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include(틀:유기화합물)] [include(틀:유기화합물/카복실산)] [목차] == 개요 == pyruvic acid 피루브산은 카복실기와 케톤기를 가진 가장 간단한 알파케토산으로, 구조식으로는 CH,,3,,COCOOH이다. [[세포호흡]] 때 [[포도당]], [[단백질]]이 해당과정으로 분해될 때 최종 생성물이다.[* 지방인 경우는 글리세롤 부분은 피루브산으로 가지만, 지방산 꼬리 부분은 아세틸 CoA로 바뀐다.][* 단백질의 경우는 탄소수가 3개인 [[알라닌]], [[시스테인]], [[세린]] 그리고 탄소수가 2개인 [[글리신]]이 피루브산으로 향한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피루브산은 포도당 부족이나 ATP 과잉시 [[옥살아세트산]]으로 가서 [[포도당 신생합성]]이나 아미노산 생합성에 쓰이고, 포도당 과잉시 [[아세틸 CoA]]로 향해 [[TCA 회로]]나 지방산 합성 쪽으로 방향을 틀 수도 있으며, 아니면 자체적으로 암모늄 등과 반응해 [[알라닌]] 등 아미노산을 바로 합성할 수도 있다.[* 근육에서 근육의 단백질을 이화시켜 산화시킬 때, 아미노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제거된 아미노기를 피루브산의 케톤기와 치환시키면 알라닌이 된다. 암모늄 이온으로 직접 혈중에 방출하면 뇌 등에 영향이 갈 수 있으므로, 알라닌의 형태로 암모니아를 동화시켜 간으로 데려가 질소 부분을 요소로 만든다.] 이렇게 아주 다양한 형태로 쓰일 수 있어 대사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그리고 [[TCA 회로]]에서 이것을 분해해서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고 NADH, FADH2로 에너지를 나눠서 저장한 뒤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분류:카복실산]][[분류:케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