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동산 투자회사]][[분류:미국의 물류회사]][[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 ||<-2>
{{{+1 {{{#ffffff '''프로로지스'''}}}}}}[br]'''{{{#white Prologis Inc.}}}''' || ||<-2> {{{#!wiki style="margin: 20px -10px;" [[파일:프로로지스 로고.svg|width=80%&theme=light]][[파일:프로로지스 로고 (다크 테마).svg|width=80%&theme=dark]]}}}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Prologis Inc San Francisco California 94111 US, 너비=100%, 높이=200px)]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ffffff '''창립'''}}} ||[[1983년]] {{{-2 ([age(1983-01-01)]년 전)}}} || || {{{#ffffff '''관련 주식'''}}} ||[[뉴욕증권거래소|{{{#!wiki style="vertical-align: top; display: inline-block;" [[파일:뉴욕증권거래소 로고.svg|width=40]]}}}]]{{{#!html  }}},,'''PLD''',, || || {{{#ffffff '''신용 등급'''}}} ||{{{#green '''A'''}}} {{{-2 ([[S&P|S&P 글로벌]])}}} || || {{{#ffffff '''홈페이지'''}}} ||[[https://www.prologis.com/|{{{#!html  }}}[[파일:프로로지스 로고.svg|width=80px&theme=light]][[파일:프로로지스 로고 (다크 테마).svg|width=80px&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계 최대 규모의 물류용 [[부동산투자신탁|부동산투자회사]] (REIT)다. 미국에 상장된 리츠들 중에서 시가 총액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S&P 500]] 지수에 편입된 기업이다. == 특징 == 프로로지스는 전세계에 걸쳐서 물류 창고를 임대하고 투자자들에게 이익금을 분배한다. [[미국]], [[유럽]], [[중동]], [[아시아]]에 걸쳐서 상당히 많은 창고를 갖고 있다. [[아마존닷컴]], [[페덱스]], [[UPS(기업)|UPS]], [[DHL 익스프레스|DHL]] ([[도이체 포스트]]), [[홈디포]], [[미국우정공사]] (USPS) 등의 대기업을 임차인으로 두고 있다. 매년 우상향하는 [[FFO]] (Funds From Operations) 실적과 이에 비례하는 분배금 증가로 인해 프로로지스는 [[배당성장주]] 추천 종목으로 자주 언급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창궐하던 2020년 당시에는 다른 기업들과 똑같이 실적이 고꾸라졌으나 그 이후에 실적이 상당히 빠른 시일 내에 회복되었다. 이러한 배경이 반영되어 프로로지스는 FFO 대비 주가 비율 (P/FFO)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 이미 2016년에 [[무디스]]로부터 A3 (A-) 등급을 받았고 2022년에는 [[S&P|S&P 글로벌]]로부터 한 단계가 더 오른 A 등급을 받았다. 일반적인 리츠라면 BBB 등급을 주로 많이 받는다. 프로로지스의 성장성과 안정적인 레버리지 관리 능력이 인정된 것이다. [[리얼티 인컴]],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과 더불어서 A 구간의 등급을 받은 몇 안되는 리츠다. 최근에는 콜드 체인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양 산업인 물류업에 대한 [[대체투자]] 수단으로 프로로지스가 주목받고 있다. 프로로지스는 일본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도쿄증권거래소]]에 '''Nippon Prologis REIT'''라는 이름으로 해당 기업을 상장했다. == 비판 == 프로로지스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에 상당한 배당컷을 했다. 덕분에 주가도 크게 빠졌다. 그 뒤로 배당컷을 한 적은 없으나 이때 당시에 이루어진 배당컷 이전 수준으로 배당금이 증가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2019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서브프라임 이전 수준의 배당금으로 복귀하는 데에 성공했다. [[리얼티 인컴]]의 경우 [[FFO]] 성장률이 느리지만 서브프라임 당시에 배당컷을 하지 않고 오히려 평상시와 같이 배당금을 늘려 투자자들의 신뢰를 받은 것과 대조된다. == [[소수점 주식|소수점 투자]] == 해당 주식에 대해서 [[소수점 주식|소수점 투자]]가 가능한 국내 증권사는 다음과 같다. * [[신한투자증권]] * [[미래에셋증권]] * [[삼성증권]] == 실적 == ||
<-6> {{{#white {{{+1 '''투자 지표'''}}}}}} || || {{{-3 '''회계연도'''}}} || {{{-3 [[FFO|'''FFO''']]}}} || {{{-3 '''순자산'''}}}[br]{{{-4 (NAV)}}} || {{{-3 [[빚|'''순부채''']]}}}[br]{{{-4 (D)}}} || {{{-3 '''D/FFO'''}}} || {{{-3 '''D/NAV'''}}} || || {{{-3 '''2022[br]2023'''}}} || || || || || || || {{{-3 '''2021[br]2022'''}}} || {{{-4 (USD)[br]4.15B}}} || {{{-4 (USD)[br]57.86B}}} || {{{-4 (USD)[br]30.03B}}} || {{{-4 724%}}} || {{{-4 52%}}} || || {{{-3 '''2020[br]2021'''}}} || {{{-4 (USD)[br]3.16B}}} || {{{-4 (USD)[br]37.74B}}} || {{{-4 (USD)[br]20.74B}}} || {{{-4 656%}}} || {{{-4 55%}}} || || {{{-3 '''2019[br]2020'''}}} || {{{-4 (USD)[br]2.96B}}} || {{{-4 (USD)[br]36.32B}}} || {{{-4 (USD)[br]19.74B}}} || {{{-4 667%}}} || {{{-4 54%}}} || || {{{-3 '''2018[br]2019'''}}} || {{{-4 (USD)[br]2.25B}}} || {{{-4 (USD)[br]26.07B}}} || {{{-4 (USD)[br]13.96B}}} || {{{-4 620%}}} || {{{-4 54%}}} || || {{{-3 '''2017[br]2018'''}}} || {{{-4 (USD)[br]1.89B}}} || {{{-4 (USD)[br]25.8B}}} || {{{-4 (USD)[br]12.62B}}} || {{{-4 668%}}} || {{{-4 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