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fafad2 전주 이씨 금원군파의 역대 종주}}}''' || || 1대 [[금원군|금원군 이령]] || {{{+1 ←}}} ||<-2> '''{{{#fafad2 2대 하릉군 이린 }}}''' || {{{+1 →}}} || 3대 영제군 이석령 || ---- ||<-3> {{{#gold '''조선 중종의 손자'''[br]{{{+1 '''하릉군[br] 河陵君'''}}}}}} || ||<-2> '''[[봉호|{{{#gold 봉호}}}]]''' ||<(> 하릉군(河陵君)[* 봉호는 [[경상남도]] [[하동군]](河東郡)에서 유래했다.] || ||||<:> '''[[시호|{{{#gold 시호}}}]]''' ||<(> 효정(孝貞) || ||||<:>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전주]](全州) || ||||<:> '''[[이름|{{{#gold 이름}}}]]''' ||<(> 린(鏻) || ||||<:> '''{{{#gold 양부}}}''' ||<(> [[금원군]] || ||||<:> '''{{{#gold 양모}}}''' ||<(> 파징군부인 [[해주 정씨]](海州 鄭氏) || ||||<:> '''{{{#gold 생부}}}''' ||<(> [[덕흥대원군]] || ||||<:> '''{{{#gold 생모}}}''' ||<(> [[하동부대부인|하동부대부인 하동 정씨]](河東 鄭氏) || ||||<:> '''{{{#gold 부인}}}''' ||<(> 평산군부인 [[평산 신씨]](平山 申氏) || ||||<:> '''{{{#gold 자녀}}}''' ||<(> '''2남 1녀''' 서장남 - 이선(李善) {{{-3 측실 억금(億今) 소생}}} 서장녀 - 이팔옥(李八玉) {{{-3 측실 순화(順花) 소생}}} 서차남 - 이현(李賢) {{{-3 측실 억금(億今) 소생}}} 양자 - 영제군 이석령(寧堤君 李錫齡) || ||<|2><:> '''{{{#gold 생몰[br]기간}}}''' ||<:> '''[[음력|{{{#gold 음력}}}]]''' ||[[1546년]] [[5월 9일]] ~ [[1592년]] [[6월 17일]] || ||<:> '''[[태양력|{{{#gold 양력}}}]]''' ||[[1546년]] [[6월 16일]] ~ [[1592년]] [[7월 2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왕족]]. [[덕흥대원군]]의 적차남이자 [[선조(조선)|선조]]의 둘째형이며 [[금원군]]의 [[양자(가족)|양자]]이다. == 생애 == 1546년([[명종(조선)|명종]] 1년) 6월 6일[* 음력 5월 9일]에 [[한성부]] 서부 인달방 [[도정궁|덕흥군 사저]]에서 [[중종(조선)|중종]]의 서자 덕흥군과 부인 [[하동 정씨]][* [[세종(조선)|세종]] ~ [[세조(조선)|세조]] 대의 재상 [[정인지]]의 증손녀이자 문신 정세호의 딸이다.] 사이에서 적차자로 태어났다. 이복 큰아버지 [[금원군]]의 [[양자(가족)|양자]]가 되었고 하릉정(河陵正)을 거쳐 하릉군(河陵君) 작위를 받았으나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567년(선조 즉위년) 남동생 [[선조(조선)|하성군]]이 선조로 즉위했고 10년 뒤인 1577년(선조 10년)에 친할머니 [[창빈 안씨|소용 안씨]]를 정1품 ‘창빈(昌嬪)’으로 추증하면서 하릉군 역시 정 1품에 올랐다. 1591년(선조 24년)에는 광국 원종 공신(光國原從功臣) 중 한 명이 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2402015_001|#]] == 사망과 이후 == 1592년(선조 25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강원도]] [[금강산]]을 거쳐 [[통천군]]으로 피신했다. 그러나 [[함경도]]의 토적들이 왜군을 인도하여 산을 수색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두려워하다가 그해 7월 25일[* 음력 6월 17일.]에 스스로 목을 매어 자결했다. [[http://sillok.history.go.kr/id/knb_12510001_008|#]] 향년 46세. 설상가상으로 그의 유해는 유실되었다가 훗날 [[통천군|통천]] 군수 [[정구(조선)|정구]]가 찾아내어 염습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2608007_005|#]] [[선조(조선)|선조]]는 하릉군이 죽은 지 9달이 지나도록 소식을 전해듣지 못했던 것 같다. 1593년(선조 26년) 4월[* 음력 3월.]에 선조는 하릉군의 소식을 알아보라는 명을 내렸고[[http://sillok.history.go.kr/id/kna_12603010_003|#]] 하릉군의 죽음을 전해들은 선조는 매우 애통해하며 하릉군의 [[장례]]를 넉넉하게 지원해주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2608007_004|#]] 그리고 하릉군의 시신을 찾은 [[정구(조선)|정구]]를 [[당상관]]으로 승진시키고 이외 장례에 공이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관직을 주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2608007_005|#]] 그러자 [[사헌부]]에서는 "형제를 생각하는 전하의 마음은 알겠는데, 사적인 일로 공적인 상을 남발하면 안되지 않아요? 명을 거두시죠."하면서 반대했으나, 선조는 "평상시라면 내가 그러겠냐? [[임진왜란|난리]] 통에 쟤들이 최선을 다한 게 너무 고마워서 그랬다."하면서 사헌부의 반발을 무마시켰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2608009_002|#]] [[경기도]] [[양주]]의 불광산 기슭에 안장되었다. 이 곳은 훗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갈현동[* 현 [[은평구]].]으로 편입되었는데, 1970년에 서울특별시의 택지 개발 확장 사업으로 인해 [[경기도]] [[포천시|포천군]] 신북면 심곡리로 후손들이 묘를 이장했다. == 가족 관계 == * '''생부'''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 ~ 1559) * '''생모''' : [[하동부대부인|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 ~ 1567) * 형 :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 1545 ~ 1597) * 남동생 : [[선조(조선)|선조]](宣祖, 1552 ~ 1608) * '''양부''' : [[금원군]](錦原君) 이령(李岭, 1513 ~ 1562) * '''양모''' : 파징군부인 [[해주 정씨]][* [[경혜공주]]의 증손녀, [[경혜공주]] → [[정미수]] → 정승휴 → 파징군부인](波澄郡夫人 鄭氏, 1513 ~ 1560) * '''정부인''' : 평산군부인 [[평산 신씨]](平山郡夫人 平山 申氏) - 신여종(申汝悰)의 딸 * '''양자''' : 영제군(寧堤君) 이석령(李錫齡, 1568 ~ 1623) - [[하원군]]의 3남 * 며느리 : 군부인 [[한씨|당진 한씨]](唐津 韓氏, 1568 ~ 1626) - 한의(韓誼)의 딸 * 손녀 : 이숙(李淑, 1592 ~ ?) * 손녀 : 이열(李洌) * 손자 : 호안군(湖安君) 이오(李澳, 1596 ~ 1665) * 손자 : 호성도정(湖城都正) 이락(李洛, 1601 ~ 1661) * 손녀 : [[여주 이씨|이지안]](李志安)의 처 * 손녀 : 경식(慶寔)[* 청주 경씨(淸州 慶氏)]의 처 * '''측실''' : 억금(億今) - 양민 출신 * '''서장남''' : 교성도정(交城都正) 이선(李善, 1578 ~ ?) * '''서차남''' : 이현(李賢, 1591 ~ ?) * '''측실''' : 순화(順花) - 노비 출신 * '''서녀''' : 이팔옥(李八玉, 1585 ~ ?) * 사위 : [[한교]](韓嶠)[* 세번째 부인] * 외손녀 : [[파평 윤씨|윤환]](尹渙)의 처 * 외손녀 : [[전의 이씨|이영호]](李英豪)의 처(1607 ~ ?) * 외손녀 : 한애경(韓愛敬, 1610 ~ ?) == 후손 == 하릉군은 [[평산 신씨]] 신여종의 딸 평산군부인 신씨(平山郡夫人 申氏)와 혼인했다. 그러나 슬하에 자녀를 두지 못했고 첩 3명 중 2명에게서 2남 1녀를 두었다. [[서자]]들은 모두 억금(億今)의 소생이다. 서장남은 교성도정 이선(交城都正 李善)이며 서차남은 이현(李賢)이다.[[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A6%89%EA%B5%B0#cite_note-sonsu26-1|#]] 다만, 1900년([[광무]] 4년)에 제작한 《선원속보》에는 이현의 이름이 보이지 않는데, 아마 요절했던 듯 하다. 딸은 순화(順花)의 소생으로 이름은 이팔옥(李八玉)이며 청주 한씨 한교(韓嶠)와 혼인했다. 적장자가 없었기 때문에 하릉군의 친형 [[하원군]]의 적3남 영제군 이석령(寧堤君 李錫齡)이 [[양자(가족)|양자]]로 들어왔다. 영제군은 2남을 두었고 이들의 자손이 번성하여 오늘날 [[전주 이씨]] 금원군파를 이루고 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금원군, version=46, title2=덕양군, version2=27, title3=환생군주, version3=35)] [[분류:조선의 왕자군]] [[분류:전주 이씨 금원군파]] [[분류:1546년 출생]] [[분류:1592년 사망]][[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왕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