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프랑스 국왕(발루아 왕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0%, #fff 20%, #fff 80%, #ececec)" '''프랑스 발루아 왕조 초대 국왕[br]{{{+1 필리프 6세}}}[br]Philippe VI'''}}}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hilippe_VI_de_Valois.jpg|width=100%]]}}} || ||<|2> '''출생''' ||[[1293년]]|| ||[[프랑스 왕국]] [[파리(프랑스)|파리]] 퐁텐블로|| ||<|2> '''사망''' ||[[1350년]] [[8월 22일]] (향년 56~57세)|| ||[[프랑스 왕국]] 외르에루아르 노장르후와|| ||<|2> '''재위기간''' ||프랑스 국왕|| ||[[1328년]] [[4월 1일]] ~ [[1350년]] [[8월 22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발루아 가문 || || '''아버지''' ||발루아 백작 샤를 || || '''어머니''' ||앙주 여백작 마르그리트 || || '''형제자매''' ||이자벨, 잔, 마르그리트, 샤를 2세 || ||<|2> '''배우자''' ||[[부르고뉴]]의 잔 ,,(1313년 결혼 / 1349년 사망),, || ||[[나바라]]의 블랑슈 ,,(1350년 결혼),, || || '''자녀''' ||[[장 2세]], 필리프, 잔, 잔{{{-2 (사생아)}}}, 토마{{{-2 (사생아)}}} ||}}}}}}}}}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발루아 왕조]]의 초대 국왕. [[아버지]]는 샤를 드 발루아로 [[필리프 4세]]의 친동생이다. == 생애 == 필리프 4세의 아들들이 차례로 즉위했지만 모두 단명하여 후계자가 없게 되자, 필리프 드 발루아가 이전의 왕위계승에서 사용되었던 《[[살리카법]]》에 의해 필리프 6세로 즉위하게 되어 발루아 왕조를 개창했다. 사실 그는 《살리카법》이 아니었다면 왕위와는 거의 연관이 없는 [[인물]]이었다. 그 이유는 우선 [[루이 10세]]의 장녀인 [[호아나 2세|잔느]]가 살아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두 번의 왕위 계승 투쟁에서 모두 숙부들에게 왕위를 넘겨주었고, 거기서 잔느의 왕위계승을 막으면서 이유로 댄 것이 《살리카법》이었다.[* 물론 잔느의 어머니가 [[간통죄]]로 [[루이 10세]]에 감금당했다가 처형당한 마르그리트 드 부르고뉴라는 모계의 약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잔느는 평생을 루이 10세의 딸이 아니라, 마르그리트의 내연남 필리프 드 오네이의 사생아라는 의혹을 받아야 했다.] 결국 잔느는 숙부들이 모두 사망한 다음에야 [[나바라 왕국]]의 여왕 [[호아나 2세]]로 즉위할 수 있었다. [[샤를 4세]] 사후 프랑스 왕위에 근접했던 사람은 필리프 6세 말고도 그의 [[사촌]]이자 잔느의 [[남편]]이었던 나바라의 [[공동왕]] [[필리페 3세]][* [[필리프 3세]]의 아들 루이 되브레의 아들로, [[필리페 3세]]와 필리프 6세 모두 필리프 3세의 손자였다.], 그리고 필리프 4세의 외손자가 되는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가 있었다. 《살리카법》을 적용하면 외손자인 에드워드 3세 역시 제외되었고, 사촌 필리프의 아버지 루이 되브레는 [[필리프 3세]]의 6남으로 [[서열]] 자체가 밀렸다.[* '''[[서자]]'''(1번 항목)가 아니다. 루이 되브레는 [[필리프 3세]]와 그의 두번째 왕비 브라반트의 마리 사이에서 태어난 엄연한 적통 왕자였다. [[일부일처제]]가 확고했던 [[유럽]] 왕실에서는 두 번째 왕비도 왕의 정식부인이라면, '''[[왕비]]'''로 인정받고 그 사이에 태어난 자식들도 모두 적자로서 정당한 계승권을 공인받는다. 이런 식으로 했으면 카스티야의 [[펠리페 3세]](4번째 왕비의 아들. 심지어 장자도 아니다.)는 절대 왕이 되지 못했다. 6남인 건 형제들 중 요절하거나 사산된 아이들까지 포함이고, 루이 되브레는 1~5남과 그 남계 후손(서계 제외하고)이 전멸해야 프랑스 왕위를 받을 수 있었다. 안타깝게도 되브레 가가 발루아 가보다 오래 못 가는 바람에 가문에서 프랑스 왕을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결국 [[카페 왕조]]와 [[발루아 왕조]](직계와 방계 둘 다 포함됨), 되브레, 그리고 [[부르봉 왕조|부르봉 가문]]의 피를 물려받은 우월한 유전자 '''[[앙리 4세]]'''가 왕이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프랑스 [[왕실]]에서 가장 가까운 남자 친족이 되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전왕인 샤를 4세와는 가장 사이가 멀었다. 당장에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는 샤를 4세의 외조카가 되며[* 여동생 [[프랑스의 이사벨라|이사벨라]]의 아들.], 나바라의 [[필리페 3세]]는 샤를 4세의 조카사위이자 처남이었다.[* 필리페 3세의 아내 잔느는 샤를 4세의 조카였고, 필리페 3세의 누나 잔 되브레는 샤를 4세의 두번째 왕비였다.] 하지만 필리프 드 발루아는 필리프 4세의 조카이자 루이 10세, [[필리프 5세]], 샤를 4세의 사촌에 해당했다. 즉, 전왕과의 사이가 가장 멀었지만 《살리카법》에 의하여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 다시 왕위 계승에서 밀린 잔느는 [[여성]] 승계를 허용했던 나바라 왕국을 얻게 되었고([[호아나 2세]]), 이로 인해 [[프랑스 왕국]]과 [[나바라 왕국]]과의 [[동군연합]]은 해체되었다. 에드워드 3세는 초기에 필리프 6세의 즉위를 인정하다가, 이후 의견을 번복하며 [[백년전쟁]]을 일으키게 된다. === 재위기간 === 재위 초창기에는 안정적인 운영을 했다. [[플랑드르]] 지방의 반란도 진압했고,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의 복종도 받아냈다. 하지만 [[1332년]] 에드워드 3세와 대립하고 있었던 [[스코틀랜드]] 브루스 왕조의 제2대 국왕 [[데이비드 2세]]가 프랑스로 망명해오고, 이에 필리프 6세가 잉글랜드를 방해하는 모습을 보이자 여기에 에드워드 3세가 반기를 들며, [[1336년]] <발루아 가문의 필리프, 자칭 프랑스 왕>이라는 공개도전장을 보냈고, 이에 필리프 6세가 [[1337년]]에 [[아키텐]]을 몰수하자 결국 [[백년전쟁]]이 발발하고 말았다. 백년전쟁은 초기부터 프랑스에 상당히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1340년]] '''[[슬로이스 해전]]'''에서 [[프랑스 해군]]이 패배하면서 [[도버해협]]의 [[제해권]]이 잉글랜드로 넘어갔고, 이로 인해 전쟁은 프랑스 영토 내에서 벌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1345년]] [[흑태자 에드워드]]가 직접 노르망디에 상륙하면서 이끌고 온 잉글랜드의 장궁부대가 프랑스 기사군을 [[크레시 전투|크레시에서 격퇴]]하면서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게 되었다. [[1347년]] 잉글랜드와 가까운 [[항구]]인 [[칼레]]가 [[1차 칼레 공방전|함락당하고]], [[경제]]는 혼란에 빠졌다. 그러던 중 [[흑사병]]까지 번지게 되었으며 그야말로 프랑스 전체가 혼란에 빠진 상황이던 [[1350년]]에 사망했다. [[분류:프랑스 국왕]] [[분류:앙주 백작]] [[분류:발루아 가문]] [[분류:1293년 출생]] [[분류:1350년 사망]][[분류:퐁텐블로 출신 인물]][[분류:백년전쟁/인물]][[분류:왕위 계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