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로고.svg|width=20]]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000000,#ffffff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000000,#ffffff 스위스 남자 컬링 국가대표}}}''' || || 포스 || 서드 || 스킵 겸 세컨드 || 리드 || 핍스 || || 브누아 슈바르츠 || 클라우디오 패츠 || '''피터 드 크루즈''' || 발렌틴 타너 || 도미니크 메르키 || ---- ||<-5>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svg|width=20]]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컬링|{{{#000000,#ffffff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000000,#ffffff 스위스 남자 컬링 국가대표}}}''' || || 포스 || 서드 || 스킵 겸 세컨드 || 리드 || 핍스 || || 브누아 슈바르츠 || 스벤 미셸 || '''피터 드 크루즈''' || 발렌틴 타너 || 파블로 라차트 || ---- ||<-2> '''{{{+1 피터 드 크루즈}}}[br]Peter de Cruz'''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eter_De_Cruz.jpg|width=100%]]}}} || || '''본명''' ||피터 빈센트 드 크루즈[br]Peter Vincent de Cruz || ||<|2> '''출생''' ||[[1990년]] [[1월 4일]] ([age(1990-01-04)]세) || ||[[영국]] [[잉글랜드]] [[런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복수국적]])|| || '''종목''' ||[[컬링]] || || '''소속''' ||컬링 클럽 데 주네브 || || '''링크''' ||[[https://www.facebook.com/TeamDeCruz|[[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A 팀 공식 계정]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eamDeCruz, 크기=24)][*A] [[https://instagram.com/team_de_cruz|[[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A]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태생인 스위스의 [[컬링]]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다. 팀의 스킵이면서도 포스를 겸하지 않는데, 물론 스킵이 포스를 겸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드 크루즈처럼 커리어 전반에 걸쳐 그래왔던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 == 선수 경력 == 어려서부터 어머니나 할머니와 같이 동계스포츠를 즐겨보다가 11살 때 제네바에 있는 컬링 클럽에 등록해 컬링을 시작했다. 첫 국제대회 출전은 2010년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으로, 결승에서 스코틀랜드를 꺾고 우승했다. 1997년 이후 13년만의 스위스 남자 주니어 대표팀의 우승이었다. 이듬해인 2011년 세계주니어선수권에도 출전했지만, 결승에서 스웨덴의 오스카르 에릭손 팀에게 졌다. 2014년 스위스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에 출전하게 돼 캐나다의 [[케빈 쿠이]] 팀을 꺾고 동메달을 땄다. 이는 2003년 이후 11년 만의 스위스 남자 대표팀의 세계선수권 메달이었다. 2017 세계선수권에서 스위스 대표팀으로 출전해 미국의 [[존 슈스터]] 팀을 꺾고 통산 2번째 세계선수권 동메달을 땄다. 이후 여자 대표팀이 3팀간의 경기로 평창 올림픽 대표팀을 정했던 것과 달리 별도의 선발전 없이 남자 대표팀으로 선정됐다. 2010년대 들어 스위스 남자 대표팀 중 세계선수권에서 유일하게 입상한 경력 탓인 것으로 추정된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스코틀랜드와의 타이브레이크로 결선에 진출, 준결승에서는 스웨덴의 [[니클라스 에딘]]에게 졌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캐나다의 [[케빈 쿠이]] 팀을 꺾었다.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예선 2위로 플레이오프 진출해 준결승에서 캐나다의 [[케빈 쿠이]] 팀을 만났는데 이번에는 지면서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일본의 마츠무라 유타(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팀을 꺾고 통산 3번째 세계선수권 동메달을 땄다. 2019-2020 시즌 들어서는 신예팀인 [[야니크 슈발러]] 팀에게 밀려 2019년 유럽선수권에는 출전하지 못했고, 2020년 2월 스위스선수권에서도 2위를 했다. 그런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때문에 2020년 세계선수권이 취소되면서 슈발러 팀은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 못했고, 2021년 2월 스위스선수권에서는 드 크루즈가 다시 국가대표를 탈환했다. 2021년 세계선수권 대회 중반에는 플레이오프에 탈락할 위기까지 처했다가 겨우 6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미국과의 예선 3-6위전을 앞두고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팀 선수들 중 코로나 19 양성 판정을 받은 선수가 나와 대회가 중단되는 일이 있었는데, 다행히 이틀만에 경기가 재개됐지만 정해진 시기 내에 대회를 마치기 위해서[* 그동안 컬링 대회 대다수가 취소됐기 때문에 컬링 캐나다에서는 세계남녀선수권과 [[그랜드 슬램(컬링)|그랜드 슬램]] 2개 대회 등 4개 대회를 한 곳에서 연속으로 개최하기로 했다. 세계남자선수권이 그 4개 대회 중 첫번째 대회였다.] 졸지에 미국이나 스위스 둘 중 한 팀은 하루에 3경기를 치르는 처지가 됐다.[* 길게는 3시간 넘게 경기를 치르는 경우도 있고 보기보다 선수들(특히 스위퍼)의 체력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보통은 하루에 2경기 이하로 편성한다.] 드 크루즈 팀이 준결승에 진출하면서 그 3경기를 치르는 팀이 됐는데, 체력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3위로 대회를 마쳤다. 드 크루즈의 통산 4번째 세계선수권 동메달로, 2021년까지 세계선수권에 4번 출전해 4번 모두 동메달만 따는 진기한 기록도 남겼다. 2021년 9월, 2020년 스위스선수권 우승팀이었던 [[야니크 슈발러]] 팀을 상대로 한 7전 4선승제 베이징 올림픽 대표팀 선발전에서 4경기를 스윕하면서 2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한다. 베이징 올림픽 예선에서는 4승 5패를 기록, 승자승에 밀려 최종 순위 7위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남자 4강팀(미국, 스웨덴, 스위스, 캐나다) 중 유일하게 결선 진출에 실패하며 올림픽 일정을 마쳤다.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이겼지만 승패와 무관하게 이미 예선 탈락이 확정된 상태이었던지라 스웨덴과의 경기가 끝난 후 드 크루즈는 한동안 눈물을 참지 못했다. 귀국 직후 스위스선수권에 출전했는데, 올림픽 대표팀으로서 예선 라운드는 건너뛰는 특혜를 받았음에도 부진이 이어지며 최종 4위를 했다. 2022년 4월 초에 팀 해체를 발표했다. == 수상 기록 == ||<-3> [[동계올림픽 컬링|{{{#ffffff 올림픽}}}]] || || 동메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2018 평창]] || 단체전 || ||<-3> [[세계컬링선수권대회|{{{#ffffff 세계선수권}}}]] || || 동메달 || 2014 베이징 || 단체전 || || 동메달 || [[2017 세계컬링선수권대회|2017 에드먼턴]] || 단체전 || || 동메달 || [[2019 세계컬링선수권대회|2019 레스브리지]] || 단체전 || || 동메달 || [[2021 세계컬링선수권대회|2021 캘거리]] || 단체전 || ||<-3> [[유럽컬링선수권대회|{{{#ffffff 유럽선수권}}}]] || || 은메달 || 2015 에스비에르 || 단체전 || || 동메달 || 2016 렌프루셔 || 단체전 || || 동메달 || 2017 장크트갈렌 || 단체전 || ||<-3>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ffffff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0 플림스 || 단체전 || || 은메달 || 2011 퍼스 || 단체전 || == 역대 월드 컬링 투어 랭킹 == || 시즌 || 순위 || 포인트 || || 2010-2011 || 108위 || 20.440 || || [[컬링/2011-2012 시즌|2011-2012]] || 38위 || 65.393 || || [[컬링/2012-2013 시즌|2012-2013]] || 20위 || 119.617 || || [[컬링/2013-2014 시즌|2013-2014]] || 19위 || 153.205 || || [[컬링/2014-2015 시즌|2014-2015]] || 14위 || 165.440 || || [[컬링/2015-2016 시즌|2015-2016]] || 20위 || 153.157 || || [[컬링/2016-2017 시즌|2016-2017]] || 11위 || 288.501 || || [[컬링/2017-2018 시즌|2017-2018]] || '''5위''' || 363.860 || || [[컬링/2018-2019 시즌|2018-2019]] || 8위 || 340.624 || || [[컬링/2019-2020 시즌|2019-2020]] || 9위 || 289.136 || || [[컬링/2020-2021 시즌|2020-2021]][* 2020-2021 시즌은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해 랭킹포인트를 집계하지 않았고, 팀원의 변화가 없는 한 2019-2020 시즌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었다.] || 9위 || 289.135 || || [[컬링/2021-2022 시즌|2021-2022]] || 17위 || 166.761 || == [[그랜드 슬램(컬링)|그랜드 슬램]] 우승 기록 == * [[컬링/2017-2018 시즌|2017-2018 시즌]]: 캐내디언 오픈 '''1회 우승''' == 역대 팀원 == ||
시즌 || 포스 || 서드 || 세컨드 || 리드 || || 2009-2010 ||<|13> 브누아 슈바르츠 ||<|6> 피터 드 크루즈[br](스킵) ||<|2> 로저 굴카 ||<|13> 발렌틴 타너 || || 2010-2011 || || [[컬링/2011-2012 시즌|2011-2012]] || 길레스 뷜레 || || [[컬링/2012-2013 시즌|2012-2013]] ||<|2> 도미니크 메르키 || || [[컬링/2013-2014 시즌|2013-2014]] || || [[컬링/2014-2015 시즌|2014-2015]] || 클라우디오 패츠[* [[알리나 패츠]]의 오빠다.] || || [[컬링/2015-2016 시즌|2015-2016]] ||<|3> 클라우디오 패츠 ||<|7> 피터 드 크루즈[br](스킵) || || [[컬링/2016-2017 시즌|2016-2017]] || || [[컬링/2017-2018 시즌|2017-2018]] || || [[컬링/2018-2019 시즌|2018-2019]] ||<|4> 스벤 미셸 || || [[컬링/2019-2020 시즌|2019-2020]] || || [[컬링/2020-2021 시즌|2020-2021]] || || [[컬링/2021-2022 시즌|2021-2022]] || == 기타 == * 아버지는 영국인이고 어머니는 스위스인으로, 성장과정을 보면 영국에서 태어났지만 스위스에서 자란 것으로 보인다. * 본업은 컬링 클럽 데 주네브의 매니저다. * [[제네바]]를 [[주네브]]로 표기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어]]와 [[프랑스어]]를 쓴다. == 관련 문서 == * [[혼혈/목록]] [각주] [[분류:스위스의 컬링 선수]][[분류:런던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분류:스위스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