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프로듀스 X 101)]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프로듀스 X 101 방영 목록)] [목차] == 개요 == [[2019년]] [[7월 5일]]에 방송된 [[프로듀스 X 101]] 10화에 대한 문서. ||<-2> {{{#white '''[예고/10회] 콘셉트 평가 무대 공개! 최종 베네핏 20만 표를 가져갈 1등 팀은?'''}}}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9050285)]}}}|| 2차 순위 발표식 + X 부활전에서 살아남은 31명의 연습생의 콘셉트 평가가 방영된다. 방송 당일 예고편을 공개했는데, 개표 결과 1위에 조승연 연습생이 적힌 모습이 나왔다. 원래는 모자이크 되어 있었으나 편집상 실수인지 의도인지 모자이크가 아주 잠깐 벗겨지면서 조승연이 팀내 1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안준영이 일부러 결과를 공개해 화제성을 시험해 보려는 수로 생각하고 있다. 예고편에 나오는 순위가 모두 흑백처리를 해서 나왔는데, 이것은 저번시즌에서 광고타임 직전 장면[* 보색으로 처리가 되어 색을 알아볼 수 있었다.]으로 순위를 예측했던 상황이 다시 일어나지 않게 하려는 모양이다. 또한 팀 1등에게도 베네핏이 주어지는 것 또한 저번 시즌들과는 다른 점인데[* [[프로듀스 101|시즌 1]]에서는 1등 팀에게, [[프로듀스 101 시즌2|시즌 2]]와 [[프로듀스 48|48]]은 1등 팀과 1등 팀 내의 개인 투표 1위에게만 베네핏이 주어졌다.], 이것은 기존에 실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네핏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현장팬 수'''로 등수가 결정되는 프로듀스 시리즈의 특성상 베네핏이 오히려 '''순위 고착화'''를 시키고 있다는 말이 많다.] 7월 5일 오후 6시에 각종 음원 사이트에 음원이 공개되었다. == 4차 평가, 콘셉트 평가 == === Future Funk - [[Super Special Girl]] === ||<-2> {{{#white '''♬Super Special Girl I ′맴돌거에요 이 노래가~!′ 맴맴'''}}}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9062814)]}}}|| ||<-4><:>
{{{#ff0000 Future funk}}} [br]'''{{{+1 {{{#ff0000 Super Special Girl}}}}}}''' || ||<:>'''{{{#fff 포지션}}}'''||<:>'''{{{#ffcccc 맴맴}}}'''||<:>'''{{{#fff 득표수}}}'''||<:>'''{{{#fff 팀내순위}}}'''|| ||<:> '''{{{#fff 메인보컬}}}''' ||<:>[[파일:X송유빈X.png|width=40%]][br]{{{#013DFD 송유빈}}}|| 20표 || 3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최수환X.png|width=40%]][br]{{{#013DFD 최수환}}}|| 9표 || 4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강현수X.png|width=40%]][br]{{{#013DFD 강현수}}}|| 4표 || 5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박선호X.png|width=40%]][br]{{{#013DFD 박선호}}}({{{#013dfd L}}})|| 4표 || 5위 || ||<:> '''{{{#fff 래퍼}}}''' ||<:>[[파일:X김시훈X.png|width=40%]][br]{{{#013DFD 김시훈}}}({{{#013dfd C}}})|| 24표 || 2위 || ||<:> '''{{{#fff 래퍼}}}''' ||<:>[[파일:X금동현X.png|width=40%]][br]{{{#013DFD 금동현}}}|| 31표 || {{{#red '''1위'''}}} || ||<-4>{{{#ff0000 • 팀 순위: 5위 / 팀 득표: 92표 }}} {{{#ff0000 • 리더: ''' L''' / 센터: '''C''' }}}|| === Funky Retro Dance - [[이뻐이뻐(Pretty Girl)]] === ||<-2> {{{#white '''♬이뻐이뻐(Pretty Girl)ㅣ'국프님 마음에 색색을 물들일' 크레파스'''}}}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9062926)]}}}|| ||<-4><:>
{{{#1E90FF Funky Retro Dance}}} [br]'''{{{+1 {{{#1E90FF 이뻐이뻐(Pretty Girl)}}}}}}''' || ||<:>'''{{{#fff 포지션}}}'''||<:>'''{{{#e0e7ee 크레파스}}}'''||<:>'''{{{#fff 득표수}}}'''||<:>'''{{{#fff 팀내순위}}}'''|| ||<:> '''{{{#fff 메인보컬}}}''' ||<:>[[파일:X강민희X.png|width=40%]][br]{{{#013DFD 강민희}}}|| 51표 || 4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구정모X.png|width=40%]][br]{{{#013DFD 구정모}}}|| 93표 || 2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함원진X.png|width=40%]][br]{{{#013DFD 함원진}}}({{{#013dfd L}}})|| 48표 || 5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손동표X.png|width=40%]][br]{{{#013DFD 손동표}}}({{{#013dfd C}}})|| 48표 || 5위 || ||<:> '''{{{#fff 래퍼}}}''' ||<:>[[파일:X송형준X.png|width=40%]][br]{{{#013DFD 송형준}}}|| 101표 || {{{#red '''1위'''}}} || ||<:> '''{{{#fff 래퍼}}}''' ||<:>[[파일:X이진우X.png|width=40%]][br]{{{#013DFD 이진우}}}|| 54표 || 3위 || ||<-4>{{{#1E90FF • 팀 순위: 3위 / 팀 득표: 395표 }}} {{{#1E90FF • 리더: ''' L''' / 센터: '''C''' }}}|| === RNB / Dance House - [[Monday to Sunday]] === ||<-2> {{{#white '''♬Monday to Sunday I ′국프님들의 데일리 비타민♡' 데.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9063156)]}}}|| ||<-4><:>
{{{#E0709B RNB / Dance House}}} [br]'''{{{+1 {{{#E0709B Monday to Sunday}}}}}}''' || ||<:>'''{{{#fff 포지션}}}'''||<:>'''{{{#FFF0F5 데.비[br](데일리 비타민)}}}'''||<:>'''{{{#fff 득표수}}}'''||<:>'''{{{#fff 팀내순위}}}'''|| ||<:> '''{{{#fff 메인보컬}}}''' ||<:>[[파일:X이협X.png|width=40%]][br]{{{#013DFD 이협}}}|| 11표 || 6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토니X.png|width=40%]][br]{{{#013DFD 토니}}}({{{#013dfd C}}})|| 53표 || 3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김민규X.png|width=40%]][br]{{{#013DFD 김민규}}}|| 68표 || 2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이세진X.png|width=40%]][br]{{{#013DFD 이세진}}}({{{#013dfd L}}})|| 19표 || 4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김동윤X.png|width=40%]][br]{{{#013DFD 김동윤}}}|| 13표 || 5위 || ||<:> '''{{{#fff 래퍼}}}''' ||<:>[[파일:X남도현X.png|width=40%]][br]{{{#013DFD 남도현}}}|| 110표 || {{{#red '''1위'''}}} || ||<:> '''{{{#fff 래퍼}}}''' ||<:>[[파일:X주창욱X.png|width=40%]][br]{{{#013DFD 주창욱}}}|| 9표 || 7위 || ||<-4>{{{#E0709B • 팀 순위: 4위 / 팀 득표: 283표 }}} {{{#E0709B • 리더: ''' L''' / 센터: '''C''' }}}|| === Future EDM Dance - [[U GOT IT]] === ||<-2> {{{#white '''♬U GOT IT I ′국프님의 마음을 사로잡을' 갓츄(GOT U)'''}}}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9063439)]}}}|| ||<-4><:>
{{{#000000 Future EDM Dance}}} [br]'''{{{+1 {{{#000000 U GOT IT}}}}}}''' || ||<:>'''{{{#fff 포지션}}}'''||<:>'''{{{#DCDCDC 갓츄[br](GOT U)}}}'''||<:>'''{{{#fff 득표수}}}'''||<:>'''{{{#fff 팀내순위}}}'''|| ||<:> '''{{{#fff 메인보컬}}}''' ||<:>[[파일:X한승우X.png|width=40%]][br]{{{#013DFD 한승우}}}|| 91표 || 4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김우석X.png|width=40%]][br]{{{#013DFD 김우석}}}({{{#013dfd C}}})|| 115표 || 2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황윤성X.png|width=40%]][br]{{{#013DFD 황윤성}}}({{{#013dfd L}}})|| 36표 || 5위 || ||<:> '''{{{#fff 서브보컬}}}''' ||<:>[[파일:X차준호X.png|width=40%]][br]{{{#013DFD 차준호}}}|| 31표 || 6위 || ||<:> '''{{{#fff 래퍼}}}''' ||<:>[[파일:X김요한X.png|width=40%]][br]{{{#013DFD 김요한}}}|| 144표 || {{{#red '''1위'''}}} || ||<:> '''{{{#fff 래퍼}}}''' ||<:>[[파일:X이은상X.png|width=40%]][br]{{{#013DFD 이은상}}}|| 95표 || 3위 || ||<-4>{{{#000000 • 팀 순위: 1위 / 팀 득표: 512표 }}} {{{#000000 • 리더: ''' L''' / 센터: '''C'''}}}|| === Mainstream Pop - [[움직여 (MOVE)]] === ||<-2> {{{#white '''♬움직여(MOVE) I ′국프님들을 미치게 할 여섯명' SIXC(6 crazy)'''}}}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9063472)]}}}|| ||<-4><:>
{{{#FAC117 Mainstream Pop}}} [br]'''{{{+1 {{{#FAC117 움직여 (MOVE)}}}}}}''' || ||<:>'''{{{#fff 포지션}}}'''||<:>'''{{{#FFFACD SIXC[br](6 crazy)}}}'''||<:>'''{{{#fff 득표수}}}'''||<:>'''{{{#fff 팀내순위}}}'''|| ||<:> '''{{{#fff 메인래퍼}}}''' ||<:>[[파일:X김현빈X.png|width=40%]][br]{{{#013DFD 김현빈}}}|| 24표 || 6위 || ||<:> '''{{{#fff 서브래퍼}}}''' ||<:>[[파일:X조승연X.png|width=40%]][br]{{{#013DFD 조승연}}}({{{#013dfd L, C}}})|| 145표 || {{{#red '''1위'''}}} || ||<:> '''{{{#fff 서브래퍼}}}''' ||<:>[[파일:X이진혁X.png|width=40%]][br]{{{#013DFD 이진혁}}}|| 123표 || 2위 || ||<:> '''{{{#fff 보컬}}}''' ||<:>[[파일:X김국헌X.png|width=40%]][br]{{{#013DFD 김국헌}}}|| 36표 || 5위 || ||<:> '''{{{#fff 보컬}}}''' ||<:>[[파일:X이한결X.png|width=40%]][br]{{{#013DFD 이한결}}}|| 69표 || 4위 || ||<:> '''{{{#fff 보컬}}}''' ||<:>[[파일:X최병찬X.png|width=40%]][br]{{{#013DFD 최병찬}}}|| 98표 || 3위 || ||<-4>{{{#FAC117 • 팀 순위: 2위 / 팀 득표: 495표 }}} {{{#FAC117 • 리더: ''' L''' / 센터: '''C''' }}}|| == 콘셉트 평가 순위표 == === TOP 10 === ||<-5> [[파일:프로듀스 X 101 로고.svg|width=89]] [br] '''{{{+2 콘셉트 평가 결과 개인별 최다 득표자''' [br] '''{{{#013DFD TOP10}}}}}}'''[* 1위팀 베네핏 제외] || || '''{{{#FFF 1위}}}''' || '''{{{#FFF 2위}}}''' || '''{{{#FFF 3위}}}''' || '''{{{#FFF 4위}}}''' || '''{{{#FFF 5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C117; font-size: 0.95em" {{{#000 '''조승연'''}}}}}}[br]{{{#red '''145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95em" {{{#fff '''김요한'''}}}}}}[br]{{{#000 144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C117; font-size: 0.95em" {{{#000 '''이진혁'''}}}}}}[br]{{{#000 123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95em" {{{#fff '''김우석'''}}}}}}[br]{{{#000 115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95em" {{{#fff '''남도현'''}}}}}}[br]{{{#000 110표}}} || || '''{{{#FFF 6위}}}''' || '''{{{#FFF 7위}}}''' || '''{{{#FFF 8위}}}''' || '''{{{#FFF 9위}}}''' || '''{{{#FFF 10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0.95em" {{{#fff '''송형준'''}}}}}}[br]{{{#000 101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C117; font-size: 0.95em" {{{#000 '''최병찬'''}}}}}}[br]{{{#000 98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95em" {{{#fff '''이은상'''}}}}}}[br]{{{#000 95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0.95em" {{{#fff '''구정모'''}}}}}}[br]{{{#000 93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95em" {{{#fff '''한승우'''}}}}}}[br]{{{#000 91표}}} || === 11위 ~ 31위 === ||<-7> '''{{{+2 콘셉트 평가 결과 개인별 득표 순위'''[br]'''{{{#013DFD 11위 ~ 31위}}}}}}''' || || '''{{{#FFF 11위}}}''' || '''{{{#FFF 12위}}}''' || '''{{{#FFF 13위}}}''' || '''{{{#FFF 14위}}}''' || '''{{{#FFF 15위}}}''' ||<-2> '''{{{#FFF 공동 16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C117; font-size: 0.8em" {{{#000 '''이한결'''}}}}}}[br]{{{#000 69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85em" {{{#fff '''김민규'''}}}}}}[br]{{{#000 68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0.85em" {{{#fff '''이진우'''}}}}}}[br]{{{#000 54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85em" {{{#fff '''토니'''}}}}}}[br]{{{#000 53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0.85em" {{{#fff '''강민희'''}}}}}}[br]{{{#000 51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0.85em" {{{#fff '''손동표'''}}}}}}[br]{{{#000 48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0.85em" {{{#fff '''함원진'''}}}}}}[br]{{{#000 48표}}} || ||<-2> '''{{{#FFF 공동 18위}}}''' ||<-2> '''{{{#FFF 공동 20위}}}''' ||<-2> '''{{{#FFF 공동 22위}}}''' || '''{{{#FFF 24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C117; font-size: 0.8em" {{{#000 '''김국헌'''}}}}}}[br]{{{#000 36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fff '''황윤성'''}}}}}}[br]{{{#000 36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5em" {{{#fff '''금동현'''}}}}}}[br]{{{#000 31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fff '''차준호'''}}}}}}[br]{{{#000 31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5em" {{{#fff '''김시훈'''}}}}}}[br]{{{#000 24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C117; font-size: 0.8em" {{{#000 '''김현빈'''}}}}}}[br]{{{#000 24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5em" {{{#fff '''송유빈'''}}}}}}[br]{{{#000 20표}}} || || '''{{{#FFF 25위}}}''' || '''{{{#FFF 26위}}}''' || '''{{{#FFF 27위}}}''' ||<-2> '''{{{#FFF 공동 28위}}}''' ||<-2> '''{{{#FFF 공동 30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85em" {{{#fff '''이세진'''}}}}}}[br]{{{#000 19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85em" {{{#fff '''김동윤'''}}}}}}[br]{{{#000 13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85em" {{{#fff '''이협'''}}}}}}[br]{{{#000 11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85em" {{{#fff '''주창욱'''}}}}}}[br]{{{#000 9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5em" {{{#fff '''최수환'''}}}}}}[br]{{{#000 9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5em" {{{#fff '''강현수'''}}}}}}[br]{{{#000 4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5em" {{{#fff '''박선호'''}}}}}}[br]{{{#000 4표}}} || == 현재순위 == [[파일:190705_produce_X.png|width=100%]] * 중간 순위 공개 시, 한 명의 순위만 공개했던 [[프로듀스 101 시즌2|시즌2]]와 [[프로듀스 48|48]]과는 달리 1등은 '''김씨'''라고만 공개되고 나머지 인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게다가 11등과 21등의 득표수마저 공개되지 않았다[* 두 등수 모두 앞뒤 순위의 표차가 심한 편으로, 순위 고착화가 심하게 진행된 이번 시즌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현재 김 씨 연습생으로는 김우석, 김요한, 김민규, 김국헌, 김시훈, 김현빈, 김동윤 등 7명이 생존 중이다. * 이전 시즌인 [[프로듀스 48]]의 예고편에 포지션 평가 현장 득표 수 1등을 김 씨로 낚시한 적이 있었는데[* 실제 1등은 [[초원(LIGHTSUM)|한초원]](보컬&랩), [[무라세 사에]](댄스)] 그 때와는 달리 순위 발표식에서 1등 후보를 했던 김씨 성의 연습생이 몇몇 있기 때문에 낚시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전망. * 방송 후 순위 공개에서 성씨만 공개한 사례는 프로듀스 사상 최초다. == 생존/방출자들 예상 명단 정리 == 연습생 좌측의 넘버링은 8회차 순위. 이전 시즌들과 마찬가지로 11픽으로 진행되던 다중픽과 달리 소수픽인 2픽으로 전환되었다. [[프로듀스 48]]과 마찬가지로 콘셉트 평가 분량은 2주지만 차이점은 이번 시즌의 경우 1주를 추가 합격자 X를 선발하는 투표를 진행하는데 소비해 실질적인 투표 기간은 [[프로듀스 101|시즌 1]], [[프로듀스 101 시즌2|시즌 2]]와 동일하다. 따라서 9회 종료 시 투표 순위가 공개되지 않은 만큼 콘셉트 평가 무대 후 공개되는 개인별 직캠이 생존과 방출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된다. 또한 이전 시즌 보다 파격적인 베네핏 또한 순위 변동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콘셉트 평가 후 베네핏을 받은 연습생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FFFFFF '''연습생'''}}} ||<:>{{{#FFFFFF '''베네핏'''}}} || || {{{#013dfd 김요한}}} || 172,000표 || || {{{#013dfd 조승연}}} || 72,500표 || || {{{#013dfd 남도현}}} || 55,000표 || || {{{#013dfd 송형준}}} || 50,500표 || || {{{#013dfd 김우석}}} ||<|5> 20,000표 || || {{{#013dfd 이은상}}} || || {{{#013dfd 차준호}}} || || {{{#013dfd 한승우}}} || || {{{#013dfd 황윤성}}} || || {{{#013dfd 금동현}}} || 15,500표 || 다만 베네핏을 받은 연습생들이 전부 생존 확정으로 평가 받는 연습생들이라 베네핏으로 인해 생존자와 방출자가 달라질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며[* 지금까지 콘셉트 평가 베네핏으로 인해 생존과 방출이 달라진 것은 시즌 1 [[강시라]] - [[응 씨 카이]]를 제외하고 없다.] 생존권 연습생들 사이에서 순위가 바뀔 가능성이 크다. 김요한의 경우 10회 종료 기준 3위권 이내에 위치해 있었다면 10만표 베네핏으로 인해 3차 순위 발표식 1위가 될 가능성이 높고, 조승연은 최초로 데뷔 순위권에 진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10회 종료 기준 20위의 득표수가 108,846표인데 베네핏 72,500표를 더하면 181,346표로 8위가 된다.] 더해서 3차 순위발표식의 커트라인 또한 마지막 변수가 될 수 있다. 하단의 글은 커트라인이 20위라는 가정 하에 작성되었으나 21위 혹은 22위라고 가정한다면 탈락이 예측되는 연습생 중 1~2명의 연습생들[* 보컬로서 서사를 받아 상승세를 탄 이협, 센터로서 호평을 받았던 김시훈, 메인래퍼를 맡아 존재감을 보였던 김현빈 등이 그 후보이다.]이 합불을 예측할 수 없는 명단에 오르고 커트라인이 20위였을 때 생존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되었던 4명 중에서 합격이 예상되는 명단으로 오르는 인원이 생기게 된다. {{{-2 # 말 그대로 이 문단은 "예상"이기 때문에 정확한 사실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10화 방영 당시 생존자와 방출자 예측이기 때문에, 순위 발표식 이후의 결과와 상관없이 3차 순위발표식 전까지의 작성 상태로 보존시키기 바랍니다. 최종 결과가 나오면 순위 발표 관련 내용은 11회 쪽에 작성하길 바랍니다.}}} === 생존자들 예상 명단 === 생방송 커트라인이 20명일 경우 2차 순위 발표식 기준 1위부터 20위까지 연습생들 중 송유빈(12위), 함원진(14위), 이한결(15위), 최병찬(16위), 강현수(20위)를 제외한 15명은 무난히 생방송 무대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 {{{#013DFD 김우석}}} : 코어 팬덤의 수가 많은 데다가 베네핏 2만 표까지 획득해 생존은 확정이며, 이를 반증하듯 직캠의 반응도 최상위권이다. 다만 또 다른 1위 후보인 김요한이 베네핏 10만 표를 챙겨가고 2차 순위 발표식에서 1위를 한 후 견제 + 9회와 10회에서 연달아 받은 부정적인 편집으로 인해 3차 순위 발표식에서 1위를 유지할 가능성은 낮은 상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 {{{#013DFD 이진혁}}} : 포지션 평가 이후 많아진 코어 팬덤이 안정적인 추세라 생존 확정이며, 직캠의 반응도 최상위권이다. 다만 이진혁이 최상위권인 2위까지 진입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베네핏이었는데,[* 포지션 평가에서 베네핏을 받지 못했을 경우 2위에서 10위까지 내려간다.] 이번 평가에선 베네핏 획득에 실패해 순위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3'''}}}}}} {{{#013DFD 김요한}}} : 팀 1등인 에서 팀 내 1등이라 득표수의 500배 베네핏과, 10만 표를 추가적으로 획득했으며, 직캠의 반응 역시 최상위권이라 코어 팬덤이 많다. 베네핏 172,000표만으로도 데뷔권인 10위에 기록되기 때문에 생존은 확정이며 현재 3차 순위 발표식 강력한 1위 후보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4'''}}}}}} {{{#013DFD 송형준}}} : 스타쉽 연습생들 중 가장 큰 코어 팬덤을 보유중이며 팀 내 1위로 500배의 베네핏까지 받아 생존은 물론 데뷔권 유지도 긍정적인 상황이다. 직캠의 반응도 상위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5'''}}}}}} {{{#013DFD 구정모}}} : 10대를 주축으로 안정적인 코어 팬덤을 보유 중이라 생존은 확정이다. 다만 2차 순위발표식 순위가 베네핏으로 상승한 케이스에다가 이번에는 베네핏을 받지 못했으며, 직캠 반응이 중상위권이라 포지션 평가 대비 화력이 약해져 정체되어 있는 케이스. 따라서 주변 순위의 베네핏을 받은 다른 연습생들로 인해 순위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6'''}}}}}} {{{#013DFD 이은상}}} : 구정모와 함께 눈에 띄게 10대 시청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연습생. 베네핏 2만 표 획득으로 생존은 확실시되며 직캠의 반응 역시 상위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7'''}}}}}} {{{#013DFD 남도현}}} : 소속사라는 최악의 걸림돌을 극복하고[* 왜 소속사가 걸림돌인지는 [[MBK엔터테인먼트|문]][[김광수(음반기획자)|서]] 참조.] 1회 이후 안정적인 코어 팬덤으로 인해 줄곧 데뷔권을 유지하고 있다. 직캠 반응만 중상위권이라 데뷔조 잔류가 위험하다고 판단 될 수 있겠으나, 팀 내 1위로 5만 표 이상의 베네핏을 받아 데뷔권 유지도 긍정적인 상황이다. 다만 [[남도현]]은 아직 생일이 경과하지 않아서 야간활동 제한에 걸리기 때문에, 만일 파이널 진출이 확정되면 [[프로듀스 48]] 파이널처럼 밤 8시 생방송 확정이다.[* 아주 큰 변수인 게 [[프로듀스 48]] 파이널에서 드러났기 때문이다. 바로 10대 지지표 때문이다. [[원열|장원영]] 때문에 준법 관계로 이렇게 조정했더니, 10대 소나기 지지표 유입으로 직결되며 [[초원(LIGHTSUM)|한초원]]과 [[미야자키 미호]]처럼 10대 지지표가 상대적으로 적은 참가자들이 결국 파이널에서 큰 피해를 입었고 [[안유진]]과 [[조유리]]처럼 10대 지지자 비중이 많았던 참가자들이 '''[[기사회생]]'''했기 때문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8'''}}}}}} {{{#013DFD 이진우}}} : 생존 자체는 문제 없어 보이지만 7화 악편의 영향도 있고, 소수픽보다 다중픽에서 일명 차애픽을 많이 받았던 연습생이며, 직캠 반응 역시 순위 대비 중위권이라 생존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데뷔권 잔류 확률은 낮은 상황이다. 다만 이진우는 아직 생일이 경과하지 않아 야간활동 제한에 걸리기 때문에, 만일 파이널 진출이 확정되면 [[프로듀스 48]] 파이널처럼 밤 8시 생방송 확정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9'''}}}}}} {{{#013DFD 한승우}}} : 메인보컬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으며 팀이 1위를 하여 베네핏까지 획득해 생존은 확실시된다. 직캠 역시 최상위권의 반응을 통해 코어 팬덤 역시 단단해 3차 순위 발표식 데뷔권 잔류는 확실시 되는 상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0'''}}}}}} {{{#013DFD 김민규}}} : 9회차에서 보여준 서사와 달리 경연에서의 어필이 부족했고 베네핏 또한 획득 실패했지만 지난 9회에서 보여준 대서사로 인해 생존은 확실시된다. 다만 직캠 화제성은 경연을 진행하면 진행할 수록 점점 낮아지고 있어 데뷔권 재입성은 불안하다. 변수라면 대서사로 인해 라이트 시청자들에게 얼마나 표를 받았느냐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1'''}}}}}} {{{#013DFD 손동표}}} : 안정적인 팬덤 보유로 생존이 유력하지만 직캠의 반응은 중위권이며, 다만 소수픽에서 강세를 보이는 연습생들 및 베네핏 수령 연습생들로 인해 데뷔조 재입성은 불투명하다. 다만 손동표 역시 코어가 단단한 편이라 역으로 데뷔조에 재입성할 가능성도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3'''}}}}}} {{{#013DFD 차준호}}} : 직캠의 반응은 중상위권이며 베네핏 2만 표 획득으로 생존은 유력해 보인다. 다만 순위는 하락이 예상된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7'''}}}}}} {{{#013DFD 조승연}}} : 현장투표 전체 1등에서 보듯 코어가 매우 단단하고, 베네핏 7만 표를 획득했으며 직캠의 반응 또한 상위권이다. 현재의 페이스를 고려하면 최초로 데뷔권 입성은 확실시 되는 상황이고 다중픽보다 소수픽에 유리한 연습생 중 하나[* 실제로 역대 시즌의 [[청하|김청하]](13위→5위), [[하성운]](25위→3위), [[이채연]](12위→3위)이 3차 순위발표식에서 순위가 폭등했다.]인 만큼 베네핏을 업고 최상위권 4분할까지도 도전해 볼 만 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8'''}}}}}} {{{#013DFD 황윤성}}} : 베네핏 2만 표 획득으로 생존이 유력하다. 직캠의 반응은 상위권으로 이번 경연을 통해 상승세를 보이는 연습생. 다만 데뷔권은 어려워 보인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9'''}}}}}} {{{#013DFD 금동현}}} : 직캠의 반응은 상위권이고 베네핏 1만 5천 표를 획득하여 무난하게 생존이 예측된다. 다만 데뷔권은 어려워 보인다. === 방출자들 예상 명단 === 이하 7명의 연습생들은 3차 순위 발표식 때 방출이 유력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0'''}}}}}} {{{#013DFD 강현수}}} :이제 서서히 상승세가 멈춘것으로 보아[* 2차 순발식 기준 베네핏 제외 23위], 생존은 힘들어 보인다. 박선호와 함께 현장투표 최하위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코어픽이 미미한 수준이며 실력픽 표도 다른 연습생들에게 분산되고 있는 상황. 오히려 순발식 순위가 아래였던 연습생들에게 크게 밀려 방출될 가능성이 더 큰 연습생. 더불어 직캠의 반응 또한 최하위 등수인 박선호 다음에서 최수환과 29위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 사실상 방출이라고 봐도 무방한 상황이 되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4'''}}}}}} {{{#013DFD 김시훈}}} : 센터를 잘 소화하는 모습과 전보다 발전한 비주얼로 호평을 받았으나 투표 기간 동안 포지션 평가때의 악편이 계속 영향을 주는 상황이었고 무대에서의 호평가 다르게 직캠 반응도 하위권이라 생존 확률이 희박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5'''}}}}}} {{{#013DFD 김현빈}}} : 1회부터 줄곧 20위권을 유지하여 생존보다는 방출의 가능성이 높다. <움직여>의 메인래퍼를 맡았으나 무대가 공개 된 지 바로 투표가 마감되었고 반등을 기대하기엔 직캠의 반응도 하위권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6'''}}}}}} {{{#013DFD 이협}}} : 실력픽으로 2차 순발식에 간신히 살아남았으나 코어가 약해 생존 가능성은 적다. 메인보컬 포지션이 별로 없다는 점을 들어 생방 가능성도 약간 있다곤 하지만 대부분 메인보컬 픽 지지자들이 [[한승우]]와 [[송유빈]]으로 몰리는 추세인지라 이마저도 어려워 보인다. 현재 이번 시즌 개인 연습생들 중 가장 선전하고 있는 연습생이라, 이협까지 방출 될 경우 이번 시즌 개인 연습생은 전멸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8'''}}}}}} {{{#013DFD 박선호}}} :순위가 계속 하락세기 때문에 생존하긴 어려워보이며 직캠 반응도 최하위권이다. 경연 준비 때 김소혜까지 게스트로 초대한 강수를 뒀으나 팬덤이 여초 성향인 남자 시즌 특성상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김소혜의 [[팬덤]]은 데뷔 당시 남초 성향이 강했고 남자들은 [[방탄소년단|어지간히 유명한 보이]][[EXO|그룹이 아닌 이상]] [[보이그룹]] 팬덤 활동을 하거나 보이그룹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챙겨보는 경우가 많지 않다. 당장 프로듀스 X 101 관련 영상의 댓글 비율을 봤을때 남성 유저가 여성 유저의 비율을 넘은 영상이 '''하나도 없고''' 10%를 넘긴 영상도 '''매우 드물다'''.]박선호가 방출될 경우 최장 기간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는 기록과, 최고령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는 기록이 유지된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9'''}}}}}} {{{#013DFD 최수환}}} : 현재 순위가 4주차(첫번째 순위발표식)에 24위를 받은 이후 계속 순위가 떨어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송유빈]]에게 메인보컬을 3전 3패로 내준 것도 악재였으며 직캠 반응 또한 최하위권. 여기에 [[최병찬]]이 하차하면서 실질적인 1차 순발식 24위가 생존이 확실하고 데뷔도 유력한 [[이진혁(가수)|이진혁]]이 되면서 24위 징크스 수혜도 못 받는 상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30'''}}}}}} {{{#013DFD 주창욱}}} : 순위가 30위권을 웃돌다 두번째 순위발표식에서 30등으로 생존한 연습생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승은 사실상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 [[프로듀스 101]]과 [[프로듀스 48]]에 [[프로듀스 101/8회|2번째]] [[프로듀스 48/8회|순발식]] 때 커트라인 등수를 받고도 [[프로듀스 101/10회|다음]] [[프로듀스 48/11회|순발식]] 때 파이널에 진출한 [[루리(가수)|이수현]]과 아예 데뷔권에 들어간 [[타케우치 미유]]가 있긴 있지만 이수현은 투표 방식 변경 및 베네핏이 있었고, 미유는 여초 중심으로 코어팬이 워낙 강력했던 상황이라 같은 상황이 아니다. ] === 합격과 방출을 가리기 힘든 명단 === 이하 9명 중에 5명이 생방송에 진출할 것으로 보여진다. 9명 중 송유빈, 함원진, 이한결, 최병찬은 방출보다 생존 가능성이 더 높은 연습생이다.[* 송유빈은 한승우와 메인보컬픽을 양분하고 있으며 9회차에 분량을 획득했다. 함원진의 경우 2픽 변경으로 인해 스타쉽 픽 분열이 일어날 수 있으나, 스타쉽 연습생들 중 가장 많은 팬덤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 받는 송형준과 구정모의 팬덤에게 역으로 구제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며 이한결의 경우 지속적으로 팬덤이 유입되고 있고 같은 소속사 연습생인 남도현의 팬덤이 이한결도 함께 픽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최병찬의 경우 분량이 매우 박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팬덤 및 신규 유입 팬덤의 충성도가 매우 커 다중픽 싸움에서도 10위권을 지켜왔기 때문.] 앞에 서술 된 연습생 4명이 모두 합격하면 나머지 5명 중 4명이 커트라인 4분할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2'''}}}}}} {{{#013DFD 송유빈}}} : 베네핏은 받지 못했지만 실력+비주얼+개그픽으로 코어 팬덤이 존재하며 9화와 10화에서 긍정적인 서사가 방영되어 생존이 예측되었던 연습생이었으나 그에 반해 코어팬들이 보는 직캠의 반응이 하위권이다. 예상보다 코어팬의 규모가 작은 것으로 보여 대중들의 표심에 따라 탈락권까지 급격하게 순위가 하락할 수도 있는 상황이므로 생존을 확정짓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4'''}}}}}} {{{#013DFD 함원진}}} :순위는 안정권이나, 2픽으로 줄어든 스타쉽 픽의 표 분열, 경연 과정에서 성대구증으로 많은 파트를 강민희에게 내줬고 음이탈마저 [[악마의 편집]]으로 이용되어 순위 하락의 가능성이 없지 않다. 하지만 생존 확률이 좀 더 높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5'''}}}}}} {{{#013DFD 이한결}}} : 팬덤은 꽤 많이 모였으나, 소속사라는 장벽[* [[남도현]]과 같은 [[MBK엔터테인먼트]] 소속. [[아이오아이]]가 활동했을 당시 멤버였던 [[정채연]]을 [[DIA(아이돌)|다이아]] 활동을 위해 빼가서 팬덤 분열의 시발점을 제공했던 그 소속사 맞다. 데뷔 그룹은 [[아이오아이]]와 달리 2년 반 동안은 겸업이 금지라지만, [[김광수(음반기획자)|그 그룹의 프로듀서]]가 [[언론플레이]]의 제왕이라 MBK 소속의 연습생이 데뷔조에 들어간다면 충분히 올팬 기조를 흔들 위험성이 있다. 즉, 역으로 MBK의 회사 이미지 때문에 크게 마이너스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 [[안은진(1997)|은진]]과 [[이소율|제니]]가 탈퇴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케어 문제도 있다.] 및 분량을 많이 받지 못해 안심할 수 없다. 그래도 MBK가 한때 CJ와 연도 있었고[* 엠넷미디어로 협업관계가 있었기에, 프듀1 당시 출전을 내키지 않았던 [[김광수(음반기획자)|김광수]]를 [[한동철]], [[안준영(PD)|안준영]]이 기존 [[DIA(아이돌)|다이아]] 활동 보장을 조건으로 [[정채연]], [[기희현]]의 출전을 허가했을 정도였다.] 오디션 프로를 많이 제작하면서 입은 손실 메꾸는 것이 급하기에[* 프듀 시리즈 출전자인 이한결, 손동명, 임효선의 더유닛, 남도현,김재준, 김시현의 언더나인틴, 황인선, 박하이가 출연한 미스토롯 모두 MBK가 정도의 차이만 있지 다 관여를 했다. 그런데 문제는 세 프로 개설로 얻은 금전적 이득이 없거나 있어도 쥐꼬리라는 것. KBS에서 방송한 더유닛의 경우 여성부 데뷔조인 유니티 데뷔 직전 김광수 단독 인터뷰로 '''제작비 중 절반만 회수해도 다행이다'''라고 할 정도로 손해가 컸으며, 가장 이슈가 되었고 TV조선 역사상 최고 시청률로 마감한 미스트롯은 송가인 혹사 논란과 홍자의 지역비하, 팬클럽 개설 당시 회비 징수로 말이 많았다. 이 둘보다 조건이 좋았는데도 이슈, 시청률, 인지도 모두 노답인 언더나인틴은 말할 것도 없고.] 장난을 치기는 무리인데다가 딱히 문제될 행동도 보이지 않아 악편을 받은 것도 없기에 생존할 확률이 높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16'''}}}}}} {{{#013DFD 최병찬}}} : 전반적으로 이한결과 비슷한 상황이지만 분량이 적어 팬덤 유입이 이한결보다 적은 편이고, 반대로 이한결과 달리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소속사]]가 마이너스 요소가 되지 않는다. 종합해서 일단은 생존 가능성이 좀 더 높다.[* 하지만 7월 11일에 만성 아킬레스건염으로 인해 하차했고, 이에 따라 최병찬의 순위가 생존권이었더라도 생방송 무대를 볼 수 없게 되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1'''}}}}}} {{{#013DFD 이세진}}} : 9회에서 김동윤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보인 천사 리더 서사로 호평을 받아 하락세였던 분위기를 반등할 수 있을 듯하다. 팬덤도 꽤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20위 4분할에 있을 확률이 높은 연습생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2'''}}}}}} {{{#013DFD 김국헌}}} : 분량이 적고 순위가 하락세기 때문에 방출 가능성이 좀 더 높다. 다만 메인보컬+메인댄서+랩까지 가능한 사기 캐릭터에 개그캐 이미지도 있어 생존 희망을 가지기에는 충분하다. [[뮤직웍스|같은 회사]] 송유빈 팬덤의 지원사격과 실력픽을 기대해야 할 듯 하다. 20위 4분할 후보 중 한 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3'''}}}}}} {{{#013DFD 강민희}}} : 컨셉 평가를 진행하는 내내 메인보컬 서사로 분량을 전보다 많이 받았으나, [[스타쉽엔터테인먼트|스타쉽]] 표가 갈린 현재 상황을 생각하면 20위 4분할에 들 확률이 높은 연습생이다. 다만 함원진처럼 역으로 송형준-구정모 팬덤의 구원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직캠의 반응도 준수한 편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27'''}}}}}} {{{#013DFD 토니}}} :최수환처럼 4주차 20위를 받은 이후 계속 순위가 하락세이며 2회 연속 통편집을 당하며 멘트 한 마디도 안 나오는 상황이다. 다만 직캠의 반응 자체는 4분할 사정권에 속해 있어 코어픽이 절실한 2픽 경쟁에서 생존가능성이 어느정도 있는 편. 토니가 방출될 경우 역대 프로듀스 시즌 중 최단 기간 외국인 연습생 전멸과 함께 외국인 연습생이 데뷔조에 포함된다는 기록이 깨지게 된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DFD; font-size: 0.75em" {{{#white '''X'''}}}}}} {{{#013DFD 김동윤}}} : 순위 추가 상승 요인이 없고, 방출이 좀 더 유력한 상황이다. 유일한 부활 연습생이라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동정표를 노려볼 수는 있으나, 이번 시즌이 순위 고착화가 심한 만큼 생존이 어려워 보인다. 다만 X 부활전을 통해 부활한 분량을 받고난 후 비주얼로 팬층이 유입되었는지 직캠의 반응은 4분할 사정권에 속해 조금이나마 생존 가능성이 있는 편. == 여담 == * 방송 하루 전, 콘셉트 평가 음원 미리듣기 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tv.naver.com/v/9037186|#]] 그리고 본방송 당일 오후 6시에 정식 음원이 발매되었다.[* 여담으로 프듀 X는 2017년 2월의 음원 개편 이후 최초로 토요일 12시가 아닌 금요일 6시에 음원이 발매된 엠넷 서바이벌이 되었다. [[프로듀스 48|전작]]의 음원 부진이 영향을 끼친 듯하다.] * 현장 경연 순서는 <[[U GOT IT]]>, <[[이뻐이뻐(Pretty Girl)|이뻐이뻐]]>, <[[Monday to Sunday]]>, <[[Super Special Girl]]>, <[[움직여 (MOVE)|움직여]]> 순서로 진행되었으나, 방송 상 순서는 이 첫번째로, 이 4번째로 나왔다. * <[[U GOT IT]]> 무대에서 후렴 초중반 [[김우석(1996)|김우석]] 파트가 경연 본방에서는 All로 표기된 자막 오류가 있었다[* 원래 후렴 부분이 센터 고정 파트라는 언급이 있고, 무대를 봐도 김우석이 혼자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김우석(1996)|김우석]]이 1위가 된 이후 악편을 계속해서 받고 있어서, 이 부분도 악편의 일부분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차준호와 이은상, 황윤성, 김요한 연습생은 후렴구에 두 번 나오는 '''2옥타브 라'''의 음을 소화할 수 없으며, 음원에서도 김우석이 혼자 부르고 이은상이 뒤에 오는 U GOT IT×3 만 부른다.] * 프로듀스 네 시즌 연속으로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컨셉트 평가를 녹화했다. * [[박선호(배우)|박선호]]와 드라마 [[최고의 치킨]]에서 호흡을 맞춘 [[김소혜]]가 깜짝 게스트로 등장하였다. 이로써 김소혜는 모든 프듀 시즌에 출연하였다.[* 시즌 1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연습생 신분으로 참가했으며, 시즌 2에서는 카운트다운 101, 그리고 1차 순발식 때 중계석 MC로 출연하였고, 그 뒤 파이널 생방송에도 참석했다. 48에서는 본편에는 나오지 못했지만 예고 영상에는 출연했다.] * 1, 2차 탈락자인 김진곤, 유리, 이미담, 정명훈, 박윤솔, 앙자르디 디모데, 성민서, 픽, 이우진, 이태승, 원혁, 이원준, 강석화, 김동빈, 박진열, 김민서B, 스티븐 킴 연습생이 방청했다. * [[프로듀스 48|지난 시즌]]에 출연했던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이시안]]과 [[배수연|배은영]]이 방청했다. 이시안은 이야기와 최종 투표 과정에서 얼굴을 비췄으나 배은영은 약 1초 정도 이시안과 투샷이 잡히고 분량 끝. * [[한승우]]는 오른쪽 어깨와 왼쪽 쇄골에 [[문신]]이 있는데, 그 부분이 <[[Super Special Girl]]> 경연 때 잠깐 나온 장면과 현장 득표 발표 때는 [[블러]] 처리, 인터뷰할 때는 살색 반창고로 가려서 나왔지만 본 경연 때는 모자이크 없이 그대로 나왔다. 방송심의 때문에 가린 듯. * 11회 예고에서 3차 순위발표식 때 살아남는 인원을 20등 의자와 22등 의자를 동시에 비추면서 명확하게 공개하지 않았다. 만약 22등까지 생존이라면 [[프로듀스 101|시즌 1]] 이후 무려 3년만에 22명이 최종 생방송 데뷔 평가에 진출하게 된다. 다만 21위 득표가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20위일 확률이 절대적으로 높다. * 현장 경연을 방청한 사람들의 진술로는 토니가 3개 국어로 소감을 말했었는데, 본방송에서는 통편집되었다. 애초에 토니는 10화 전체에서 '''멘트가 한 마디도 나오지 않았다.'''[* 토니가 말을 많이 하지 않아 방송에 내보낼 멘트가 없었을 거라는 분석도 가능하나, 토니가 를 가창한 일곱 연습생 중 유일하게 처음부터 해당 곡에 있었기에(나머지 5명은 다른 곡에서 방출됐고 김동윤은 아예 순위발표식 방출 후 부활해서 돌아왔다.) 노래와 춤을 이미 알고 있었을 것임을 감안하면 더욱 말이 안 되는 상황이다. 게다가 토니는 다른 포지션도 아니고 무려 '''센터'''였다. 여담이지만, 토니 연습생은 그룹 평가, 포지션 평가, 콘셉트 평가, 충 3번의 경연 인터뷰 다 통편을 당했다…] * [[프로듀스 48|지난 시즌]]과는 달리, 연습생 개인 투표에 기권한 표는 단 한 표도 나오지 않았다. [[분류:프로듀스 X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