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7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FC 샬케 04/은퇴, 이적]][[분류:FC 샬케 04/역대 감독]][[분류:로트바이스 에센/역대 감독]][[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나치당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프리츠 슈체판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에른스트 알브레흐트]][br](1933~1934) || {{{+1 {{{#e0c9a5 ▶}}}}}} || '''{{{#ffffff 프리츠 슈체판[br](1934~1939)}}}''' || {{{+1 {{{#e0c9a5 ▶}}}}}} || [[파울 야네스]][br](1939~1942)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독일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itz Szepan.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프리츠 슈체판'''}}}[br]'''Fritz Szepan''' || ||<-2> {{{#000000,#e5e5e5 '''본명'''}}} ||프리드리히 헤르만 슈체판[br]Friedrich Hermann Szepan || ||<-2> {{{#000000,#e5e5e5 '''출생'''}}} ||[[1907년]] [[9월 2일]] [br]{{{-1 [[독일 제국]] [[겔젠키르헨]] [[독일 제국|[[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사망'''}}} ||[[1974년]] [[12월 14일]] (향년 67세) [br]{{{-2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겔젠키르헨]]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 국적 ''' }}} ||[[독일]]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 신체 ''' }}} ||177cm / 76kg || ||<-2> {{{#000000,#e5e5e5 ''' 직업 ''' }}} ||{{{-1 축구선수(하프백, 인사이드 포워드 / ^^은퇴^^)}}}[br][[코치(스포츠)|축구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FC 샬케 04|살케 04]] (1925~1950)''' || || {{{#000000,#e5e5e5 ''' 감독 ''' }}} ||[[FC 샬케 04]] (1949~1954)[br][[로트바이스 에센]] (1954~1956)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34경기 8골^^([[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30~1939)^^ || [목차] == 개요 == 30년대 샬케의 [[리즈 시절|전성기]]를 이끈 레전드. == 생애 == === 어린 시절 === 슈체판의 부모는 원래 [[동프로이센]]의 나이덴부르크에서 살다 광산일을 위해 [[겔젠키르헨]]에 정착했다. 슈체판에겐 5명의 형제자매가 있었으며 또래 아이들과 축구를 즐기며 성장했다. 슈체판은 정규 교육 과정을 중퇴하고 견습생으로 [[배관공]] 일을 배웠는데 회사도 잘 나가고 나름 인정받기도 했다. 그러다 [[에른스트 쿠초라]]의 권유로 지역 축구팀 [[FC 샬케 04|살케 04]]에 입단했다.​ === 선수 생활 === ==== 클럽 ==== 슈체판과 [[에른스트 쿠초라|쿠초라]]의 합류로 샬케는 독일에서 내로라하는 강팀으로 성장했다. 1934년 독일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샬케는 [[1. FC 뉘른베르크]]에게 1대0으로 끌려가고 있었다. 하지만 승부를 뒤집는데는 2분이면 충분했다. 후반 43분 슈체판은 [[코너킥]]을 헤딩으로 연결해 동점골을 만들어냈고 45분에는 쿠초라의 왼발 슈팅으로 순식간에 경기를 뒤집었다. 샬케의 첫 우승이었다. 이를 시작으로 샬케는 가울리가 베스트팔렌 11연패를 포함하여 1942년까지 9년간 6회의 독일 축구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으며 1937년에는 독일 축구 챔피언십과 [[DFB 포칼]]까지 우승하여 독일 축구 역사상 최초의 [[더블#s-7]]을 기록하였다. 당시 샬케는 단연 시대를 대표하는 독일 내 최강팀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2차 대전]] 이후에도 금발의 슈체판은 [[소나무]]같이 팀에 헌신했으며 등과 무릎에 고질적인 부상이 있음에도 샬케의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 감독에 취임한 이후인 1950년 11월 12일, 슈체판은 오랜 동료 쿠초라와 같이 축구화를 벗었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슈체판의 국가대표 데뷔전은 1929년 10월 20일의 대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핀란드]]전이었다. 독일은 4대0의 낙승을 거두었고, 슈체판은 이 경기에서 데뷔골도 기록하였다. 하지만 슈체판은 이후 5년여간은 대표팀에서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다가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월드컵]]을 기점으로 대표팀에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슈체판을 축으로 한 독일 대표팀은 처음 출전한 월드컵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 1937년 5월 16일. 독일은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를 상대로 브레슬라우 엘프[* 브레슬라우는 현재 [[폴란드]]의 도시 이름이고 엘프는 숫자 11을 뜻한다. 중립경기장은 아니고 당시 브레슬라우는 독일 영토였고 [[제2차 세계 대전]]때 잃은 영토를 모두 포기해서 지금은 브로츠와프라는 폴란드 도시로 남아있다.]라는 역사에 남을 시합을 펼쳤다. 덴마크를 8대0으로 유린하면서 덴마크 축구 역사상 최다점수차 패배를 안긴 것. 슈체판은 여기서 1골을 넣었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이듬해의 프랑스 월드컵]]에도 슈체판은 주장으로 출전하였는데 당시 독일 대표팀은 [[오스트리아 병합|안슐루스]]로 유럽에서 잘 나가던 분더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선수들을 대거 독일로 흡수하였다. 이런 독일은 당시 월드컵 우승 후보 1순위로 꼽혔지만 오히려 조직력에서 문제를 드러내며 한 수 아래로 여겨진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에 재경기 끝에 충격패를 당하였다. 슈체판은 1939년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대표팀에서 은퇴하였다. 10년간 34경기의 출장 기록을 남겼고, 그 중 30경기에 주장으로 출전하였다. === 감독 생활 === 슈체판은 선수 생활을 마치고 바로 친정팀 샬케의 감독을 맡아 5년간 팀을 이끌었다. 전후에 주춤하던 샬케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우승 커리어를 추가하진 못했고 1954년 [[로트바이스 에센]]으로 팀을 옮겼다. 그 외에도 TSV 말휠스라는 클럽에서도 감독직을 맡았다고 한다. === 이후 === 슈체판은 1964~1965년, 1966~1967년에 샬케의 회장직을 맡기도 했고, 그 이후에는 야인의 삶을 살았다. 1972년까지는 직물 사업체를 경영하기도 했고 1974년 12월 14일에 사망했다. 그의 무덤은 샬케 북쪽의 로젠휘겔 공동 묘지에 있다. === 나치와의 연관 === 슈체판은 1937년 1월, [[에른스트 쿠초라|쿠초라]]와 보르네만 등과 함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에 가입하였다. 1934, 1936, 1938년에 나치의 [[프로파간다]]에 참여한 경력이 있고, 1938년에는 유태인들을 아리아인화하는 단체를 맡기도 했다. 이런 이력 때문에 슈체판은 전후에 연합국에 의해 Mitläufer(단순 가담자)로 분류되기도 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슈체판은 기술이 뛰어나고 다재다능한 선수여서 센터 하프와 인사이드 포워드 포지션을 모두 소화할 수 있었다. 스피드에서 강점을 가지지는 못했지만 훌륭한 축구 지능과 위치 선정으로 이를 만회했으며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을 정도로 리더십도 뛰어났다. 드리블과 정확한 패스로 대표되는 공격 전개도 슈체판의 장점. 그래서 붙은 별명 중 하나가 '[[제2차 세계 대전|세계 대전]] 이전의 [[프란츠 베켄바워|베켄바워]]'일 정도였다. 에른스트 쿠초라와 더불어 소속팀 [[FC 샬케 04|살케 04]]의 전성기를 이끈 주인공이자 클럽에서 인정할만한 둘 뿐인 [[원 클럽 플레이어]]이며 또 다른 후배 공격수 [[클라우스 피셔]]와 함께 샬케를 대표하는 선수이다. == 뒷이야기 == * 에른스트 쿠초라와 슈체판은 [[겹사돈]]관계이다. 서로의 여자형제들 중 하나와 결혼했기 때문이다. == 수상 == === 클럽[* 슈체판은 [[FC 샬케 04]] [[원 클럽 플레이어]]이므로 클럽 팀 이름 기입은 생략했다.] === * 독일 축구 챔피언십 우승 6회: 1934, 1935, 1937, 1939, 1940, 1942 * [[DFB 포칼]] 우승 1회: 1937 * 서부 독일 리그 우승 4회: 1929, 1930, 1932, 1933 * 가울리가 베스트팔렌 우승 11회: 1933-34, 1934-35, 1935-36, 1936-37, 1937-38, 1938-39, 1939-40, 1940-41, 1941-42, 1942-43, 1943-44 * 독일 축구 챔피언십 준우승 3회: 1933, 1938, 1941 * DFB 포칼 준우승 4회: 1935, 1936, 1941, 1942 === 국가대표 === * [[FIFA 월드컵]] 3위 1회: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 개인 === * 독일 축구 챔피언십 득점왕 1회: 1942 === 감독 === * 독일 축구 챔피언십 우승 1회: 1954-55([[로트바이스 에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