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플로리다 메이헴)] [include(틀:플로리다 메이헴/역대 시즌)] [목차] == 오프시즌 == ||<-2> '''영입''' ||<-2> '''방출''' || || [[파일:Bobby Wasabi logo.pn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irMajed[br][[마제드 알래쉬드]]''' ||<|3> ''은퇴 ''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OGE[br][[손민석]]''' || || [[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Hydron[br][[아이제이아 로드리게즈]]'''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LIME[br][[김성준(프로게이머)|김성준]]''' || || [[LA 글래디에이터즈|[[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MirroR[br][[크리스 찐]]'''--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bqb[br][[이상범(프로게이머)|이상범]]''' || || [[업라이징 아카데미|[[파일:업라이징 아카데미.pn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Adam[br][[아담 숭]]''' ||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GARGOYLE[br][[이범준(프로게이머)|이범준]]''' || || [[Team CC|[[파일:Team_CC_logo.pn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SOMEONE[br][[함정완]]''' ||<|2> [[뉴욕 엑셀시어|[[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GangNamJin[br][[강남진(프로게이머)|강남진]]''' || || [[서울 다이너스티|[[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Anamo[br][[정태성(프로게이머)|정태성]]'''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Yaki[br][[김준기(프로게이머)|김준기]]''' || || [[광저우 차지|[[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KariV[br][[박영서(프로게이머)|박영서]]''' ||<-2> || || ''N/A''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Xzi[br][[정기효]]''' ||<-2> || 시즌 종료 후 모든 선수를 방출한다는 얘기가 있었으며, 실제로 Yaki를 제외한 모든 선수와 코감진이 방출되었다. Yaki 또한 다른 팀과 트레이드될 예정이라고 한다. 서양권 로스터로 리빌딩을 할 예정이었으나, 본래 영입 예정이었던 UltraViolet과 Ojee를 애틀랜타 레인이 영입하면서 다국적 로스터로 계획을 변경했다는 썰이 있다. 감독으로 전 보스턴 업라이징, LA 발리언트 코치였던 Gunba를 선임했다. 이후 Bobby Wasabi에서 SirMajed, Redbird Esports에서 Hydron을 영입했고, 방출했던 Checkmate와 재계약했다.[* 이때 CHECKMATE에서 Checkmate로 닉네임이 바뀌었다.] 또한 19시즌에 팀에서 잠깐 활동했던 McGravy를 코치로 영입했다. 4월에는 5일에 KariV가 영입되었고, 19일에 MirroR가 계약을 해지했다. 시즌 시작 3주 전에 선수를 트레이드도 아니고 방출시킨 것에 대해 논란이 있다. 이에 대해 알버트 예 단장이 [[https://twitter.com/yeHHH/status/1516146030684876806|해명]]을 했다.[* 요약하자면 오버워치 2에 익숙해지면서 로스터를 다른 방향으로 조정해야 했고, 처음에는 MirroR를 딜탱힐 3포지션에 모두 능통한 Flex로 운용하려 했지만(실제로 글래디 시절 한 경기 내에서 3포지션을 수행한 적이 있다.) 스크림을 돌려보면서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고. SOMEONE이 메인탱뿐만 아니라 자리야와 둠피스트(오버워치 2에서는 둠피스트가 탱커로 변경된다.), Checkmate가 대부분의 딜러, KariV가 대부분의 힐러를 플레이할 수 있다는 게 영향을 줬다고 한다.] 이후 22일에 Xzi를 영입했다. == 정규시즌 == ||<-5> '''{{{#cf4691 플로리다 메이헴 22시즌 정규시즌 성적}}}''' || || 스테이지 || 승-패 || 순위(서부) || 세트 득실 || 토너먼트 || || 킥오프 클래시 || '''{{{#0000eb 4-2}}}''' || 4 || +7 || 6강[br]승점 1점 추가 || || 미드시즌 매드니스 || '''{{{#eb0000 2-4}}}''' || 10 || -6 || 결과 합산 ↓ || || 리그 포인트 중간 정산 || '''{{{#008600 8}}}''' || 7 || +1 || 8강[br]승점 1점 추가 || || 서머 쇼다운 || '''{{{#008600 3-3}}}''' || 8 || 0 || 4위[br]승점 1점 추가 || || 카운트다운 컵 || '''{{{#008600 3-3}}}''' || 6 || 0 || 카운트다운 컵 진출 || || 정규 시즌 성적 || '''{{{#008600 12-12}}}''' || 7 || +1 || 7~8위 || '''{{{#0000eb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eb0000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008600 초록 글씨}}}'''는 승패마진이 1 이하일 경우다. === 킥오프 클래시 === * '''예선''' 1) vs. ATL - 1:3 패 2) vs. PAR - 3:1 승 3) vs. VAN - 3:0 승 4) vs. HOU - 2:3 패 5) vs. NYE - 3:0 승 6) vs. WAS - 3:1 승 결과: 본선 {{{#00f '''진출'''}}} ------ * '''본선''' 1) 8강 vs. ATL - 1:3 패 2) 패자 1라운드 vs. WAS - 3:1 승 3) 패자 2라운드 vs. DAL - 1:3 패 ------ === 미드시즌 매드니스 === * '''예선''' 1) vs. LDN - 2:3 패 2) vs. TOR - 3:1 승 3) vs. DAL - 0:3 패 4) vs. SFS - 1:3 패 5) vs. BOS - 3:2 승 6) vs. GLA - 0:3 패 결과: 본선 {{{#00f '''진출'''}}} ------ * '''본선''' 1) 12강 vs. HOU - 0:3 패 2) 패자 1라운드 vs. LDN - 3:2 승 3) 패자 2라운드 vs. PHI - 2:3 패 ------ 미드시즌 예선은 2승 4패 -6으로 10위. 진작 떨어졌어도 이상하지 않을 성적이지만[* 런던전 패배는 변명의 여지가 없지만 그래도 남은 3패인 쇼크-글래디-댈러스는 현재 서부 3강에 군림 중이므로 대진운이 안 좋다는 변명은 가능하다. 일단 경쟁권인 토론토-보스턴 상대로는 이겼다.] 킥오프 클래시의 준수한 성적 덕에 미드시즌 본선엔 7위 턱걸이로 입성. 똑같이 탈락권이지만 킥오프 성적빨로 막차 탑승한 토론토와 상황이 비슷하다. 토너먼트에서는 휴스턴한테 패해 패자조로 내려갔지만 패자조에서 런던 상대로 리버스 스윕을 성공시킴으로서 예선전의 복수를 했다.[* 7주차 경기와 굉장히 비슷한 상황인데, 1세트를 제외하고 플레이한 전장이 모두 같으며(7주차 1세트: 일리오스 / 토너먼트 1세트: 리장 타워), 런던이 초반 2세트를 리드하고 3, 4세트를 메이헴이 추격하는 구도가 동일하다. 7주차 때는 5세트에서 뒤집지 못했지만 이번에는 뒤집어내는데 성공해냈다.] === 서머 쇼다운 === * '''예선''' 1) vs. LDN - 3:1 승 2) vs. SFS - 0:3 패 3) vs. WAS - 0:3 패 4) vs. DAL - 1:3 패 5) vs. PAR - 3:0 승 6) vs. NYE - 3:0 승 결과: 본선 {{{#00f '''진출'''}}} ------ * '''본선''' 서머 쇼다운 8강) vs. HOU - 0:3 패 서머 쇼다운 패자 1라운드) vs. VAN - 3:0 승 서머 쇼다운 패자 2라운드) vs. LDN - 3:2 승 서머 쇼다운 패자 3라운드) vs. TOR - 2:3 패 초반 4경기는 부진했지만 후반 최약체로 꼽히는 파리와 뉴욕을 3대0으로 잡아 8등을 기록, 턱걸이로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본선 첫 경기 휴스턴전은 힘없이 패배하며 이대로 탈락하나 싶었지만 댈러스를 꺾을뻔한 워싱턴을 잡고, 런던을 무려 '''역스윕'''으로 잡아 서부 Top 4까지 올라가는 저력을 보여줬다. 이후엔 홈스텐드 팀인 토론토에게 패배하며 토너먼트를 마무리했다. ------ === 카운트다운 컵 === * '''예선''' 1) vs. GLA - 1:3 패 2) vs. BOS - 0:3 패 3) vs. VAN - 3:2 승 4) vs. ATL - 2:3 패 5) vs. TOR - 3:1 승 6) vs. HOU - 3:1 승 결과: 카운트다운 컵 {{{#00f '''진출'''}}} ------ == 포스트시즌 == * '''카운트다운 컵''' 4강) vs. BOS - 3:0 승 승자 결승) vs. TOR - 3:1 승 결과: 플레이오프 {{{#00f '''진출'''}}} ------ *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12강) vs. ATL - 3:0 승 플레이오프 8강) vs. SEO - 0:3 패 플레이오프 패자 1R) vs. ATL - 3:1 승 플레이오프 패자 2R) vs. HZS - 1:3 패 [[파일: florida mayhem 2022 grand final.jpg]] 서부 카운트다운 컵을 1위로 통과하며 경기력이 물 올라있었고, 애틀랜타만 2번을 잡으며 저력을 보이기도 했으나 항저우와의 핑크 대전에서 패하며 시즌이 끝났다. [[분류:플로리다 메이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플로리다 메이헴, version=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