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비 해딕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하비 해딕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1960년 월드 시리즈|{{{#fdb827 1960}}}]]''' || '''[[1979년 월드 시리즈|{{{#fdb827 1979}}}]]'''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58년 ~ 1960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바비 샨츠]][br]([[뉴욕 양키스]]) || → || '''하비 해딕스[br]([[신시내티 레즈|신시내티 레드레그스]] / [[피츠버그 파이리츠]])''' || → || [[바비 샨츠]][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42번}}}''' || || 커트 크리거[br](1951)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52~1956)}}}''' || {{{+1 →}}} || 바비 모건[br](1956)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0번}}}''' || || 머리 딕슨[br](1954~1956)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56~1957)}}}''' || {{{+1 →}}} || 해리 헤인브릭[br](1959)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드레그스}}}]] 등번호 32번}}}''' || || 라울 산체스[br](1957)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58)}}}''' || {{{+1 →}}} || [[마이크 퀘이야]][br](1959) || ||<-5> '''{{{#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31번}}}''' || || 켄 함린[br](1957~1958) || {{{+1 →}}} || '''{{{#000000 하비 해딕스[br](1959)}}}''' || {{{+1 →}}} || 켄 함린[br](1959) || || 켄 함린[br](1959) || {{{+1 →}}} || '''{{{#000000 하비 해딕스[br](1960~1963)}}}''' || {{{+1 →}}} || 밥 프리디[br](1964) || ||<-5>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30번}}}''' || || 호비 랜드리스[br](1962~1963)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64~1965)}}}''' || {{{+1 →}}} || 에드 바노스키[br](1965)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52번}}}''' || || 결번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66~1967)}}}''' || {{{+1 →}}} || [[토니 클락]][br](2003)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31번}}}''' || || 댄 맥긴[br](1968)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69)}}}''' || {{{+1 →}}} || 짐 맥글로슬린[br](1970~1973)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3번}}}''' || || 델 윌버[br](1952~1954)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71)}}}''' || {{{+1 →}}} || 마티 파틴[br](1972~1973)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2번}}}''' || || [[켄 아스프로몬테]][br](1972~1974) || {{{+1 →}}} || '''{{{#ffffff 하비 해딕스[br](1975~1978)}}}''' || {{{+1 →}}} || 브렛 버틀러[br](1984~1987) || ||<-5> '''{{{#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57번}}}''' || || 프랭크 보크[br](1964) || {{{+1 →}}} || '''{{{#000000 하비 해딕스[br](1979)}}}''' || {{{+1 →}}} || 밥 롱[br](1981) || ||<-5> '''{{{#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31번}}}''' || || 에드 윗슨[br](1979) || {{{+1 →}}} || '''{{{#000000 하비 해딕스[br](1979~1980)}}}''' || {{{+1 →}}} || 로드 스커리[br](1980) || || 로드 스커리[br](1980) || {{{+1 →}}} || '''{{{#000000 하비 해딕스[br](1980~1984)}}}''' || {{{+1 →}}} || 베니 디스테파노[br](1986)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rvey Haddix.jpg|width=100%]]}}} || ||<-2> '''{{{+2 하비 해딕스 주니어}}}[br]Harvey Haddix, Jr.''' || ||<|2> '''출생''' ||[[1925년]] [[9월 18일]] || ||[[오하이오|오하이오 주]] 메드웨이 || ||<|2> '''사망''' ||[[1994년]] [[1월 8일]] || ||[[오하이오|오하이오 주]] [[스프링필드(오하이오)|스프링필드]]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학력''' ||카토바 고등학교 || || '''신체''' ||175cm / 77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52~1956)'''[br][[필라델피아 필리스]] (1956~1957)[br][[신시내티 레즈|신시내티 레드레그스]] (1958)[br]'''[[피츠버그 파이리츠]] (1959~1963)'''[br][[볼티모어 오리올스]] (1964~1965) || || '''지도자''' ||[[뉴욕 메츠]] 투수코치 (1966~1967)[br][[신시내티 레즈]] 투수코치 (1969)[br][[보스턴 레드삭스]] 투수코치 (1971)[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투수코치 (1975~1978)[br][[피츠버그 파이리츠]] 투수코치 (1979~1984)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전 야구선수. == 커리어 == 13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 속에서도 통산 136승과 113패, 평균 자책점은 3.63, 삼진 개수는 1575개를 기록한 좌완 투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올스타전]]에도 3번 출전했으며 [[골드 글러브]] 상도 3번이나 수상하긴 했지만 뭔가 뚜렷하게 족적을 남긴 투수는 아니였다. === 야구 역사상 가장 아까운 퍼펙트 게임 === 1959년 5월 26일, 피츠버그와 밀워키 브레이브스[* 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서 피츠버그의 투수였던 하비 해딕스는 [[퍼펙트 게임|9이닝 동안 단 한명의 주자도 1루에 내보내지 않았다.]] 문제는 상대 밀워키 브레이브스의 투수였던 [[루 버데트]] 역시 8안타를 맞으면서 단 1점도 내주지 않은 호투를 펼쳤고, 결국 경기는 연장으로 돌입했다. 그렇게 하비 해딕스는 타선의 차가운 지원 속에서도 12이닝 퍼펙트 게임을 펼치며 야구 역사상 최고의 피칭으로 남을만한 투구를 선보였다. 그러나 팀은 13회 초까지 득점을 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13회 말 평범한 땅볼이었으나 3루수가 그만 송구 실책을 범해 퍼펙트 게임이 깨지고 말았다. 퍼펙트는 날라갔지만 그래도 [[노히트 노런]]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하비 해딕스는 계속 던졌다. 이후 [[행크 애런]]을 고의사구로 거르고 다음 타자인 [[조 애드콕]]을 상대로 브레이킹 볼을 던졌으나 그 공이 그대로 담장을 넘어가면서 3점 홈런을 맞고 말았다. 결국 그는 퍼펙트 게임, 노히트 노런, 완봉승, 완투승을 포함한 모든 기록이 무산되었고, 패전이라는 허탈한 기록만 떠안았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홈런을 맞긴 했지만 1루에 있었던 행크 애런이 홈런을 단순한 끝내기 안타로 착각해서 2루만 밞고 그대로 덕아웃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누의 공과]]가 적용되어서 1실점 패전이 된 것이다.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25년 출생]][[분류:1994년 사망]][[분류:클라크 카운티(오하이오 주)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은퇴, 이적]][[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은퇴, 이적]][[분류:볼티모어 오리올스/은퇴, 이적]][[분류:1952년 데뷔]][[분류:1965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