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세카이)]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모바일]] [[리듬게임]]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공식 [[e스포츠|e스포츠 대회]]에 관한 문서이다. ==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powered by AQUOS == ||<-3> {{{+1 '''RAGE プロジェクトセカイ 2020 Winter powered by AQUOS'''}}}[br]{{{-1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powered by AQUO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이지프로세카일러.png|width=100%]]}}} || || 지역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일본]] || || 일정 ||<-2> 2020년 11월 22일 ~ 2020년 12월 13일 || ||<|2> 방식 || 예선 || 온라인 || || 본선(준준결승~결승) || 오프라인 || || 진행 ||<-2> [[시모후리묘죠]], 테라카와 슌페이[* tv아사히 아나운서], [[야시로 키즈쿠]], [[나카시마 유키]] || || 주관 ||<-2> RAGE || || 스폰서 ||<-2> [[샤프(기업)|AQUOS]] || ||<|5> 상금·상품 ||<-2> 총 상금 10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특별 보상 || || 우승 || 5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특별 보상 || || 준우승 || 15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준결승 진출자(10명) || 2만 5천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준준결승 진출자(25명) || 1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공식 사이트 ||<-2> [[https://project-sekai.rage-esports.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공식 영상 ||<-2> [[https://www.openrec.tv/live/p2zj9mq04rw|오픈렉]] [[https://youtu.be/P8QTYVL-JS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우승자 ||<-2> 瑠璃 || === 설명 === 2020년 11월 22일부터 12월 13일까지 일본의 [[e스포츠]] 브랜드인 RAGE가 주관하고 [[샤프(기업)|샤프의 무선사업부 AQUOS]]가 후원한 [[프로세카]] 최초의 온·오프라인 e스포츠 대회이다. 상금은 준준결승 진출자까지 포함하여 총 100만 엔이 걸렸으며, 우승자는 무려 50만 엔을 가져간다. === 일정 === ||<-3>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일정''' || || 1차 예선 || 2020년 11월 22일[br]2020년 11월 24일 || 500명 진출 || || 2차 예선 || 2020년 11월 28일[br]2020년 11월 29일 || 25명 진출 || || 준준결승 ||<|3> 2020년 12월 13일 || 10명 진출 || || 준결승 || 2명 진출 || || 결승 || 우승자 결정 || 1차 예선과 2차 예선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과제곡과 지정 유닛 멤버로 플레이해야만 참가가 가능하다. 빠르게 과제곡으로 판정 신기록을 세워야 진출할 확률이 높아지며, 1차는 500명, 2차는 25명으로 좁아진다. 이후 대회장에서 결승까지 하루 만에 진행하며, 기기는 대회에서 대여하는 [[아이패드]]나 자신의 기기[* 스마트폰 포함]로 사용이 가능하다. === 대회 룰 === ||<-2>
'''대회 룰''' || || '''판정''' || '''점수''' || || {{{+1 {{{#!html PERFECT}}}}}} || +3 || || {{{+1 {{{#!html GREAT}}}}}} || +2 || || {{{+1 {{{#!html GOOD}}}}}} || +1 || || {{{+1 {{{#!html BAD}}}}}} || 0 || || {{{+1 {{{#!html MISS}}}}}} || 0 || 대회에서는 무조건 마스터 난이도만 픽할 수 있으며, 해당 곡 채보의 '''각 노트마다의 판정×노트 수'''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노트 수가 1000인 곡에서 퍼펙트 900, 그레이트 100을 쳤을 경우 (900×3)+(100×2)=2900점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이렇게 최종 결과를 통해 준준결승에서는 각 그룹마다 가장 점수가 높은 2명이, 준결승에서는 각 그룹마다 가장 점수가 높은 1명이, 결승에서는 [[하츠네 미쿠의 소실]]과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대회에서 첫공개하는 과제곡]]으로 붙어 2곡을 합해 가장 높은 점수를 가진 참가자가 우승을 하게 된다. === 대회 과제곡 === ||<-3>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온라인 예선 과제곡''' || ||<|3> '''1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열등상등]] || 30 || || [[로키(VOCALOID 오리지널 곡)|로키]] || 28 || ||<|3> '''2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후회한다 쓰고 미래]] || 30 || || [[모어! 점프! 모어!]] || 31 || ||<-3><^|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예선 참가 지정 멤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레어도 || 속성 || 멤버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큐트)] || [[하츠네 미쿠(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모두가 아는 가수] 하츠네 미쿠|[모두가 아는 가수] 하츠네 미쿠]]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미스테리어스)] || [[카가미네 린(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터지는 에너지!] 카가미네 린|[터지는 에너지!] 카가미네 린]]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해피)] || [[카가미네 렌(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터지는 파워풀!] 카가미네 렌|[터지는 파워풀!] 카가미네 렌]]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퓨어)] || [[메구리네 루카(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쿨 뷰티] 메구리네 루카|[쿨 뷰티] 메구리네 루카]]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쿨)] || [[MEIKO(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붉게 달려가는 선율] MEIKO|[붉게 달려가는 선율] MEIKO]]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큐트)] || [[KAITO(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원하고 푸른 선율] KAITO|[시원하고 푸른 선율] KAITO]] || ||<-3> 중 택 5 || }}}}}}}}} || ||<-3>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본선 과제곡''' || ||<|16> '''준준결승/준결승 과제곡''' || '''제목''' || '''악곡 레벨''' || || [[롤링 걸]] || 31 || || [[테오(VOCALOID 오리지널 곡)|테오]] || 32 || || [[닥터=펑크 비트]] || 32 || || [[불꽃(VOCALOID 오리지널 곡)|히바나 -Reloaded-]] || 32 || || [[탈법 록]] || 31 || || [[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 || 31 || || [[세상은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았어]] || 29 || || [[겉과 속의 러버즈]] || 30 || || [[스텔라(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텔라]] || 30 || ||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 || 30 || || [[야화 디세이브]] || 30 || || [[댄스 로봇 댄스]] || 29 || || [[생명에게 미움받고 있어]] || 29 || || [[Gimme×Gimme]] || 29 || || [[넥스트 네스트]] || 29 || ||<|3> '''결승 과제곡''' || || [[하츠네 미쿠의 소실]] || '''33''' ||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ruby(???,ruby=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첫 공개곡)]]]''' || ? || 준결승 및 준준결승 과제곡들은 15곡 중에서 랜덤으로 돌려서 결정하며, 이미 사용한 곡들은 다음 추첨에서 제외된다. === 대회 진행 === [include(틀:영상 정렬, url=P8QTYVL-JS8)] ||<-2>
'''대회 타임 스탬프''' || || 29:15~ || 준준결승 || || 1:59:50~ || 준결승 || || 2:50:21~ || 결승 || ==== 본선(준준결승~준결승) ==== ||<-7>
'''준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り''' || '''ピジャも''' || '''ひなた''' || '''774''' || '''α*Bimi''' || || 1차전 || '''[[세상은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았어]]''' || '''3079''' || '''3079''' || 3078 || '''3079''' || 1833 || || 2차전 || '''[[불꽃(VOCALOID 오리지널 곡)|히바나 -Reloaded-]]''' || '''3171''' || 3161 || '''3171''' || 3128 || 2395 || ||<-2> 합계 || '''6250''' || 6240 || '''6249''' || 6207 || 4228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Eons''' || '''ろら''' || '''あおれん''' || '''瑠璃''' || '''ごろ~''' || || 1차전 || '''[[스텔라(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텔라]]''' || 3564 || 3569 || 3568 || '''3570'''[*AP ALL PERFECT] || 3559 || || 2차전 || '''[[롤링 걸]]''' || '''4187''' || 4186 || 4172 || '''4187''' || 4184 || ||<-2> 합계 || 7751 || '''7755''' || 7740 || '''7757''' || 7743 || ||<-7> || ||<-7> '''그룹 C''' || ||<-2> '''과제곡''' || '''HPS''' || '''γ''' || '''ヱ''' || '''しの''' || '''みーのくん''' || || 1차전 || '''[[겉과 속의 러버즈]]''' || '''3453'''[*AP] || 3438 || 3444 || 3448 || 3446 || || 2차전 || '''[[댄스 로봇 댄스]]''' || '''3171'''[*AP] || 3158 || 3169 || 3165 || 3168 || ||<-2> 합계 || '''6624''' || 6596 || 6613 || 6613 || '''6614''' || ||<-7> || ||<-7> '''그룹 D''' || ||<-2> '''과제곡''' || '''がう。''' || '''プリン''' || '''こっぺ''' || '''イカっち''' || '''な~の''' || || 1차전 || '''[[Gimme×Gimme]]''' || 2719 || 2718 || 2717 || 2698 || '''2720''' || || 2차전 || '''[[탈법 록]]''' || '''3425''' || 3421 || 3424 || 3424 || 3424 || ||<-2> 합계 || '''6144''' || 6139 || 6141 || 6122 || '''6144''' || ||<-7> || ||<-7> '''그룹 E''' || ||<-2> '''과제곡''' || '''Lewisi4''' || '''U咲''' || '''おきとり''' || '''たくあん''' || '''マギサ''' || || 1차전 || '''[[야화 디세이브]]''' || 3929 || 3928 || '''3933'''[*AP] || 3932 || 3924 || || 2차전 || '''[[넥스트 네스트]]''' || 3387 || 3391 || '''3392''' || 3391 || 3388 || ||<-2> 합계 || 7316 || 7319 || '''7325''' || '''7323''' || 7312 || ||<-7>
'''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り''' || '''瑠璃''' || '''みーのくん''' || '''な~の''' || '''たくあん''' || || 1차전 || '''[[닥터=펑크 비트]]''' || 3591 || '''3594'''[*AP] || 3584 || 3583 || 3593 || || 2차전 || '''[[테오(VOCALOID 오리지널 곡)|테오]]''' || 3659 || '''3660''' || 3656 || 3649 || 3659 || ||<-2> 합계 || 7250 || '''7254''' || 7240 || 7232 || 7252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ひなた''' || '''ろら''' || '''HPS''' || '''がう。''' || '''おきとり''' || || 1차전 || '''[[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 || '''3275''' || 3270 || '''3275''' || 3274 || 3273 || || 2차전 ||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 || 4112 || 4120 || '''4121''' || 4112 || '''4121''' || ||<-2> 합계 || 7387 || 7390 || '''7396''' || 7386 || 7394 || ==== 결승 및 결과 ==== ||<-4>
'''결승 결과''' || ||<-2> '''결승 과제곡''' || '''瑠璃''' || '''HPS''' || || 1차전 || '''[[하츠네 미쿠의 소실]]''' || '''4971''' || 4958 || ||<|2> 2차전 ||<-3> {{{-2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첫 공개곡}}} ||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천본앵]] {{{-1 {{{#purple MASTER 31}}}}}}''' || '''3759''' || 3735 || ||<-2> '''총점''' || '''8730''' || 8693 || 결승전에는 瑠璃 선수와 HPS 선수가 진출하여 맞붙었으며, 과제곡은 하츠네 미쿠의 소실과 천본앵 두곡이다. 1차전에서는 모두 풀콤보를 잘 유지하고 있었으나, 소실의 마의 구간인 최후살 패턴에서 둘 다 콤보가 끊어지며 판정 싸움이 된 결과, '''13점 차로 瑠璃가 일단 앞서갔다.''' 2차전은 HPS가 극초반에 GOOD판정을 내긴 했지만 중반엔 서로 점수가 같아질 정도로 잘 따라붙고 있다가, 후반의 인식난 패턴에서 HPS는 제대로 망친 반면, 瑠璃는 '''초견에 그 패턴을 거의 완벽하게 처리하며 24점 차로 크게 차이를 벌려 우승을 확정지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RAGE우승.jpg|width=100%]]}}} || ||
RAGE 프로젝트 세카이 2020 Winter powered by AQUOS 우승자[br]{{{+1 '''瑠璃'''}}} || 瑠璃 선수는 '''진행한 모든 경기에서 1위를 놓치지 않는 경기력으로''' 당당히 초대 우승자의 자리에 올라서게 되었다. 특히 32레벨인 닥터=펑크 비트에서 AP를 기록하는 모습이나 신곡에서 단 1MISS만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당시 경기를 지켜보던 모든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HPS 선수는 첫 등장 당시, 만 13세라는 나이에 예선 3위 통과로 본선에 합류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준준결승에서는 '''2연속 AP'''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실력을 확실히 뽐내며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瑠璃 선수에게 2곡 모두 패배하면서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경기 외적으로는, 기존에도 [[섀도우버스]]와 [[Apex 레전드]]의 대회를 개최해왔던 RAGE의 주관으로 트러블 없이, 깔끔한 진행을 보여주며 프로젝트 세카이 첫 공식 e스포츠 대회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 ||<-3>
{{{+1 '''プロジェクトセカイ Championship 2021 Autumn'''}}}[br]{{{-1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챔피언십일러.jpg|width=100%]]}}} || || 지역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일본]] || || 일정 ||<-2> 2021년 8월 21일 ~ 2021년 9월 26일 || ||<|2> 방식 || 예선 || 온라인 || || 본선(준준결승~결승) || 오프라인 || || 진행 ||<-2> 시바타 쇼헤이, [[나카시마 유키]], [[야시로 키즈쿠]] || || 주관 ||<-2> [[세가|[[파일:세가 로고.svg|width=100]]]] [[파일:logo_colorfulpalette.jpg|width=100]] || ||<|3> 상금·상품 ||<-2> 총 상금 13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우승 || 10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준우승 || 3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공식 사이트 ||<-2> [[https://pjsekai.sega.jp/championship2021/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송출 ||<-2> [[https://live.nicovideo.jp/watch/lv333647154|[[파일:니코니코 생방송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VrLQ3VpBaX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broadcasts/1ynJOZEgjjWGR, 크기=24)] || || 우승 ||<-2> たくあん || === 설명 === 2021년 8월 21일부터[* 온라인 예선, 1차는 23일까지, 2차는 28일부터 30일까지] 9월 26일까지 개최되는 [[프로세카]]의 두번째 온·오프라인 공식 대회이며, 스폰서 없이 [[세가]]와 Colorful Palette에서 개최하는 총 상금 130만엔이 걸린 첫 대회이다. === 과정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일정''' || || 1차 예선 || 2021년 8월 21일[br]2021년 8월 23일 || 500명 진출 || || 2차 예선 || 2021년 8월 28일[br]2021년 8월 30일 || 23명+지난 대회 결승 진출자 진출 || || 준준결승 ||<|3> 2021년 9월 26일 || 10명 진출 || || 준결승(승자전,패자전,대표결정전) || 승자전 1명, 대표결정전 1명 총 2명 진출 || || 결승 || 우승자 결정 || 1차예선과 2차예선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과제곡과 지정 유닛 멤버로 플레이해야만 참가가 가능하다. 빠르게 과제곡으로 판정 신기록을 세워야 진출할 확률이 높아지며, 1차는 500명, 2차는 25명으로 좁아진다. 이후 대회장에서 준준결승 부터 결승까지 하루만에 진행하며, 기기는 대회에서 대여하는 [[아이패드]]나 자신의 기기[* 스마트폰 포함]로 사용이 가능하다. === 대회 룰 === ||<-2>
'''대회 룰''' || || '''판정''' || '''점수''' || || {{{+1 {{{#!html PERFECT}}}}}} || +3 || || {{{+1 {{{#!html GREAT}}}}}} || +2 || || {{{+1 {{{#!html GOOD}}}}}} || +1 || || {{{+1 {{{#!html BAD}}}}}} || 0 || || {{{+1 {{{#!html MISS}}}}}} || 0 || 대회에서는 무조건 마스터 난이도만 픽할 수 있으며, 해당 곡 채보의 '''각 노트마다의 판정×노트 수'''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노트 수가 1000인 곡에서 퍼펙트 900, 그레이트 100을 쳤을 경우 (900×3)+(100×2)=2900점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기본 방식은 이전 RAGE 대회와 동일하나 준결승에 변화점이 생겼다. 본선조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들을 '''승자조''', 2위를 차지한 선수들을 '''패자조'''로 나누어, 승자조에서 1위인 선수는 바로 결승전으로, 패자조에서 1위인 선수는 다시 승자조의 나머지 선수들과 경기를 진행하고 그 경기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가 결승에 진출한다. === 대회 과제곡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예선 과제곡''' || ||<|3> '''1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RAD DOGS]] || 29 || || [[미라클 페인트]] || 29 || ||<|4> '''2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언노운 마더 구스]] || 29 || || [[밀크 크라운 온 소네치카]] || 29 || || [[가지마(VOCALOID 오리지널 곡)|가지마]] || 29 || ||<-3><^|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예선 참가 지정 멤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레어도 || 속성 || 멤버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큐트)] || [[하츠네 미쿠(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모두가 아는 가수] 하츠네 미쿠|[모두가 아는 가수] 하츠네 미쿠]]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미스테리어스)] || [[카가미네 린(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터지는 에너지!] 카가미네 린|[터지는 에너지!] 카가미네 린]]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해피)] || [[카가미네 렌(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터지는 파워풀!] 카가미네 렌|[터지는 파워풀!] 카가미네 렌]]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퓨어)] || [[메구리네 루카(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쿨 뷰티] 메구리네 루카|[쿨 뷰티] 메구리네 루카]]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쿨)] || [[MEIKO(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붉게 달려가는 선율] MEIKO|[붉게 달려가는 선율] MEIKO]] || || [[파일:세카이 별.png|height=24]] || [include(틀:큐트)] || [[KAITO(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원하고 푸른 선율] KAITO|[시원하고 푸른 선율] KAITO]] || ||<-3> 중 택 5 || }}}}}}}}}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본선 과제곡''' || ||<|19> '''준준결승/준결승 과제곡''' || '''제목''' || '''악곡 레벨''' || || [[그린라이츠 세레나데]] || 31 || || [[월즈 엔드 댄스홀]] || 30 || || [[Brand New Day]] || 32 || || [[천사의 클로버]] || 31 || || [[브리키의 댄스]] || 29 || || [[포지티브☆댄스 타임]] || 31 || || [[날이 개길 기다려]] || 30 || || [[꽃을 노래하다]] || 30 || || [[끝없이 잿빛으로]] || 30 || || [[하츠네 미쿠의 격창]] || '''33''' || || [[터무니없는 원더즈]] || 32 || || [[지구 최후의 고백을]] || 30 || || [[모어! 점프! 모어!]] || 31 || || [[츄루리라·츄루리라·땃땃따!]] || 30 || || [[칠드런 레코드]] || 31 || || [[Glory Steady Go! ]] || 29 || || [[비터 초코 데코레이션]] || 31 || || [[magic number]] || 29 || ||<|3> '''결승 과제곡''' ||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33''' || || '''[[로스트 원의 호곡|[ruby(???,ruby=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첫 공개곡)]]]''' || ? || 준결승 및 준준결승 과제곡들은 18곡 중에서 랜덤으로 돌려서 결정하며, 이미 사용한 곡들은 다음 추첨에서 제외된다. === 대회 진행 === [include(틀:영상 정렬, url=VrLQ3VpBaXo)] ||<-2>
'''대회 타임 스탬프''' || || 25:29~ || 준준결승 || || 2:44:22~ || 준결승 || || 3:58:03~ || 결승 || ==== 본선(준준결승~준결승) ==== ||<-7>
'''준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いぬまた''' || '''たくあん''' || '''しらす''' || '''中途半端''' || '''アーリング鮫島''' || || 1차전 || '''[[천사의 클로버]]''' || 3691 || 3704 || 3689 || 3683 || 3701 || || 2차전 || '''[[magic number]]''' || 2961 || 2962 || 2960 || 2947 || 2961 || ||<-2> 합계 || 6652 || '''6666''' || 6649 || 6630 || '''6662'''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ふたばさき''' || '''wak''' || '''みどつき''' || '''く。''' || '''MiRaRii*''' || || 1차전 || '''[[포지티브☆댄스 타임]]''' || 3460 || 3450 || 3461 || 3453 || 3452 || || 2차전 || '''[[날이 개길 기다려]]''' || 3315 || 3317 || 3315 || 3315 || 3316 || ||<-2> 합계 || '''6775''' || 6767 || '''6776''' || 6768 || 6768 || ||<-7> || ||<-7> '''그룹 C''' || ||<-2> '''과제곡''' || '''はちまるご''' || '''HAKU''' || '''ruin''' || '''やとがみ''' || '''さかもちゃもちゃ!''' || || 1차전 || '''[[하츠네 미쿠의 격창]]''' || 5165 || 5163 || 5214 || 4693 || 5209 || || 2차전 || '''[[칠드런 레코드]]''' || 4495 || 4489 || 4505 || 3776 || 4502 || ||<-2> 합계 || 9660 || 9652 || '''9719''' || 8469 || '''9711''' || ||<-7> || ||<-7> '''그룹 D''' || ||<-2> '''과제곡''' || '''γ''' || '''うらべ''' || '''poko_218''' || '''θ燐酸*。''' || '''瑠璃''' || || 1차전 || '''[[끝없이 잿빛으로]]''' || 2545 || 2543 || 2540 || 2547[*AP] || 2546 || || 2차전 || '''[[츄루리라·츄루리라·땃땃따!]]''' || 4191 || 4194 || 4191 || 4200 || 4202 || ||<-2> 합계 || 6736 || 6737 || 6731 || '''6747''' || '''6748''' || ||<-7> || ||<-7> '''그룹 E''' || ||<-2> '''과제곡''' || '''ろら''' || '''ひか''' || '''F.紫菜''' || '''三田皓介''' || '''HPS''' || || 1차전 || '''[[모어! 점프! 모어!]]''' || 3765 || 3769 || 3755 || 3766 || 3756 || || 2차전 || '''[[Brand New Day]]''' || 3921 || 3916 || 3923 || 3948[*AP] || 3942 || ||<-2> 합계 || 7686 || 7685 || 7678 || '''7714''' || '''7698''' || ||<-7>
'''준결승 결과''' || ||<-7> '''패자전''' || ||<-2> '''과제곡''' || '''アーリング鮫島''' || '''ふたばさき''' || '''さかもちゃもちゃ!''' || '''θ燐酸*。''' || '''HPS''' || || 1차전 || '''[[지구 최후의 고백을]]''' || 3491 || 3490 || 3489 || 3471 || 3492[*AP] || || 2차전 || '''[[터무니없는 원더즈]]''' || 3665 || 3667 || 3652 || 3658 || 3671 || ||<-2> 합계 || 7156 || 7157 || 7141 || 7129 || '''7163''' || ||<-7> || ||<-7> '''승자전''' || ||<-2> '''과제곡''' || '''たくあん''' || '''みどつき''' || '''ruin''' || '''瑠璃''' || '''三田皓介''' || || 1차전 || '''[[브리키의 댄스]]''' || 2900 || 2900 || 2895 || 2900 || 2901[*AP] || || 2차전 || '''[[비터 초코 데코레이션]]''' || 4128 || 4130 || 4130 || 4131[*AP] || 4131[*AP] || ||<-2> 합계 || 7028 || 7030 || 7025 || 7031 || '''7032''' || ||<-7> || ||<-7> '''대표결정전''' || ||<-2> '''과제곡''' || '''たくあん''' || '''みどつき''' || '''ruin''' || '''瑠璃''' || '''HPS''' || || 1차전 || '''[[그린라이츠 세레나데]]''' || 3520 || 3520 || 3515 || 3519 || 3519 || || 2차전 || '''[[월즈 엔드 댄스홀]]''' || 3132[*AP] || 3131 || 3132[*AP] || 3127 || 3131 || ||<-2> 합계 || '''6652''' || 6651 || 6647 || 6646 || 6650 || ==== 결승 및 결과 ==== ||<-4>
'''결승 결과''' || ||<-2> '''결승 과제곡''' || '''三田皓介''' || '''たくあん''' || || 1차전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3848 || '''3853''' || ||<|2> 2차전 ||<-3> {{{-2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첫 공개곡}}} || || '''[[로스트 원의 호곡]] {{{-1 {{{#purple MASTER 32}}}}}}''' || 3450 || '''3458''' || ||<-2> '''총점''' || 7298 || '''7311''' || 1차전 곡은 육조년. 三田皓介가 후반부 발광 인식난 패턴에서 2MISS를 내는 사이, '''たくあん이 풀콤보를 쳐내는데에는 성공했으나,''' 三田皓介도 세부 판정은 좋았던 것인지, 5점 차이로 생각보다 큰 점수 차이는 나지 않았다. 결국 거의 대등한 상황에서 승부의 향방은 2차전 곡인 로스트 원의 호곡. 초견임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 모두 상당히 잘 처리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三田皓介는 たくあん보다 곡 중간중간에 GREAT 판정이 나온 빈도가 많았고, 그 결과 결국 차이를 좁히지 못하며 그대로 '''たくあん이 우승을 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CS2021우승.jp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1 Autumn 우승자[br]{{{+1 '''たくあん'''}}} || たくあん 선수는 지난 대회보다도 더욱 성장한 실력을 보여주며 대표결정전에서는 지난 대회에서 자신을 탈락시켰던 瑠璃를 꺾고 결승 진출, 결승전에서는 이번 대회 내내 최고의 폼을 보여줬던 三田皓介를 상대로도 승리하며 우승자의 자리에 올라서게 되었다. 특히 결승에서 기록한 육조년 FC는 이후 2023년 봄에 깨질 때까지 '''대회 역사상 최고 레벨 FC 기록으로 남았다.''' 三田皓介 선수는 Brand New Day에서 AP를 기록하며 '''HPS를 패배조로 보내버리는''' 업셋을 성공시키더니, 승자전에서 2연속 AP를 기록, 총 '''3연속 AP를 달리며 제일 먼저 결승에 올라갔으나,''' 각성한 たくあん에게 2곡 모두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며, [[북산엔딩]]을 맞게 되었다. 경기 외적으로는, 애니버서리 이벤트의 컨텐츠 형식으로 개최된 대회이다 보니, 처음으로 유관중으로 진행된 대회로, 상당한 호응을 얻었다. 그리고 스폰서 없이 단독으로 개최된 대회인데, 이번에도 깔끔한 진행을 보여주며 대회를 포함한 이벤트 전체를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 ||<-3>
{{{+1 '''プロジェクトセカイ Championship 2022 Spring powered by ヴァイスシュヴァルツ'''}}}[br]{{{-1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2022CS일러.jpg|width=100%]]}}} || || 지역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일본]] || || 일정 ||<-2> 2022년 2월 25일 ~ 2022년 4월 30일 || ||<|2> 방식 || 예선 || 온라인 || || 본선(준준결승~결승) || 오프라인 || || 진행 ||<-2> 마츠마루 료고, [[사토 히나타]], 시바타 쇼헤이, [[야시로 키즈쿠]] || || 주관 ||<-2> [[세가|[[파일:세가 로고.svg|width=100]]]] [[파일:logo_colorfulpalette.jpg|width=100]] || || 스폰서 ||<-2> [[바이스 슈바르츠]], [[https://www.cupnoodle.jp/|컵누들]] || ||<|3> 상금·상품 ||<-2> 총 상금 13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우승 || 10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준우승 || 3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공식 사이트 ||<-2> [[https://pjsekai.sega.jp/championship2022spring/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송출 ||<-2> [[https://youtu.be/aq8-3XKKI0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broadcasts/1vOxwyAXWpLGB, 크기=24)] || === 설명 === 이번 대회부터 일본 국적이 아닌 선수도 참여 가능하게 되었다. 실제 4월 30일 본선 출전 선수 중 한명은 한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당시에 비즈니스,영주자 등 관련된 것이 있어야만 입국이 가능했으므로 한국 참가자는 흥행 비자를 받고 입국 했을 것으로 보인다. === 일정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일정''' || || 1차 예선 || 2022년 2월 25일[br]~2022년 2월 28일 || 200팀 진출 || || 2차 예선 || 2022년 3월 4일[br]~2022년 3월 7일 || 6팀+시드 진출자가 포함된 2팀 진출 || || 준준결승 ||<|3> 2022년 4월 30일 || 4팀 진출 || || 준결승 || 2팀 진출 || || 결승 || 우승팀 결정 || === 대회 룰 === ||<-2>
'''대회 룰''' || || '''판정''' || '''점수''' || || {{{+1 {{{#!html PERFECT}}}}}} || +3 || || {{{+1 {{{#!html GREAT}}}}}} || +2 || || {{{+1 {{{#!html GOOD}}}}}} || +1 || || {{{+1 {{{#!html BAD}}}}}} || 0 || || {{{+1 {{{#!html MISS}}}}}} || 0 || 이번에는 3인 1조의 팀전으로 진행되며 게임 내 대회 모드를 이용한 팀원 3인의 합산 점수로 진출팀을 선발한다. 본선은 주어진 9곡 중에서 각 팀이 2곡씩 밴한 다음 각 팀당 1곡씩 선곡+랜덤 선곡 1곡으로 스코어의 합이 높은 팀이 승리한다. 결승에는 3곡에 추가로 첫 공개곡을 합쳐 4곡으로 승부를 겨룬다. 단 네번째 곡은 팀 대표 1명만 플레이한다. 작년 CSautumn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던 三田皓介가 갑작스럽게 은퇴하는 바람에 力팀에서 공백이 생기게 되었고, 이후 DOLCE.杯에서 우승한 かん이 대신 참가했다. 현재 三田皓介는 복귀해서 조용히 유튜브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三田皓介의 CS복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三田皓介는 과거의 도박 행위가 밝혀지면서 은퇴를 했던건데 참가 자격중 "선수는 국가의 법률에 따른 불법 행위 또는 범죄 행위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과거 또는 현재의 불법 또는 범죄 행위에 연루된 적이 없어야 한다." 라는 문항에 걸리기 때문.] === 과제곡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온라인 예선 과제곡''' || ||<|3> '''1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잭팟 새드 걸]] || 29 || || [[KING(VOCALOID 오리지널 곡)|KING]] || 29 || ||<|4> '''2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STAGE OF SEKAI]] || 30 || || [[악마가 춤추는 법]] || 30 || || [[천사의 클로버]] || 31 || 게임 내 대회 모드에서는 멤버의 스킬이나 콤보 보너스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엔트리 조건 카드가 없다. === 대회 진행 === [include(틀:영상 정렬, url=aq8-3XKKI0c)] ||<-2>
'''대회 타임 스탬프''' || || 25:29~ || 준준결승 || || 2:44:22~ || 준결승 || || 3:58:03~ || 결승 || ==== 준준결승 ==== ||<-3>
'''준준결승 결과''' || ||<-3> '''1경기''' || || '''Rb老人会''' || vs || '''板''' || || [[그랬지!!|[[파일:소닷타_sekai.png|width=40px]]]] [[끝없이 잿빛으로|[[파일:잿빛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베놈(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베놈_sekai.png|width=40px]]]] [[식 오브 하우스!|[[파일:식오하_sekai.png|width=40px]]]] || || [[라스트 스코어|[[파일:라스트스코어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거품 미래|[[파일:泡沫未来.webp|width=40px]]]] || || かんぱり ||<|2> '''[[라스트 스코어]]''' || あべゆー || || '''3570'''[*AP] || 3568 || || はく ||<|2> '''[[거품 미래]]''' || アージュ || || '''2706''' || 2704 || || きゃいと ||<|2> '''[[휴대연화]]''' || すとら || || 3392 || '''3393'''[*AP] || || '''9668''' || 총점 || 9665 || ||<-3> || ||<-3> '''2경기''' || || '''力''' || vs || '''我らQAP部☆''' || || [[보카 델라 베리타|[[파일:보카델라베리타_sekai.png|width=40px]]]] [[빌런(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빌런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브리키의 댄스|[[파일:브리키의댄스_sekai.png|width=40px]]]] [[미라클 페인트|[[파일:미라클 페인트_sekai.png|width=40px]]]] || || [[댄스 로봇 댄스|[[파일:댄스로봇댄스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픽서(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픽서_sekai.png|width=40px]]]] || || たくあん ||<|2> '''[[픽서(VOCALOID 오리지널 곡)|픽서]]''' || sprite_Q部 || || 3350 || '''3354'''[*AP] || || マギサ ||<|2> '''[[댄스 로봇 댄스]]''' || がう。_Q部 || || '''3171'''[*AP] || 3168 || || かん ||<|2> '''[[생명에게 미움받고 있어.]]''' || プリン_Q部 || || '''2931''' || 2927 || || '''9452''' || 총점 || 9449 || ||<-3> || ||<-3> '''3경기''' || || '''オ!!!イ!!!''' || vs || '''俺たちがRAGE決勝出場者(?)''' || || [[텔레캐스터 비보이|[[파일:비보이_sekai.png|width=40px]]]] [[needLe|[[파일:needLe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가지마(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이카나이데_sekai.png|width=40px]]]] [[빙그레^^조사대의 테마|[[파일:닛코리_sekai.png|width=40px]]]] || || [[유성의 펄스|[[파일:유성의펄스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파일: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_sekai.png|width=40px]]]] || || ひた ||<|2> '''[[유성의 펄스]]''' || 腐食 || || 3365 || '''3369'''[*AP] || || かるりーる ||<|2> '''[[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 || 瑠璃 || || 3266 || '''3272''' || || warren ||<|2> '''[[Glory Steady Go!]]''' || HPS || || '''2624''' || 2621 || || 9255 || 총점 || '''9262''' || ||<-3> || ||<-3> '''4경기''' || || '''#チーム名募集''' || vs || '''ねてる''' || || [[밀크 크라운 온 소네치카|[[파일:소네치카_sekai.jpg|width=40px]]]] [[RAD DOGS|[[파일:RAD DOGS.webp|width=40px]]]] ||<#B64B46> '''BAN''' || [[시네마(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파일:Ayase 시네마.png|width=40px]]]] [[Happy Halloween|[[파일:해피할로윈_sekai.png|width=40px]]]] || || [[지구 최후의 고백을|[[파일:지구최후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모어! 점프! 모어!|[[파일:나유탄 성인 모어! 점프! 모어!.webp|width=40px]]]] || || MiRaRii* ||<|2> '''[[모어! 점프! 모어!]]''' || はちまるご || || 3767 || '''3769''' || || しの ||<|2> '''[[지구 최후의 고백을]]''' || ひなたさん || || 3487 || '''3491''' || || 燐酸*。 ||<|2> '''[[열등상등]]''' || みーのくん || || '''2854''' || 2852 || || 10108 || 총점 || '''10112''' || ==== 준결승 ==== ||<-3>
'''준결승 결과''' || ||<-3> '''1경기''' || || '''Rb老人会''' || vs || '''力''' || || [[포지티브☆댄스 타임|[[파일:포지티브댄스타임_sekai.png|width=40px]]]] [[쇼타임 룰러|[[파일:쇼타임룰러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불꽃(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불꽃_sekai.png|width=40px]]]] [[Brand New Day|[[파일:브랜뉴데이_sekai.png|width=40px]]]] || || [[얼터 에고(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얼터에고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비터 초코 데코레이션|[[파일:비터초코_sekai.png|width=40px]]]] || || かんぱり ||<|2> '''[[비터 초코 데코레이션]]''' || たくあん || || '''4129''' || 4128 || || きゃいと ||<|2> '''[[얼터 에고(VOCALOID 오리지널 곡)|얼터 에고]]''' || マギサ || || 4667 || '''4669''' || || はく ||<|2> '''[[아지랑이 데이즈]]''' || かん || || 4208 || '''4210''' || || 13004 || 총점 || '''13007''' || ||<-3> || ||<-3> '''2경기''' || || '''俺たちがRAGE決勝出場者(?)''' || vs || '''ねてる''' || || [[탈법 록|[[파일:탈법 록_sekai.png|width=40px]]]]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천본앵_sekai.webp|width=40px]]]] ||<#B64B46> '''BAN''' || [[테오(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테오_sekai.jpg|width=40px]]]] [[롤링 걸|[[파일:롤링걸_sekai.png|width=40px]]]] || || [[칠드런 레코드|[[파일:칠드런레코드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파일:정키나이트_sekai.jpg|width=40px]]]] || || HPS ||<|2> '''[[칠드런 레코드]]''' || はちまるご || || '''4503''' || 4499 || || 腐食 ||<|2>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 || みーのくん || || 4113 || '''4122'''[*AP] || || 瑠璃 ||<|2> '''[[츄루리라·츄루리라·땃땃따!]]''' || ひなたさん || || '''4203'''[*AP] || 4202 || || 12819 || 총점 || '''12823''' || ==== 결승 및 결과 ==== ||<-3>
'''결승 결과''' || || '''力''' || vs || '''ねてる''' || || [[닥터=펑크 비트|[[파일:닥터=펑크 비트_sekai.jpg|width=40px]]]] [[고스트 룰|[[파일:고스트룰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하츠네 미쿠의 소실|[[파일:하츠네미쿠의소실_sekai.jpg|width=40px]]]] [[머신건 포엠 돌|[[파일:머신건_sekai.png|width=40px]]]] ||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파일:육조년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터무니없는 원더즈|[[파일:トンデモワンダーズ.webp|width=40px]]]] || || たくあん ||<|2>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ひなたさん || || '''3846''' || 3830 || || マギサ ||<|2> '''[[터무니없는 원더즈]]''' || みーのくん || || 3628 || '''3653''' || || かん ||<|2> '''[[하츠네 미쿠의 격창]]''' || はちまるご || || '''5213''' || 5156 || ||<-3> {{{-2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첫 공개곡}}} || || たくあん ||<|2> '''[[뇌장작렬 걸]][br]{{{-1 {{{#purple MASTER 32}}}}}}''' || ひなたさん || || '''4478''' || 4474 || || '''17165''' || 총점 || 17113 || 力팀은 육조년, ねてる팀은 터무니없는 원더즈를 골랐고, 랜덤은 하츠네 미쿠의 격창이 나왔다. 1차전은 지난 대회에서 육조년을 해봤던 たくあん과 ひなたさん의 대결. たくあん이 계속 콤보를 이어가며 이번에도 풀콤보를 기록하나 싶었지만, 극후반에 2MISS가 나오고 말았다. 그래도 '''たくあん이 16점차를 벌리며 일단 기선제압을 했다.''' 2차전은 マギサ와 みーのくん의 대결. 두 사람 모두 판정을 많이 흘렸는데, マギサ는 아예 곡 초반부터 끝까지 판정을 흘리면서 앞선 '''たくあん의 육조년 보다 더 좋지 않은 판정이 나와버리며 25점 차로 대패했다. 총 스코어는 9점차로 ねてる가 역전.''' 3차전은 かん과 はちまるご의 대결. 곡이 격창이었기 때문에, 후살에서 누가 판정을 좋게 가져가냐의 싸움이 예상되었으나.. かん은 격창이 자신의 특기 악곡이라고 했던걸 증명이라도 하듯 '''후살 구간에서 단 1MISS, 단발에 총 10GREAT 1MISS라는 미친 기록을 뽑아내며, 57점차로 대승, 총 스코어 48점차로 재역전을 시킴과 동시에 거의 우승에 쐐기를 박았다.'''[* 이 차이는 AP를 했을 때 상대가 16MISS를 해야 겨우 동점이 되는 엄청나게 큰 격차다.] 초견 매치는 たくあん과 ひなたさん의 리매치. 신곡인 뇌장작렬 걸은 인식난이 섞인 폭타와 플릭 발광 패턴이 주를 이루는 곡이었다. 하지만 48점이라는 격차를 초견 매치를 경험해봤던 たくあん를 상대로 뒤집기에는 무리였고, 심지어 たくあん이 처리를 더 잘하면서 신곡 대전에서도 ねてる팀은 차이를 좁히기는 커녕 더 벌리는 결과를 만들면서 '''力팀이 우승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 챔피언십 2022 스프링 우승팀.jp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Spring 우승팀[br]{{{-2 かん | たくあん | マギサ}}}[br]{{{+1 '''力'''}}} || たくあん 선수는 준준결승과 준결승에서는 팀을 열세로 몰고 갔지만, 큰 차이는 아니였고 무엇보다 결승에서만큼은 제대로 역할을 수행해주며 점수 차이를 잘 벌어다 주었다. 그 결과 처음 개최된 팀전에서도 우승하는데 성공하여 최초로 '''2회 우승 및 2연패 기록을 달성하였다.''' マギサ 선수는 결승전의 터무니없는 원더즈를 제외하면 앞 차례의 たくあん이 만들어 놓은 열세를 심화시키지 않고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는 꽤 좋은 활약을 펼치며 팀의 우승에 공헌했다. かん 선수는 준준결승의 생명에게 미움받고 있어에서는 6점 실점이라는 결과를 냈지만, 결과는 승리하게 되면서 '''모든 경기를 전승으로 끝마쳤다.''' 특히 결승전에서 하츠네 미쿠의 격창에서 차력쇼를 열어버리며 말도 안되는 스코어로 팀의 우승에 큰 기여를 했다. 지금까지 대회 진행 중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결승 신곡 매치 도중 ひなたさん의 기기가 끊겨 경기가 지연되는 일이 발생했다.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Autumn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 ||<-3>
{{{+1 '''プロジェクトセカイ Championship 2022 Autumn powered by ヴァイスシュヴァルツ'''}}}[br]{{{-1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Autumn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2022가을CS일러.jpg|width=100%]]}}} || || 지역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일본]] || || 일정 ||<-2> 2022년 9월 15일 ~ 2022년 11월 26일 || ||<|2> 방식 || 예선 || 온라인 || || 본선(준준결승~결승) || 오프라인 || || 진행 ||<-2> 오타 히로히사, [[혼이즈미 리나]], 시바타 쇼헤이, [[야시로 키즈쿠]] || || 주관 ||<-2> [[세가|[[파일:세가 로고.svg|width=100]]]] [[파일:logo_colorfulpalette.jpg|width=100]] || || 스폰서 ||<-2> [[바이스 슈바르츠]], [[https://shibuya-scramble-figure.com/|SHIBUYA SCRAMBLE FIGURE]] || ||<|4> 상금·상품 ||<-2> 총 상금 15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우승 || 10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준우승 || 3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4강 진출 || 1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공식 사이트 ||<-2> [[https://pjsekai.sega.jp/championship2022autumn/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송출 ||<-2> [[https://youtu.be/3yYixwkgtd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broadcasts/1dRKZMyQZvwxB, 크기=24)] || === 설명 === 2022년 가을에 2번째로 개최되는 프로젝트 세카이의 e스포츠 대회. 원래 2022년 8월 5일부터 1차 예선을 진행하여 2022년 10월 15일에 본선을 진행하는 일정이었으나[* 만약 제대로 진행되었다면 [[KONAMI|타사]]의 리듬게임 대회인 [[BPL S2]]의 [[BEMANI PRO LEAGUE SEASON 2/beatmania IIDX|beatmania IIDX]] 종목 [[BEMANI PRO LEAGUE SEASON 2/beatmania IIDX/결승전|결승전]]과 겹치게 되는 날이었다.], 게임 내 판정 세분화 업데이트가 원인이 되어 게임 내에서 버그가 생겨 일정이 뒤로 밀리게 되었다. 1차, 2차 예선이 아닌 예선을 2번에 걸쳐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일정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Autumn 일정''' || || 예선 1회차 || 2022년 9월 15일[br]~2022년 9월 17일 ||<|2> 예선 진행 후[br]상위 7팀+ 지난 대회 우승팀 진출 || || 예선 2회차 || 2022년 9월 18일[br]~2022년 9월 20일 || || 준준결승 ||<|3> 2022년 11월 26일 || 4팀 진출 || || 준결승 || 2팀 진출 || || 결승 || 우승팀 결정 || === 대회 룰 === ||<-2>
'''대회 룰''' || || '''판정''' || '''점수''' || || {{{+1 {{{#!html PERFECT}}}}}} || +3 || || {{{+1 {{{#!html GREAT}}}}}} || +2 || || {{{+1 {{{#!html GOOD}}}}}} || +1 || || {{{+1 {{{#!html BAD}}}}}} || 0 || || {{{+1 {{{#!html MISS}}}}}} || 0 || 이번에도 3인 1조의 팀전으로 진행되며 게임 내 대회 모드를 이용한 팀원 3인의 합산 점수로 진출팀을 선발한다. 본선은 주어진 9곡 중에서 각 팀이 2곡씩 밴한 다음 각 팀당 1곡씩 선곡+랜덤 선곡 1곡으로 스코어의 합이 높은 팀이 승리한다. 결승에는 3곡에 추가로 첫 공개곡을 합쳐 4곡으로 승부를 겨룬다. 단 네번째 곡은 팀 대표 1명만 플레이한다. === 과제곡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Autumn 온라인 예선 과제곡''' || || '''제목''' || '''악곡 레벨''' || || [[지구 최후의 고백을]] || 31 || || [[얼터 에고(VOCALOID 오리지널 곡)|얼터 에고]] || 31 || || [[비터 초코 데코레이션]] || 31 || 예선 1회차,2회차 모두 위의 3곡으로 진행하며, 1회차와 2회차 점수 중 높은 스코어를 기록한 쪽을 예선 점수로 기록한다. 게임 내 대회 모드에서는 멤버의 스킬이나 콤보 보너스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엔트리 조건 카드가 없다. 지난 대회와는 다르게 [[https://pjsekai.sega.jp/championship2022autumn/rule/index.html|본선 과제곡]]이 공개되었다. 경기당 9곡이 배정되기 때문에 총 63개의 곡이 선정되었으며, 난이도는 30~35레벨이다. 이번에도 게키! 츄마이 콜라보 곡은 과제곡으로 등장하지 않았다. === 대회 진행 === [include(틀:영상 정렬, url=3yYixwkgtdc)] ||<-2>
'''대회 타임 스탬프''' || || 25:26~ || 준준결승 || || 3:08:38~ || 준결승 || || 4:21:37~ || 결승 || ==== 준준결승 ==== ||<-3>
'''준준결승 결과''' || ||<-3> '''1경기''' || || '''E.D.N''' || vs || '''unofficial club''' || || [[마트료시카(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마트료시카_sekai.png|width=40px]]]] [[달링 댄스|[[파일:달링댄스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샐러맨더(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파일:샐러맨더_sekai.png|width=40px]]]] [[쇼타임 룰러|[[파일:쇼타임룰러_sekai.png|width=40px]]]] || || [[포지티브☆댄스 타임|[[파일:포지티브댄스타임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열등상등|[[파일:열등상등_sekai.jpg|width=40px]]]] || || ヱ*XnC ||<|2> '''[[포지티브☆댄스 타임]]''' || matezon || || 3456 || '''3461''' || || つきしろ ||<|2> '''[[열등상등]]''' || ヒグルース || || '''2856'''[*AP ] || 2855 || || り ||<|2> '''[[피아노×포르테×스캔들]]''' || ぐれいしあ || || '''3426'''[*AP ] || 3425 || || 9738 || 총점 || '''9741''' || ||<-3> || ||<-3> '''2경기''' || || '''ちから''' || vs || '''才能'''[* 2022 가을 대회 유일 '''한국''' 팀이다.] || || [[밀크 크라운 온 소네치카|[[파일:소네치카_sekai.jpg|width=40px]]]] [[스텔라(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파일:스텔라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Awake Now|[[파일:Awake Now_sekai.png|width=40px]]]] [[끝없이 잿빛으로|[[파일:잿빛_sekai.png|width=40px]]]] || || [[미완성 찬가|[[파일:미완성찬가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픽서(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픽서_sekai.png|width=40px]]]] || || マギサ ||<|2> '''[[미완성 찬가]]''' || REN || || '''4755'''[*AP ] || 4752 || || たくあん ||<|2> '''[[픽서(VOCALOID 오리지널 곡)|픽서]]''' || 花念 || || '''3353''' || 3347 || || かん ||<|2> '''[[식 오브 하우스!]]''' || STK || || 3939[*AP ] || 3939[*AP ] || || '''12047''' || 총점 || 12038 || ||<-3> || ||<-3> '''3경기''' || || '''QAP部''' || vs || '''Citrus Harmony''' || || [[후회한다 쓰고 미래|[[파일:후회한다쓰고미래_sekai.png|width=40px]]]] [[RAD DOGS|[[파일:RAD DOGS.webp|width=40px]]]] ||<#B64B46> '''BAN''' || [[탈법 록|[[파일:탈법 록_sekai.png|width=40px]]]] [[겉과 속의 러버즈|[[파일:겉속러버즈_sekai.png|width=40px]]]] || || [[ONESELF|[[파일:원셀프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오른 어깨의 나비|[[파일:우견의나비_sekai.png|width=40px]]]] || || プリン_Q部 ||<|2> '''[[ONESELF]]''' || みちるまま || || 3488 || 3488 || || がう。_Q部 ||<|2> '''[[오른 어깨의 나비]]''' || しの || || 3944 || 3944 || || sprite_Q部 ||<|2> '''[[번질번질]]''' || MiRaRii* || || '''3786'''[*AP ] || 3785 || || '''11218''' || 총점 || 11217 || ||<-3> || ||<-3> '''4경기''' || || '''きらきらろっじ''' || vs || '''腐瑠八''' || || [[악마가 춤추는 법|[[파일:악마가춤추는법_sekai.png|width=40px]]]] [[날이 개길 기다려|[[파일:날이개길_sekai.webp|width=40px]]]] ||<#B64B46> '''BAN''' || [[코스모 스파이스|[[파일:코스모스파이스_sekai.png|width=40px]]]] [[월즈 엔드 댄스홀|[[파일:댄스홀_sekai.webp|width=40px]]]] || || [[굿바이 선언|[[파일:グッバイ宣言.webp|width=40px]]]] ||<#3382D0> '''PICK''' || [[너의 색깔 마린 스노우|[[파일:마린스노우_sekai.png|width=40px]]]] || || ねこ ||<|2> '''[[굿바이 선언]]''' || 腐食 || || 3767 || '''3775''' || || Lodge ||<|2> '''[[너의 색깔 마린 스노우]]''' || 瑠璃 || || 4244 || '''4245'''[*AP ] || || かもめ ||<|2> '''[[빙그레^^조사대의 테마]]''' || HPS || || 3581 || '''3585'''[*AP ] || || 11592 || 총점 || '''11605''' || 준준결승 2경기는 당시 33~36레벨의 곡 전부 AP를 기록한 선수가 양 팀 합쳐서 4명이 있었기에, 미리보는 결승전으로 취급됐던 경기이다. 하지만 ちから팀이 총합 1실점이라는 말도 안되는 경기력을 보여주기도 했고, 긴장과 대회 경험이 발목을 잡아버린 탓인지 才能팀은 꽤 많이 무너지며 싱겁게 ちから팀의 승리로 끝났다. ==== 준결승 ==== ||<-3>
'''준결승 결과''' || ||<-3> '''1경기''' || || '''unofficial club''' || vs || '''ちから''' || || [[그린라이츠 세레나데|[[파일:그린라이츠_sekai.webp|width=40px]]]] [[천본앵|[[파일:천본앵_sekai.webp|width=40px]]]] ||<#B64B46> '''BAN''' || [[칠드런 레코드|[[파일:칠드런레코드_sekai.png|width=40px]]]] [[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파일:모험의 서가 사라졌습니다!_sekai.png|width=40px]]]] || || [[테오(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테오_sekai.jpg|width=40px]]]] ||<#3382D0> '''PICK''' || [[불꽃(VOCALOID 오리지널 곡)|[[파일:불꽃_sekai.png|width=40px]]]] || || matezon ||<|2> '''[[테오(VOCALOID 오리지널 곡)|테오]]''' || たくあん || || '''3663'''[*AP ] || 3656 || || ヒグルース ||<|2> '''[[불꽃(VOCALOID 오리지널 곡)|불꽃]]''' || かん || || '''3179''' || 3177 || || ぐれいしあ ||<|2> '''[[버그(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버그]]''' || マギサ || || 4024 || '''4027''' || || '''10866''' || 총점 || 10860 || ||<-3> || ||<-3> '''2경기''' || || '''QAP部''' || vs || '''腐瑠八''' || || [[아지랑이 데이즈|[[파일:아지랑이 데이즈_sekai.png|width=40px]]]] [[터무니없는 원더즈|[[파일:トンデモワンダーズ.webp|width=40px]]]] ||<#B64B46> '''BAN''' || [[닥터=펑크 비트|[[파일:닥터=펑크 비트_sekai.jpg|width=40px]]]] [[로워|[[파일:로우어_sekai.png|width=40px]]]] || || [[프로일라인=비블리오테카|[[파일:프로일라인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Brand New Day|[[파일:브랜뉴데이_sekai.png|width=40px]]]] || || がう。_Q部 ||<|2> '''[[프로일라인=비블리오테카]]''' || 腐食 || || 4367 || 4367 || || プリン_Q部 ||<|2> '''[[Brand New Day]]''' || 瑠璃 || || '''3944''' || 3938 || || sprite_Q部 ||<|2> '''[[고스트 룰]]''' || HPS || || 4412 || '''4416''' || || '''12723''' || 총점 || 12721 || 1경기인 unofficial club과 [[디펜딩 챔피언]] 팀인 ちから의 대결에서 이변이 발생하여 unofficial club이 업셋을 해낸다. 그리고 이 이변은 우승으로 이어지는 길이 되었다. ==== 결승 및 결과 ==== ||<-3>
'''결승 결과''' || || '''unofficial club''' || vs || '''QAP部''' ||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파일:육조년_sekai.png|width=40px]]]] [[로스트 원의 호곡|[[파일:로스트원_sekai.png|width=40px]]]] ||<#B64B46> '''BAN''' || [[하츠네 미쿠의 소실|[[파일:하츠네미쿠의소실_sekai.jpg|width=40px]]]] [[하츠네 미쿠의 격창|[[파일:격창_sekai.png|width=40px]]]] || || [[우리들의 16bit 전쟁|[[파일:16비트_sekai.png|width=40px]]]] ||<#3382D0> '''PICK''' || [[머신건 포엠 돌|[[파일:머신건_sekai.png|width=40px]]]] || || matezon ||<|2> '''[[우리들의 16bit 전쟁]]''' || sprite_Q部 || || '''4558''' || 4540 || || ヒグルース ||<|2> '''[[머신건 포엠 돌]]''' || プリン_Q部 || || 5410 || '''5426''' || || ぐれいしあ ||<|2> '''[[뇌장작렬 걸]]''' || がう。_Q部 || || 4478 || '''4497''' || ||<-3> {{{-2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Autumn 첫 공개곡}}} || || matezon ||<|2> '''[[썩은 외도와 초콜릿]][br]{{{-1 {{{#purple MASTER 34}}}}}}''' || がう。_Q部 || || '''5199''' || 5156 || || '''19645''' || 총점 || 19619 || unofficial club팀은 우리들의 16bit 전쟁, QAP部는 머신건 포엠 돌을 픽하고, 랜덤은 뇌장작렬 걸이 나왔다. 1차전은 matezon과 sprite이 출전했다. 중후반까지 두 사람 모두 풀콤보를 이어갔으나, 후반의 고속 트릴과 인식난 트릴 패턴에 sprite가 말려버리고 matezon은 흔들리지 않고 풀콤보를 기록하며 1차전은 18점차로 끝나게 되었다. 2차전은 ヒグルース와 プリン이 출전했다. 전체적으로 폭타와 따닥이 등으로 피지컬이 필요한 곡 답게, 서로 MISS를 주고받으며 치열한 싸움이 이어졌으나, プリン이 좀 더 좋은 후반부 처리를 보여주며 16점차, 총 스코어는 2점차로 좁히며 승부를 거의 원점으로 돌렸다. 3차전은 ぐれいしあ와 がう。이 출전했다. 이전 곡들보다는 비교적 쉬운 뇌장작렬 걸이였지만 준결승에서 좀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줬던 ぐれいしあ가 이번에도 안정감을 발휘하지 못하는 동안 がう。는 풀콤보를 기록하면서 19점차, 총 스코어 17점차로 QAP部가 큰 차이로 역전에 성공한다. 초견 매치는 matezon과 がう。이 출전했다. 역대 결승전의 신곡은 31~32렙이었기 때문에 QAP部의 우승이 유력한 상황이었지만 초견 매치 곡으로 썩은 외도와 초콜릿이 '''34레벨'''로 나오면서 승부를 예상할 수 없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높은 밀도의 노트, ÅMARA 스타일의 노트장난에 후반엔 한칸 롱노트 폭타와 260 BPM이라는 역대급으로 빠른 속도의 트릴 등 엄청난 난이도의 곡이었고, 점수는 matezon이 43점차로 승리하였다. 결국 matezon의 원맨 캐리로 극적인 역전을 해낸 끝에 언더독의 반란을 제대로 해내며 '''총 스코어 26점차로 unofficial club이 우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 챔피언십 2022 가을 우승팀.jp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2 Autumn 우승팀[br]{{{-2 ヒグルース | matezon | ぐれいしあ }}}[br]{{{+1 '''unofficial club'''}}} || matezon 선수는 많은 [[CHUNITHM]] 대회 출전으로부터 나온 경험과 '''랭크매치 4000판이라는 엄청난 연습량을 바탕으로''' 32레벨 AP, 33레벨 곡 풀콤보에 성공하는 등 정말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전승을 거두고 팀의 우승을 견인하였다. ヒグルース 선수는 머신건 포엠 돌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무난한 경기력을 선보이며 본인의 역할은 어느 정도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ぐれいしあ 선수는 대회 내내 전패를 거두며 눈에 띄는 활약은 하지 못했다. 특히 뇌장작렬 걸에서 크게 실점하며 팀을 위기로 몰아가기도 했다. 신곡이 34레벨이고, matezon의 초견 대응력이 워낙 뛰어났기에 우승했다고 봐도 될 정도. 이번 대회는 채보가 '''1프레임'''만에 끝난다거나[* 才能 팀의 '미완성 찬가'. [[김편집]]의 "편문철TV" 제24화에서 소개되었으며 "공식 방송에 억까가 박제됐다."며 시청자들에게 큰 웃음을 주었다.], 플레이 화면이 멈추고, 화면 송출이 갑자기 바뀌어 버리는 등 대회 진행 면에서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고 말았다.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 ||<-4>
{{{+1 '''プロジェクトセカイ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ヴァイスシュヴァルツ'''}}}[br]{{{-1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2023봄CS일러.jpg|width=100%]]}}} || || 지역 ||<-3>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일본]] || || 일정 ||<-3> 2023년 2월 10일 ~ 2023년 4월 8일 || ||<|2> 방식 ||<-2> 예선 || 온라인 || ||<-2> 본선(준결승~결승) || 오프라인 || || 진행 ||<-3> 햣카 료오란, [[나카시마 유키]], 시바타 쇼헤이, [[야시로 키즈쿠]] || || 주관 ||<-3> [[세가|[[파일:세가 로고.svg|width=100]]]] [[파일:logo_colorfulpalette.jpg|width=100]] || || 스폰서 ||<-3> [[바이스 슈바르츠]] || ||<|5> 상금·상품 ||<-3> 총 상금 10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2> 우승 || 일반 부문 || 퀸 부문, U-12부문, 스트리머 부문 || || 50만 엔+게임 내 특별칭호 || 10만 엔+게임 내 특별칭호 || || 준우승 ||<-2> 10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3・4위 ||<-2> 5만 엔+게임 내 특별 칭호 || || 공식 사이트 ||<-3> [[https://pjsekai.sega.jp/championship2023spring/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송출 ||<-3> [[https://youtu.be/KqG41tEIOZ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live.nicovideo.jp/watch/lv34083934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 설명 === 2023년 2월부터 4월까지 개최하는 [[프로세카]]의 온·오프라인 e스포츠 대회이다. 2번의 팀전 대회 이후 다시 한번 개인전 대회로 돌아왔다. 또한 이번 대회는 부문을 4개로 나누어 이전과 같은 방식인 '''일반 부문''', 여성 유저들이 참여하는 '''퀸 부문''', 12세 이하의 유저들이 참여하는 '''U-12 부문''', 그리고 스트리머가 참여하는 '''스트리머 부문'''으로 개최한다. === 일정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일정''' || || 1차 예선 || 2023년 2월 10일[br]~2023년 2월 13일 || 300명 진출 || || 2차 예선 || 2023년 2월 17일[br]~2023년 2월 20일 || 100명 진출 / 일반,스트리머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두 부문은 10명 진출 || || 3차 예선 || 2023년 2월 24일[br]~2023년 2월 27일 || 17명+ 지난 대회 우승팀 멤버 3명 진출 || || 준결승 ||<|2> 2023년 4월 8일 || 4명 진출 || || 결승 || 우승자 결정 || 4가지 부문이 개최되면서 예선 과정이 많이 복잡해졌다. 우선 '''스트리머 부문'''은 초대제로 진행되므로 예선을 진행하지 않으며, '''퀸 부문'''과 '''U-12 부문'''은 2차 예선까지만 진행하여 상위 10명이 준결승에 진출한다. '''일반 부문'''은 3차 예선까지 진행한 후 상위 17명과 지난 대회를 우승했던 unofficial club의 멤버 3명이 시드를 받아 총 20명이 준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 대회 룰 === ||<-2>
'''대회 룰''' || || '''판정''' || '''점수''' || || {{{+1 {{{#!html PERFECT}}}}}} || +3 || || {{{+1 {{{#!html GREAT}}}}}} || +2 || || {{{+1 {{{#!html GOOD}}}}}} || +1 || || {{{+1 {{{#!html BAD}}}}}} || 0 || || {{{+1 {{{#!html MISS}}}}}} || 0 || 5명이 한 그룹을 이루어 일반 부문은 4그룹, 나머지 세 부문은 2그룹으로 이루어 준결승을 진행한다. 곡은 운영팀이 추첨하여 총 2곡을 진행하고 2곡의 스코어 합계가 높은 선수가 결승으로 진출한다. 일반 부문은 각 그룹 당 1명, 나머지 세 부문은 각 그룹 당 2명이 결승으로 진출하게 된다. 결승에는 4명이 진출하여 운영팀이 추첨한 2곡으로 우승자를 가린다. 일반 부문은 추가로 '''당일에 공개되는 신곡을''' 더해 총 3곡으로 우승자를 가린다. === 과제곡 === ||<-3>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온라인 예선 과제곡''' || ||<|3> '''1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I랍니다]] || 31 || || [[아지랑이 데이즈]] || 31 || ||<|3> '''2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32 || || [[인비저블(kemu)|인비저블]] || 32 || ||<|3> '''3차 예선''' || '''제목''' || '''악곡 레벨''' || || [[우리들의 16bit 전쟁]] || 33 || || [[エンドマークに希望と涙を添えて|엔드마크에 희망과 눈물을 더하며]] || '''35''' || 게임 내 대회 모드에서는 멤버의 스킬이나 콤보 보너스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엔트리 조건 카드가 없다. 게키츄마이 콜라보 곡이 출시 후 2번의 대회가 지난 끝에 드디어 과제곡 목록에 등장했다. ||<-8><^|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본선 과제곡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8> '''준결승 과제곡''' || ||<-2> '''일반 부문''' ||<-2> '''퀸 부문''' ||<-2> '''U-12 부문''' ||<-2> '''스트리머 부문''' || || '''제목''' || '''악곡 레벨''' || '''제목''' || '''악곡 레벨''' || '''제목''' || '''악곡 레벨''' || '''제목''' || '''악곡 레벨''' || || [[ÅMARA(대미래전뇌)]] || '''34''' ||<|2> [[아지랑이 데이즈]] ||<|2> 31 ||<|2> [[아이덴티티]] ||<|2> 31 ||<|2> [[KING(VOCALOID 오리지널 곡)|KING]] ||<|2> 29 || || [[썩은 외도와 초콜릿]] || '''34''' || || [[하츠네 미쿠의 격창]] || 33 ||<|2> [[너의 색깔 마린 스노우]] ||<|2> 31 ||<|2>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 ||<|2> 31 ||<|2> [[DAYBREAK FRONTLINE]] ||<|2> 29 || || [[하츠네 미쿠의 소실]] || '''35''' || || [[하츠네 천지개벽 신화]] || 32 ||<|2> [[도쿠가와 컵누들 금지령]] ||<|2> 31 ||<|2> [[미완성 찬가]] ||<|2> 31 ||<|2> [[포니(CeVIO 오리지널 곡)|포니]] ||<|2> 29 || || [[우리들의 16bit 전쟁]] || 33 || || [[머신건 포엠 돌]] || '''34''' ||<|2> [[로워]] ||<|2> 31 ||<|2> [[롤링 걸]] ||<|2> 31 ||<|2> [[로스트 앤 파운드]] ||<|2> 29 ||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34''' || ||<-8> '''결승 과제곡''' || ||<-2> '''일반 부문''' ||<-2> '''퀸 부문''' ||<-2> '''U-12 부문''' ||<-2> '''스트리머 부문''' || || '''제목''' || '''악곡 레벨''' || '''제목''' || '''악곡 레벨''' || '''제목''' || '''악곡 레벨''' || '''제목''' || '''악곡 레벨''' || || [[the EmpErroR]] || '''36''' ||<|2> [[세카이 쨩과 카후 쨩의 장보기 합소곡]] ||<|2> 32 ||<|2> [[에고 록]] ||<|2> 31 ||<|2> [[변덕쟁이 메르시]] ||<|2> 30 || || [[Don't Fight The Music]] || '''36''' || || [[야미나베!!!!]] || '''37''' ||<|2> [[퓨처 이브]] ||<|2> 32 ||<|2> [[버그(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버그]] ||<|2> 32 ||<|2> [[SnowMix♪]] ||<|2> 30 || || [[What's up? Pop!]] || '''37''' || }}}}}}}}} || 스트리머 부문은 작곡가와 성우도 참가한다는 것을 고려해서 그런지 대회 기준 저렙인 29~30레벨의 곡이 과제곡으로 나왔고, 퀸 부문과 U-12부문은 기존 대회처럼 31~32레벨의 곡이 과제곡으로 나왔지만, '''일반 부문의 과제곡이 꽤나 충격적인 라인업이다.''' 예선부터 엔드마크를 과제곡으로 넣어놓더니, 준결승 과제곡은 33~35레벨의 곡에서 엔드마크만 빠지고 천지개벽이 들어갔고, 결승 과제곡은 '''36레벨과 다지 플레이가 강요되는 극악의 난이도의 37레벨 곡이 들어갔다.''' 심지어 야미나베!!!!의 경우 예선 기간때 게임 내에 아직 출시되지 않았던 곡이었는데도 과제곡 목록에 들어갔다.[* 지금까지 대회 예선 기간 중에 수록된 곡들은 그 대회의 과제곡으로 등장하지 않았는데, 그걸 최초로 깨버린 것.] === 대회 진행 === [include(틀:영상 정렬, url=KqG41tEIOZs)] ||<-2>
'''대회 타임 스탬프''' || || 23:40~ || 스트리머 부문 || || 1:48:00~ || U-12 부문 || || 3:01:00~ || 퀸 부문 || || 4:11:08~ || 일반 부문 || ==== 스트리머 부문 ==== ===== 준결승 ===== ||<-7>
'''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엘리 코니퍼|エリー • コニファー]]'''[* 니지산지 버튜버 프로세카 토너먼트 대회에서 해설을 담당했다.] || '''[[sasakure.UK]]''' || '''[[八王子P]]''' || '''[[ビートまりお]]''' || '''[[야시로 키즈쿠|社築]]'''[* 공식 대회 해설로 꾸준히 모습을 비추었으며, 선수로 참가하는 동안에는 타 스트리머가 해설을 대신했다.] || || 1차전 || '''[[포니(CeVIO 오리지널 곡)|포니]]''' || 3726 || 3724 || 3609 || 3698 || '''3728''' || || 2차전 || '''[[KING(VOCALOID 오리지널 곡)|KING]]''' || 3734 || 3731 || 3639 || 3723 || '''3741''' || ||<-2> 합계 || '''7460''' || 7455 || 7278[* 핸디캡 +30점] || 7421 || '''7469'''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도라(유튜버)|ドーラ]]''' || '''[[DOLCE.]]''' || '''[[나카시마 유키|中島 由貴]]'''[* 본작에도 등장 캐릭터인 [[히노모리 시호]]의 성우로 참가하고 있으며, 이번 대회 MC로도 활약했다.] || '''松丸亮吾''' || '''[[まらしぃ]]''' || || 1차전 || '''[[로스트 앤 파운드]]'''[* 준결승 A그룹에 이 곡의 '''작곡가'''가 있어서 기대를 모았으나 뽑기에서 안 뽑히는 명장면 아닌 명장면이 탄생했다(...). 대신 관련 이야기도 나눌 겸해서 작곡가가 B그룹 해설로도 같이 참가했다.] || 3796 || '''3812''' || 3772 || 3810 || 3808 || || 2차전 || '''[[DAYBREAK FRONTLINE]]''' || 3514 || '''3537'''[*AP] || 3512 || 3530 || 3535 || ||<-2> 합계 || 7310 || '''7349''' || 7304[* 핸디캡 +20점] || 7340 || '''7343''' || ===== 결승 및 결과 ===== ||<-6>
'''결승 결과''' || ||<-2> '''과제곡''' || '''[[엘리 코니퍼|エリー • コニファー]]''' || '''[[DOLCE.]]''' || '''[[まらしぃ]]''' || '''[[야시로 키즈쿠|社築]]''' || || 1차전 || '''[[SnowMix♪|SnowMix♪]]'''[* 결승전 진출자 중에 이 곡의 작곡가도 있었으며, 본인도 풀콤보로 마무리했다.] || 4307 || '''4322''' || 4317 || 4319 || || 2차전 || '''[[변덕쟁이 메르시|변덕쟁이 메르시]]''' || 4377 || '''4395'''[*AP][* 결승전에 진출한 야시로를 대신해서 해설로 참가한 이 곡의 작곡가 하치오지P가 이 AP 장면을 보고 자신의 곡으로 멋진 플레이를 보여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 || 4389 || 4381 || ||<-2> 합계 || 8684 || '''8717''' || 8706 || 87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 챔피언십 2023 스프링 스트리머 우승자.jp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스트리머 부문 우승자[br]{{{+1 '''DOLCE.'''}}} || 참가자 중 타 게임 프로게이머 선수로 활약해서 체급이 가장 높았던 DOLCE.가 이변없이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유일하게 AP도 무려 2번을 기록했고, 그 중 하나는 --물론 과제곡 레벨이 낮지만-- 결승에서 기록하며 '''결승곡 AP를 기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 U-12 부문 ==== ===== 준결승 ===== ||<-7>
'''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Koma.''' || '''ykt''' || '''まろやかれおちゃ♪''' || '''DGCT''' || '''3''' || || 1차전 || '''[[정키 나이트 타운 오케스트라]]''' || 4116 || 4112 || '''4119''' || 4104 || 4101 || || 2차전 || '''[[아이덴티티(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아이덴티티]]''' || '''4465''' || 4457 || '''4465''' || 4452 || 4433 || ||<-2> 합계 || '''8581''' || 8569 || '''8584''' || 8556 || 8534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初心者''' || '''ふー乱打中''' || '''いちごみるく''' || '''あるい''' || '''びる''' || || 1차전 || '''[[미완성 찬가]]''' || '''4753''' || 4746 || 4745 || 4747 || 4747 || || 2차전 || '''[[롤링 걸]]''' || 4185 || '''4188'''[*AP] || 4184 || 4176 || 4174 || ||<-2> 합계 || '''8938''' || '''8934''' || 8929 || 8923 || 8921 || ===== 결승 및 결과 ===== ||<-6>
'''결승 결과''' || ||<-2> '''과제곡''' || '''初心者''' || '''まろやかれおちゃ♪''' || '''Koma.''' || '''ふー乱打中''' || || 1차전 || '''[[에고 록]]''' || 3823 || 3829 || '''3830''' || 3814 || || 2차전 || '''[[버그(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버그]]''' || 4017 || 4020 || 4020 || '''4028''' || ||<-2> 합계 || 7840 || 7849 || '''7850''' || 784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 챔피언십 2023 스프링 u-12 우승자.jp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U-12 부문 우승자[br]{{{+1 '''Koma.'''}}} || 1점차라는 피말리는 승부 끝에 Koma.선수가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まろやかれおちゃ♪ 선수가 에고 록에서 최후반까지 AP로 나아가다가 마지막 3연타 구간에서 GOOD판정이 나와버려 Koma.선수에게 리드를 내주게 됐고, 2번째 곡에서도 동점을 거두며 역전에 실패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전개되었다. 그 와중 初心者 선수는 당시 '''Don't Fight The Music AP 기록을 가지고 있었기에''' 많은 기대를 받았으나, 정작 결승전에서 큰 실수를 하고 4위로 대회를 마무리지었다. ==== 퀸 부문 ==== ===== 준결승 ===== ||<-7>
'''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あめちゃん''' || '''らんしょ''' || '''さやか'''[* 리듬게임 탑스코어러 nanoflower의 반려자. '''코하네 코스프레'''로 크게 주목을 받았다.] || '''rito''' || '''えいむんむん''' || || 1차전 || '''[[너의 색깔 마린 스노우]]''' || '''4245'''[*AP] || 4240 || 4243 || 4237 || 4237 || || 2차전 || '''[[아지랑이 데이즈]]''' || 4209 || 4201 || 4209 || 4194 || '''4211''' || ||<-2> 합계 || '''8454''' || 8441 || '''8452''' || 8431 || 8448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ろっちゃん'''[* 퀸 부문 유일 '''한국인''' 진출자다.] || '''愛葉''' || '''ぺぬ''' || '''零弥#39''' || '''たいやき''' || || 1차전 || '''[[도쿠가와 컵누들 금지령]]''' || '''3717''' || '''3717''' || 3708 || 3712 || 3696 || || 2차전 || '''[[로워]]''' || '''2550'''[*AP] || 2545 || 2538 || '''2550'''[*AP] || 2543 || ||<-2> 합계 || '''6267''' || '''6262''' || 6246 || '''6262''' || 6239 || || 타이브레이커 || '''[[도쿠가와 컵누들 금지령]]''' || - || 3719 || - || '''3723'''[*AP] || - || 그룹 B에서 2위가 2명이 되는 상황이 발생해 '''대회 최초로 타이브레이커 경기가 이뤄졌다.''' ===== 결승 및 결과 ===== ||<-6>
'''결승 결과''' || ||<-2> '''과제곡''' || '''ろっちゃん''' || '''さやか''' || '''零弥#39''' || '''あめちゃん''' || || 1차전 || '''[[퓨처 이브]]''' || '''4879''' || 4876 || 4867 || 4878 || || 2차전 || '''[[세카이 쨩과 카후 쨩의 장보기 합소곡]]''' || 4871 || 4871 || 4849 || '''4874''' || ||<-2> 합계 || 9750 || 9747 || 9716 || '''975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 챔피언십 2023 스프링 퀸 우승자.jp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퀸 부문 우승자[br]{{{+1 '''あめちゃん'''}}} || 대회 최초의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하기도 하고 결승전 점수도 격차가 거의 안나는 치열한 승부가 펼쳐졌던 퀸 부문은 あめちゃん의 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ろっちゃん 선수가 결승전을 진출하면서 '''최초로 해외 유저가 결승에 진출하는 사례가 나왔으나,''' 2점차로 가로막히며 해외 유저 첫 우승까지는 이뤄내지 못했다. ==== 일반 부문 ==== ===== 준결승 ===== ||<-7>
'''준결승 결과''' || ||<-7> '''그룹 A''' || ||<-2> '''과제곡''' || '''リリィ''' || '''NERONENE''' || '''REN''' || '''HPS''' || '''かん''' || || 1차전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3858 || 3832 || 3855 || 3854 || '''3859''' || || 2차전 || '''[[우리들의 16bit 전쟁]]''' || 4556 || 4560 || '''4561''' || 4555 || 4559 || ||<-2> 합계 || 8414 || 8392 || 8416 || 8409 || '''8418''' || ||<-7> || ||<-7> '''그룹 B''' || ||<-2> '''과제곡''' || '''常磐 # tok!wa''' || '''みつうえ''' || '''数学''' || '''あべゆー''' || '''matezon''' || || 1차전 || '''[[하츠네 미쿠의 소실]]''' || 4971 || 4956 || 4961 || 4979 || '''4993''' || || 2차전 || '''[[하츠네 천지개벽 신화]]''' || '''6061''' || 6051 || 6050 || 6058 || 6059 || ||<-2> 합계 || 11032 || 11007 || 11011 || 11037 || '''11052''' || ||<-7> || ||<-7> '''그룹 C''' || ||<-2> '''과제곡''' || '''花念''' || '''月読''' || '''腐食''' || '''5''' || '''ヒグルース''' || || 1차전 || '''[[머신건 포엠 돌]]''' || 5412 || '''5441''' || 5408 || 5430 || 5438 || || 2차전 || '''[[하츠네 미쿠의 격창]]''' || 5216 || 5221 || 5217 || '''5224''' || 5200 || ||<-2> 합계 || 10628 || '''10662''' || 10625 || 10654 || 10638 || ||<-7> || ||<-7> '''그룹 D''' || ||<-2> '''과제곡''' || '''みそ''' || '''temp'''[* 2023 스프링 대회 유일 '''미국인''' 진출자이다.] || '''ゆきーね''' || '''STK''' || '''ぐれいしあ''' || || 1차전 || '''[[썩은 외도와 초콜릿]]''' || 5236 || '''5286''' || 5251 || 5271 || 5262 || || 2차전 || '''[[ÅMARA(대미래전뇌)]]''' || 4745 || '''4766''' || 4760 || 4765 || 4735 || ||<-2> 합계 || 9981 || '''10052''' || 10011 || 10036 || 9997 || 그룹 A에 '''37레벨 2곡 전부 AP 기록을 가지고 있는 선수가 3명이나 몰려버리면서''' 지난 대회 준준결승 2경기처럼 미리보는 결승전 취급을 받았고, 승자는 かん 선수가 되었다. 한편 그룹 D의 temp 선수는 썩은 외도와 초콜릿을 '''3그렛 FC'''하여 이전까지 たくあん이 가진 대회 최고 레벨 FC 기록을 갈아치웠다. ===== 결승 및 결과 ===== ||<-6>
'''결승 결과''' || ||<-2> '''과제곡''' || '''月読''' || '''temp''' || '''かん''' || '''matezon''' || || 1차전 || '''[[Don't Fight The Music]]''' || 5643 || 5629 || '''5648''' || 5645 || || 2차전 || '''[[야미나베!!!!]]''' || 5992 || 6002 || '''6027''' || 6007 || ||<|2> 3차전 ||<-5> {{{-2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첫 공개곡}}} || || '''[[세츠나 트립]][br]{{{-1 {{{#purple MASTER 33}}}}}}''' || 4195 || '''4250''' || 4220 || 4240 || ||<-2> 합계 || 15830 || 15881 || '''15895''' || 1589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로세카 챔피언십 2023 스프링 우승자.png|width=100%]]}}} || ||
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powered by 바이스 슈바르츠 일반 부문 우승자[br]{{{+1 '''かん'''}}} || 이번 일반 부문 결승전은 개인전 최초로 3개의 곡으로 우승자를 가렸으며, 곡을 전부 진행할 때까지 점수를 보여주지 않았다. かん 선수는 원래 3차 예선 18위로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으나, 상위 순위가 기권함에 따라 본선에 합류했다. 그렇게 준결승에서 37레벨 AP 기록을 보유한 REN과 HPS를 꺾고 결승에서는 matezon에게 복수까지 성공하며 마치 소년만화 주인공처럼 기적적으로 우승자의 자리에 올랐다. '''이에 たくあん을 이어 2번째 2회 우승자가 되었다.''' [[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