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2> {{{#ffffff '''{{{+1 하말넘많}}}[br]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서, heavytalk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avytalker.jpg|width=100%]]}}} || || {{{#ffffff '''멤버'''}}} || 강민지, 서솔 || || {{{#ffffff '''채널링크'''}}} || [[http://heavytalkerhistory.creatorlink.net|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channel/UCm3SDarPtTOS_NjCh9d3TDQ/featured?disable_polymer=1|[[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AC-UrPIy25CbO97JNJuEF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라이브 방송 채널]]] || || {{{#ffffff '''커뮤니티'''}}} || [[https://www.instagram.com/heavytalker_weekl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zakbap_heavytalk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작업실 음식 기록 인스타그램]]]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eavytalker_, 크기=20)] [[http://cafe.daum.net/heavytalker|[[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서"[* 신조어 [[할많하않]]에서 따온 듯하다.] 영화 전공자로 같은 학과 동료인 강민지와 서솔 두 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는 페미니즘 성향의 채널이다. 현재 구독자는 30.5만명. == 멤버 == 멤버에 대한 소개는 본인들의 주장을 위주로 서술하였음을 밝히며 '''객관적 사실과는 다를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 강민지 === > * 별명 > * 시골쥐, 조지k, 캔디k, 스파이더k, 강척척박사, 강땔감, 강장작 > * 대구 출신으로 사투리 천재 > * 영화 [[https://youtu.be/EFIs9WuVe38|"천에 오십 반지하"]] 감독 > * 영어이름은 "조지" > * mbti는 [[ENFP]] > * 서솔과 토마토게임을 하다가 승부욕에 그만 눈물 두 방울을 흘림 > * 아무데서나 노래를 흥얼 거림 > * 아쟁총각의 성대모사를 잘 함 > * 보통 0.5인분, 자극적이게 먹는 편 > * 디제잉을 하려고 장비를 구입했지만 현재는 접었음 > * 독수리 타자 === 서솔 === > * 별명 > * 서테이크서, 서터리머, 서마터폰, 서울쥐, 서폰지, 서무디, 서술, 서막걸리 > * 영화 "붉은 해일" 감독 > * 영어 이름은 "브라이언" > * mbti는 [[ENTP]] > * 학창시절 전교 4등까지 했었고, 대학 시절은 B+ 이하의 성적은 받아 본 적 없는 엘리트. 덕분에 영어도 잘 한다고 한다 > * [[https://brunch.co.kr/@libraryofssl|브런치]]에서 뛰어난 글솜씨를 볼 수 있음 > * 앞머리 있는 머리를 좋아하지 않음 > * 청소를 싫어함 > * 강민지와 같이 0.5인분에 반대로 간을 거의 하지 않고 먹는 편 > * 게임을 잘 함 > * 어릴 때 날 생선을 먹고 아팠던 기억 때문에 날 생선을 좋아하지 않지만 다른 해산물은 매우 좋아함 > * 소리와 향에 민감해서 데시벨을 별로 높이지 않은 강민지의 목소리에도 시끄럽다고 함 > * 어릴 적 꿈은 피아니스트, 외교관 == 컨텐츠 == === 디폴트립 === 디폴트(default)와 트립(trip)의 합성어로, 에필로그 인터뷰까지 포함해서 총 15개의 에피소드가 제작 되었다. === 토크 콘서트 === 첫 토크 콘서트는 2018년 12월 24일 서울에서 열렸다. 일상의 여성 혐오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페미니즘에 대해 깨닫기 전 본인의 이야기나 콘서트 포스터 찍는 비하인드, Q&A 포스트잇 읽기, 탈코르셋을 하고 달라진 나 등 관객과 소통을 주로 이루어져 있다. 일정과 신청은 팬카페나 인스타그램 등 커뮤니티를 통해 공지가 된다. 전국 비혼 여성 지도 처럼 숙명여대, 서울여대, 대구, 서울, 제주도 등 전국을 돌며 진행 되고 있다. * 2018. 12. 24 1회 - 서울 * 2018. 12. 25 2회 - 서울 * 2019. 06 3회 - 부산 * 2019. 06 4회 - [[https://youtu.be/hi9OyuMcgIs|제주]] * 2019. 07 5회 - [[https://youtu.be/cwyNoZHYTO8|수원]] * 2019. 08 6회 - [[https://youtu.be/JmA5hRu_ZEk|대구]] * 2019. 09 7회 - [[https://youtu.be/JmA5hRu_ZEk|인천]] * 2019. 10 8회 - [[https://youtu.be/fq1zOvuK2Gc|광주]] * 2019. 11 9회 - 울산 * 2019. 12 10회 - 대전 === 여성복의 진실 === 남녀공용 브랜드 [[퓨즈서울]]과의 협업 콘텐츠. === 전국 비혼 지도 === 토크 콘서트를 통해 오프라인에서 많은 구독자들이 같은 뜻을 갖고 있는 친구가 곁에 없어 '''고립감'''과 '''무력감'''을 느낀다는 이야기를 듣고 최소한의 방편이라도 만들어 주고자 생겨난 컨텐츠. 전국[* 대구, 광주, 제주도, 대전 등을 방문한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 되어 있다.] 각지를 돌며 비혼 여성의 삶에 대해 인터뷰 한다. === 경제 === 노후 자금, 사연에 대한 해결책, 연말 정산, 내 집 마련, 신용카드, 세금 등 경제에 대한 알짜배기 정보들을 전문가와 함께 알아보는 컨텐츠. 경제 미디어 '어피티'와의 협업을 하여 제작하였다. === 텐트 하우스 === 운전, 장보기부터 시작해서 텐트 치기, 캠핑 장비 소개 등 글램핑 컨텐츠. 바다와 산 그리고 계절 관계 없이 즐긴다. 차분하고 잠잠한 브이로그 같은 영상이지만 이 때문에 오히려 같이 여행을 한 듯한 느낌을 준다. === ASMR === 기존의 ASMR과는 차원이 다른 콘텐츠. 초반에는 열심히 컨텐츠에 집중을 하다가도 중후반에 들어서는 결국 사운드가 튀면서 서로 웃음을 참지 못하고 막장으로 치닫는 경우가 많다. 나중에는 아예 대놓고 [[https://youtu.be/_0QbB3Cksx4|웃음 참기 컨텐츠]]로 업로드 한 영상도 있다. === 운동 === '''8분 운동 비디오'''로 업로드 되는 이 컨텐츠는 복근 코어, 전신 등 초급자가 편하게 따라할 수 있는 운동을 위주로 구성 되어 있다. === 뉴토피아 ===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cOPi_JjdrLR_KLmu_Z53EQ|소그노]]에서 방영 되는 웹 예능. 기상 당번으로 4화부터 출연하게 되는데 엄청난 존재감으로 이목을 끌었다. 멤버들 간 축구 대결에선 강민지가 골키퍼를 하였는데 이 때 생긴 별명이 스파이더k이다. == 비판 및 사건 사고 == * 2018년에는 [[https://youtu.be/uaoKf_4PwT4|한 영상에서]] [[트랜스XX|트랜스젠더 혐오 워딩]] 자막을 [[https://twitter.com/VeganSexworker/status/1103674458672230400|사용한 적이 있으며]], 이후 이에 대해 [[https://twitter.com/heavytalker_/status/1103701171238100992|사과]]하고 해당 부분을 편집했다. * 2020년 7월, [[https://www.youtube.com/watch?v=5sQYOj9GtK0|세상의 기준이 남자라서 생기는 일(feat. 스마트폰)]] 영상을 업로드 했다.[* 현재는 삭제.] 문제는 이 영상이 라는 '보이지 않는 여자들'이라는 페미니즘 도서를 기반으로 했는데, 조금만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말도 안 되는 [[만물여혐설]]에 기반한 검증되지 않는 허위사실을 주장했고, 이 영상의 캡처본이 온 인터넷 커뮤니티에 퍼지면서 조롱거리가 되었다. * [[구글]]의 [[음성인식]] 시스템이 남성의 목소리만을 샘플로 사용했기에 남성의 목소리가 훨씬 더 잘 인식된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남성의 음성을 더 잘 인식한다는 검증된 실험 결과가 있는지, 구글에서 남성 샘플만 사용했는지에 대한 근거는 없다. 오히려 구글 음성인식 시스템은 그와 정 반대로, 음성인식 제품 사용자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개인정보 논란이 일고 있다. * 스마트폰의 크기와 무게가 남성 기준으로 설계되어 여성의 손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8113145|#]] 당연하지만 애초에 스마트폰이란 것이 기종에 따라 크기와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어떤 기준으로 여성에게 불편하다는 것인지 정해진 적도 없고, 크고 무거운 폰이 싫다면 작고 가벼운 폰을 살 선택권이야 당연히 보장되어 있는 것이며, 아무리 작고 가벼운 폰이라도 오래 들고 있으면 남자라도 당연히 손목이 피로해지기 마련이며[* 이에 일부 쉴더들은 '결국 남자는 여자보다 피로감을 늦게 느끼지 않냐'로 반론하기도 하지만, 그 말대로라면 어차피 뭘 들어도 마찬가지이기에 중력이 여혐이라는 놀라운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당연히 폰의 무게는 가벼울수록 좋기에 개발자들은 최대한 성능과 기능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게를 항상 최소화시켜 왔다. * 생리통을 확실히 잡을 수 있는 진통제가 개발되지 않은 것이 생리통의 고통을 알 리 없는 남성 위주의 시스템 때문이라 주장했지만,[* [[https://www.youtube.com/channel/UC7axXR_NHflEt0A5Y7AfX_A|한국일보 영상 콘텐츠 제작소 PRAN]]에서도 한 패널이 과거 똑같은 발언을 한 적 있다.] 조금만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기업'''인 제약회사에서 떼돈을 벌 수 있는 완벽하고 부작용 없는 생리통 진통제를 개발하기 싫어서 안 할 리가 없다. 인류의 의술로는 아직 완벽하게 정복하지 못한 것이 많으며 완벽한 생리통 진통제 역시 아직 개발되지 않았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수많은 남성에게 고통을 주고 있는 '''[[탈모]]를 완벽하게 치료하는 약'''이 있는가?[* 탈모가 고통이 아니라는 주장을 하기도 하지만, 진짜 고통을 주는 전립선통도 그런 진통제는 없다.] 이 영상의 캡처본이 조롱거리가 되자 2020년 7월 27일 대규모 고소를 선언했지만, 결국 이런 지적에 대한 해명이나 반박 따윈 없었고, 그 다음날인 28일 20:25쯤 해당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이후 29일, 해당 영상이 설명이 짧아 일반화로 보일 수 있었다며 인정하는 해명글이 올라왔으며, 31일에는 모든 유튜브 영상과 SNS를 일시적인 비공개로 전환했다. 이에 대해 이 해명글만으로는 여전히 영상의 부적절한 발언이 전부 해명되지 않는다며 비판하는 의견도 있고, '부적절한 발언 > 해명 > 과격한 비난에 대해선 고소'절차를 밟지 않고 '부적절한 발언 > 고소 선언 > 해명' 절차를 밟은 것이 부적절했다는 의견도 있다. 해명글을 올리기 전 고소 선언을 함으로써 '부적절한 발언을 하고선 비판을 받아들이지 않고 비판자에 대한 고소를 한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만 생겼기 때문이다. == 히스토리 == * 2018. 05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m3SDarPtTOS_NjCh9d3TDQ|하말넘많]]개설 * 2018. 11 [[https://www.nytimes.com/2018/11/23/business/south-korea-makeup-plastic-surgery-free-the-corset.html?smid=kk-nytimes&smtyp=cur|뉴욕 타임즈 인터뷰]] * 2019. 02 구독자 5만 명 달성 * 2019. 03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7189|여성신문 인터뷰]] * 2019. 05 신촌 서대문구청 청년 축제 [[https://blog.naver.com/sdmcity2019/221554156833|'파랑 고래']] 강연 * 2019. 06 * FUSE SEOUL [[http://fuseseoul.com/product/lookbook.html?cate_no=90|'나 정도면 멋있지']] 프로젝트 협업 * 과기부 주최 [[https://youtu.be/pQg-pWT0r7M|'제 32회 정보문화의 달 기념식']] 생중계 크리에이터 참석 * 독립 영화 '돌이키다' GV 모더레이터 * 2019. 07 한국일보X숙명여대 : 차세대 크리에이터 육성 과정 <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들려주는 1인 미디어 시대의 콘텐츠 제작 노하우 > 특강 진행 * 2019. 09 숙대 총 동아리 연합회 주최 < 비혼 여성의 야망> 강연 * 2019. 05~10 '경기 1인 크리에이터' 선정, 영상 제작 * 2019. 11 구독자 10만 명 달성 * 서울시 여성 가족 재단 주최 <여성 창작자 대회> 사회 * 여대 페미니스트 연합 동아리 주최 <비혼 여성의 야망>, <여성의 도덕성과 자기 검열> 강연 * 2019. 12 하퍼스바자 12월호 <올해의 여성> 선정 * 2020. 01 <2020 미디어 컨퍼런스> 주최 * 2020. 03 [[소그노]] 웹 예능 <뉴토피아> 출연 == 기타 == *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이름을 자주 헷갈려 하는데 할말넘많, 하넘많넘, 할말하않 등 다양하다. 가끔 틀리는 것을 보면 덧글로 10번 쓰라는 숙제도 내어 준 적이 있다고. * 예전에 라이브 방송에서 귤을 까먹는 모습을 보고 한 구독자가 서울쥐와 시골쥐라는 별명을 지어 주었다. * 친구이자 동업자[* 서로의 연락처를 각각 서대표, 강회장으로 등록 했다고.]인 둘은 갖가지 문화·여가 생활 등을 항상 함께 하는데 미래에 같은 건물에 사는 것은 상관 없지만 같이 사는 것은 질색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 [[소그노]] * [[퓨즈서울]]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페미니즘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