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플래닛사이드 2/차량)] [include(틀:플래닛사이드 2/차량)] ||[[파일:Vehicle_Magrider.png|width=100%]]|| [목차] == 개요 == '''맥라이더(Magrider)'''는 바누 자치국 전용 2인승 MBT(주력전차)다. 주포가 뱅가드처럼 강력하지도, 프라울러처럼 빠르지도 않지만 상당히 적절한 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이동속도는 MBT중 가장 느리지만 [[무한궤도]]를 사용하는 타 제국 MBT와 달리 '''호버링'''으로 날아다니기에 가장 독특한 기동성을 자랑한다. 특히 전용 능력인 '맥버너'와 호버링이 조합될 경우 웬만한 지형은 씹고 지나다니는 기동성을 얻을 수 있기에 전면전보다는 기습 및 테러에 적합한 전차로 평가받는다. 참고로 맥라이더는 호버링이라는 특성 탓에 타 제국 전차들과 조작성이 상당히 다르다. 정확히 말하자면 보병 조작과 비슷한데, 일반적인 전차가 좌-우 방향키를 누르면 선회를 하지만 맥라이더는 '''정면을 본 채 옆으로 이동을 하며''', 마우스를 좌우로 움직이면 포탑이 돌아가는것이 아니라 '''차량 자체가 선회한다'''. 이는 주포가 차량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것과 어느정도 관련되어 있다. 이처럼 다른 조작성 때문에 다른 세력에서 전차를 몰던 유저들이 잘 적응하지 못하기도 하지만, 다르게 말하면 전투에서 측면이나 후면을 내줄 일 없이 항상 전면만 내 주고 싸운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숙련된다면 적 MBT와 정면 교전에서 맥버너로 빠르게 적의 후면과 측면을 노리는 방식으로 우위를 잡을수 있게 된다. 타 전차들은 선회뿐만 아니라 주포의 회전또한 느리기에 가능한 전략 하지만 호버링이라는 특성때문에 적 허레서가 작정하고 달려들어 밑으로 파고들면 허래서를 주포만으로 상대해야하게 되는데, 포신 각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 허래서 한대에 어이없게 터질 때도 종종있다. 전작에서는 현재 부사수석에 주포가 설치되고, 운전수는 현재 주포 자리에 위치한 기관포를 사용했었다. 또한 호버링으로 강이나 바다 위를 낮게 떠다니며 적들을 교란할 수 있었기에 주요 해킹 대상 차량 중 하나였다. 더미데이터로 남아있는 무기는 딱히 없지만 대신 '''항공기처럼 비행이 가능'''했던 흔적이 남아있다고 한다. 만약 진짜라면 웬만한 항공기는 주포와 충각으로 지워버렸을 것이다. 맥라이더의 체력은 5000이다. 체력이 3500 이하면 연기가 발생하고 800 이하면 화재가 난다. 맥라이더는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고로, 두 단어(맥+라이더)합성어로 추정된다. 전자기력으로 부력을 얻어 이동하는 차량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바누 무기로서는 드물게 특징을 적었다고 볼 수 있다. == 무기 == === 주무기 === ==== 슈퍼노바 PC(Supernova PC) ==== ||<-4> [[파일:Supernova_PC.png]] || ||<-4> '''{{{#ffffff Supernova PC}}}''' || ||<-2> 포구속도 || 200 || m/s || ||<-2> 사격모드 ||<-2> 반자동 || ||<-4> 피해량 || ||<-2> 고정데미지 ||<-2> 550 || ||<-2> 최대간접피해 ||<-2> 1m이내 500 || ||<-2> 최소간접피해 ||<-2> 4m이후 50 || ||<-2> 재장전 속도 ||<-2> 2.25초 || || 탄창 || 1 || 탄약 || 50 || ||<-4> 가격 || ||<-2> 기본[[파일:서트.png|width=20]] ||<-2> 기본[[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기본 언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5% / 6.25% / 7.5% / 8.75% / 10%] || || 탄약 || 탄약 용량 || 맥라이더의 기본 주포. 상당히 애매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보통은 다른 무기로 갈아탄다. ==== 슈퍼노바 FPC(Supernova FPC) ==== ||<-4> [[파일:Supernova_FPC.png]] || ||<-4> '''{{{#ffffff Supernova FPC}}}''' || ||<-2> 포구속도 || 250 || m/s || ||<-2> 사격모드 ||<-2> 반자동 || ||<-4> 피해량 || ||<-2> 고정데미지 ||<-2> 750 || ||<-2> 최대간접피해 ||<-2> 1m이내 500 || ||<-2> 최소간접피해 ||<-2> 3m이후 50 || ||<-2> 재장전 속도 ||<-2> 3.25초 || || 탄창 || 1 || 탄약 || 40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5% / 6.25% / 7.5% / 8.75% / 10%] || || 탄약 || 탄약 용량 || 대 기갑 맥라이더가 장착하는 주포. FPC는 Focused Plasma Cannon의 줄임말로서, 플라즈마를 집중시켜 장갑관통력을 높혔다는 설정이다. 덕분에 이펙트가 가장 수수한 주포. 3국 주력탱크 AP 중에서 낙차가 가장 심하다. ==== 슈퍼노바 VPC(Supernova VPC) ==== ||<-4> [[파일:Supernova_VPC.png]] || ||<-4> '''{{{#ffffff Supernova VPC}}}''' || ||<-2> 포구속도 || 200 || m/s || ||<-2> 사격모드 ||<-2> 반자동 || ||<-4> 피해량 || ||<-2> 고정데미지 ||<-2> 650 || ||<-2> 최대간접피해 ||<-2> 2m이내 800 || ||<-2> 최소간접피해 ||<-2> 5m이후 50 || ||<-2> 재장전 속도 ||<-2> 3.25초 || || 탄창 || 1 || 탄약 || 40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5% / 6.25% / 7.5% / 8.75% / 10%] || || 탄약 || 탄약 용량 || 적 보병 상대로 효과적인 주포. VPC는 Volatile Plasma Cannon의 줄임말로서, 플라즈마 포탄에 휘발성 물질이 들어가 착탄시 폭발이 더 크게 일어나도록 조정했다는 설정이다. ==== 페러힐리언 VXC (Perihelion VXC) ==== ||<-4> [[파일:Perihelion_VXC.webp]] || ||<-4> '''{{{#ffffff Perihelion VXC}}}''' || ||<-2> 사격속도 || 60 || RPM || ||<-2> 포구속도 || 225 || m/s || ||<-2> 사격모드 ||<-2> 반자동 || ||<-4> 피해량 || ||<-2> 고정데미지 ||<-2> 475 || ||<-2> 최대간접피해 ||<-2> 1m이내 350 || ||<-2> 최소간접피해 ||<-2> 3m이후 50 || ||<-2> 재장전 속도 ||<-2> 3.50초 || || 탄창 || 3 || 탄약 || 60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5% / 6.25% / 7.5% / 8.75% / 10%] || || 탄약 || 탄약 용량 || 초승달 모양의 무낙차 레이저를 발사하는 주포. 좌클릭 유지시 차지가 가능하며 최대 충전시 5초뒤에 자동으로 발사한다. 1단→2단 차지는 1초 2단→3단 차지는 3초가 걸린다. === 보조무기 === 맥라이더는 주포가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는 특성상 시야를 부사수에 많이 의지하기에 부사수 채용에 상당히 열정적이다. ==== 공용 무기(NS) ==== 공용 무기지만 캐시로 구매해도 타 제국 MBT에 장착할 수 없다. ===== M20 바실리스크(M20 Basilisk) ===== ||<-4> [[파일:M20_Basilisk.png]] || ||<-4> '''{{{#white M20 Basilisk}}}''' || ||<-2> 사격속도 || 400 || RPM || ||<-2> 포구속도 || 550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최대 ||<-2> 10m이내 250 || ||<-2> 최소 ||<-2> 100m이후 167 || ||<-2> 재장전 속도 ||<-2> 3초 || || 탄창 || 50 || 탄약 || 300 || ||<-4> 가격 || ||<-2> 기본[[파일:서트.png|width=20]] ||<-2> 기본[[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기본 언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0.1s / 0.2s / 0.3s / 0.4s / 0.5s], 탄창 크기 [+6 / +9 / +12 / +15] || || 탄약 || 탄약 용량 || 무난한 성능의 중기관총. 보통은 다른 무기로 갈아탄다. ===== M12 코볼트(M12 Kobalt) ===== ||<-4> [[파일:M12_Kobalt.png]] || ||<-4> '''{{{#white M12 Kobalt}}}''' || ||<:><-2><#C8C8C8>사격속도||<:>550||<:><#C8C8C8>RPM|| ||<:><-2><#C8C8C8>포구속도||<:>650||<:><#C8C8C8>m/s|| ||<:><-2><#C8C8C8>사격모드||<-2><:>자동|| ||<:><-99><#C8C8C8>피해량|| ||||<:><#C8C8C8>최대||||<:>10m이내 167|| ||||<:><#C8C8C8>최소||||<:>65m이후 143|| ||||<:><#C8C8C8>재장전 속도||||<:>2.5초|| ||<:><#C8C8C8>탄창|| 60 ||<:><#C8C8C8>탄약||<:> 600 || ||<:><-99><#C8C8C8>가격|| ||<:><-2>200[[파일:서트.png|width=20]]||<:><-2>150[[파일:DBC.png|width=20]]|| ||<:><-2>커스터마이징|| ||<:>조준경||<:>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유틸리티||<:>재장전 속도 [0.1s / 0.2s / 0.3s / 0.4s / 0.5s], 탄창 크기 [+5 / +10 / +15 / +20]|| ||<:>탄약||<:>탄약 용량|| 적 보병을 갈아버리는 경기관총. 보통은 다른 무기로 갈아탄다. ===== E540 할버드(E540 Halberd) ===== ||<-4> [[파일:E540_Halberd.png]] || ||<-4> '''{{{#white E540 Halberd}}}''' || ||<-2> 사격속도 || 60 || RPM || ||<-2> 포구속도 || 275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고정데미지 ||<-2> 600 || ||<-2> 최대간접피해 ||<-2> 0.5m이내 500 || ||<-2> 최소간접피해 ||<-2> 2m이후 50 || ||<-2> 재장전 속도 ||<-2> 3.25초 || || 탄창 || 1 || 탄약 || 36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5% / 6.25% / 7.5% / 8.75% / 10%] || || 탄약 || 탄약 용량 || 일반적인 맥라이더가 자주 채용하는 무기. 특히 중거리전 이상에서 빛을 발한다. 단점으로는 단발식이기에 한 발 빗나가는게 매우 치명적으로 다가온다는 것. ===== G30 워커(G30 Walker) ===== ||<-4> [[파일:G30_Walker.png]] || ||<-4> '''{{{#white G30 Walker}}}''' || ||<-2> 사격속도 || 600 || RPM || ||<-2> 포구속도 || 1000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최대 ||<-2> 50m이내 130 || ||<-2> 최소 ||<-2> 400m이후 115 || ||<-2> 재장전 속도 ||<-2> 2초 || || 탄창 || 75 || 탄약 || 1125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0.1s / 0.2s / 0.3s / 0.4s / 0.5s], 탄창 크기 [+5 / +10 / +15 / +20] || || 탄약 || 탄약 용량 || 빠른 탄속으로 적 항공기를 사냥하는 기관포. ===== G40-F 레인저(G40-F Ranger) ===== ||<-4> [[파일:G40-F_Ranger.png]] || ||<-4> '''{{{#white G40-F Ranger}}}''' || ||<-2> 사격속도 || 330 || RPM || ||<-2> 포구속도 || 325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최대 ||<-2> 50m이내 100 || ||<-2> 최소 ||<-2> 200m이후 20 || ||<-2> 최대간접피해 ||<-2> 5m이내 30 || ||<-2> 최소간접피해 ||<-2> 8m이후 1 || ||<-2> 재장전 속도 ||<-2> 3초 || || 탄창 || 60 || 탄약 || 780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0.12s / 0.24s / 0.36s / 0.48s / 0.6s], 탄창 크기 [+3 / +6 / +9 / +12] || || 탄약 || 탄약 용량 || [[근접신관]] 탄환을 사용하는 대공포. ==== 바누 자치국(VS) ==== ===== V42 파리아 (V42 Pariah) ===== ||<-4> [[파일:V42_Pariah.webp]] || ||<-4> '''{{{#ffffff V42 Pariah}}}''' || ||<-2> 사격속도 || 377 || RPM || ||<-2> 포구속도 || 575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최대 ||<-2> 20m이내 220 || ||<-2> 최소 ||<-2> 314m이후 143 || ||<-2> 재장전 속도 ||<-2> 2.8초 || || 탄창 || 65 || 탄약 || 650 || ||<-4> 가격 || ||<-2> 기본[[파일:서트.png|width=20]] ||<-2> 기본[[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확장탄창, 재장전 속도 || || 탄약 || 탄약 용량 || ===== 어필리언 VEX-4(Aphelion VEX-4) ===== ||<-4> [[파일:Aphelion_VEX-4.png]] || ||<-4> '''{{{#ffffff Aphelion VEX-4}}}''' || ||<-2> 사격속도 || 400 || RPM || ||<-2> 포구속도 || 300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최대 ||<-2> 40m이내 200 || ||<-2> 최소 ||<-2> 80m이후 143 || ||<-2> 재장전 속도 ||<-2> 3초 || || 탄창 || 50 || 탄약 || 300 || ||<-4> 가격 || ||<-2> 550[[파일:서트.png|width=20]] ||<-2> 3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10% / 12.5% / 15% / 17.5% / 20%], 탄창 크기 [+2 / +4 / +6 / +8] || || 탄약 || 탄약 용량 || 테란의 벌컨과 비교되는 근거리 대 기갑 무기. 언뜻 보면 벌컨의 하위호환으로 보인다. 연사력이 반토막났는데 최대 데미지는 고작 200밖에 안되니 말이다. 어필리언은 사수의 센스가 매우 중요한 무기로서, 6발 이상씩 끊어 사격하면 초승달형의 '''과충전샷'''이 발사된다. 이 과충전샷의 데미지는 800으로서, 과충전샷만 사용한다 가정하면 어필리언은 상당히 높은 DPM(탄창 당 데미지)를 자랑하는 무기가 된다. 하지만 일반 사격 또한 나쁘지 않은 편이라 일반 사격만 한다 치면 DPS(초당 데미지)는 과충전샷보다 높다. 따라서 근거리에서는 일반 사격, 중거리 이상부터는 과충전샷을 이용하는게 좋다. 여담으로 과충전샷은 2개의 적 대상을 관통할 수 있다. 여러모로 운전수와 사수의 센스가 중요한 무기. 어필리언의 뜻은 원일점. [[케플러의 법칙]] 참고. ===== 프로톤 II PPA(Proton II PPA) ===== ||<-4> [[파일:Proton_II_PPA.png]] || ||<-4> '''{{{#ffffff Proton II PPA}}}''' || ||<-2> 사격속도 || 240 || RPM || ||<-2> 포구속도 || 150 || m/s || ||<-2> 사격모드 ||<-2> 자동 || ||<-4> 피해량 || ||<-2> 최대 ||<-2> 20m이내 60 || ||<-2> 최소 ||<-2> 50m이후 50 || ||<-2> 최대간접피해 ||<-2> 0.5m이내 250 || ||<-2> 최소간접피해 ||<-2> 3m이후 25 || ||<-2> 재장전 속도 ||<-2> 3초 || || 탄창 || 12 || 탄약 || 240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7.5% / 9.375% / 11.25% / 13.125% / 15%], 탄창 크기 [+1 / +2 / +3 / +4] || || 탄약 || 탄약 용량 || 그냥저냥 쓸만한 대보병 무기. 과거에는 느린 연사력과 높은 정확도로 보병들을 죄다 갈아마신다거나 이후 너프당해서 아무도 안 쓰는 쓰레기 무기가 됐다거나 했지만 결국은 그냥저냥 평범하게 쓰이는 대보병 무기가 되었다. ===== 새런 HRB(Saron HRB) ===== ||<-4> [[파일:Saron_HRB.png]] || ||<-4> '''{{{#ffffff Saron HRB}}}''' || ||<-2> 사격속도 || 300 || RPM || ||<-2> 포구속도 || 300 || m/s || ||<-2> 사격모드 ||<-2> 반자동 || ||<-4> 피해량 || ||<-2> 고정데미지 ||<-2> 150 || ||<-2> 최대간접피해 ||<-2> 0.5m이내 150 || ||<-2> 최소간접피해 ||<-2> 3m이후 50 || ||<-2> 재장전 속도 ||<-2> 3초 || || 탄창 || 6 || 탄약 || 180 || ||<-4> 가격 || ||<-2> 875[[파일:서트.png|width=20]] ||<-2> 599[[파일:DBC.png|width=20]] || ||<-2> 커스터마이징 || || 조준경 || 1.25배 조준경, 1.5배 조준경, 1.75배 조준경, 2배 조준경, 야간 조준경, 위협 감지 조준경 || || 유틸리티 || 재장전 속도 [7.5% / 9.375% / 11.25% / 13.125% / 15%] || || 탄약 || 탄약 용량 || 바누 맥라이더의 전용 무기. 새런 HRB는 단발 레이저를 발사하는 무기로, 공격력이 낮으나 탄속이 빠르고 반동이 적어 정확도가 높다. 낮은 공격력이 발목을 잡는 요소이나 장탄수가 '''6'''이고 공격속도도 빨라서 유효타율이 높아 이를 상쇄한다. 보병, 차량, 항공기 모두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어 범용성도 확실. 프로톤과 어필리언에 비해 운용이 쉬운 편이라 많은 바누 유저들이 새런을 사용한다. 맥라이더의 '''2번째 주포'''로 불리며 악명을 쌓았을 정도.[* 주포와는 달리 무기의 방향 회전도 원활하고 장거리 사격도 가능한데 속사도 가능하니 근접전이던 원거리 포격전이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게 어렵지 않았다. 맥라이더의 다른 무기도 그렇고 다른 세력 전차의 전용 무기도 이 정도로 범용성이 높은 무기는 없었으니 사기 무기라고 악명을 쌓은 것.][* 여기에 비견될 무기는 출시 직후 하향 되기 이전 아주 짧은 전성기를 가졌던 테란의 게이트키퍼 정도밖에 없다.] 결국 너무 좋은 성능으로 하향 패치를 받았다. 연사 시 반동이 크게 상승하여 장거리에서 6발을 바로 때려박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 극초기엔 탄창 단 1발에 데미지도 훨씬 높았다고 한다. 두 번째 주포라는 별명은 이 때 나온 듯. 물론 상술했듯 현재의 모습이 되기 전까지의 위력도 상당했던지라 두 번째 주포라는 별명은 제법 오랫동안 유지되어왔다. == 패시브 시스템(Passive Systems) == '''Passive Systems''' === 맥버너(Magburner) === '''Magburner''' ||[[파일:Magburner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기본||연료를 완전히 소모할 경우 완전히 충전되기까지 35초가 걸립니다.|| ||2||100[[파일:서트.png|width=20]]||연료를 완전히 소모할 경우 완전히 충전되기까지 30초가 걸립니다.|| ||3||200[[파일:서트.png|width=20]]||연료를 완전히 소모할 경우 완전히 충전되기까지 25초가 걸립니다.|| ||4||500[[파일:서트.png|width=20]]||연료를 완전히 소모할 경우 완전히 충전되기까지 20초가 걸립니다.|| ||5||1000[[파일:서트.png|width=20]]||연료를 완전히 소모할 경우 완전히 충전되기까지 15초가 걸립니다.|| '''맥라이더 운영의 핵심''' 약 1초동안 최대 100km/h의 속도를 낼 수 있게 해 주는 능력. 항공기의 애프터버너와 비슷한 능력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평소에는 오르지 못 하던 언덕을 오를 때 사용하거나, 전장에 빠르게 투입되거나 이탈할 때 자주 사용된다. 문제는 사용 시 전방으로만 급가속 한다는 것. 이는 아래의 다중 방향 배기구와 함께 사용해 완화할 수 있지만 그래도 위급 상황에서 가장 약한 후면을 내주며 도망쳐야 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이다. 작동 버튼을 꾹 누르면 최대로 분사했는데도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다. == 유틸리티 슬롯(Utility Slot) == '''Utility Slot''' === 화재 진압 시스템(Fire Suppression System) === '''Fire Suppression System''' ||[[파일:Fire_Surpression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기본||5초에 걸쳐 차량 체력의 15%를 수리합니다. 차량에 불이 붙었을 경우 즉시 화재를 진압하며, 55초마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2||100[[파일:서트.png|width=20]]||5초에 걸쳐 차량 체력의 15%를 수리합니다. 50초마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3||200[[파일:서트.png|width=20]]||5초에 걸쳐 차량 체력의 15%를 수리합니다. 47초마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4||500[[파일:서트.png|width=20]]||5초에 걸쳐 차량 체력의 12%를 수리합니다. 45초마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급하게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능력. === 재충전(Recharge) === '''Recharge''' ||레벨||비용||설명|| ||1||100[[파일:서트.png|width=20]]||맥라이더의 맥버너를 즉시 충전하고 락온을 방해합니다. 40초의 쿨다운을 가집니다.|| ||2||200[[파일:서트.png|width=20]]||맥라이더의 맥버너를 즉시 충전하고 락온을 방해합니다. 32초의 쿨다운을 가집니다.|| ||3||500[[파일:서트.png|width=20]]||맥라이더의 맥버너를 즉시 충전하고 락온을 방해합니다. 28초의 쿨다운을 가집니다.|| ||4||1000[[파일:서트.png|width=20]]||맥라이더의 맥버너를 즉시 충전하고 락온을 방해합니다. 25초의 쿨다운을 가집니다.|| 맥라이더가 두 번 연속으로 맥버너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유틸리티. 기존 맥버너의 자리를 꿰차고 들어온 만큼 앞으로 맥라이더의 주력 유틸리티로 쓰일 것으로 보인다. === 연막(Smoke Screen) === '''Smoke Screen''' ||[[파일:Smoke_Screen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50[[파일:서트.png|width=20]]||8초간 연막을 뿌립니다. 사용 즉시 자신과 30m 이내의 동맹 차량의 스팟을 지우고 8초간 락온을 방지하며 자동 미니맵 감지를 방지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은 40초입니다.|| ||2||100[[파일:서트.png|width=20]]||재사용 대기 시간이 35초로 감소합니다.|| ||3||200[[파일:서트.png|width=20]]||재사용 대기 시간이 32초로 감소합니다.|| ||4||500[[파일:서트.png|width=20]]||재사용 대기 시간이 30초로 감소합니다.|| 차량 주변에 연막을 터뜨려 시야와 락온을 차단하는 능력. == 방어 슬롯(Defense Slot) == '''Defense Slot''' === 나노 자동 수리 시스템(Nanite Auto Repair System) === '''Nanite Auto Repair System''' ||[[파일:Auto_repair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기본||12초간 공격받지 않을 경우 5초마다 3.75%의 차량 체력을 수리합니다.|| ||2||50[[파일:서트.png|width=20]]||5초마다 4.38%의 차량 체력을 수리합니다.|| ||3||100[[파일:서트.png|width=20]]||5초마다 5%의 차량 체력을 수리합니다.|| ||4||200[[파일:서트.png|width=20]]||5초마다 5.63%의 차량 체력을 수리합니다.|| ||5||500[[파일:서트.png|width=20]]||5초마다 6.25%의 차량 체력을 수리합니다.|| === 다중 방향 배기구(Multi-directional Exhaust) === '''Multi-directional Exhaust''' ||레벨||비용||설명|| ||1||100[[파일:서트.png|width=20]]||맥버너 사용 시 측면으로 발진할 수 있습니다. 맥버너 재충전 속도가 15% 상승합니다.|| ||2||200[[파일:서트.png|width=20]]||맥버너 재충전 속도가 23% 상승합니다.|| ||3||500[[파일:서트.png|width=20]]||맥버너 재충전 속도가 27% 상승합니다.|| ||4||1000[[파일:서트.png|width=20]]||맥버너 재충전 속도가 30% 상승합니다.|| 측면으로 발진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정확하게는 측면 약 45° 정도로 발진이 가능하다. === 차량 스텔스(Vehicle Stealth) === '''Vehicle Stealth''' ||[[파일:Vehicle_Stealth_Certification_Icon.png]]|| ||레벨||비용||설명|| ||1||30[[파일:서트.png|width=20]]||락온에 걸리는 시간이 0.25초 증가합니다. 미니맵에 자동으로 감지되는 범위가 75m로 감소합니다.|| ||2||100[[파일:서트.png|width=20]]||락온에 걸리는 시간이 0.5초 증가합니다. 미니맵에 자동으로 감지되는 범위가 50m로 감소합니다.|| ||3||200[[파일:서트.png|width=20]]||락온에 걸리는 시간이 0.75초 증가합니다. 미니맵에 자동으로 감지되는 범위가 25m로 감소합니다.|| ||4||1000[[파일:서트.png|width=20]]||락온에 걸리는 시간이 1초 증가합니다. 미니맵에 자동으로 감지되지 않습니다.|| 베테랑 맥라이더 유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틸리티. 맥라이더의 특성인 치고 빠지기, 고지 점령 및 유리한 위치를 잡는데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며, 스텔스 없는 맥라이더는 뒤로 돌아온 적 전차에게 잡혀 산화하기 십상이다. === 지뢰 방호(Mine Guard) === '''Mine Guard''' ||[[파일:Mine_Guard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30[[파일:서트.png|width=20]]||탱크 지뢰에 대한 저항력이 25%로 증가합니다.|| ||2||50[[파일:서트.png|width=20]]||탱크 지뢰에 대한 저항력이 40%로 증가합니다.|| ||3||100[[파일:서트.png|width=20]]||탱크 지뢰에 대한 저항력이 60%로 증가합니다.|| ||4||150[[파일:서트.png|width=20]]||탱크 지뢰에 대한 저항력이 70%로 증가합니다.|| 탱크 지뢰에 대한 저항력을 높혀주는 능력. 보통은 폭발물 감지 HUD 임플란트를 장착하고 탱크 지뢰를 피해다니기에 많이 채용되진 않는다. === 플랭커 장갑(Flanker Armor) === '''Flanker Armor''' ||[[파일:Reinforced_Top_Armor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50[[파일:서트.png|width=20]]||보병 로켓 런처, A2G 탄두, C4 데미지를 10% 감소시킵니다.|| ||2||100[[파일:서트.png|width=20]]||보병 로켓 런처, A2G 탄두, C4 데미지를 15% 감소시킵니다.|| ||3||200[[파일:서트.png|width=20]]||보병 로켓 런처, A2G 탄두, C4 데미지를 18% 감소시킵니다.|| ||4||500[[파일:서트.png|width=20]]||보병 로켓 런처, A2G 탄두, C4 데미지를 20% 감소시킵니다.|| === 근접 레이더(Proximity Radar) === '''Proximity Radar''' ||[[파일:Proximity_Radar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100[[파일:서트.png|width=20]]||30m내의 보병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2||200[[파일:서트.png|width=20]]||35m내의 보병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3||400[[파일:서트.png|width=20]]||40m내의 보병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4||500[[파일:서트.png|width=20]]||50m내의 보병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보병을 상대할때 채용되는 능력. == 성능 슬롯(Performance Slot) == '''Performance Slot''' === 라이벌 전투 섀시(Rival Combat Chassis) === '''Rival Combat Chassis''' ||[[파일:Rival_Combat_Chassis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100[[파일:서트.png|width=20]]||<|3>회전력, 브레이크, 후진 속도를 증가시켜줍니다.|| ||2||200[[파일:서트.png|width=20]]|| ||3||400[[파일:서트.png|width=20]]|| 맥라이더의 좌우이동능력과 선회력이 크게 향상된다. 후진 속도도 전진 속도와 비슷해질 정도로 상승한다. === 레이서 고속 섀시(Racer High Speed Chassis) === '''Racer High Speed Chassis''' ||[[파일:Racer_High_Speed_Chassis_Cert_Icon.png]]|| ||레벨||비용||설명|| ||1||100[[파일:서트.png|width=20]]||<|3>최고 속력을 향상시켜줍니다.|| ||2||200[[파일:서트.png|width=20]]|| ||3||400[[파일:서트.png|width=20]]|| 빠르게 치고빠지는 맥라이더가 주로 사용한다. 맥라이더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 [[분류:플래닛사이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