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6세기 오스만 제국의 해군 제독, rd1=피리 레이스)] [목차] == [[국악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리(악기))] == [[목관악기]]류를 뭉뚱그려서 이르는 이름 == 1번 문단의 피리가 워낙 유명하다 보니 이 이름이 그냥 목관악기를 총칭하게 되었다. 더 넓게는 음악에 문외한인 사람들이 관악기는 전부, 다시 말하면 입으로 불어서 연주하면 다 피리라고 하기도 한다. 심지어 나이 지긋하신 분들 중에는 [[리코더]]를 서양 관악기라고 해서 '양피리', 플라스틱으로 만든 관악기라고 해서 '뿔피리'라고 하시는 분도 있다고. 비슷한 예는 [[금관악기]]를 총칭하는 [[나팔]]. [[영어]]도 똑같은 문제가 있는데, [[플루트]](Flute)는 목관악기류 악기를 일컬을 때 많이 쓰이고, [[호른]](Horn) 또한 대부분의 [[금관악기]]를 총칭한다. 총칭으로 사용해도 무방하긴 한데, [[국악]]계에서는 1번 문단의 악기와 혼동할 수 있으니 사용해 유의해야 한다. 분명 [[대금]]과 [[가야금]]이 중주를 했는데 관객분이 "피리소리만 들리고 [[가야금]]소리가 분명치 않다."는 등으로 말하면 어리둥절할 뿐. [[학교대사전]]에서는 [[리코더]]를 일러 가라사대 '피리를 쓸데없이 세 글자로 늘린 것이다'라고 했다... ~~저자가 [[국악]]에 관심이 한 방울도 없는 게 분명하다. 이런 명칭 차이는 전혀 쓸데없지 않다!!~~ 아일랜드의 [[틴 휘슬]]이나 볼리비아의 케나처럼 특정 문화권의 전통 음악에서만 쓰이는 목관악기를 들고 다니는 경우, 십중팔구 정도가 아니라 거의 100% 확률로 '피리' 소리를 듣게 된다. 하도 '피리'라는 말이 목관악기의 총칭으로 쓰이다 보니... 피리의 어원은 중국에서 중국의 전통 피리를 부르는 말인 筚篥로 추정된다. 이것의 중국어 발음이 다름 아닌 삐리(bìlì)이다. (한국어 발음으로는 필률) == [[축구선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리(축구선수))]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의 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IRI)] == [[팝픈뮤직/캐릭터|팝픈뮤직의 캐릭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리(팝픈뮤직))] [[분류:동음이의어]][[분류:관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