 후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함정 카드를 발동했다]](…). * 국본(國本):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왕세자'라는 의미로, 황제 [[임요환]]의 후계자라는 의미. 지금은 잘 사용되지 않는 별명이나 방송사에서 밀어주려고 했던 별명 * 군견: [[김태훈(1987)|김태훈]] * 군병구: [[손석희(프로게이머)|손석희]] * 군영호: [[이성은]], [[변형태]] * 군요환: [[임진묵]] * 군제동, 군진호, 군재윤: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 단, [[마재윤|어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군'''재윤'''은 멸칭에 가깝다.] * 굴드: [[김성대]] * 그랜드현우: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 '''[[그분]]''': 임요환, [[홍진호]] * [[일제시즈|그분모드]]: 임요환. [[프로토스]]전에서 자주 일제시즈 때문에 패배하자 그를 빗대어 비꼬는 별명. 주로 일제시즈로 게임을 말아먹었을 때 당사자에게 붙는다. 임즈모드라고도 한다.[* 결승전에서 가장 최근의 그분모드로는 GSL 결승전 김성제 對 김원기 1세트에서 일어났다.] * 기몽기: [[김원기(프로게이머)|김원기]] * '''기적의 혁명가''': [[김택용]]의 가장 대표적인 별명. [[3.3 혁명]] 참조 * 김겜머: [[김태균(프로게이머)|김태균]] * 김명운수: [[어윤수]] * [[김용택]]: 김택용. 못하면 그날 경기는 김택신이 아닌 김용택이 와서 한 것이다(…). * 꼬라박드만: 前 프로게이머 [[박대만]]. 흥하면 레지스탕스, 망하면 꼬라박드만(…). * 꼬라박지호: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박대만처럼 흥하면 스피릿, 망하면 꼬라박지호(…). === ㄴ === * 나다 - NADA , [[이윤열]]의 아이디이자 [[별명]]. * 나도벙 - [[나도현]]. 스타리그 8강을 [[벙커링]]만으로 가서 붙은 칭호. 근데 임요벙에 밀려서 나도벙(커로유명해) 로 해석되기도 한다. * 네팔렘 - [[강동현]] * '''노인, 노안토스''' - [[박영민(1984)|박영민]]. 프로게이머들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노안이다(...). * [[노잼]]종 - [[정윤종]]. 2013년 [[스갤 어워드]] '올해의 별명' 상에 수상했다. * 녹차토스 - [[박용욱]]. [[녹차]]를 좋아한다고 해서 생긴 별명. * '''뇌''', 뇌거품 - [[김윤환]]의 별명. 발상으로 빌드상에서 거의 항상 앞서가려 하며, 상대의 머리 위에서 놀려 하기에 이런 칭호가 붙었다. 뇌거품은 당연히 무난히 졌을 때. * '''[[뇌제]]''', 뇌거품, 뇌제거 - 육룡의 일원인 [[윤용태]]의 별명. 미친듯한 전투력과 [[사이오닉 폭풍|사이오닉 스톰]]으로 뇌제의 칭호를 얻었으나 특유의 [[새가슴]]으로 경기를 말아먹으면 뇌거품의 칭호를 받는다. * 눈물저그 - [[신대근]] * 눈물토스 -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예선, [[BATOO 스타리그 08~09]] 2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한 후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 노쓸개 - [[한상현]]. 쓸개가 없어서. === ㄷ === * 다우징 토스 - [[임태규]] * 대근신 - [[신대근]] * '''[[대인배]]''' - [[김준영]]. 게임 내에서도 상대를 압살하는 뛰어난 [[목동저그]] 운영에 능숙했고, 외적으로도 [[대인배]]스러운 일화가 많아 붙었다. * 덴징어, 덴징봇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전자는 기존 별명인 '정라덴'에 [[오징어]]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며, 후자는 '최연성과 임요환의 마리오네트'라는 캐릭터가 생겨 '조종당하는 로봇'이라는 이미지로 붙었다. * [[프랑키|도랑키]] - [[도재욱]]. 콜라는 그의 성수. * 도징징 - [[도재욱]]. 인터뷰마다 [[프징징]]댄다고.. * [[독사]] - [[박성균]] * '''[[돌]]''', '''돌민수''' -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 동가이 - [[박재혁(1987)|박재혁]], 참고로 형 박성준이 [[은가이]]라서 동가이가 되었다. * [[동네북]] - [[이제동]]. 동네북처럼 별별 선수들한테 다 털린다고 붙은 별명. * 드래곤 슬레이어 - [[이영호]].[[http://chaos.gameabout.com/uploads/chaos/bbs/2009/200911100912254f34c.jpg|#최근 10전의 위엄]] * '''[[일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론]]의 아버지''' -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 '''등짝''' - [[박정석]] === ㄹ === * [[레지스탕스]] - 前 [[프로게이머]] [[박대만]] * [[롬멜]] - [[박성균]] * [[리쌍#s-2]] 셔틀 - [[김구현]]. 리쌍에게 하도 패배하다 보니 그를 상징하는 유닛인 셔틀[* [[빵셔틀|나쁜 의미]]도 포함]을 합쳐 그를 리쌍 승수 셔틀이라고 비하할 때 쓴다. === ㅁ === * [[마]], [[마레기]], 마조작, [[마서스]] 등등 [[마재윤/별명|'마'로 시작하는 별명]] - '''前 [[프로게이머]]''', [[마재윤|이름을 말해선 안될 조작왕]]. [[http://rigvedawiki.net/r1/pds/magaitser.jpg|--E-스포츠 판에 기어들어온 마--]] * 마룡 - '''[[우정호]]'''. 마엘스트롬을 잘 써서 붙은 별명. * [[마리오네트]]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최연성과 임요환의 빌드 테스터라는 의미.] * 마리오네트 2호 - [[최호선]] * 마에스트로 - 조작왕 ~~[[마재윤]]~~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별명. 그외의 과거 별명은 [[마재윤/별명/승부조작 이전]] 참조. * --망한테란 - [[박정욱]]. (...)--[* [[망했어요]] 참조. 참고로 취소선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해당 별명은 본인이 무지 싫어한다고 밝혔다.] * '''매, 매시아''' -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 머신 - [[이윤열]] * 머슴 - [[최연성]] * 명품엔진 -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 명환의숲 - [[차명환]] * [[목동저그]]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 '''몽상가''' - [[강민]] * '''몽환저그''' - [[차명환]] * '''무결점의 총사령관''' - [[송병구]] * '''[[영화|무비]][[배우|스타]]''' - [[진영화]]. 이름도 영화인 데다가 아스트랄한 경기력을 보이는 모습이 많다고 해서 생긴 별명. * 미라클보이 - [[신상문]] === ㅂ === * [[바바리안]] - [[서기수]] * [[박혁거세|박혁허세]] - [[박재혁(1987)|박재혁]] * [[방학테란]] - [[유인봉]] * [[100분 토론|백분토스]] - [[손석희(프로게이머)|손석희]] * 버뮤다 -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 * '''[[버서커]]''' - [[변형태]] * 북괴저그 - 어떤 특정한 프로게이머를 가리킨다기보다는 스1의 [[나이더스 커널]], 스2의 [[땅굴망]]으로 인상 깊은 경기를 보여준 선수에 붙는 별명. 예: [[강동현]], [[방태수]], [[이영한]]. * '''불꽃테란''' - [[변길섭]] * '''브레인''' - [[김윤환]] * 블레이드 테란 - [[강구열]] * 빅 가이 -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 빠가정 - [[박세정]]. 롤코가 굉장히 심하고 말 그대로 바보같은 플레이를 할 때가 종종 있어서 붙은 별명. 확정된 것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vs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전이다.[* 별명 자체가 만들어진건 스타리그 골든벨 제도를 이해하지 못해서이다. ~~그런데 사실 이건 다들 난해해한다.~~] * 빠따, 빠따토스 -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 [[빵셔틀]] - [[이신형]]. 방송에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스갤에서 붙은 불미한 별명.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10-11 시즌]]에 접어들면서 팀의 테란 에이스가 되고 본인도 정말 싫다고 하여 현재는 거의 불리지 않는다. === ㅅ === * '''[[사신]]''' - [[오영종]] * 사기수 - [[서기수]]. [[스타크래프트 2]] 한정.[*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갤]]에서 이런 드립 치다간 '서기수가 누구냐'는 소리 들을 수 있다. 주의.] * 살아있는 마린 - [[이운재(프로게이머)|이운재]] * 살아있는 히드라 - [[국기봉]] * 살인준 - [[박성준(1984)|박성준]] * 상욱곰 -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 서즐, 서딸 -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세팅박''', 세팅의 [[마술사]] - [[박태민]]의 전설의 30분 세팅. 그러나 결과는 [[OME]]. 30분 세팅하고 9발업 빌드를 꺼냈다가 [[이윤열]]의 타이밍 러시에 15분만에 발렸다. (...) * 소년가장 - [[이영호]]. 이영호 한정은 아니며, 09-10 시즌 말기의 [[신상문]]처럼 저조한 전력의 팀을 홀로 이끄는 에이스급 플레이어라면 누구에게나 가능. * [[소닉 더 헤지혹|소닉]] - [[한동욱]] * '''[[식칼좌]]''' - 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이중선]]이 한창 타임어택을 할때 쌍둥이 친형인 [[이중대]]가 자신의 타임어택을 방해하자 단단히 빡친 이중선이 식칼로 이중대를 찌를려 했다 해서 생긴 별명. * 손찮은, 손견제 - [[손찬웅]] * 송앰흑, 앰흑기사 -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 [[송준혁]]의 별명. [[임재덕]]을 상대로 한 [[GSL]] 결승전에서 첫 판은 더블 연결체를 가다가 바퀴 찌르기에 망하고 이후 '''세판을 연속으로 암흑기사 빌드로 출발했다가 다 말아먹고''' 4 대 0 패배를 당한 이후 얻은 별명. 치킨 값 물어내란 의미로 송치킨이란 별명도 있지만 잘 쓰이진 않는다. * 쇼부봉 - [[한상봉]]. 공식적인 자리에선 승부봉으로 지칭한다. * 숨겨진 왕 - [[이승석]]. 10-11 시즌 당시에 필승카드로 자리잡아서 붙은 별명. --테막이지만-- * [[스피릿]] -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 식빵토스 - [[우정호]] * [[식신]] - [[박성준]] * [[신]] - 위의 "갓"과 비슷한 용도로 쓰인다. * 신상순 - [[신상문]] * 실버벨 - 前 [[프로게이머]] [[변은종]]. 이름 그대로 은과 종. (...) * 심장박동수 - [[박동수(프로게이머)|박동수]] * [[싱하형|싱하]]테란 - [[김동진(프로게이머)|김동진]] * 싱하토스 - [[박대만]] === ㅇ === * 아버지 - [[박동수(프로게이머)|박동수]]. 해설진들이 아버지 같다고 한 것에서 얻은 별명. --외모가 노안이기도 하다-- * 아빠곰 - [[이재훈(1981)|이재훈]] * '''아트 테란''' - [[한동욱]] * '''안드로 장, 외계인''' - [[장재호(프로게이머)|장재호]] * 안전제일 토스 - [[전태규]] * '''[[악마]]토스''' - [[박용욱]]. 악마같이 사악한 초반 [[탐사정|프로브]] 견제에서 나온 이미지가 별명이 되었다. 후에 [[암흑 집정관|다크아칸]]을 활용해 다 진 경기를 역전하는 임팩트를 보여주며 이 별명을 더 공고히 하였다. * [[액션]][[저그]] - [[김성대]]. * 야색마, 야생마 - [[김명운]]. 전자는 [[스타걸]]과 가까이 지내는 모습이 자주 보여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갤]]에서 붙인 별명이며, 후자는 이 별명이 공개적으로 사용하기엔 어려운 말이기에 붙여진 별명. * 어뢰 - [[어윤수]]. 정명훈의 별명인 [[테러리스트]]와 같은 식으로 흥행을 격침시키는 어뢰, 즉 [[리그 브레이커]]라고 붙은 별명.--다행히 흥행을 말아먹는 어뢰까지는 안 갔다-- * '''여제''' - [[서지수(프로게이머)|서지수]] * 염색했지용 -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09-10 시즌 초반 갑자기 흰머리를 하고 나와서 붙은 별명. 지용은 당연히 [[BIGBANG|모 그룹의 리더]].] * '''[[영웅]]''' - [[박정석]]. 프로토스가 밀리던 시기에 [[가을의 전설(스타리그)|가을의 전설]]을 이루어냈고 꾸준한 활약을 보여 붙은 별명. * 염인성 - [[염보성]] * [[오덕후|오리덕후]] - [[강민]]. [[카리스마 대빵큰오리]] 참조. * '''올마이티''' - [[허영무]] * 왼손잡이 전사 - [[고강민]]. 왼손으로 마우스를 잡는 유일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였다. * 용자저그, 용사저그 - [[이승석]] * [[우주방어]][[테란]] - [[유대현]] 해설의 선수 시절 별명. * 우주 최강의 공격수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의 선수 시절 별명. * [[우치하 사스케|우치하 신상눈]] - [[신상문]] * '''운영의 마술사''', 맙소사 - [[박태민]]. 잘될때는 마술사, 안될때는 맙소사(...). * [[원기옥]] - [[김원기(프로게이머)|김원기]]의 [[별명]]. 대 [[이윤열]]전 원기옥 관광이 유명하다. * 월리 - [[김대엽]]. [[월리]]를 닮았다고 해서 생긴 별명. * [[유버스 V1|유버스]] - [[유영혁]] * 유준프로, 유패왕 - [[유준희]] * '''[[은가이]]''' - 전 [[삼성전자 칸]] 소속 프로게이머 [[박성준#s-2]] *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 [[고병재]]의 별명. (...) * 이(2)억용 - [[김택용]] * 이제[[콩]] - [[이제동]]. 2연속 [[4드론]], 이영호에 의해 준우승 횟수만 늘어나자 그를 애도, 비하하며 스갤러들이 붙여줬다. * [[더블|이중]]이 - [[최연성]] * 인간본좌 -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 인수분해 - [[박인수]]. [[2017 카트라이더 KeSPA Cup]] 결승전 2세트 마지막 트랙인 팩토리 미완성 5구역에서 실수없이 가면 마지막 세트 진출이 확정인데 후반에서 혼자 떨어지는 바람에 4위로 탈락을 하여 생긴 별명이다. * 일(1)억문, 일억눈 - [[신상문]] * 임대갈, 임대가르시아 - [[임요환]]. [[머리]]가 커서 이런 [[별명]]이 붙었다. [[애니메이션은 좋아하지만 오타쿠는 아니라구요|본인은 그저 어깨가 좁은 것 뿐이라고 주장한다]]. * 임요벙 - [[임요환]]. [[삼연벙]] 참조. * [[잉어킹]] - [[구성훈]]. 입술이 풍성한데다 경기에 몰입하면 입을 벌리는 모습이 잉어랑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졌다. === ㅈ === * 자살토스 - [[장민철]] * 자이언트 킬러 - [[차재욱]] * 작은북 - [[박준오]] * 잡종병기 - [[이영호(프로토스)]][* 최종병기 패러디.] * [[베어 그릴스|재혁 그릴스]] - [[박재혁(1987)|박재혁]]. 프로리그와 상관없이 개인리그에서 꾸준히 살아남는다고 해서 붙었다. * 저그 대마왕 - [[강도경]] * [[저저전]]기계 -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 [[전어]] - [[오영종]] * [[중다이]] - [[이중대]] 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16차 카트라이더 리그 결승전에서 마지막 경기인 차이나 서안 병마용 맵에서 같이 Best BJ팀 으로 출전한 [[박민수]]와 1, 2등으로 압도적으로 달리다 다른 선수의 방해를 받지않는 안전한상황 에서 위험구간에 떨어지면서 5등으로 들어와 준우승을 놓치게 되면서 생긴 별명 * 정라덴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오사마 빈 라덴]]과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선수를 합성한 사진이 매우 퀄리티가 높아서 붙은 별명.[* 그도 그럴게 정명훈 [[시체매|벌쳐]]의 견제 전술은 혀를 내두른다. ~~[[테크니컬]] 견제술~~] * '''[[정ㅋ벅ㅋ]]''', 정복자 -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설명이 더 필요한지?[* 덕분에 2008년 [[스갤 어워드]] '올해의 별명' 상에도 수상되었다.] * 정석테란 - 전 [[프로게이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 제왕 -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 조푸치노, 좂 -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부진한 모습을 보일 때 '거품이 빠졌다'고 하여 붙은 별명. * 죄와죄 - [[정윤종]] * 중간보스 - [[김대엽]]. 10-11시즌 초반 그나마 이영호를 보조한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다. * 진공XX - [[김윤환(1989)|김윤환]]의 옛 별명.[* 관심 못 받기로 유명한 [[dlwogh]] 이상의 무관심으로 아예 공기조차 없는 진공저그의 칭호를 받았으나, 개인리그에서 우승함으로서 잔챙이 기믹을 벗어났다.] * 진광법사 - [[도진광]] * 짐승 - [[김구택]] * 쩜오토스 -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 전설의 쩜오경기를 치룬 후 붙은 별명이다. === ㅊ === * 차몽환, 차몽총, 차이코패스 - [[차명환]] * 찬스박 - [[박찬수|박모씨]] * 참치 - [[신동원]]. 이름이 [[동원참치]]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붙었다. * '''창벤딱''' - [[문창식]]. OGN에서 개최한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2 당시 KONGDOO PANTHERA의 Bling 강보현 당시 선수에 "'''창'''식이는 '''벤'''치가 '''딱'''이야." 를 줄인 말로 인터뷰 도발로 써먹은 발언인데 '''정작 이 말의 장본인이었던 강보현 본인은 선수에서 코치로 전향하며''' 길던 선수 생활에 종지부를 찍었고 거기다가 문창식 선수는 오버워치 리그로 콜업되어 밴쿠버에 입단하면서 그대로 주전으로 뛰게 되며 이제는 하나의 유머로 남은 밈이다. * [[천재]]정 - [[박세정]]. 롤코가 굉장히 심하고 말 그대로 천재같은 플레이를 할 때가 종종 있어서 붙은 별명. 확정된 것은 09-10시즌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vs [[MBC GAME HERO]]전 마지막날 7세트 에이스 결정전 vs [[이재호(프로게이머)|dlwogh]]이다. * '''[[천재]]테란''' - [[이윤열]] * '''철벽''' -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최종병기''', 최종보스 - [[이영호]] * 쵱 - [[최연성]] * 취권테란 - [[최호선]] * 츠보미 -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AV 배우]] [[츠보미(AV 배우)|츠보미]]를 닮았다고. === ㅋ === * 카푸치노 장 - [[장육]] * '''[[콩]]''' - [[홍진호]]~~여기서도 두번째~~ * '''[[코]]''' - [[김택용]]. 코가 크기 때문에 관련 별명 중 코가 들어간 것들이 매우 많다. 코세어[* 커세어를 매우 잘 쓰기 때문에 찬양하는 의미로 쓰인다.], 코리어[* 이쪽은 반대로 캐리어를 잘 못 쓰기 때문에 비꼬는 의미로 쓰인다.] 등 게임 내의 유닛에도 붙는다. * 카푸치노 장 2세 - [[장윤철]] * [[컴퓨터]]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투명라인|존재감이 없어]] 상대가 마치 컴퓨터와 싸우는 것 같다고. * 콧물테란 - [[박대호]] * 콧물토스 - [[강민]]. [[MBC GAME]]에서의 경기 중 [[PPP#s-4]]를 걸고 코를 풀어 붙은 별명. * '''[[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퀸]]의 아들''', '''퀸명운''' - [[김명운]]. 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 ㅌ === * 타이슨 -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 * 타짜 - [[심소명]] * [[탐 켄치]] - [[조성제]] * 타임 어태커 -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의 옛 별명. 날카로운 타이밍 감각에 기인한 별명이었지만 이 별명은 [[정ㅋ벅ㅋ]]에 정ㅋ벅ㅋ[* 정ㅋ벅ㅋ을 쓰기 힘든 곳에선 그냥 타임어태커로 포장해준다.] * '''[[태양]]''' - [[전태양]] * '''[[태풍]]''' - [[이영한]] * 택신 - [[김택용]]. 위의 김용택과는 반대로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줬을 때 쓰이는 별명. * 턱도우 -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턱신 - [[김대엽]] * '''[[테란의 황제]]''' - [[임요환]]. '[[황제]]'로 통칭되기도 하며, 영미권에서도 'The Emperor, Emperor of Terran' 등으로 불린다. * '''[[테러리스트]]''' - 각종 견제와 [[날빌]]에 능한 스타일의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선수에게 붙은 별명. 원래는 [[리그 브레이커]]를 의미하였으나, 선수의 기량이 오른 현재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 [[테테전]]기계 -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테테전에 유난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 준다고 해서 생긴 별명. * 템페신 -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 * [[토네이도]] - [[이윤열]] * 퇴물 - 꽤나 불명예스러운 조롱. [[올드 게이머]]들의 부진을 까는 내용이다. * 투돈 - [[박성준(1986)|박성준]] * [[투명]] - [[이재호(프로게이머)|dlwogh]] * '''[[투신]]''' - [[박성준(1986)|박성준]]. 다른 선수들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의 전투력을 보여주어 붙은 별명. === ㅍ === * 판독기, 코드 S 판독기, S급 판독기 - [[이원표]] * --[[포풍]]--'''[[폭풍]]저그''' - [[홍진호]] --이것도 순서 무시하고 '''2'''번째-- * [[팥]] - [[마재윤|조작왕]] * '''퍼펙트 테란''' -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 '''[[폭군]]''' - [[이제동]] * [[이제동|폭군]]의 남자 - [[손주흥]] * '''푸른 눈의 전사''' - [[기욤 패트리]] * 프프전기계 -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프로토스 중에서 몇 없는 프본, 저막, 테막의 성질을 지닌 선수이고 그 중에서는 독보적인 선수라 이 별명을 독점했다. * 피자빵 -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프로토스의 재앙 - [[박성준]]: 사실 --[[마재윤]]--, [[이제동]] 등 프로토스전에 강한 저그들에게 자주 붙이는 별명이다. 다만 박성준이 가장 많이 들을 뿐. === ㅎ === * 하부리그의 총사령관 - [[안기효]] * 하이엔드 - [[신동원]]. 하이브 유닛을 잘 활용해서 붙은 멸명. * '''[[황신]]''' - [[홍진호]] --이건 3번째다-- *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병]]왕 -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 해처리의 아버지 - [[주진철]] * 허느님 - [[허영무]]. 위의 별명과는 달리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 허필패 - [[허영무]]. [[2010년]] 들어 연패를 계속하여 [[패왕라인]]에 들어가는 바람에 붙은 별명. * 호선성님 - [[최호선]] * 황배럭 - [[황병영]] * 황승석 - [[이승석]]. 2승석이라서... * [[황태자]] - [[문성원]][* 임요환의 팀 [[SlayerS]] 소속에 임요환처럼 드랍을 잘 활용해서 얻은 별명.] * 황제 - [[임홍규]] * 흑마술사 -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 * [[흑인]], 흑운장, 흑[[스막]], 흑[[스님]] - [[이성은]]. 잘하면 흑운장, 못하면 흑[[스막]]. (...) * 흑풍 - [[박재혁(1987)|박재혁]] * [[히로시마]] [[저그]] - [[박준오]](...) === 기타 언어 === * [[투명라인|dlqudals]] - [[이병민]] * [[투명라인|dlwogh]]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DOG영호 - [[이영호(프로토스)]]. 갓영호 패러디.[* GOD → DOG] * G.J. Dudan - [[허영무]] * [[OME]]킴 -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 * 124만원 - [[신동이]] * [[섹섹보]]/SSB - ~~[[진영수]]~~ * 8독 - [[형독|박민수]] * ㅣㅣ, || - [[이중선]] == 해외 선수 == * The Beast - 격투게임 프로게이머 [[다이고(프로게이머)|다이고]]의 별명.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선수관련 === * 겟롸, gtr - 전 NIP 소속 [[크리스토페르 알레순드|GeT_RiGhT]] 선수를 각각 국내, 해외에서 줄여 부르는 말. * 재원 -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Fnatic]]의 JW선수의 스펠링 앞글자만 따서 국내 유저들이 붙여준 별명. * 반신 반봇 - [[ENCE/카운터 스트라이크|ENCE]]의 allu 워낙 기복이 심해서 그런지 잘하면 GOD allu 못하면 BOT allu로 불린다. * 정대만, 장동민 - 국내 유저들이 [[Team Liquid]] 출신의 jdm64의 스펠링 앞글자만 따와서 부르고있다. * '''boostmeister''' - [[FaZe Clan/카운터 스트라이크|FaZe Clan]]의 olofmeister의 대표적인? 별명. [[DreamHack]] Winter 2014 에서 고가도로 맵에서 [[Team LDLC.com]]상대로 3:13으로 지고있던중에 매라운드마다 [[https://youtu.be/cNQ71mfmt80|부스팅 으로 올라가.]][* 말 그대로 맵에 정상적으로는 올라갈 수 없는, 맵의 결함으로 생긴 픽셀 단위의 작은 곳 위에서 걷거나 올라가 이득을 취하는 것. [[DreamHack]] 규정 위반이다.] 16:13으로 역전승을 했었는데 LDLC측에서 항의를 보자 실격패를 당하였다. 그후 boostmeister라는 별명이 생겼고 [[https://youtu.be/0oqqPCPFdRE|그에 대한 노래]]도 나왔다. * Clutch Minister - [[Astralis]] 소속 서포터인 Xyp9x 선수의 별명. 일대 다수 상황에서 뛰어난 판단과 심리전으로 클러치를 할 때가 많아서 붙은 별명이다. 플레이를 칭찬하면서 일반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 특정 선수의 별명으로 굳어진 특이 케이스.[* 과거에는 [[크리스토페르 알레순드|GeT_RiGhT]]가 비슷한 맥락인 Clutch Maste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 The Problem - 전 [[FaZe Clan]] 소속 kioShiMa 선수의 별명. 이 선수가 부진을 이유로 이전 팀 EnVyUs에서 방출당할 때 'kio was the problem'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정작 EnVyUs는 더 부진해지고 이 선수는 FaZe에서 큰 활약을 하자 반어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선수 본인도 서명에 이 별명을 적는 등 스스로도 즐기는 듯 하다. * Smoke Criminal - 현 [[Team Liquid]] 소속 Stewie2k를 부르는 별명, 항상 뜬금없는 타이밍에 연막을 뚫고 나와 죽이는 그의 독특하고도 더러운(?) 플레이가 유명해져 아예 별명을 넘어 카스씬에서 하나의 밈으로 자리 잡았다. 상대방이 연막을 뚫고 나와 킬을 당한다면 그를 Smoke Criminal 이라고 부르는 형식. * King of Banana - [[NiP]]의 전성기 시절 엔트리 프래거였던 friberg의 별명이다. 인페르노 맵의 바나나 지역에서 굉장한 활약을 보여주어서 붙여졌다. * King of Reddit - 유명한 전 CS:GO 프로게이머 [[Shroud]]의 별명이었다. MM에서 선보이는 거의 탈인간적 플레이로 항상 플레이 영상이 레딧 상위권에 올라와있어 이런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 WalleN - [[FURIA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FURIA]] 소속 FalleN의 별명. 오퍼 중에서 유독 월샷, 스모크샷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자주 성공시키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 X God - 러시아 선수 Dosia의 별명으로 sex god의 줄임말. 못생긴 외모를 비꼬는 멸칭으로 시작됐지만 선수 본인이 그냥 유쾌하게 넘어가서인지 상당히 널리 쓰인다. 참고로 Dosia는 유부남이다. == 기타 [[e스포츠]]인 별명 == === 관련 인물 === * 곰인호 - [[정인호]]. * '''[[김캐리]]''' - [[김태형(1973)|김태형]]. [[프로토스]]가 나오면 언제나 [[우주모함|캐리어]]를 강조하기에 붙여진 별명. 하지만 이후 유흥업소 실장이 되었을때 이 별명을 그대로 써서 논란이 되었다. * 락커 철민 -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 캐스터의 별명. 경기가 급박해지면 특유의 고성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키기에 이 별명이 붙었다. * KCM -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 캐스터의 별명으로 이름의 영문 표기의 약칭이다. 한국에서도 [[KCM 종족최강전]] 등 스스로부터 많이 쓰는 편. * 막상현 - [[박상현(캐스터)|박상현]] 해설. '저도 '''막''' 긴장이 됩니다'라는 말 때문에 붙었다. * 성캐 - [[성승헌]] * '''승원좌''' -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 * '''엄옹, 식신''' - [[엄재경]]. 전자는 e스포츠 중계진들 중 최고령이기에 붙여진 별명이며, 후자는 [[스타 뒷담화]] 등에서 음식을 워낙 맛있게 먹는 장면이 많이 나왔기에 붙여졌다. * '''엔준영''' - [[안준영(게임 해설가)|안준영]]. [[송준혁|송앰흑]] vs 송영민의 경기에서 밴시가 은폐로 이득을 보자 흥분해서 밴시의 대사인 "앤진소리 죽이는데?" 라고 드립을 쳐서 별명이 붙었다. * [[샹크스|챵크스]] - [[창석준]]. 융통성 없는 판정으로 경기를 끝내는 모습이 [[정상전쟁]]을 종결시킨 샹크스 같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 * 철민 28호 -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 암 발병 후 경이적인 속도로 회복하여 복귀. * 채[[땅굴]] - [[채정원]] * '''취객성춘''' - 前 프로게이머이자 現 해설인 [[임성춘]]. [[NATE MSL]] [[조지명식]] 내내 술에 취한 듯한 발음과 발언을 해서 붙었다. * '''MC용준''' - [[전용준]] 해설의 별명. 자세한 것은 항목과 [[일부는 시즈모드 됐고 일부는 퉁퉁퉁퉁퉁퉁!]]을 참조. === 특정 개념 === * [[강라인(스타크래프트)|강라인]] - 집단. [[강구열]]이 수장.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꼼팡이]] - [[이영호]]의 팬들을 악질적으로 낮춰 부르는 말. 이영호의 악질 팬들에 대한 비칭이기도 하다. * [[날빌]] - 날로 먹는 빌드, 혹은 날카로운 빌드. 자주 하는 선수는 [[강구열]]. * 뇌쌍록 - [[김윤환]]과 [[윤용태]]의 매치업을 일컫는 말. * [[도택명]] - 집단.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 T1]]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08-09 시즌]] 돌풍을 이끈 세 명의 선수를 빗대는 말. 각각 [[도재욱]], [[김택용]],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선수이다. 한때는 [[박재혁(1987)|박재혁]]도 붙어 도택혁명이라 하기도 했다. * [[락라인]] - 집단. 개인리그 4강에서 자주 떨어지는 선수들이 있다. '락'은 [[박경락]]의 락이다. * [[레기]] - [[접미사]]. [[승부조작|실로 쓰레기같은 행위]]를 저지른 자에게 붙는 극멸칭 접미사로, 이름을 말해선 안될 그 조작왕과 조작자들에게 붙어 마땅한 접미사. 이들을 모은 집단은 레기라인이라고 부른다. 단 레기 바이러스 [[드립]]이 처음 떠돈 건 그 행위가 밝혀지기 전 [[김정우(프로게이머)|매시아]]의 부진을 가리키던 때였다.[* 그런데 다들 원래 별명, 또는 다른 안 좋은 별명의 임팩트 때문인지 잘 쓰이지는 않는다. --[[마재윤|조작왕]]은 논외--] * [[목동저그]] - 원래는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의 별명이었으나 조용호의 시그니쳐 빌드인 [[군락|하이브]] 테크에서의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울트라리스크]] 중심 체제를 일컫는 말로 확장되었다. 자세한 것은 [[목동저그]] 항목 참조. * [[뱅리건]] - [[송병구]]의 열성팬들을 일컫는 말. 초기엔 비칭이었으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선에서''' 많은 열성과 응원을 보여주었기에 비칭의 의미는 순화되었다. * [[본좌]] - 칭호, 집단. 항목에서 확인. * [[북퀴벌레]] - [[이제동]]의 악질 팬들에 대한 비칭. * [[삼대토스]] - [[박정석]], [[강민]], [[박용욱]]. 초기 [[프로토스]] 게이머들 중 뛰어난 활약을 한 세 게이머를 일컬음. * [[스막]] - [[스타크래프트]] [[막장]]의 준말. 불리는 선수들은 [[스막라인]] 항목 참조. * [[스타걸]] - [[스타리그]] 타임머신 안에 들어가 선수들을 도와주는 서포터들. 서연지, [[최은애]]가 있다. * [[육룡(스타크래프트)|육룡]] - 집단. 2007~2008년 최고 기세 좋던 6명의 1군급 [[프로토스]] 게이머를 일컬음. 멤버로는 [[김택용]], [[송병구]], [[허영무]], [[도재욱]], [[김구현]], [[윤용태]]. * [[김택용/코딱지|코딱지]] - [[김택용]]의 악질 팬들에 대한 비칭. * [[콩라인]] - 집단.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패왕]] - 敗王. 불리는 선수들은 [[패왕라인]] 항목 참조. * [[황시]] - 오전 2시 22분 22초를 의미하는 것. 오후 2시 22분 22초, 22시 22분 22초는 그다지 쳐 주지 않는 듯. * S급 측정기, S급 판독기 - [[강약약강|A급 이하 선수들에게는 매우 강하나 S급 선수에게는 매우 약한]][* 단순히 강하고 약한게 아니라 '''매우''' 강하고 약한 게 포인트다. S급이 A급보다 일반적으로 상대하기 어려운 것은 당연한 사실이므로.] 선수들에 대한 멸칭. [[염보성]][* [[택뱅리쌍]] 중에 그가 승률 40%를 넘는 상대가 없는 안습함으로 유명하다.], [[신상문]], [[김구현]][* 이쪽은 종족전을 많이 타는 편인데, 저그전의 경우 S급도 아니고 A급 판독기이며, 테란전의 경우 정석적인 S급 판독기, 동족전의 경우는 S급 선수들인 [[김택용]]과 [[송병구]]에게 근소우세를 점할 수준이니 S급 판독기가 전혀 아니다.] 등이 이 애기를 듣는다. [[분류:프로게이머 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