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일반 == Hard. "단단하다", "힘들다", "어렵다"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어렵다'의 의미로는 유의어로 'difficult'가 있다. 'hard'보다 조금 더 나중에 배우게 되는 심화 영어 단어이다.] 부사로는 "열심히"의 의미를 지닌다. 제일 초기에 나타난 기본 의미는 "단단하다", "힘들다"이며 12세기에 "어렵다"가, 14세기에 "열심히"라는 의미가 등장한다. 'hard'에 부사형 접미사 '-ly'가 붙은 것처럼 보이는 'hardly'는 '거의 ~않다'라는 '''전혀 다른 의미'''이기에 주의해야 한다. 어원상으로는 그 단어도 'hard+ly' 식으로 파생한 게 맞기는 하다.[* '쉽지 않게'라는 의미에서 '드물게'라는 의미로 이어졌다. 해당 의미가 처음 출현한 것은 1540년 경이라고 한다.] [[반댓말]]은 "단단한"이라는 의미일 때는 "부드럽다"를 뜻하는 '[[소프트|soft]]'를, "힘든"이라는 뜻일 때에는 "쉽다"를 의미하는 'easy'를 꼽을 수 있다. 게임에서는 상급 난이도를 가리킨다.[* 어렵다는 뜻으로 difficult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단어 길이 문제로 hard를 대부분 애용한다.] 단, 어떤 게임은 최하 난이도가 [[이지|easy]]가 아니라 [[노멀|normal]]이라 사실상 중급인 때가 있다. 한편 게임에 따라 hard보다 더 상위 등급의 난이도[* 주로 super-hard, hell, expert, pro, master, crazy, impossible, lunatic, insane, demon 등] 를 설정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normal부터 시작하는 경우는 더더욱. 특이하게도 [[슈퍼 헥사곤]]에서는 Hard가 가장 쉬운 난이도이다.[* Hard-Harder-Hardest-'''Hardester''' -'''Hardestest'''-'''Hardestestest''' 순이다.] == 특수 의미 == === [[대한민국]]에서 [[빙과]]류를 흔히 부르는 단어 === 주로 [[아이스께끼]]를 부르는 말이다. 영어로는 popsicle 또는 ice pop, icy pole^^호^^이라 하는데, 이중에서 우유(유지방)가 주성분인 것은 따로 ice cream bar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만 쓰는 하드라는 표현은 1962년 국내 최초의 위생적인 환경에서 제조 판매된 양산형 아이스바 '삼강 하-드'가 출시되어 큰 인기를 끌게 되면서, 그 원조 국산 아이스바 인 ‘하드’ 로 인해 이후 현재까지 [[상표의 보통명사화|모든 빙과류 및 바 타입의 막내 아이스크림을 대표하는 용어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롯데에서 이 제품을 한정 시간 동안 재 출시하기도 하였다. 초창기의 막대 아이스크림들은 유지방이 들어가있지 않는게 대다수라 [[알레르기]]가 있거나 [[유당불내증]]이 있는 있어 보통 아이스크림을 못 먹는 사람들도 먹을수 있는 게 특징이었다. 현재는 유지방을 넣은 막대 아이스크림([[옥메와까]]나 [[돼지바]] 같은 것들)도 많으므로 주의하는게 좋다. === [[하드디스크]]의 약어 === 하드디스크를 줄여서 하드라고 부른다. === 고어에서의 하드 === [[하드고어]] 참고. === [[SHINee]]의 [[HARD(SHINee)|정규 8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ARD(SHINee))]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분류:빙과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