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ile.giggog.com/13-48-10-177565638.jpg|width=100%]]}}} || || 링크 ||[[http://m.tvchosun.com/broadcast/program/1/C201200023.cst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공식 홈페이지]][br] [[http://www.facebook.com/pages/%ED%94%84%EB%A1%9C%ED%8F%AC%EC%A6%88-%EB%8C%80%EC%9E%91%EC%A0%84/291915354191375?sk=wal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공식 페이스북]]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드라마]]인 [[프로포즈 대작전]]을 원작으로 한 한국 드라마. 방송사는 [[TV조선]]. [[2012년]] [[2월 8일]]부터 동년 [[3월 29일]]까지 매주 수, 목요일 밤에 방송되었다. 총 16부작. 극본은 [[꽃보다 남자(한국 드라마)|꽃보다 남자]]의 작가 윤지련이 맡았고, 연출은 [[당신 참 예쁘다]]의 PD 김우선이 맡았다. == 등장인물 == * 강백호[* 공교롭게도 이 드라마에서 유승호가 연기한 강백호가 야구선수인데 [[강백호(야구선수)|실제로 똑같은 이름인 야구선수가 훗날 KBO 리그의 욕받이로 등장하게 된다.]]] - [[유승호]][* 유승호가 이 드라마에서 이등병 신분으로 나오는 장면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이듬해인 2013년에 현역으로 군입대를 하였다.] * 함이슬 - [[박은빈]] * 권진원 - [[이현진(배우)|이현진]] * 송찬욱 - [[고경표]] * 주태남 - 박영서 * 유채리 - [[김예원(배우)|김예원]] * 조국대 - [[이두일]] * 조진주 - [[박진주]] * 강진우 - [[김태훈(배우)|김태훈]] * 함성훈 - [[주진모(1958)|주진모]] * 오정림 - [[이응경]] * 오태범 - [[고인범]] * 유별남 - [[문천식]] * 고교담임 - [[이달형]] == 평가 == 첫 화의 방영 직후 반응은 전체적으로 [[실망]]이라는 평. [[일본 드라마]] [[리메이크]]는 원작을 먼저 보았던 일드 팬들이 집결하여 다시 보아 비교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첫 화의 스타트에 민감하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 팬들 사이에서는 제대로 원작의 느낌을 살리지 못했다는 평이 다수였다. 원작과 비교해 초반 분위기가 완전 달랐던 것이 그러한 반응의 원인인 듯 하다. 원작을 보지 않은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평가가 좋았다. 원작에 비하여 유치한 연출을 배제한 면은 칭찬을 받았다. 2화부터 본격적인 이야기의 시작이니 조금 더 지켜 보자는 분위기. 원작에서 [[야구]]는 부가적인 요소로서 후반으로 갈수록 멜로라인에 중점을 두는 반면 여기서는 후반으로 가도 야구 관련 에피소드가 어느 정도 비중을 유지되고 있다. 아니, 애초에 타임슬립의 대가가 선수들의 싸인을 받은 [[야구공]]이기도 하지만... 9화 10화 등 후반으로 갈수록 시간이 부족한지 매끄럽지 못한 편집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강백호와 함이슬이 그네에서 이야기 하는 장면에서 전 장면에서 분명 서로 바라보고 있었는데 다음 장면에서는 강백호가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고 그 다음 장면에서는 다시 서로 바라보고 있는 등. 14화에서 뜬금없이 함이슬이 사망했다. ~~??!~~ 강백호가 과거로 타임슬립 했을 때 대화에서 이별을 고하는 것 같은 말로 [[사망플래그]]를 꽂더니 현재로 돌아오니 사망크리. 뭔가 이유가 있는 듯한 분위기를 풍기며, 15화에서 밝혀질 것이란 일말의 기대로 [[시청자]]들은 기다리는 ~~두고 보는~~ 중. 원작 팬들은 지금까지의 그나마 원작과 비슷했던 스토리라인과 달리 전혀 달라진 전개에 경악(...). 한편 아직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강백호에게 [[막장 드라마]]에서나 보일 법한 [[출생의 비밀]]이 있는 듯 했으나 없었다. 더구나 애초에 공홈에는 타임슬립을 시켜주는 컨덕터가 강백호의 아버지라는 걸 당당히 적어놓고 있다. 함이슬을 살리기 위해 마지막 시간여행을 한다는 기사가 떴다. 팬들은 영화 [[이프 온리]]와 같은 결말이 나올까 불안해 하는 중. 마침내 15화에서 함이슬을 살리기 위해 타임슬립해 대신 사고가 나서 응급실로 실려갔다. 강백호가 죽을 것처럼 나온 15화의 마지막 장면과 달리 하나도 안 다치고 기억만 잃은 채로 살아났다. 선택적 기억상실증에 걸려서 함이슬에 대한 기억만 잃지만 나중에 뜬금없이 죽은 함이슬의 할아버지가 나타나 기억을 되살려 주고 사라진다. 이건 뭐(...). 이 와중에 함이슬이 강백호를 찾으러 가면서 택시기사와 대화에서 [[집으로]] 드립이 나왔다. == 시청률 추이 == 1회 0.449% 2회 0.496% 3회 0.583% 4회 0.776% 5회 0.732% 6회 0.618% 7회 0.498% 8회 0.574% 9회 0.741% 10회 0.785% 11회 0.530% 12회 0.536% 13회 0.413% 14회 0.703% 15회 0.517% 16회 0.658% == 원작과의 차이점 == * 원작에서는 주인공의 친구가 주인공의 타임슬립을 눈치채는 반면 여기서는 코치가 주인공이 쓴 쪽지를 보고 타임슬립을 눈치챈다. 근데 여기서 생각해야 할 것은 이걸 알고도 제자 강백호의 여친인 함이슬에게 대쉬했다는 걸 보면 어떤 의미로 참(...). 만약 드라마가 길어졌으면 타임슬립하는 제자와 제자 여친를 사랑하게 된 코치의 싸움이라는 [[막장 드라마]]가 연출되었을 지도 모른다. * 원작 드라마도 시간여행을 다루는 작품인만큼 과거와 현재의 문화가 달라서 벌어지는 해프닝이 있었는데[* 원작에서는 주인공이 그때에는 없을 유행어나 인명을 말해서 주위 사람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가령, [[아라카와 시즈카]]의 이나바우아라든가.하지만 이 와중에도 그런 주인공을 유의 깊게 지켜보며 그가 시간 여행자라는 걸 알아차리는 친구가 있었다.], 한국판에서는 주인공이 영화 티켓을 구하려고 헌혈을 했다가 빵만 받는 장면 등이 나온다. == 여담 == * 고등학교 야구부 사물함을 잘 보면 강백호 사물함 옆에 사물함에 이름이 [[채치수]].[* 실제로 이 드라마가 끝나고 몇 년 뒤 KBO 리그에 데뷔한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 역시 이름 때문에 [[슬램덩크]] 관련 드립이 한동안 계속되었었다. 그런데 정작 강백호는 만화 슬램덩크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SPOTV 야구 캐스터인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가 간혹 가다 강백호나 kt wiz 경기 때 슬램덩크의 강백호가 했던 발언을 인용하곤 한다.] * 비슷한 맥락으로 송찬욱이 한강의 괴물 이야기를 시나리오로 썼다가 퇴짜 맞아서 술 마시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 주태남 역할의 박영서가 코치 역할의 이현진보다 4살이나 위다. * 당시 [[유승호]]와 [[박은빈]]의 본격적인 성인연기의 문을 열어준 드라마. [[유승호]]는 [[욕망의 불꽃]]에서 성인연기를 보여주긴 했지만 같은 해 [[공부의 신]]으로 고등학생 연기를 했었기 때문에 바로 성인연기를 한 것에 어색함을 느끼는 시청자가 많았고 [[박은빈]] 같은 경우 본격적인 첫 성인 연기였다. 드라마 자체가 학창시절과 현재를 넘나드는 드라마라 큰 무리없이 풋풋한 성인연기를 소화해냈다. 둘 모두 의욕이 상당했는지 꽤 진한 키스신을 보이기도 했으며 분기에 따라 미래가 변화하기 때문에 다양한 성인 역할을 소화할 수 있어서 둘 모두에게 좋은 경험이였을 것으로 보인다. * [[김태훈(배우)|김태훈]]이 드물게 선역을 맡았다. * [[유승호]]와 [[박은빈]]은 [[2007년]]에 드라마 [[태왕사신기]]에서 각각 [[배용준]]과 [[문소리]]의 [[아역]]으로서 호흡을 맞춘 적이 있었고, [[2009년]]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에도 출연하였다. [[2010년]]에는 [[태연]]과 [[더원(가수)|더원]]의 듀엣곡 '별처럼'에서 [[연인]]으로 출연하기도 했었다. ~~의외로 깊은 인연.~~[* 실은 동년배 아역 연기자 중에서 주역급으로 손꼽히는 연기자라 자주 만나게 되는 것일 뿐이다.] [[분류:2012년 드라마]][[분류:2012년 종영]][[분류:TV조선 드라마]][[분류:수목 드라마]][[분류:일본 드라마 원작 드라마]][[분류:16부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