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넓적사슴벌레)] [[분류:넓적사슴벌레아속]][[분류:애완동물/딱정벌레목]] ||<-2> '''{{{#fff {{{+1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rcus titanus imperiali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Dorcus titanus imperialis'' '''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사슴벌레과(Lucan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왕사슴벌레속(''Dorc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넓적사슴벌레(''D.titanus'')|| || {{{#000 '''아종'''}}}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D. t. imperialis'')'''||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jpg|width=400]] 필리핀 카탄두아네스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한쌍 [목차][clearfix] == 개요 == [[필리핀]]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와 [[민다나오왕넓적사슴벌레]]를 제외한 필리핀 각지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의 아종. '제왕넓적사슴벌레', '임페리알리스왕넓적사슴벌레'라고도 한다.[* 본 문서의 본래 제목은 임페리알리스왕넓적사슴벌레였지만 타 아종들의 관용명이 모두 일본 BEKUWA잡지 기준으로 직역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 이에 따라 일관성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로 변경되었다.] 수컷은 30~109mm, 암컷은 30~50mm. 필리핀넓적사슴벌레는 루존 섬, 마린두케 섬, 시부얀 섬, 사마르 섬, 레이테 섬, 카탄두아네스 섬 등에 분포하고 있으나, 중앙부의 민도로 섬, 파나이 섬에서는 발견된 적 없다. 대략적인 생김새는 다른 대형 넓적사슴벌레 아종과 비슷하며, 큰턱의 형태가 천차만별이라 구별이 불가능에 가깝다. == 산지와 개체변이 ==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는 산지별로 상당히 다양한 형태와 크기차이를 보인다. 특히 인기가 많은 산지는 단연 카탄두아네스 섬 산지이지만, 그 외 마린두케 섬 산이나 사마르 섬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도 인기가 있다.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_루존 북동부.jpg]] 루존 퀴리노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존 북동부)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_루존 중남부.jpg]] 루존 바나하우산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존 중남부)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_루존 북부.jpg]] 루존 아파야오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존 북부)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_카탄두아네스.jpg]] 카탄두아네스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손 남부 근방 섬)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_마린두케.jpg]] 마린두케 섬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투박하고 다부진 형태로 국내 많은 단치 넓적사슴벌레들의 모토이다. 대한민국의 표본 수집가들에게 가장 인기 많은 임페리알리스 아종의 산지. === 사육 ===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사이즈1.jpg]]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사이즈2.jpg]] [[파일: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사이즈3.jpg]] [* 일본전문곤충잡지 '비쿠와' 기네스는 일본 브리더 woodcutter의 109mm] 개인적인 사육을 위한 외국 곤충의 수입이 금지된 국내에는 해당 사항이 없지만, 해외에서는 이들의 큰 덩치 덕분에 사육하는 마니아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