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외교관]] [[분류:일본 제국의 정치인]] [[분류:1842년 출생]] [[분류:1917년 사망]] [[분류:오카야마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자작]][[분류:정3위]] ||<#fff,#1F2023><-6> [[파일:일본 황실.svg|width=20]] '''[[주한일본공사관|{{{#b0313f,#ce4e5c 주한 일본 공사}}}]]''' || || (초대) ||<:> {{{+1 ←}}} |||| '''하나부사 요시모토''' || {{{+1 → }}} || [[다케조에 신이치로]] || ---- ||<-2>
<#fff,#1F2023> '''{{{#b0313f,#ce4e5c 초대 주조선 일본 공사[br]{{{+1 하나부사 요시모토}}}[br][ruby(花房義質, ruby=はなぶさ よしも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나부사 요시모토.jpg|width=100%]]}}}|| ||<:>'''이름'''||'''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 ||<:><|2>'''출생'''||[[1842년]] [[2월 10일]] || ||[[오카야마]] 번 || ||<:>'''사망'''||[[1917년]] [[7월 9일]] (향년 75세) || ||<:>'''국적'''||[[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8]] [[일본 제국|일본]]|| ||<:>'''학력'''||데키주쿠 || ||<:>'''직업'''||외교관 || ||<:>'''주요 경력'''||주한일본공사[br]주러시아일본공사[br]농상무 차관[br]일본 황실회계심사국장[br]궁내성 차관[br]추밀원 문관[br]일본적십자사 총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외교가이자 정치가. == 생애 == 1842년, [[오카야마현|오카야마번]] 출신으로 1867년 해외유학을 떠나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을 거쳐서 유학생활을 했고, 1870년, 외무성에 입문하여 《청일수호조약》 체결을 위해 [[청나라]]로 건너갔다. 1871년, 조일교역 교섭자로 조선에 입국하였으며 [[주한일본공사관|주(駐) 조선 일본공사관]] 공사대리로 부임하였고, 1880년, 초대 조선 주재 일본국 공사관으로 승격부임했다. 1882년, [[임오군란]] 때 구식 군대가 [[주한일본공사관|일본공사관]]을 습격하여 [[별기군]] 교관 호리모토를 살해하면서 [[주한일본공사관|공사관]]을 빠져나와 [[제물포]]에서 영국 국적 선박 선원들에 의해 구조되어 일본으로 잠시 돌아갔다가 공사관 손괴문제를 따지려는 일본 정부 인사들과 함께 귀국하여 《제물포조약》을 체결했다. 임오군란 때 일본 공사관을 지키지 못한 책임을 지고 조선 주재 일본공사 직에서 사임했다. 1883년에는 [[러시아 제국|러시아]]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받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주재 공사를 지냈고 1896년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다. 농상무부대신(대신 바로 아래 직책), 궁내성 차관을 거쳤고 1911년에는 자작으로 승격했다. 일본적십자사 부총재 직을 역임했고 1912년에는 총재가 되었다. 1917년에 만성 [[위염]]으로 사망했다. == 기타 == * 후임 주조선 일본 공사인 [[다케조에 신이치로]]와 생몰년도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