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암호화폐)] ||<-3><:> {{{#black {{{+1 '''핀시아'''}}}[br]Finschia}}} || ||<-3><:> [[파일:finschialogo.jpg|width=100%]] || || '''중앙은행''' ||<(><-2> 없음 || || '''최초 발행일''' ||<(><-2> [[2018년]] [[8월 23일]][* 구)링크(LN)시절 LINKSCAN 제네시스 블록 기준] || || '''도입일''' ||<(><-2> [[2023년]] [[3월 31일]][* 핀시아 재단 설립 기준] || || '''개발사''' ||<(> 라인넥스트[* 일본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장 점유율 1위의 IT기업 [[라인(기업)]]의 자회사이다] || || '''사용국''' ||<(><-2> 전 세계 || || '''분류''' ||<(> [[암호화폐]] || || '''기호''' ||<(> FNSA || || '''현재 발행량''' ||<(> 7,483,434 FNSA[* 24년1월4일 기준.] || || '''최대 발행량''' ||<(> 연15% 인플레이션[* 22년 핀시아 네트워크 발표 이후 초기에는 스테이킹과 결제 활성화를 위해서 연간 최대 15% 내에서 인플레이션을 설정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고려해서 매년 축소될 예정.] || || '''공식 웹사이트''' || [[https://www.finschia.network/|[[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 || '''공식 미디엄''' || [[https://finschia.medium.com/|[[파일:미디엄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핀시아'''(Finschia)는 과거 [[라인(기업)]] 이 개발한 암호화폐 링크(LN)가 리브랜딩한 암호화폐이다. [[파일:finschiabiglogo.png|width=600]] "라인 블록체인은 핀시아 생태계의 주요 구성원인 라인이 블록체인으로 다시 한번 글로벌 성공 신화를 만들기 위해 2018년부터 많은 투자를 해온 전략 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엔진이라 할 수 있는 3세대 메인넷 핀시아 및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를 출시해 8개월 만에 약 4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습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관련 규제가 빠르게 형성되고 있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 핀시아 재단을 설립하며 강력한 파트너들과 함께 글로벌 웹3 사업의 본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파일:blockchainforall.png |width=600]] "핀시아 재단은 ‘모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만들겠다는 라인 블록체인의 정신을 계승합니다. 그리고 그 너머를 봅니다. 우리는 고민했습니다.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이끈 후에는 무엇을 해야 할까? 바로 사용자의 일상에 녹아드는 것입니다. 단순히 사람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넘어 수억 명의 사용자가 실생활에서 매일 즐기는 서비스가 된다면, 그때부터 블록체인은 일상이 됩니다. 과거 인터넷은 전 세계를 하나로 연결했고 스마트폰은 언제나 인터넷을 쓸 수 있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우리는 핀시아로 웹3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블록체인 서비스를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웹3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고자 합니다." == 역사 == '''2018년 4월''' * '''02일''' [[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18/2125|LINE, 블록체인 자회사 ‘언블락’ 공식 출범]] '''2018년 5월''' * '''02일''' [[https://www.coindeskkorea.com/%EB%84%A4%EC%9D%B4%EB%B2%84-%EB%9D%BC%EC%9D%B8-%EC%95%84%EC%9D%B4%EC%BD%98-%EB%B8%94%EB%A1%9D%EC%B2%B4%EC%9D%B8-jv-%EC%96%B8%EC%B2%B4%EC%9D%B8-%EC%84%A4%EB%A6%BD/|네이버 라인-아이콘, 블록체인 JV ‘언체인’ 설립]] '''2018년 7월''' * '''14일''' 최초의 링크 배분을 위한 공식 거래소 [[https://bitbox.me/|BITBOX]] 서비스 오픈 * '''27일''' BITBOX 공식트위터 팔로우 이벤트를 통해 최초로 LINK 배분 '''2018년 8월''' * '''23일''' [[https://scan.link.network/0x300/block/0|LINK SCAN 제네시스 블록 생성]][* LINK체인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첫번째 블록을 의미] '''2018년 9월''' * '''27일''' [[http://coinreaders.com/2314|라인 토큰 이코노미 기자 간담회 개최]] 링크 에코시스템 및 최초 5개의 Dapps 공개 '''2018년 10월''' * '''16일''' [[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18/2416|BITBOX LINK 상장]] LINK에서 LN으로 심볼 변경 '''2018년 11월''' * '''08일''' [[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18/2468|LINE LINK DEV 2018 컨퍼런스 개최]] '''2019년 1월''' * '''04일''' [[https://jvcea.or.jp/news/admission-info/20190104-001/|라인 LVC주식회사, 일본 사단 법인 가상 화폐 협회 2종 회원 가입]] * '''11일''' [[https://www.bitbox.me/notice/20102471|LINK 프레스티지 클럽 1기 모집 시작.]] 5000개 이상의 LINK 홀더들을 위해 기획된 VIP 투자자 클럽이라는 목표로 기획되었으며 선정인원에게 LINE 프레스티지 카드 및 Goods와 지원 마감 시점의 LINK 시세를 기준으로 10%의 [[비트코인]]을 보너스로 주는 혜택 [* 2019년 1월 31일 종가의 링크시세로 결정되는데, 약 2.194달러로 마감되었다. 보너스를 받을수 있는 최대 보유량 10,000개 보유시 2,194달러 시세의 비트코인 보상예정]이 있다. 총 100명중 50명은 링크 상위 보유순으로 50명, 소셜 미디어 영향력 50명으로 선정되었으며. 2019년 3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6개월간 운영된다 * '''30일''' [[https://medium.com/linkecosystem/link-x-hashed-meetup-in-seoul-f8f43abb212a|LINK x HASHED meetup in seoul]], [[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19/2593|라인, LVC, 노무라 홀딩스 블록체인 기술기반 금융사업 제휴 위한 양해각서 체결]] '''2019년 2월''' * '''26일''' [[https://www.bitbox.me/notice/20105703|LINK 인더스트리 파트너 1기 모집 시작.]] 기존의 프레스티지가 개인 대상이였다면 인더스트리 파트너는 블록체인 산업 내에서 LINE 그리고 LINE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LINK와 함께 성장해 나갈 파트너들을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으로 최소 10만개 이상의 LINK 보유 유지와 함께 산업 영향력 및 평판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2019년 5월 15일부터 2020년 5월 14일까지 1년간 운영된다. LINE측에서 인더스트리 파트너 업체를 비공개 하기로 결정했기때문에, 자체적으로 참여한다고 공지한 [[https://medium.com/hashed-kr/link-hashed-partnership-f34b8dba79ef|해시드(#HASHED)]]를 제외하고는 참여업체는 불명 '''2019년 3월''' * '''26일''' 프레스티지 1기 프라이빗 밋업 ~~링카롱~~ '''2019년 4월''' * '''11일''' [[https://medium.com/linkecosystem/link-scans-updated-to-v1-1-6116dc3b1e2d|LINK SCAN v1.1 업데이트]] '''2019년 7월''' * '''4일''' [[https://medium.com/linknetwork/the-2nd-leaf-chain-of-link-network-19d81880198e|LINK SCAN Bamboo Chain 업데이트]] '''2019년 9월''' * '''4일''' [[https://link.network/notice/?board-id=2156|LINK 백서 2.0 공개]] LINK 2.0 백서가 공개되었다. [br] 또한 언체인의 이홍규 대표가 UDC 2019에서 LINK관련 내용을 발표하였다. * '''6일''' [[https://jvcea.or.jp/news/main-info/20190906-001/|협회 회원의 가상 화폐 교환 업체 등록 및 제 일종 회원의 회원 약관 변경에 대해]] 드디어 라인 LVC 주식회사가 일본 가상협회 1종회원으로 등록되었다. * '''10일''' [[https://www.bitbox.me/notice/20120010|[공지] BITBOX 개편! 'BB 2.0'을 오늘 만나보세요.]] BITBOX가 2.0으로 리뉴얼되었다. 많은 유져들이 바라던 트레이딩뷰와 스탑로스, 야간모드 등 지원. * '''17일''' [[https://www.bitmax.me/|BITMAX, LINE 's cryptocurrency service(JP/EN)]] 및 [[http://bitmax-mag.line.me/|BITMAX 공식 블로그]]오픈 '''2019년 12월''' * '''17일''' [[https://www.bitbox.me/notice/20120491|[공지] LINK(LN) 결제 정책 관련 안내]] BITBOX 내 LINK 결제 시 USD 5 가치 인정 폐지 '''2020년 2월''' * '''27일''' [[https://www.bitfront.me/notice/20132137|[공지] BITFRONT 서비스 오픈.]] BITBOX 거래소가 BITFRONT로 리뉴얼 오픈하였다. 기존 싱가폴 소재의 라인테크플러스에서 미국 LVC USA로 양도되었으며 미국국적 한정으로 Fiat(USD)거래가 가능해졌다. 또한 Bitstamp 및 Binance US와의 호가창 연동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구현. '''2020년 4월''' * '''미정''' [[https://linecorp.com/ja/pr/news/ja/2020/3062|LINE의 가상 통화 'LINK'에 관한 소식(일본어)]] 일본 가상화폐교환협회(JVCEA) 화이트리스트 통과. 4월 이후 상장(예정) '''2020년 8월''' * '''6일''' [[https://linecorp.com/ja/pr/news/ja/2020/3333|암호 자산 거래 서비스 "BITMAX"LINE 독자적인 암호화 자산 "LINK"의 취급을 8 월 6 일에 시작(일본어)]] * '''25일''' [[https://docs-blockchain.line.biz/glossary|LINE Blockchain Docs]] 공개. '''2020년 12월''' * '''3일''' 일본 BITMAX 링크 예치 시스템 추가 [[https://www.bitmax.me/notice/20152568|[새로운 서비스] 암호 자산 대출 서비스 (고정 기간 형) 제공 개시에 대해]] '''2021년 08월''' * '''13일''' 빗썸 거래소 상장 [[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21/3869|라인, 자체 암호자산 링크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빗썸(Bithumb)에 상장]] '''2022년 08월''' * '''11일''' MEXC 글로벌 거래소 상장 [[https://support.mexc.com/hc/en-001/articles/9296972453913-MEXC-Will-List-LINK-LN-in-Innovation-Zone-40-000-LN-Up-for-Grabs-|MEXC Will List LINK (LN) in Innovation Zone - $40,000 LN Up for Grabs!]] '''2022년 09월''' * '''28일''' Gate.io 글로벌 거래소 상장 [[https://www.gate.io/article/28132/gate.io-startup-link-ln-sale-result-listing-schedule|Gate.io Startup:LINK (LN) Sale Result & Listing Schedule]] '''2022년 11월''' * '''8일''' Huobi 글로벌 거래소 상장 [[https://www.huobi.com/support/en-us/detail/94921105402529|Huobi Global Will List LN (LINK) on November 8, 2022]] '''2022년 12월''' * '''22일''' 3세대 메인넷 핀시아 론칭, [[https://medium.com/@lineblockchain/dosi-vault-beta-출시-및-ln-송금-관련-유의사항-안내-1f1f7959ee76|DOSI Vault Beta 출시]] * '''30일''' [[https://medium.com/lineblockchain/토큰-이코노미-2-0-공개-65b48d6ea0d5|토큰 이코노미 2.0 공개]] '''2023년 3월''' * '''31일''' 핀시아 재단(Finschia Foundation) 설립 [[https://medium.com/lineblockchain/kr-finschia-the-new-paradigm-of-connecting-web3-9097420bbe86|Finschia: The New Paradigm of Connecting Web3 (KR)]] '''2023년 6월''' * '''13일''' 핀시아 재단 거버넌스 구성원 1차 공개 [[https://medium.com/lineblockchain/핀시아-재단-소프트뱅크-라인-넥스트-라인-제네시스-등-거버넌스-구성원-1차-공개-117430877680|핀시아 재단, 소프트뱅크·라인 넥스트·라인 제네시스 등 거버넌스 구성원 1차 공개]] '''2023년 10월''' * '''31일''' 핀시아 메인넷 2.0 업그레이드 [[https://medium.com/lineblockchain/핀시아-메인넷-2-0-업그레이드-완료-안내-81315d97c2e9|핀시아 메인넷 2.0 업그레이드 완료 안내]] '''2023년 12월''' * '''13일''' 핀시아 개발사이자 생태계 핵심 참가자인 라인넥스트 1800억 투자 유치 [[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23/4693|라인 넥스트, 1,800억 원 투자 유치]] * '''13일''' 코인원 거래소 상장 [[https://medium.com/lineblockchain/fnsa의-coinone상장-공지-2023-12-13-2aa5c3d3a345|FNSA의 Coinone상장 공지(2023.12.13)]] * '''14일''' LBank 거래소 상장 [[https://medium.com/lineblockchain/fnsa의-lbank-상장-공지-2023-12-14-1d5f1ab84413|FNSA의 LBank 상장 공지 (2023.12.14)]] * '''14일''' BitMart 거래소 상장 [[https://medium.com/lineblockchain/fnsa의-bitmart-상장-공지-2023-12-14-4ec340223542|FNSA의 BitMart 상장 공지 (2023.12.14)]] * '''15일''' 핀시아 최대 공급량 / 스테이킹 언본딩 타임 수정 [[https://medium.com/lineblockchain/핀시아-토큰-이코노미-메이저-업데이트-안내-74849da6fb67|핀시아 토큰 이코노미 메이저 업데이트 안내]] * '''27일''' 퍼블릭 정식 런칭 및 엔드포인트 공개 [[https://medium.com/lineblockchain/퍼블릭-정식-런칭-및-핀시아-엔드포인트-안내-aa38221fc986|퍼블릭 정식 런칭 및 핀시아 엔드포인트 안내]] == 핀시아 거버넌스 멤버 및 서비스 생태계 == [[파일:finschiagov.png |width=800]] == 현황 및 전망 == 라인링크 시절까지 포함하면 7년차 된 코인으로 과거 6년은 대기업 기반의 코인이라는 장점보단 단점이 드러나 아쉬웠지만 23년 들어 거버넌스 체제로 변경되며 실질적으로 퍼블릭 코인으로 전환을 완료하고 빠른 호흡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핵심 개발사이자 멤버인 라인넥스트의 1800억 투자유치와 유수의 대기업들이 거버넌스 멤버 및 파트너로 합류해있다는것을 봤을때 기존의 단점은 버리고 장점은 살리는 운영이 잘 진행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것으로 보인다. [[https://medium.com/lineblockchain/핀시아-개발사-대상-퍼블릭-정식-출시-사전-안내-a10708286706|핀시아 개발사 대상 퍼블릭 정식 출시 사전 안내]] 참조 == 관련 사이트 == * [[https://scan.blockchain.line.me/Finschia%20Mainnet|라인 블록체인스캔 웹사이트]] * [[https://twitter.com/finschia/|공식 트위터 계정]] * [[https://medium.com/@finschia|공식 미디엄 계정]] * [[https://discord.gg/finschia|공식 디스코드 계정]] * [[https://www.dosi.world/ko_KR|DOSI]] 라인블록체인 NFT 플랫폼 == 관련 문서 == * [[네이버(기업)]] * [[라인(기업)]] * [[블록체인]] * [[암호화폐]]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Tether]] [[분류:암호화폐]]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링크(암호화폐), versio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