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USS_Florida_%28BB-30%29_-_NH_60568.jpg|width=100%]] [목차] == 개요 == 플로리다급 전함은 미 해군의 드레드노트급전함으로, 1908년도 해군정비계획에 근거하여 이전급인 델라웨어급 전함의 개량형으로서 <플로리다>와 <유타>의 2척 건조가 의회에서 승인되었다. 원래는 356mm 연장포탑 4기의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계획했지만 당시 [[미국]]의 공업력으로는 14인치라는 대구경 화포의 제작이 어려워 결국 델라웨어와 같은 12인치 연장포 5기 10문을 가진 드레드노트급전함으로 설계가 변경되었다. == 제원 == ||<-2> '''플로리다급 전함 제원[br](Florida class)''' || ||전장||159.0m|| ||전폭||26.9m|| ||흘수||9.2m|| ||배수량||22,175t(기준)[br]23,403t(만재)|| ||최대출력||28,000hp|| ||최대속력||21kn|| ||항속거리||10kn 기준 5,776해리[br]20kn 기준 2,760해리|| ||주포||305mm 연장포 5기 10문|| ||부포||127mm 단장포 16기|| ||<|2>대공포||57mm 대공포 4기|| ||37mm 대공포 2기|| ||어뢰||533mm 어뢰발사관 2문|| ||승조원||1,001명|| ||장갑||229~279mm(함체)[br]203~254mm(하부 부포곽)[br]127mm(상부 부포곽)[br]102~254mm(포탑)[br]305mm(포신)[br]292mm(함교)[br]38mm(갑판)|| ||동형함||플로리다(BB-30)[br]유타(BB-31)|| ||이전 함급||[[델라웨어급 전함]]|| ||다음 함급||[[와이오밍급 전함]]|| == 동급함 == ||<-4> '''{{{#fff 플로리다급 전함}}}'''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3> 플로리다[br](BB-30) || 기공 || 1909-03-08 ||<|3> *퇴역 ,,(1931-02-16),, *해체 ,,(1931),, || || 진수 || 1910-05-12 || || 취역 || 1911-09-15 || ||<|3> 유타[br](BB-31) || 기공 || 1909-03-09 ||<|3> *퇴역 ,,(1944-09-05),, *격침 ,,(1941-12-07),, [* [[진주만 공습]]] || || 진수 || 1909-12-23 || || 취역 || 1911-08-31 || }}}}}}}}} || == 상세 == 그러나 본급은 후속함에 새로운 기술을 많이 접목했던 함으로서, 부포로 신설계의 <127mm(5인치 51구경) 속사포>를 이전보다 2문 늘린 16문을 장비했으며 이전부터 지적된 미국산 터빈의 나쁜 연비효율은 영국제의 퍼슨즈식 직결터빈을 채용하여 미국 전함으로는 최초로 4축 추진기관을 가진 함이 되었다. 플로리다급 전함의 선체형상은 이전과 같은 짧은 선수루형 선체였지만 의회에서 함형의 대형화를 인정했기 때문에 전장과 전폭은 확대되었고 이전급에서 불만점이던 함상구조물의 밀집화와 내부 거주성을 개선하였다. 함수에는 부력확보를 위해 팽창재를 보강했으며 갑판위에 305mm포를 연장포탑에 수납해 1, 2번 주포탑을 계단식으로 2기를 배치했다. 2번 주포탑의 기부에서 한단 위 갑판에서 함상구조물이 시작되어 그 위에 조타함교를 조합한 사령탑을 배치하고 그 뒤에 당시 미해군 대형함의 특징이던 등롱식 전방 마스트를 세웠다. 사령탑과 전방 마스트를 기부로 삼각형상의 선교를 배치하고 전방 마스트 하부에는 항해함교, 정상에는 전망소를 두었다. 전방 마스트 배후에는 연돌 2개가 세워졌으며 그곳부터 한 단 아래 갑판에 좌우로 함재정을 배치해 좌우 1기씩 세워진 탐조등대의 기부 크레인으로 운용하였다. 2번 연돌의 후방에는 다시 등롱식 마스트가 세워졌으며 3번 주포탑이 후방으로 향해 배치되었다. 그곳에서 다시 갑판 한단아래 후방갑판에 4번 주포탑과 5번 주포탑이 계단식으로 1기씩 배치되었다. 현측에는 12.7cm 속사포를 중심저하를 꾀하여 1번 주포탑의 측면부에 독립하여 1기가 배치되었지만 파도의 영향을 받기 쉬워서 준공 후엔 2번 주포탑의 기부 측면으로 이설했다. 그 외엔 선체 중앙부에 포곽배치로 방사형으로 단장 5기와 함미측에 2기씩 각현 8기씩 하여 총 16기를 배치했다. 대함용으로 53.3cm [[어뢰]]발사관 2문도 수선부에 장착되었다. 플로리다급 전함은 제 1차 세계대전 후인 [[1920년]]대에 [[보스턴]] 해군공창에서 근대화 개장공사를 받았다. 외관상으로는 등롱식 전방 마스트에 있던 항해함교는 밀폐형이 되어 전방 마스트의 중단에 박스형 전투함교를 신설했다. 정상의 전망소는 밀폐형이 되었다. 기관의 교체로 연돌도 1개가 되어 후방의 등롱식 마스트도 철거한 후 그 자리엔 수상기를 운용하기 위한 공간이 되어 3번 주포탑의 위에 캐터펠트를 설치하였다. 후방 마스트는 3, 4번 주포탑의 사이에 간단한 단각식으로 이설되었다. 동시에 신형의 사격지휘장치가 함교 위에 설치되어 항해함교의 위와 2~4번 주포탑 위에 측거의를 탑재했다. 파도의 영향을 받기 쉬웠던 현측 포곽배치의 부포 5기 중 전방 3기는 폐쇄되어 각 현 3문씩 최상층 갑판 위에 6문으로 이동했다. == 활동 == 플로리다급 전함 1번함 플로리다는 [[1909년]] [[3월 8일]]에 [[뉴욕]] 해군공창에서 기공하여 1910년 5월 12일에 진수 후 1911년 9월 15일에 초대함장 H. S. 넵 대령의 지휘하에 취역하였다. 카리브 해역 및 메인 주 연안에서 훈련에 종사한 플로리다는 1912년 3월 29일에 햄턴 로즈에 도착해 대서양함대 제 1함대의 기함으로 지정되었다. 그 후 플로리다는 함대연습과 포술훈련에 종사하면서 사관후보생들의 훈련항해에 정기적으로 사용되다가 1914년에 멕시코와 긴장관계가 이어지자 2월 16일에 베라크루즈에 도착해 해병대의 상륙을 지원한 후 7월에 뉴욕으로 돌아와 함대연습에 종사한 후 제 2함대에 배속되었다.[* 이때 함장이던 윌리엄 R.러쉬는 후에 [[기어링급 구축함]]의 이름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 해군으로 인도돼서 강원함으로 2000년까지 활약했다가 2016년에 부산 다대포에서 해체되었다.] 제 1차 세계대전으로 미국이 참전하자 플로리다는 체사픽 만에서 훈련을 마치고 제 9 전함부대와 함께 영국해군 함대와 합류하기 위하여 출항해 1917년 12월 7일에 스캐퍼플로[* 2년 뒤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이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에 도착했다. 플로리다는 함대연습 및 선단호위 임무에 종사하며 1918년 11월 21일엔 포스 만에 억류된 독일 고속전함(?)을 호위하기 위해 함대일원으로 참가했다. 기록 부족으로 독일의 어느 전함인지는 모른다. 이후 플로리다가 호위한 전함도 위의 사건에서 자침한다. 플로리다는 파리 강화회의에 출석한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승함한 <조지 워싱턴>호를 호위하며 프랑스의 브레스트를 12월 12일과 13일에 걸쳐 방문했다. 그 후 12월 말에 뉴욕에서 열린 관함식에 참석한 후 평상활동으로 돌아왔다가 1919년 1월 4일에 노포크로 이동했다. 5월에 플로리다는 아조레스 제도로 순항한 후 처음으로 해군 비행기의 [[대서양]] 횡단을 위해 기상관측 임무를 담당했었다. 그 후 플로리다는 미 국무장관의 남미 및 카리브 각국의 방문에 사용된 후 해군사관생도들의 항해훈련에 종사하다가 1924년 6월에 도크에 입고되어 1925년 4월 1일부터 1926년 11월 1일까지 보스턴 해군조선소에서 근대화 개장공사를 받았다. 이 때 연돌을 1개로 바꾸고 후방 마스트를 철거했으며 2문의 어뢰발사관도 제거되었다. 그렇지만 플로리다는 1930년에 [[런던 해군 군축 조약]]에 의거하여 폐기가 결정되어 1931년 2월 16일에 필라델피아 해군공창에서 퇴역한 후 1932년 4월 6일에 제적되어 필라델피아 해군공창에서 해체가 진행되어 1932년 9월 30일에 완전해체되었다. 한편 2번함 유타는 살아남았으나 이미 구식인데다 함령이 너무 오래되어 주력함으로 쓰지 않고 표적함으로 전환된 채 [[진주만]]에서 훈련 표적 역할을 수행하다가 [[진주만 공습]] 당시 [[어뢰]]공격으로 인해 선체가 뒤집혀 침몰하였고, 인양시도가 실패로 끝나면서 유타의 추가적 인양시도는 중단되었고 현재까지 침몰한 채 그 위치에 애리조나와 함께 [[진주만 공습|진주만의 그날]]을 기억하는 추모시설로 남아있다. 플로리다에 사용된 은제식기 한 벌은 현재 플로리다 주지사 공관내 만찬회장에 전시되어 있으며 함내 괘종시계는 플로리다 대학에 전시되어 있다. == 모형화 == * 1/350 * Iron Shipwrights 유타를 발매하였으며, AG-31로 개장된 모습도 재현 가능하다. * 1/1250 * Navis-Neptun * Spider Navy == 둘러보기 == [include(틀:해상병기/미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분류:전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191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