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남시의 버스)] [[파일:100_8407.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하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하남시 마을버스 100번}}} || ||<-2><:>기점||<:>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법화골)||<-2><:>종점||<:>경기도 하남시 신장동(스타필드하남)||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30|| ||<:>막차||<:>22:35||<:>막차||<:>23:00|| ||<-2><:>평일배차||<:>12~15분||<-2><:>주말배차||<:>12~15분|| ||<-2><:>운수사명||<:>[[은방울교통]]||<-2><:>인가대수||<:>4대|| ||<-2><:>노선||<-4><:>법화골 - 샘골입구 - 중촌마을 - 래미길 - 고골초교 - 법동입구 - 동부중.남한고 - 신장시장 - 하남시청 - 대명강변타운.동일아파트 - [[스타필드 하남]]|| == 개요 == [[은방울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16km이다. [[http://map.naver.com/?busId=8037|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1991년 개인이 설립한 "샘재마을버스"가 시초로 현대 코러스 신차 1대를 도입 노선 번호와 별도의 도색없이 출고 당시 기본 도색인 상아색.파랑색 투톤 도색 차량으로 중촌마을-상사창리-하사창리-교산리-샘재-성광학교-동부파출소-동부주유소-동부여중-남한고-신장시장/태산금고-엘칸토앞-신장국민학교 구간을 왕복 운행하였다. 차고지는 샘재(현 하남시 샘재로40 인근)에 비닐하우스를 지어 운영하였으며, 요금은 성인 300원 / 학생 150원이었다.몇 년뒤 현대 코러스 신차 순정 빨강 투톤 도색 1대를 증차하여 운행하였다. 노선 번호가 없는 탓에 빨강버스, 파랑버스로 불려졌으며, 대체 차량이 없어 차량 수리 시 다마스를 이용 승객을 운송하기도 하였다. 90년대 중반 더우개와 창우동 일대에 하남아파트단지가 조성되면서 이용객 증가로 아시아자동차 코스모스 신차 2대로 대차가 이루어졌고, 100번이라는 노선번호 도입과 노선이 일부 변경되었다. 중촌마을-상사창동-하사창동-고골초등학교-광주향교- 교산동-샘재-마방집-선린촌-신안아파트-부영아파트-한국아파트-하남시청-신장초교사거리-신장시장-남한고-동부여중 구간을 왕복 운행하였다. 1998년 정도에 샘재교통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아시아자동차 콤비 2대로 대차되어 동일 노선을 운행하다 적자를 이유로 은방울교통으로 폐선 및 통합되었다. == 특징 == * 종점인 법화골에는 [[남한산성]] 등산로(위례둘레길) 입구가 있다. 여기서 30분 정도 걸어 올라가면 성남이나 광주로 가는 버스가 있는 ([[경기광주 버스 9|9번]], [[경기광주 버스 15-1|15-1번]], [[성남 버스 52|52번]]) 남한산성 종점이 나온다. 하남 일대에서 남한산성을 찾는 사람이 꽤 많기에 배차간격이 좋은 편. * 마을버스인데 특이하게 파란색 도색 차량으로 운행한다. 그 중에는 뒷쪽에 서울시처럼 'B' 마크가 달린 차량과 측면 'B'마크 자리에 하남시 CI가 크게 박혀 있는 차량도 있다. 다만 새 차량들은 GBUS 마을버스 도색이 되어 있어 언젠가는 사라질 도색으로 보였으며, 2021년 현재는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 이 노선은 3기 신도시로 예정되어 있는 [[교산신도시]]의 부지를 세로로 관통하는 노선이다. 먼 미래에 교산신도시가 완공된다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하남시청역]] [[분류:하남시의 마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