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드래곤빌리지 컬렉션/드래곤]] ||<-2>
{{{+2 '''플루모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lumos_all_03.png|width=100%]]}}} || || '''품종''' || 플루모스 / Plumos || || '''학명''' || dryas flos || || '''별명''' || - || || '''특수 액션''' || - || || '''속성''' || 땅, 물 || || '''체형''' || 아시안 || || '''타입''' || 꽃 드래곤 || || '''평균 키''' || 3.5~3.9m || || '''평균 몸무게''' || 200~220kg || || '''성별''' || 암컷, 수컷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 알의 매화는 피어나고 있다.''' [[모바일 게임]] [[드래곤빌리지 컬렉션]]에 등장하는 [[드래곤빌리지 컬렉션/드래곤|땅, 물 속성 드래곤]]이다. == 설명 == >{{{#C14C8A '''{{{+1 요정의 고결한 마음이 모여 태어난 꽃 드래곤}}}'''}}} > >요정들의 무한한 사랑은 드래곤에 닿기도 한다. > >시들어 버린 매화나무 아래에서 태어난 플루모스는 그 사랑의 주인공이자, 안식처의 주인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플루모스는 여러 계절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발견된다. > >매화를 꽃피운 플루모스가 아닌 매실 열매를 맺은 플루모스는 초여름에 발견되며, 설중매 모습의 플루모스는 한겨울에 발견된다. > >여러 드래곤이 일으킨 바람을 맞고 성장한 플루모스는 파초선을 가진 채 매화나무의 정령으로 지내기도 한다. >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플루모스지만, 이들 모두 자신이 피워낸 생명의 기운으로 자연을 지키려 한다. == 등장 장소 == ||
<-2> '''스페셜''' || || 이달의 알 || O[* 9월 이달의 알] || || 코드 || X || || 이벤트 || X || || 기타 || X || == 진화 단계 == ||
[[파일:plumos_all_00.png|width=100%]] || || 알 || >알껍데기를 뚫은 매화나무는 부화 시까지 계속해서 자라난다. 매화나무를 훼손하는 경우 플루모스의 알은 성장을 멈춘 뒤 부화하지 않는다. ---- ||
[[파일:plumos_all_01.png|width=100%]] || || 해치 || >매화나무에 붙어 생활한다. 부화 시 알 표면에 붙어 있던 매화나무를 끌어안으며 생활한다. 평소에는 화를 잘 내지 않으나 매화나무를 빼앗아 가면 발톱이나 꼬리로 상대를 공격하기도 한다. ---- ||
[[파일:plumos_all_02.png|width=100%]] || || 해츨링 || >뿔에 붙은 매화를 피어나게 할 수 있다. 플루모스의 몸에서 피어난 매화의 경우 생명의 기운을 가지고 있는데, 꽃잎이 땅에 떨어지는 순간 생명의 기운으로 자연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성체에 비해 그리 많은 양은 아니지만 꽃을 피운 뒤 힘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능숙히 해낼 수 있다. ---- ||
[[파일:plumos_all_03.png|width=100%]] || || 성체 || >요정의 땅, 프리코누 대륙에서 최초로 발견된 드래곤이다. 프리코누 대륙에서 목격된 이후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 >---- >계절의 변화에 매우 예민한 드래곤으로 알려져 있다.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에서는 플루모스의 몸에 피어난 매화의 변화를 볼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 >온몸에서 매화가 자라는 드래곤이다. 플루모스의 몸에 붙은 매화나무의 경우 플루모스와 함께 성장한다. >---- >플루모스가 휴식을 취할 때면 긴 몸으로 매화나무를 감싼다. 플루모스가 몸을 감싼 매화나무의 경우 매우 빠른 성장을 하는데, 계절과 상관 없이 매화를 피우기도 한다. >---- >사악한 마음으로 매화나무를 훼손하는 자를 발견하게 되면 기다란 몸과 꼬리를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한 뒤 매화나무에 사과하라 명한다. 이 모습이 매화나무를 지키는 수호신과 닮았다고 하여 일부 지역에선 '매화나무의 정령'으로 불리기도 한다.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