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작센 선제후)] ---- ||<-2> '''작센의 선제후[br]{{{+1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br]Friedrich Christian, Kurfürst von Sachse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riedrich_Christian_by_Pietro_Rotari_(altered_and_edited).jpg|width=100%]]}}} || || '''이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레오폴트 요한 게오르크 프란츠[br](Friedrich Christian Leopold Johann Georg Franz)|| || '''출생''' ||[[1722년]] [[9월 5일]][br][[작센 선제후국]] [[드레스덴]] 드레스덴 레지덴츠|| || '''사망''' ||[[1763년]] [[12월 17일]] (향년 41세)[br][[작센 선제후국]] [[드레스덴]] 드레스덴 레지덴츠|| ||<|2> '''재위''' ||<#E7E7E7>[[작센 선제후국]]의 선제후|| ||[[1763년]] [[10월 5일]] ~ [[1763년]] [[12월 17일]]|| || '''배우자'''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토니아 여공작 ,,(1747년 결혼),,|| || '''자녀'''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 카를, [[안톤(작센)|안톤]], 마리아 아말리, 막시밀리안, 테레제 마리아|| || '''아버지''' ||[[아우구스트 3세]]|| ||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요제파|| || '''형제''' ||마리아 아말리아[* [[카를로스 3세]]의 왕비.], 마리아 안나, [[프란츠 크사버]], 마리아 요제파[* [[루이 16세]], [[루이 18세]], [[샤를 10세]]의 어머니.], 카를, 마리아 크리스티나, 마리아 엘리자베트, 알베르트 카지미어, 클레멘스 벤체슬라우스, 마리아 쿠니군데||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작센 선제후국|작센]]의 [[선제후]]로 드레스덴 레지덴츠(Dresdner Residenzschloss)에서 작센 선제후이자 [[폴란드-리투아니아]]의 국왕이었던 [[아우구스트 3세]]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1세]]의 큰 딸 마리아 요제파(Maria Josepha von Österreich 1699~1757)의 3남으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두 형이 일찍 죽어 그가 계승자가 되었다. 부친 아우구스트 3세 사후 작센 선제후국을 물려받았으나,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는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나 2세]]의 지원을 받은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트|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에 밀려 국왕으로 선출되지 못했다.[* 조부 [[아우구스트 2세]]와 달리 [[아우구스트 3세]]는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으로 어렵사리 얻은 폴란드-리투아니아에 관심이 없어서 [[바르샤바]]로 가지 않고 거의 [[드레스덴]]에서만 머물렀다.] 하지만 선제후로 즉위한지 74일만에 [[천연두]]에 걸려 사망했다. [[바이에른 선제후국|바이에른 선제후]]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던 [[카를 7세]]의 딸 마리아 안토니아와 결혼해 6남 3녀를 두었고, 맏아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가 작센 선제후국을 물려받았다. [[분류:작센 선제후]][[분류:베틴 가문]][[분류:1722년 출생]][[분류:1763년 사망]][[분류: 드레스덴 출신 인물]][[분류:천연두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