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 대표팀, rd1=핀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 [include(틀:핀란드 관련 문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20%, #2266aa 20%, #2266aa 40%, transparent 40%),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15%, #2266aa 15%, #2266aa 30%, transparent 30%)"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0%, #2266aa 20%, #2266aa 40%, #fff 40%)" {{{+2 {{{#!html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 ||<-2> {{{#2266aa '''Suomen jalkapallomaajoukkue'''}}} || || {{{-1 [[FIFA 코드|{{{#ffffff '''FIFA 코드''' }}}]] }}} ||'''FIN'''|| || {{{#ffffff '''축구 협회''' }}} ||핀란드 축구 협회 || || {{{#ffffff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 {{{#ffffff '''홈 경기장''' }}}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br] {{{-1 (Helsinki Olympic Stadium / 36,000석) }}} || || {{{#ffffff '''별명'''}}} ||Huuhkajat (수리부엉이) || || {{{#ffffff '''감독'''}}}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출력= )] [[마르쿠 카네르바]] {{{-2 (Markku Kanerva)}}} || ||<|3> {{{#ffffff '''주장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5em" {{{#ffffff '''C'''}}}}}} [[루카시 흐라데츠키]] {{{-2 (Lukáš Hrádecký)}}}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5em" {{{#ffffff '''VC'''}}}}}} [[테무 푸키]] {{{-2 (Teemu Pukki)}}}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5em" {{{#ffffff '''VC'''}}}}}} [[라스무스 쉴러]] {{{-2 (Rasmus Schüller)}}} || || {{{#ffffff '''라이벌'''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러시아]] || || [[FIFA 랭킹|{{{#ffffff '''FIFA 랭킹'''}}}]] ||'''62위''' (2023년 10월 26일 기준 / [[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FIN|#]]) || || [[Elo 레이팅|{{{#ffffff '''Elo 랭킹'''}}}]] ||'''51위''' (2023년 11월 29일 기준[*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 / [[https://www.eloratings.net/|#]]) || || {{{#ffffff '''공식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huuhkaja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fff ''' A매치 최다 출전 '''}}}}}} ||[[야리 리트마넨]] {{{-2 (Jari Litmanen)}}} [br] - '''137경기''' / 32골 || || {{{-2 {{{#ffffff ''' A매치 최다 득점 ''' }}}}}} ||[[테무 푸키]] {{{-2 (Teemu Pukki)}}} [br] - 109경기 / '''37골''' || || {{{-2 {{{#ffffff ''' 첫 국제경기 출전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vs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100%]]}}} 스웨덴]] 0:1 '''{{{#ff0000 패}}}'''[br]{{{-1 ([[스웨덴]] [[스톡홀름]] / [[1919년]] [[5월 29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승리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vs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100%]]}}} 에스토니아]] 10:2 '''{{{#0000ff 승}}}'''[br]{{{-1 ([[핀란드]] [[헬싱키]] / [[1922년]] [[8월 11일]])}}}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vs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100%]]}}} 산마리노]] 8:0 '''{{{#0000ff 승}}}'''[br]{{{-1 ([[핀란드]] [[헬싱키]] / [[2010년]] [[11월 17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패배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vs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100%]]}}} 독일]] 0:13 '''{{{#ff0000 패}}}'''[br]{{{-1 ([[독일]] [[라이프치히]] / [[1940년]] [[9월 1일]])}}} || }}}}}}}}}}}}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fff '''세계대회'''}}} || || {{{-2 [[올림픽 축구|{{{#ffffff ''' 올림픽 ''' }}}]]}}} ||'''[진출]''' 4회[br]'''[최고]''' 4위 {{{-1 ([[1912 스톡홀름 올림픽/축구|1912]])}}} || ||<-2> {{{#ffffff '''대륙대회'''}}} || || {{{-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fff ''' 유로 ''' }}}]]}}} ||'''[진출]''' 1회[br]'''[최고]''' 17위/조별리그 {{{-1 ([[UEFA 유로 2020|2020]])}}} || || {{{-2 [[노르딕 축구 선수권 대회|{{{#ffffff ''' 노르딕 축구[br]선수권 대회 ''' }}}]]}}} ||'''[진출]''' 13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2000-01)}}} || }}}}}}}}}}}} || ---- ||
{{{#ffffff '''유니폼 컬러'''}}}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 {{{#c8ab37 '''상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20%, #2266aa 20%, #2266aa 40%, transparent 40%),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15%, #2266aa 15%, #2266aa 30%, transparent 30%)" [[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align=left&width=15]]]][[핀란드 축구 협회|[[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2]]]][br]'''[[테무 푸키|{{{+1 {{{#FFF 10}}}}}}]]'''[br][b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266aa 10%, transparent 30%), linear-gradient(310deg, transparent, #004488 10%, transparent 10%, #004488 20%, transparent 20%, #004488 30%, transparent 30%, #004488 40%, transparent 40%, #004488 50%, transparent 50%, #004488 60%, transparent 60%, #004488 70%, transparent 70%, #004488 80%, transparent 80%, #004488 90%, transparent 90%, #004488), linear-gradient(50deg, #2266aa, #004488 10%, #2266aa 10%, #004488 20%, #2266aa 20%, #004488 30%, #2266aa 30%, #004488 40%, #2266aa 40%, #004488 50%, #2266aa 50%, #004488 60%, #2266aa 60%, #004488 70%, #2266aa 70%, #004488 80%, #2266aa 80%, #004488 90%, #2266aa 90%, #004488)" [[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align=left&width=15]]]][[핀란드 축구 협회|[[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2]]]][br]'''[[요엘 포얀팔로|{{{+1 {{{#ffffff 20}}}}}}]]'''[br][br]}}} || || {{{#c8ab37 '''하의'''}}} || '''[[테무 푸키|{{{#2266aa ,,10,,}}}]]'''|| '''[[요엘 포얀팔로|{{{#ffffff ,,20,,}}}]]'''|| || {{{#c8ab37 '''양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핀란드]]의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팀]]. 감독은 [[마르쿠 카네르바]]이다. [[수리부엉이]](Huuhkajat)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의외로 한 번도 [[FIFA 월드컵|월드컵]] 본선에 올라간 적이 없는 유럽의 약체 국가이다. 핀란드보다 인구수가 달리는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도 월드컵에 3차례 본선 진출한 적이 있고, 그중 2라운드 진출도 한 번은 했으며, 그보다 인구 등의 국가 규모가 열세인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이슬란드]]조차 월드컵 본선에 2018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진출했다. [[UEFA 유로|유로]] 대회는 [[UEFA 유로 2020]] 때 처음 본선 진출을 했다. 그리고 핀란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아이스하키]]와 [[모터스포츠]]에 비해 축구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밀린다. 그렇지만 베이카우스리가라는 축구 리그가 1990년부터 열리고 있으며 그 전신은 1908년까지 올라간다. 즉 앞의 두 종목이 넘사벽이라 그렇지 기본적인 프로 축구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축구의 인기 자체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넘사벽의 두 종목을 제외한 나머지 종목 중에서는 축구가 가장 인기가 있다.[* 핀란드의 경우 [[냉대기후|기후가 기후라서]]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축구 리그를 [[추춘제]]로 하지 못하고 춘추제로 하기 때문에 기타 유럽 국가들과 좀 시즌 돌아가는 게 안 맞는 면이 있긴 하다.] 기본적인 프로 축구 인프라는 갖춰져 있고 아이스하키, 모터스포츠를 제외하면 그렇게 인기가 없는 편은 아니다. [[야리 리트마넨]]처럼 유럽에서 날렸던 테크니션도 배출했었고, [[사미 히피아]] 같이 [[리버풀 FC|리버풀]]에서 활동한 전직 축구선수, 공격수 [[셰프키 쿠키]]와 골키퍼 [[안티 니에미(축구선수)|안티 니에미]]처럼 한국 내에서 컬트적 인기를 얻은 선수, 이청용과 같이 [[볼턴 원더러스]]에서 뛰었던 [[유시 야스켈라이넨]] 골키퍼와 [[요엘 포얀팔로]] 등도 있다. 유럽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기 때문에 경제 위기 같은 외적 상황만 무난하게 돌아가면 축구에 대한 투자가 그렇게까지 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앞의 두 종목 빼면 그래도 축구 인기와 기반이 있기 때문에 [[캐나다]]보다는 사정이 낫다. 유로 2020 핵심 선수들인 [[테무 푸키]], [[글렌 카마라]], [[요엘 포얀팔로]], [[루카시 흐라데츠키]], [[마르쿠스 포르스]] 등으로 앞으로 메이저 대회 진출 전망은 있으며, 2023년 피파랭킹에서 월드컵 본선 무경험국 내에서는 최상위권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비슷한 처지로는 아프리카의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이 있다. [[UEFA 네이션스 리그/2018-19 시즌]]에서 랭킹에 따라 리그 C조에 편성되었다. 에스토니아 제외하고 그리스, 헝가리 상대로 전승을 거두고 있다. 그리고 승점 12점을 챙기며 승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태이다. 그리고 리그 B조로 승격했다. 2020년 11월 11일에 [[프랑스]] [[생드니]]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프랑스를 2: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나이키]]이다. == 보일 듯, 보이지 않았던 월드컵 == 의외로 '''월드컵 진출을 한 번도 못한 국가'''로, 본선뿐만 아니라 '''예선 플레이오프조차 한 번도 나가보지 못했다.'''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처럼 '''플레이오프에서 매번 떨어지는 경우'''보다 더 비참한 경우다. 우크라이나는 매번 조 2위에 머물렀지만, 핀란드는 90년대 이후 대부분 예선을 '''조 3위'''로 마무리했기 때문... 예전에는 지역예선에서도 두드려 맞기만 했지만 90년대에는 경기력이 많이 좋아졌는데도 그놈의 운이 따르지 않았다. 1998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 예선에서는 스위스를 원정에서 잡는 등 좋은 모습을 보이고도 헝가리를 홈으로 불러들인 마지막 경기에서 1-0으로 앞서다가 마지막 순간 모일라넨의 자책골로 비기며 헝가리에 플레이오프 자리를 뺏기고 말았고[* 이 경기를 이겼으면 플레이오프에 나갈 수 있었다.], 2002년에는 잉글랜드와 독일을 상대로 용감히 맞서 '''3무 1패'''라는 나쁘지 않은 전적을 이루고도 그 두 나라에 밀려 3위로 떨어졌다. 그런가 하면 2010년은 더했는데, 예선 조의 최강자 독일을 상대로 '''홈, 어웨이 두 경기 모두 비기고도'''[* 참고로 앞에 말한 2002년에도 핀란드는 독일을 상대로 두 번 모두 무를 캐냈다. 그리고 2010년 예선 당시 독일은 핀란드와의 두 경기 빼고 다 이겨 8승 2무로 본선에 진출했다.] '''독일에 두 번 모두 진 러시아에 두 번 모두 지면서 다시 3위로 탈락했다.''' 2014년에도 조 1위 스페인 원정에서 무를 캐는 등 성적은 나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2위 프랑스에게 전패하면서 결과는 똑같이 3위. 3위까지는 어떻게든 올라오는데 2위는 진짜 병날 정도로 못 오르고 있다. 핀란드의 경기력을 굳이 월드컵에 진출한 적이 있는 나라랑 비교하자면 슬로베니아 정도가 있는데, 핀란드는 슬로베니아에 비해 대진 운이 너무도 없었다.[* 슬로베니아는 2002년에 러시아, 스위스 등 B급 나라들이랑만 편성되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올랐고, 플레이오프에서도 독일, 벨기에, 체코 등을 피하고 루마니아를 만나 승리해 본선에 오를 수 있었다. 2010년에도 핀란드가 1번 시드로 독일을 만난 반면 슬로베니아는 1번 시드로 체코를 만났고, 슬로바키아에 이어 2위에 올라 플레이오프에서 ~~핀란드 잡고 올라온~~ 러시아를 꺾고 본선에 올랐다.] 그러나 2018년부터 시작된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굉장히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리그 C에서 헝가리, 그리스 등 만만치 않은 나라들과 한 조에 묶였음에도 초반부터 4연승을 따내면서 1위를 차지, '''첫 시즌부터 리그 B 승격의 주인공이 되었다.''' 2019년에는 [[마르쿠 카네르바]] 대표팀 감독의 지휘하에 유로 2020 유럽 예선 J조에서 조 2위를 확정지으며 비록 월드컵은 아니지만 '''첫 메이저 대회 본선 진출'''을 확정하게 되었다. 당연히 국민들은 축제분위기이며, 총리도 SNS를 통해 축사를 보냈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8&aid=0000592598|#]] 유로 2020 24강 본선 1차전 경기인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핀란드의 승리를 예측한 축구 팬들은 거의 없었으나 [[요엘 포얀팔로]]의 헤더 결승골로 승리했다.[* 전반 43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에릭센]]이 심정지로 쓰러져 경기가 중단되었는데 그래서인지 후에 재개되었을 때 핀란드의 첫 메이저 대회 첫 골을 넣은 요엘 포얀팔로는 세리머니를 하지 않았다.] '''이 역습을 진행해서 골로 연결된 슈팅이 핀란드의 유일한 슈팅이었다.''' 골키퍼인 흐라데츠키가 호이비에르의 PK까지 막아내며 한 골 차 스코어를 지켰고 '''메이저 대회 첫 진출 및 유로 본선 첫 진출에 첫 승리'''라는 값진 역사적인 기록을 쓰게 되었다. 이후 나머지 2경기에서 전력의 한계를 이기지 못하고 모두 졌고, 조 3위 경쟁에서도 밀려 5위로 16강 진출에는 아깝게 실패했으나, 첫 대회에서 1승을 거뒀고 '''17위'''라는 성적을 거둔것만 해도 핀란드에게는 값진 성과. 카타르 월드컵 2022에도 복병의 모습을 보여주며 2위를 사수했으나 하필이면 무승부만 내던 우크라이나에 덜미를 잡히고, 이 시기를 기점으로 상황이 나빠지다가 결국 탈락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D조]] 참조. 유로 2024 예선에서도 진출할 기미를 보였지만 2023년 10월 2경기를 말아먹어서 플레이오프로 떨어지고 말았다. [[UEFA 유로 2024/예선/H조]] 참조. == 현재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20%, #001860 20%, #001860 30%, transparent 30%),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20%, #001860 20%, #001860 70%, transparent 70%)"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50]]]][br]'''{{{#!html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3> '''GK''' ||<:> ||<:> [[루카시 흐라데츠키]] ||<:> Lukáš Hrádecký ||<:> 1989년 11월 24일 ||<:> 75 ||<:> 0 ||<:>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width=20]] [[바이어 04 레버쿠젠]] ||<:> 주장 || ||<:> ||<:> 예세 요로넨 ||<:> Jesse Joronen ||<:> 1993년 3월 21일 ||<:> 15 ||<:> 0 ||<:> [[파일:브레시아 칼초 로고.svg|width=20]] [[브레시아 칼초]] ||<:> || ||<:> ||<:> 카를요한 에릭손 ||<:> Carljohan Eriksson ||<:> 1995년 4월 25일 ||<:> 1 ||<:> 0 ||<:> [[파일:던디 유나이티드 FC 로고.svg|width=20]] [[던디 유나이티드 FC]] ||<:> || ||<|8> '''DF''' ||<:> ||<:> [[예레 우로넨]] ||<:> Jere Uronen ||<:> 1994년 7월 13일 ||<:> 58 ||<:> 1 ||<:> [[파일:FC 샬케 04 로고.svg|width=20]] [[FC 샬케 04]] ||<:> || ||<:> ||<:> [[사울리 베이세넨|사울리 배이새넨]] ||<:> Sauli Väisänen ||<:> 1994년 6월 5일 ||<:> 21 ||<:> 0 ||<:> [[파일:코센차 칼초 로고.svg|width=20]] [[코센차 칼초]] ||<:> || ||<:> ||<:> [[대니얼 오쇼네시]] ||<:> Daniel O'Shaughnessy ||<:> 1994년 9월 14일 ||<:> 19 ||<:> 1 ||<:>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width=20]] [[카를스루어 SC]] ||<:> || ||<:> ||<:> [[니콜라이 알호]] ||<:> Nikolai Alho ||<:> 1993년 3월 12일 ||<:> 18 ||<:> 0 ||<:> [[파일:볼로스 FC 로고.svg|width=20]] [[볼로스 FC]] ||<:> || ||<:> ||<:> [[레오 베이세넨|레오 배이새넨]] ||<:> Leo Väisänen ||<:> 1997년 7월 23일 ||<:> 17 ||<:> 0 ||<:> [[파일:IF 엘프스보리 로고.svg|width=20]] [[IF 엘프스보리]] ||<:> || ||<:> ||<:> 로베르트 이바노프 ||<:> Robert Ivanov ||<:> 1994년 9월 19일 ||<:> 9 ||<:> 0 ||<:> [[파일:Warta Poznań.png|width=20]] [[바르타 포즈난]] ||<:> || ||<:> ||<:> 미로 텐호 ||<:> Miro Tenho ||<:> 1995년 4월 2일 ||<:> 1 ||<:> 0 ||<:> [[파일:HJK 헬싱키 로고.svg|width=20]] [[HJK 헬싱키]] ||<:> || ||<:> ||<:> 미스카 윌리톨바 ||<:> Miska Ylitolva ||<:> 2004년 5월 23일 ||<:> 2 ||<:> 0 ||<:> [[파일:HJK 헬싱키 로고.svg|width=20]] [[HJK 헬싱키]] ||<:> || ||<|7> '''MF''' ||<:> ||<:> [[라스무스 쉴러]] ||<:> Rasmus Schüller ||<:> 1991년 6월 18일 ||<:> 60 ||<:> 0 ||<:> [[파일:유르고덴스 IF 로고.svg|width=20]] [[유르고덴스 IF]] ||<:> 부주장 || ||<:> ||<:> [[로빈 로드]] ||<:> Robin Lod ||<:> 1993년 4월 17일 ||<:> 55 ||<:> 5 ||<:> [[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width=20]]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 || ||<:> ||<:> [[글렌 카마라]] ||<:> Glen Kamara ||<:> 1995년 10월 28일 ||<:> 42 ||<:> 1 ||<:> [[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width=20]] [[레인저스 FC]] ||<:> || ||<:> ||<:> [[일마리 니스카넨]] ||<:> Ilmari Niskanen ||<:> 1997년 10월 12일 ||<:> 8 ||<:> 1 ||<:> [[파일:던디 유나이티드 FC 로고.svg|width=20]] [[던디 유나이티드 FC]] ||<:> || ||<:> ||<:> [[우르호 니실레]] ||<:> Urho Nissilä ||<:> 1996년 4월 4일 ||<:> 9 ||<:> 0 ||<:> [[파일:쿠오피온 팔로세우라 로고.svg|width=20]] [[쿠오피온 팔로세우라]] ||<:> || ||<:> ||<:> 루카스 링만 ||<:> Lucas Lingman ||<:> 1998년 1월 25일 ||<:> 1 ||<:> 0 ||<:> [[파일:헬싱보리 IF 로고.svg|width=20]] [[헬싱보리 IF]] ||<:> || ||<:> ||<:> 미카엘 소이살로 ||<:> Mikael Soisalo ||<:> 1998년 4월 24일 ||<:> 1 ||<:> 0 ||<:> [[파일:리가 FC 로고.svg|width=20]] [[리가 FC]] ||<:> || ||<|5> '''FW''' ||<:> ||<:> [[테무 푸키]] ||<:> Teemu Pukki ||<:> 1990년 3월 29일 ||<:> 102 ||<:> 34 ||<:> [[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width=20]] [[노리치 시티 FC]] ||<:> 부주장 || ||<:> ||<:> [[요엘 포얀팔로]] ||<:> Joel Pohjanpalo ||<:> 1994년 9월 13일 ||<:> 53 ||<:> 11 ||<:>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width=20]] [[베네치아 FC]] ||<:> || ||<:> ||<:> [[마르쿠스 포르스]] ||<:> Marcus Forss ||<:> 1999년 6월 18일 ||<:> 12 ||<:> 2 ||<:> [[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width=20]] [[미들즈브러 FC]] ||<:> || ||<:> ||<:> 벤야민 캘만 ||<:> Benjamin Källman ||<:> 1998년 6월 18일 ||<:> 4 ||<:> 1 ||<:> [[파일:FC 인테르 투르쿠 로고.svg|width=20]] [[FC 인테르 투르쿠]] ||<:> || ||<:> ||<:> 산테리 호스티카 ||<:> Santeri Hostikka ||<:> 1997년 9월 30일 ||<:> 2 ||<:> 0 ||<:> [[파일:HJK 헬싱키 로고.svg|width=20]] [[HJK 헬싱키]] ||<:> || ||<-9>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Finland_national_football_team|{{{#333399,#222266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333399,#222266 2023년}}}]] [[5월 2일|{{{#333399,#222266 5월 2일}}}]]''' || }}}}}}}}}}}} || == [[FIFA 센추리 클럽|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핀란드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역대전적 == === [[FIFA 월드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점}}}'''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1930년 우루과이]] ||<-9> {{{#F0C420 불참}}}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br]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이탈리아]] ||<-9> {{{#F0C420 불참}}}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프랑스]] ||<-9>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30]][br]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년 브라질]] ||<-9> {{{#C8A2C8 기권}}}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년 스위스]] ||<-9><|7>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년 스웨덴]]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년 칠레]]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년 잉글랜드]]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서독]]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년 아르헨티나]]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9><|4>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멕시코]]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9><|7>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한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브라질]]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br]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년 러시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FIFA 월드컵|2026년 북미]] || ? || ? || ? || ? || ? ||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br][[2030 FIFA 월드컵|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2034 FIFA 월드컵|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20[*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 || || || || || || === [[UEFA 유로]]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승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1960년 프랑스]] ||<-9><|2> {{{#F0C420 불참}}} ||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 [br]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1964년 스페인]]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68|1968년 이탈리아]] ||<-9><|3> {{{#f00 본선 진출 실패}}}[*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2|1972년 벨기에]] ||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6|1976년 유고슬라비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0|1980년 이탈리아]] ||<-9><|4> {{{#f00 본선 진출 실패}}}[*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4|1984년 프랑스]]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8|1988년 서독]]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2|1992년 스웨덴]]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6|1996년 잉글랜드]] ||<-9><|5> {{{#f00 본선 진출 실패}}}[*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br] [[유로 2000|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4|2004년 포르투갈]]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8|,,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2|,,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6|2016년 프랑스]] ||<-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30]] [br][[유로 2020|2020년 분산개최]] || 조별리그 || '''17위''' || 3 || 1 || 0 || 2 || 1 || 3 || 3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유로 2024|2024년 독일]] || ? || ? || ? || ? || ? || ? || ? || ? || ?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br] [[유로 2028|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조별리그 (1회) || 1/16 || 3 || 1 || 0 || 2 || 1 || 3 || 3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의 전적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그리스]]와 함께 유럽 팀 중 한국과의 상성이 좋지 않다[* 그리스는 그래도 1무라도 건져냈다.]. 상대 전적은 3전 3패로 절대열세. 뿐만 아니라 한국을 상대로 단 한 골도 득점하지 못한 기록을 갖고 있다[* 그나마 그리스는 한 골을 얻어냈다.]. 2010년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평가전에서도 [[오범석]]과 [[이정수(축구선수)|이정수]]의 골로 한국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황선홍]]이 2002년에 가진 친선경기에서 2골을 터뜨려 핀란드를 상대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한국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한국과의 전적에서 열세라고 우습게 볼 팀은 아닌 게 2010 남아공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과 두 번 무승부를 거두기도 했다. || 일자 || 장소 || 경기 스코어 || 득점자 || 대한민국 득점자 || 비고 || || 2002년 3월 20일 || 카르타헤나 카르타고노바 스타디움 (스페인) || 0:2 [br] (0:0) || X || [[황선홍]][*2골] || 친선경기 || || 2006년 1월 25일 || 리야드 프린스 파이잘 스타디움 (사우디) || 0:1 [br] (0:0) || X || [[박주영]] || 2006 사우디 4개국 친선대회 || || 2010년 1월 18일 || 말라가 시립 경기장 (스페인) || 0:2 [br] (0:1) || X || [[오범석]] [br] [[이정수(축구선수)|이정수]] || 친선경기 || ||<-3> 총 전적 ||<-3> 3전 3패 || == 연령별 대표팀 == === U-23 대표팀 === ==== 올림픽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1992년 대회부터 U-23으로 나이 변경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1992 바르셀로나]] ||<|9><-9>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 [[1996 애틀랜타 올림픽/축구(남자)|1996 애틀란타]]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br] [[2000 시드니 올림픽/축구(남자)|2000 시드니]] ||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br] [[2004 아테네 올림픽/축구(남자)|2004 아테네]]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br] [[2008 베이징 올림픽/축구(남자)|2008 베이징]]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br]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2012 런던]]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남자)|2016 리우데자네이루]]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 [[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2020 도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2024 파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2028 로스엔젤레스 || || || || || || || || ||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br]2032 브리즈번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9[* 올림픽 본선 진출 비율(1992년 이후)] || '''''' || '''''' || '''''' || '''''' || '''''' || '''''' || '''''' || [[분류: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