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럽의 주요 관현악단)] [목차] == 개요 == * [[라틴어]]: Philharmonia Hungarica [[독일]]을 근거지로 활동하던 [[관현악단]]. 이름의 '훙가리카' 에서 볼 수 있듯이 [[헝가리]] 연주자들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던 악단이었다. == 연혁 == [[1956년]]에 일어난 [[헝가리 혁명]]이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의해 유혈 진압된 뒤 수십만 명에 달하는 헝가리인들이 주로 [[중립국]]이었던 [[오스트리아]]를 통해 망명했는데, 이들 중에는 헝가리의 관현악단들에서 연주 활동을 하던 음악인들도 상당수 있었다. 이 망명 연주자들은 오스트리아 수도 [[빈(오스트리아)|빈]] 근교에 자리잡은 소도시 휴양지인 바덴 바이 빈(Baden bei Wien)의 에스플라나데 호텔에 거점을 둔 관현악단을 결성했고, 지휘자로는 같이 망명해온 헝가리 국립 교향악단 전직 지휘자 로스너이 졸탄이 부임했다. 로스너이는 갓 창단된 악단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서방과 [[미국]] 등 자유 진영에 이 악단을 위한 재정 지원을 호소했고, 창단된 지 3년 뒤인 1959년에는 록펠러 재단과 포드 재단의 후원으로 첫 미국 순회 공연을 진행하기도 했다. 로스너이가 미국에 정주하기 시작한 1961년 이후에는 로스너이를 도와 악단을 같이 이끌고 있던 헝가리 출신 지휘자인 언털 도라티가 뒤를 이었다. 이 때를 전후해 중립국인 탓에 [[반공]] 성향 망명자들의 편만 들어주기가 좀 거시기했던 오스트리아 측에서 이들의 활동에 난색을 표하자, 자유 진영을 표방하고 있던 서독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에 있는 소도시 말(Marl)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콘라트 아데나워]]가 이끌고 있던 당시 서독 정부는 [[소련]]의 위성국으로 대립하고 있던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을 비롯한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에 대한 선전 차원에서 이 악단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악단의 정기 공연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주요 도시들인 [[뒤셀도르프]]나 [[쾰른]], [[빌레펠트]], [[에센]], [[부퍼탈]] 등지를 돌며 진행되었다. 도라티는 녹음 작업에 열성적인 지휘자 답게 1958년부터 미국 음반사인 머큐리나 [[영국]] 음반사 [[데카]] 등을 통해 이 악단과 수많은 음반을 제작해 악단의 명성과 재정 자립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1970년대 초반 데카에 녹음한 [[요제프 하이든|하이든]]의 [[교향곡]] 전곡(107곡)은 역사상 두 번째 전집 녹음이자 본격적인 상업용 음반으로는 최초라는 진귀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첫 번째 하이든 교향곡 전집은 오스트리아 지휘자 에른스트 메르첸도르퍼가 빈 실내 관현악단을 지휘해 만들었지만, 시장에 풀린 것은 극소수라서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후새드]].]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도라티는 악단으로부터 명예 회장에 추대되기도 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클래식(음악)|클래식]] 뿐 아니라 이런저런 크로스오버 음반 제작에도 참가했는데, 1976년에 나온 [[딥 퍼플]] 키보디스트인 존 로드의 '사라방드(Sarabande)' 라는 앨범에서 에버하르트 쇠너의 지휘로 관현악 연주를 맡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동안 단원들의 모국인 헝가리를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이 [[민주화]]의 길을 걷기 시작하면서 덩달아 위축되기 시작했다. 결국 소련의 붕괴를 끝으로 [[냉전]]이 사실상 종식되자, 통일 독일 정부도 이들에게 배당되었던 예산을 단계적으로 삭감하기 시작했다. 악단 내에서도 1988년 도라티가 별세하면서 강력한 구심점이 사라진 상태에다, 악단의 주축을 이루던 망명 음악인들도 상당수 고령으로 은퇴하고 그 자리를 헝가리와 별 상관없는 나라의 연주자들이 메꾸는 등 정체성이 점차 희박해지고 있었다. 여러 음악인들이 이 악단의 존속을 위해 기금을 끌어모으고 자발적으로 협연하거나 직접 지휘대에도 서는 등 여러 방면으로 노력했지만, 결국 2001년 4월 22일 뒤셀도르프의 톤할레 대강당(현 멘델스존 홀)에서 로베르트 바흐만의 지휘로 [[안톤 브루크너|브루크너]]의 [[교향곡 제9번(브루크너)|9번 교향곡]]을 연주한 뒤 해체되었다. 이 마지막 공연도 많이 초라했다. 악단이 속해 있던 독일 관현악단 연맹 측에서 공연이 취소되었다고 잘못 통보하는 바람에 연주회를 감상한 청중은 '''150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참고로 톤할레 대강당의 총 객석 수는 1854석으로, 1/10도 차지 않았다. == 주요 활동과 음반 == 정치적인 사건으로 인해 결성된 악단이었던 만큼, 이들의 활동을 지탱하던 키워드는 '헝가리' 와 '반공' 두 가지였다. 이 때문에 자신들이 헝가리 음악을 지켜내고 있는 진정한 악단이라는 자긍심이 대단했고, [[버르토크 벨러|버르토크]]나 [[코다이 졸탄|코다이]] 같은 모국 작곡가들의 작품 연주에도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소련 작곡가들의 작품은 해당 국가가 자신들을 짓밟고 내쫓았다는 반감 때문인지 거의 연주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같은 독일이 거점이었던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1971년 처음으로 소련 공연을 개최하는 등 동구권에도 발을 담그기 시작하고 있었지만, 이 악단은 어차피 그 쪽에서 공연을 승낙해줄 리도 만무했고 악단 자체도 그러고 싶지 않아서 주로 서방 세계에 묶여 있는 처지가 되었다. 심지어 냉전이 종식된 후 헝가리에 남아서 음악 활동을 계속 하던 음악인들과도 '떠나가 자유를 누렸던 이들' 과 '남아서 고생하던 이들' 사이의 괴리감 때문에 쉽게 화해하기도 힘든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이 악단의 존재 가치는 냉전 종식과 함께 폭락해 버렸고, 잔존 단원들도 헝가리로 돌아가거나 독일의 다른 악단에 입단하는 등 뿔뿔이 흩어지면서 악단의 근본이 통째로 흔들리게 되었다. 공산 [[독재]]에 반대해 결성된 악단이 그 독재의 종식과 함께 타격을 받다가 사라진 아이러니한 사례인데, 해체 뒤에도 간헐적으로 재결성 움직임이 있기도 했지만 기념 공연 몇 번 하는 선에서 대부분 끝나버렸다. 그래도 한창 활동하던 1950년대 후반~1970년대 후반까지의 [[리즈시절]]에는 특히 도라티 밑에서 내놓은 수많은 음반들 덕에 나름대로 서방 세계의 메이저 악단으로 후한 대접을 받았다. 하이든 교향곡 전집이야 말할 것 없는 수준이고, 그 외에 코다이 관현악 작품집이나 [[오토리노 레스피기|레스피기]], [[표트르 차이콥스키|차이콥스키]] 관현악 작품들의 음반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분류:고전 음악 연주 단체]][[분류:라틴어 구절|Philharmonia Hunga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