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핀란드의 대외관계)] [include(틀:헝가리의 대외관계)]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100%]] || || [[핀란드|{{{#ffffff '''핀란드'''}}}]] || [[헝가리|{{{#ffffff '''헝가리'''}}}]] || [목차] == 개요 == [[핀란드]]와 [[헝가리]]의 관계. 양국은 전근대 당시에는 거리 상의 문제로 교류가 드물었으나 근현대 들어 [[헝가리어]]와 [[핀란드어]]가 [[우랄어족]]에 속한다는 점이 알려진 것을 계기로 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소련 해체]] 이전 양국은 우랄어족 언어를 국어로 사용하는 유이한 국가이기도 했다. == 역사적 관계 == === 19세기 === 19세기 당시 [[핀란드 대공국]]의 핀란드인 학자들은 [[러시아 제국]] 각지의 여타 우랄어족 민족들과 접촉 기회가 많았는데, 이 당시 연구 결과가 헝가리에도 전해져 헝가리어의 기원 연구 등에 엄청난 기여를 남겼다. 1854년 핀란드인 학자 마티아스 카스트렌에 의해 제시되었던 [[우랄 알타이 제어]] 가설은 헝가리의 [[범투란주의]] 이론으로 이어져 헝가리 민족주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바 있다. 19세기 당시 헝가리는 [[1848년 헝가리 혁명]]과 1867년 [[오스트리아 제국]]과의 [[대타협]]으로 근대적인 민족 정체성이 확립되던 시기로, 이런 상황에서 헝가리인들이 자신들이 제국 내 [[독일어권]] [[오스트리아인]] 및 [[슬라브인]]들과 구분되는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해야 했다. 우랄 알타이 제어 가설은 당시 기준으로 헝가리와 [[아시아]] 사이의 연계성을 나름 구체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다는 이유, 그리고 헝가리 민족주의 형성에 큰 도움이 되는 이유로 다소 인위적으로 창조된 이론이었다 할 수 있다. 일단 헝가리인들이 사용하는 헝가리어는 우랄어족에 속하지만, 역사적으로 헝가리는 우랄어족 민족들보다는 오히려 [[튀르크어족]]과 교류가 훨씬 더 활발하였다. 이러한 연유에서 헝가리인들 입장에서 핀란드에서 시작된 [[알타이 제어]] 가설 즉 우랄어족과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한국어족, 일본어족 등등이 다 연계되어 있다는 이론을 무척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밖에 없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일원이 된 헝가리인들은 자신들에게 지배를 받는 [[크로아티아인]]이나 [[루신인]], [[루마니아인]] 등등보다 자신들이 우월하다는 식의 근대적인 민족주의를 헝가리 민중들에게 주입하고 싶어했고, [[헝가리 왕국]]은 핀란드의 우랄어족 관련한 연구를 자국 민족주의를 강화할 목적에서 범투란주의적으로 해석하여 자국민들에게 주입하였던 것이다. === 20세기 === 양국은 1920년부로 상호 수교하였다. [[겨울전쟁]] 당시 헝가리 민족주의자들이 핀란드 측에 동정심을 느끼고 의용군 및 군수물자, 생필품 등을 지원하였던 역사가 있다. 2차대전 종전 이후 헝가리에는 소련의 위성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이 들어섰으며, 핀란드는 이른바 [[핀란드화]]라고 해서 소련의 눈치를 보는 정책이 지속되었다. 소련 해체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 해체 이후 헝가리가 제1세계로 편입되면서 양국 사이의 교류가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 21세기 === 2010년대 중반 이후, 핀란드가 친난민 외교 정책을 펴는 가운데, 헝가리의 [[오르반 빅토르]] 정권은 강경 반난민-친러 외교를 펼치면서 핀란드를 포함한 여타 유럽연합 가입국들과 외교 갈등이 커지고 있다. 2019년 오르반 빅토르 총리는 핀란드를 헝가리 정부의 적으로 지칭하면서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https://www.helsinkitimes.fi/columns/columns/viewpoint/16602-finland-the-new-enemy-of-hungary.html|#]]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핀란드가 [[NATO]] 가입을 추진하는 가운데, 2023년 초 들어 튀르키예와 헝가리가 핀란드의 NATO 가입을 반대하고 있다.[[https://www.msn.com/ko-kr/news/world/%ED%95%80%EB%9E%80%EB%93%9C-%EC%8A%A4%EC%9B%A8%EB%8D%B4-7%EC%9B%94%EA%B9%8C%EC%A7%80-%EB%82%98%ED%86%A0-%EA%B0%80%EC%9E%85%ED%95%A0-%EA%B2%83-%E7%BE%8E-%ED%8A%80%EB%A5%B4%ED%82%A4%EC%98%88-%EC%95%95%EB%B0%95%ED%95%98%EA%B8%B8/ar-AA17n8LQ|#1]][[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95|#2]] 참고로 헝가리는 2022년 11월 당시에는 핀란드의 나토 가입에 대해 반대까지는 아닌 입장이었다.[[https://www.euractiv.com/section/global-europe/news/hungary-to-approve-finland-and-sweden-nato-accession-next-year/|#]] 2023년 3월 1일, 헝가리 대통령이 스웨덴과 핀란드의 나토 가입을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17872?sid=104|#]] == 경제 교류 == 양국은 [[유럽연합]] 가입국이다. 핀란드는 [[유로화]]를 사용하는데 비해, 헝가리는 유럽연합 가입 이전 사용하던 [[포린트]]화 사용을 고집하고 있다. == 문화 교류 == 상술한 것처럼 [[핀란드어]]와 [[헝가리어]]는 모두 '''[[우랄어족]]'''에 속한다. 이러한 연유에서 양국 모두 역사적 기원과 민족 정체성 등등 관련하여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대사관 == 핀란드는 [[부다페스트]]에, 헝가리는 [[헬싱키]]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87102?sid=104|튀르키예 이어 헝가리도 '딴지'… 스웨덴·핀란드 나토 가입 어쩌나]] - 세계일보 == 관련 문서 == * [[핀란드/외교]] * [[헝가리/외교]] * [[유럽연합]] * [[핀란드/역사]] * [[헝가리/역사]] * [[핀란드/경제]] * [[헝가리/경제]] * [[핀란드#문화|핀란드/문화]] * [[헝가리/문화]] * [[핀인]] / [[헝가리인]] * [[핀란드어]] / [[헝가리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북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분류:핀란드의 대국관계]][[분류:헝가리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