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하스스톤 마스터즈)] ||<-5>
[[하스스톤|[[파일:hearthstone.png|width=30]]]] {{{+1 '''[[하스스톤 마스터즈|{{{#ffdd73 하스스톤 마스터즈 }}}]]'''}}} || || [[하스스톤 마스터즈/2019년|{{{#ffffff 2019년}}}]] || → || [[하스스톤 마스터즈/2020년|{{{#ffffff '''2020년'''}}}]] || → || [[하스스톤 마스터즈/2021년|{{{#ffffff 2021년}}}]] || [목차] == 개요 == 2020년 1월 7일,마스터즈 계획이 새로이 발표되었다.[[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3224401?|#]] 전년 대비 마스터즈 투어 대회가 두 배로 늘었으며,각 대회마다 미화 250,000달러의 상금이 보장된다. 또한 마스터즈 투어의 총 상금은 전년처럼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이보다 더욱 늘어난다. 2020년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의 주요 협력사는 ESL/DreamHack이다. 그랜드마스터즈의 경우에는 첫 시즌은 4월에,두 번째 시즌은 8월에 열린다. 기간은 여전히 8주지만 작년과 다른 방식으로 세 지역(아메리카,유럽,아시아 태평양)의 16명 선수 모두가 서로 경기를 치르며, 순위에 따라 점수를 받는다. 이 점수는 각 지역의 두 개 디비전을 결정하는 데 쓰인다. 이어지는 몇 주 동안은 이전 그랜드마스터즈 시즌과 유사하게 디비전 내에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이후에는 8주 차 플레이오프로 이어지며, 플레이오프를 통해 연말에 열리는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할 선수를 지역별로 한 명씩 선발한다. 승급과 강등에 관련된 사항을 얘기하자면,지역별로 세 명의 선수가 그랜드마스터즈 2020 시즌 1 이후에 강등되며, 그 자리는 첫 세 번의 2020 마스터즈 투어에서 상금을 가장 많이 획득한 상위 선수 3명으로 대체된다. == 마스터즈 투어 == === 미주 ===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예선 기간이며, 2020년 2월 1일부터 2월 3일까지 미국 [[텍사스]] [[알링턴]]의 이스포츠 스타디움에서 개최되는 마스터즈 투어이다.[[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3145199|#]]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xBlyzes''' || $ 32,500 || || 준우승 || AyRok || $ 25,000 || ||<|2> 3-4위 || Alan870806 ||<|2> $ 15,000 || || Felkeine || ||<|4> 5-8위 || bloodyface ||<|4> $ 11,000 || || brimful || || totosh || || TIZS || ||<|16> 8위 이하 7승 || Turbon1ck ||<|16> $ 3,500 || || Fenomeno || || Eddie || || Impact || || Firebat || || Bozzzton || || languagehacker || || killinallday || || Rdu || || Kalàxz || || Pavelingbook || || Seiko || || xxCJ42069xx || || Dreivo || 1,2일차 스위스 라운드에서 가장 눈에 띄였던 선수는 9승 0패 전승 기록을 세우고 연일 본인을 내세우고 있는 미주 그랜드마스터 bloodyface 선수이다. 특히나 6라운드 때,작년 글로벌 파이널 결승 상대였던 VKLiooon의 남자친구로 알려진 iGSyf 선수 상대로 이기면서 나름의 복수를 한 건 덤...(iGSyf는 최종적으로 6승 3패로 마무리했다.) 또한,2019 서울 마스터즈 우승 이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Felkeine 선수와 이전 부쿠레슈티 대회에서 아쉽게 3위로 그쳐 유럽 그랜드마스터에 올라서지 못한 totosh 선수가 8승 1패를 기록했다는 점도 눈여겨볼 수 있다. 그리고 Fenomeno ,Eddie ,Firebat ,Bozzzton, languagehacker, Rdu, Seiko 등 전현직 그랜드마스터들이 플옵권에 벗어난 7승 2패를 기록해 아쉽지만 본인들이 왜 그런 위치에 있는가를 어느 정도 보여주기도 했다. 3일차 플레이오프 진출 선수를 보면 전년도에 이어서 올해도 북미[* bloodyface,2019 야생 오픈 8강이었던 brimful(전 SphnxManatee),대만계 미국 선수 Alan870806],유럽(특히 프랑스)[* xBlyzes, AyRok, Felkeine, totosh]에서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와중에 9승 전승의 bloodyface 선수가 8강에서 또 지면서 HCT 플레이오프부터 이어져 온 스위스 라운드 전승자의 플옵 광탈 징크스가 또 일어났다. 한국 선수들의 경우엔 작년에 좋은 성적을 보여준 [[Surrender]], hone, [[DawN]]과 2018년 랭크 상위권 박제로 APAC 그마가 된 [[심다솔|Ryvius]]가 아쉽게 6승 3패를 기록해 2250달러를, woziny, 약강, 라이언, kevin, 이스티가 5승 4패로 1000달러를 타 갔다. 여담으로,스타2를 제외한 블리자드 공식e스포츠가 2020년부터 유튜브 독점 중계로 넘어감에 따라 유튜브로 중계하는 하스스톤 첫 대회였는데 국내 시청자 수가 최대 400여 명,본방송에서도 2000에서 많게는 3400명 가까이 봄에 따라 확실히 트위치 시청자 수보다 현저히 줄어들었다. 아무래도 하스스톤 공식 홈페이지,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으로 홍보를 하긴 했는데 트위치에서 보던 주 시청자층이,특히나 국내의 경우라면 더더욱 이런 홍보처에 접근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는 걸 감안하면 당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앞으로의 대회 흥행이 불안해지는 요소. === 미주[* 아시아 태평양 개최 예정이었으나 장소 변경] ===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예선 기간이며, 3월 20일부터 22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 섬|발리]]의 The Mulia Resort and Villas - Violet Ballroom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개최지를 미국 [[로스앤젤레스]] NGE Studios로 변경하기로 했다.[[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3224400/non-printable|#]][[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3313807/non-printable?|장소 변경 공지 안내]]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진행 상황이 더욱 심각해짐에 따라 블리자드는 오프라인 개최가 위험하다고 판단해 온라인 개최로 변경했음을 밝혔다. LA로 가기로 계획한 선수들에게 1500달러의 보상금을 주기로 하였다.[[https://playhearthstone.com/en-us/blog/23318077?|온라인 개최 안내(영문)]] 직원 및 캐스터의 안전과 캘리포니아 주 전역의 자택 대기 명령에 따라,하스스톤 공식 대회 사상 최초로 중계 방송이 취소된다. 다만,온라인 경기는 예정대로 진행하며 TOP8 경기만이라도 중계하기 위한 방법을 찾겠다고 전했다. 선수들의 개인 실시간 스트리밍은 대회 경쟁 무결성을 위해 불허하나 일일 일정이 끝난 이후,녹화본을 개인 유튜브 채널에 올리는 건 허용된다.[[https://mobile.twitter.com/HSesports/status/1240840991994593281|중계 취소 안내]]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xBlyzes''' || $ 32,500 || || 준우승 || TNCAnswer || $ 25,000 || ||<|2> 3-4위 || Casie ||<|2> $ 15,000 || || Bankyugi || ||<|4> 5-8위 || Nalguidan ||<|4> $ 11,000 || || Liooon || || Thijs || || NoHandsGamer || ||<|23> 8위 이하 7승 || Zhym ||<|23> $ 3,500 || || petrovic || || Cosmo || || killinallday || || bloodyface || || SNJing || || Viper || || Impact || || DeadDraw || || LojomHS[* 한국어 ID 로좀] || || Tincho || || Gaby || || Furyhunter || || Bourbon || || Paradox || || WEYuansu || || iNS4NE || || Duelist || || Warma || || Guntofire || || Dizdemon || || Matty || || RNGLeaoh || 1,2일차 스위스 라운드 결과에서 그랜드 마스터의 강세를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스위스 전승자 Nalguidan, 8승 1패의 Thijs, Casie, 8위 이하 7승 존의 Zhym, bloodyface, Viper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2019년 월드 챔피언십과 2019년 글로벌 파이널에 출전했던 선수들[* 8승 1패로 진출한 2019 글로벌 파이널 챔피언 Liooon ,8위 이하 7승 존의 killinallday, SNJing, RNGLeaoh] 역시 좋은 성과를 냈다. TOP8 진출자를 놓고 봤을 때,이번에도 유럽의 강세가 확연히 보였다. 게다가 선수들 개개인마다 이력이 엄청난데 그들의 커리어를 보면 그랜드마스터 세 명[* Nalguidan, Thijs, Casie],이전 대회 우승자인 xBlyzes, 2019 글로벌 파이널 우승자 Liooon, 2018 HCT 필라델피아 우승자 NoHandsGamer 등 걸출한 경험자들이 대거 있다. 또한 Bankyugi는 컵대회 총합 매치 500개 이상이나 한 열성 컵대회 참가자였고 TNCAnswer는 중국 온라인 예선에서 10연승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여담으로,알링턴 챔피언인 xBlyzes가 이번 대회에도 TOP8에 들면서 2020 시즌2의 유럽 그랜드마스터에 거의 확정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3일차에 펼쳐질 TOP8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경기 중, 작년 블리즈컨 4강에서 맞붙었던 Casie와 Liooon의 리매치가 성사되었는데,이 또한 주요 포인트 중 하나이다. 3일차 플레이오프(TOP8 싱글 엘리미네이션) 중계가 결정되었다.[[https://mobile.twitter.com/HSesports/status/1241569332024365056|#]] 한국 시간으로 3월 23일 오전 1시경 방송하는 것으로 안내되었다. 3일차 플레이오프 첫 번째 경기 ‘Nalguidan vs TNCAnswer’ 4세트에서 갈라크론드 도적이었던 Nalguidan이 신격 기사인 TNCAnswer 상대로 쉽게 이겨가는 그림으로 흘러가고 있었으나 '''결정적인 턴에 갈라크론드가 풀 강화가 된 줄 알고 킬각을 잡기 위해 변신했다 강화가 다 되어 있지 않았던 상태였다.''' 이후 생성된 계략으로 넣어둔 총잡이를 찾아보려 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시르밸라 신격에 죽고 말았다. 하다못해 상대 필드에 있던 시르밸라에 플릭만 했어도 확정적으로 이겼고 손에 들고 있던 기원 주문으로 충분히 풀 강화 시킨 후에 변신해서 죽일 수 있었는데 한 순간의 커다란 착각이 Nalguidan의 흑역사로 남게 되었고 스위스 전승자의 플옵 광탈 징크스는 계속 이어지게 되었다... 그 다음 방송된 대망의 작년 블리즈컨 4강 리매치에서는 자강두천 끝에 Casie가 Liooon의 하이랜더법사를 3연속으로 잡아내면서 리벤지를 해낸다. 결승전 ‘TNCAnswer vs xBlyzes’ 경기에서 TNCAnswer의 신격기사가 발목을 잡으며 '''xBlyzes의 2연속 마스터즈 투어 우승 기록'''이 쓰이게 된다. 이에 따라 xBlyzes의 그랜드마스터 승격은 아예 못을 막아버리게 되었다.[[https://twitter.com/hsesports/status/1241888497406894080?s=21|#]] 눈에 보이는 순위표 이외에 한국 선수들 중에서는 Gyong, Hi3, [[Surrender]], Hun2가 아쉽게 6승 3패를 기록해 2250달러를, Cassia, woziny, DamDam, Beekeeper(양봉꾼), Shanghigh(샹하이), 둘콩이, SeolDaBi, hone, Jajo(자유조퇴권)가 5승 4패를 기록해 1000달러를 획득했다. === 유럽 ===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 예선 기간이며, 6월 12일부터 14일까지 [[스웨덴]] [[옌셰핑 주]]의 Elmia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re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에 따라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https://mobile.twitter.com/HSesports/status/1244676410796457992|영문 안내]] 참고로, 이번 대회의 제일 중요한 점은 시즌1에서 강등이 된 그랜드 마스터들도 이번 대회 결과에 따라 다시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hunterace와 Staz 등이 대표적이다.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Warma''' || $ 32,500 || || 준우승 || Pignas || $ 25,000 || ||<|2> 3-4위 || DeadDraw ||<|2> $ 15,000 || || Rami94 || ||<|4> 5-8위 || Monsanto ||<|4> $ 11,000 || || DikiyZver || || Habugabu || || WEStone || ||<|23> 8위 이하 7승 || azuuu ||<|23> $ 3,500 || || AjjXiGuan || || pianolkiller || || GivePLZ || || PNC || || decisivebeat || || Frenetic || || Viper || || Swidz || || Ostkaka || || iNS4NE || || Rdu || || TechnoGoose || || Bunnyhoppor || || caravaggio8 || || Fled || || Silvors || || Cosmo || || s8ris || || languagehacker || || DevilMat || || muzzy || || ChaboDennis || 이번 대회에서도 전현직 그랜드 마스터들이 활약했다. Monsanto는 극적으로 9라운드를 이기면서 TOP8에 들었으며, PNC, Viper, Swidz, Rdu, Bunnyhoppor, lnguagehackr, muzzy가 스위스 라운드 7승 2패를 했다. 이번 대회에서 눈여겨볼 점은 이전 마스터즈 투어까지만 해도 스위스 라운드 7승 2패존 중에서 타이가 높은 한두명 정도만 TOP8에 진출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번에 '''8승 1패가 8명이 되는 바람에 7승 2패에서 진출하는 선수가 아예 없는 초유의 상황'''이 발생했다. 단적으로, 9라운드에서 아쉽게 3:2로 져 7승 2패로 마무리한 한국인 azuuu 선수는 7승 2패 중에 타이가 제일 높지만 Monsanto의 9라운드 극적 승리, 7라운드에서 azuuu를 이긴 WEStone이 9라운드에서 지는 등의 경우의 수가 겹쳐 불운하게 TOP8에 들지 못했다. 1,2일차 스위스 라운드 결과에 따라 정해진 TOP8 선수들을 보면 이번에도 '''유럽의 강세'''가 돋보였다. 중국 선수 WEStone과 미주 선수 두 명[* 아르헨티나 Rami94, 캐나다 Monsanto]을 제외하면 모두 유럽 선수들이다.[* 이탈리아 Pignas, 러시아 DikiyZver, 영국 DeadDraw, 프랑스 Warma, 핀란드 Habugabu] 이로 인해, APAC 지역의 그마는 Alan870806, Bankyugi, TIZS로, 미주 지역의 그마는 NoHandsGamer, brimful, Rami94로 결정되었다. 3일차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결과에 따라 이번 마스터즈 우승자 Warma와 알링턴, LA, 옌셰핑에서 꾸준한 성적을 낸 AyRok이 유럽 그마로 결정되면서 작년에 이어 올해 시즌2에도 전부 프랑스 국적 선수들이 승격했다.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2019 마스터즈 서울과 부쿠레슈티 8강에 들었지만 유럽 상금 최종 3위로 그마에 승격하지 못했던 DeadDraw가 4강에서 Pignas 상대로 아쉽게 지면서 유럽 최종 5위에 들어 또 한 끗 차이로 그마 승격을 이뤄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꾸준한 성적을 내고 있는 DeadDraw이지만 이번에도 그 한을 풀어내지 못했다. 눈에 보이는 순위표 이외에 한국 선수들의 성적을 따져보면, yeschicken, woziny(현명한워지니), [[조현수(프로게이머)|Flurry]], ostinato, Hi3, livevil이 6승 3패를 기록해 2250달러를, YellowCoconut(노란코코넛), [[김정수(프로게이머)|Surrender]], DragonFist(현명한용권이), kevin, ChoiJaeWoong, LojomHS(로좀), Hyunmini(현명한현민이)가 5승 4패를 기록해 1000달러를 획득했다. === 아시아 태평양 === 2020년 4월부터 5월까지 예선 기간이며,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개최 예정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온라인으로 진행될 계획이다.[[https://mobile.twitter.com/HSesports/status/1244676410796457992|영문 안내]]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Leta''' || $ 32,500 || || 준우승 || Alutemu || $ 25,000 || ||<|2> 3-4위 || Thijs ||<|2> $ 15,000 || || Bunnyhoppor || ||<|4> 5-8위 || OldBoy ||<|4> $ 11,000 || || RNGLeaoh || || LPXHope || || justsaiyan || ||<|19> 8위 이하 7승 || xBlyzes ||<|19> $ 3,500 || || iGXc || || PeaceHawk || || hunterace || || J4YOU || || Eddie || || Cptnkitty || || WEYuyi || || Gaby || || trahison || || Flurry || || muzzy || || Jajo[* 한국어 ID 자유조퇴권] || || Fr0zen || || Zhym || || Lwd12318 || || DrBoom || || Dreivo || || GivePLZ || 이전 마스터즈 투어 대회들과 계속해서 비슷한 흐름이다. 1,2일차 스위스 라운드 결과, Bunnyhoppor, Thijs, justsaiyan, Alutemu가 TOP8 진출 성공, 그 외에 xBlyzes, hunterace, Eddie, [[조현수(프로게이머)|Flurry]], muzzy, Fr0zen, Zhym이 7승 2패존에 들면서 전현직 그마들의 저력은 계속해서 드러났다. 또한, TOP8 진출자 중에서도 '''유럽의 강세[* 우크라이나 OldBoy, 독일 Bunnyhoppor, 이탈리아 Leta, 네덜란드 Thijs] 속에서 약진을 꾸준히 이어가는 중국[* RNGLeaoh, LPXHope]'''의 흐름이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다. 다만 여태까지 유럽 중에서 제일 강세를 보이던 프랑스 선수들이 이번에는 8강에 진출하지 못하면서, 프랑스 선수들의 연속 우승은 여기서 깨지게 되었다. 진출자들 면면이 어마무시한 가운데 스위스 라운드 전승자인 OldBoy가 유서 깊은 징크스를 피하고 2017년 하계 챔피언십의 설움을 풀 수 있을 지, 아시아와 미주의 유일한 희망이 된 Alutemu와 justsaiyan이 어디까지 저력을 보여줄 지가 관전 포인트이다. 3일차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에서, 전승자 OldBoy는 스위스 8라운드 때 만나서 3:2로 이겼던 유일한 아시아 지역 진출자 Alutemu한테 복수의 일격을 맞으며 이번에도 징크스를 깨지 못했다. RNGLeaoh는 이번 대회에서 그닥 승률이 좋지 못한 드루이드가, LPXHope는 야심차게 들고온 토템 주술사가 8강에서 잘 풀리지 않아 8강 마무리에 그치고 말았다. 미주의 유일한 진출자, justsaiyan은 이전 대회들에서 자주 나오는 '''제피르스가 줄 법한데 원하는 카드를 찾지 못하는''' 상황을 맞이하면서 4강에 올라가지 못했다. 4강 Alutemu vs Thijs 경기에서는 그마대전답게 서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나 운이 더 좋았던 Alutemu가 승리를 가져가면서 2019년 부쿠레슈티 kin0531 이후 2번째로 아시아 지역 마스터즈 결승 진출자가 되었다. 2번째 경기에서는 Bunnyhoppor와 [[Samsung Morning Stars|그의 이전 소속팀]] 동료인 Leta가 만났는데 2:0으로 밀리던 Bunnyhoppor는 물론 Leta까지 서로 좋은 수를 두면서 5세트까지 갔으나, 결국 패가 좋지 않았던 Bunnyhoppor가 지면서 Leta가 그마가 많은 8강 속에서 결승을 가게 된다. 결승전 Alutemu vs Leta는 스위스 9라운드 리매치라 할 수 있는데, 그때는 Leta가 3:1로 이겼었다. 하지만 Alutemu가 OldBoy 상대로 리벤지를 했기 때문에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결국 스코어 그대로 Leta가 이기게 되면서, Leta는 justsaiyan, Bunnyhoppor, Alutemu 세 지역 그마들을 다 이기고 우승하는 명예를 가졌으며 '''유럽의 4연속 마스터즈 투어 우승 기록''' 또한 쓰이게 된다. 눈에 보이는 순위표 이외에 한국 선수들의 성적을 보면 RaFaEl이 6승 3패를 기록해 2250달러를, Cassia, [[심다솔|Ryvius]], Sooni, livevil, kevin이 5승 4패를 기록해 1000달러를 획득했다. === 미주 === 2020년 6월부터 7월까지 예선 기간이며, 9월 11일부터 13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될 예정이였으나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예방을 위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https://playhearthstone.com/ko-kr/news/23429187?|#]]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Frenetic''' || $ 32,500 || || 준우승 || cagnetta99 || $ 25,000 || ||<|2> 3-4위 || lambyseries ||<|2> $ 15,000 || || DreadEye || ||<|4> 5-8위 || Nightning ||<|4> $ 11,000 || || VKLiooon || || XiaoDai || || Dreivo || ||<|20> 8위 이하 7승 || Swidz ||<|20> $ 3,500 || || Zuhex || || Dardarbinks || || Eggowaffle || || Jobsad || || lojom[* 한국 닉네임 로좀] || || Juristis || || taroimo || || Matteo || || Flurry || || INER || || iGXc || || Turna || || XiaoT || || Che0nsu || || SCACC || || Monsanto || || SpinaLogaMan || || DeadDraw || || trahison || 1,2일차 스위스 라운드 결과, [[조현수(프로게이머)|Flurry]], [[김천수(프로게이머)|Che0nsu]], Monsanto가 7승 2패존에 드는 것 외에 그마들의 활약이 이전 마스터즈 투어들보다 크지 않았으나, Flurry의 최근 마스터즈 투어 성적들은 좋은 흐름이다. TOP8 진출자 중에서도 '''유럽의 강세[* 독일 Nightning, 프랑스 Dreivo, 이탈리아 cagnetta99, 스페인 Frenetic]'''는 계속 이어지나, 이번에는 아시아 태평양 선수들[* 싱가포르 lambyseries, 대만 XiaoDai]도 두각을 드러냈다. 아시아 선수들은 물론, 작년 글로벌 파이널 챔피언이자 올해 마스터즈 투어에서 좋은 활약을 이어가는 VKLiooon과 미국의 유일한 진출자 DreadEye가 TOP8에서 어디까지 올라갈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3일차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에서, 역시나 스위스 전승자 Nightning 선수는 어김없이 8강에서 떨어지면서 징크스는 유지되었다. 유럽 이외 지역 선수 중에선 lambyseries와 DreadEye가 4강까지 올라가긴 했지만 거기까지였다. 결승전에서 유럽 선수들의 매칭이 성사되면서 '''유럽의 마스터즈 연속 우승'''은 계속 쓰이게 되었고, 7승 2패 중 유일하게 진출했던 Frenetic이 일취월장하는 모습을 보이며 우승의 영광과 그마 후보 기반을 모두 차지하게 되었다. 눈에 보이는 순위표 이외에 한국 선수들의 성적을 보면 Alpe, SeolDaBi, 6worry(유워리), kevin, [[백학준|Kranich]]가 6승 3패를 기록해 2250달러를, Hi3, [[김정수(프로게이머)|Surrender]], Flandre, soleil이 5승 4패를 기록해 1000달러를 획득했다. === 유럽 === 2020년 8월부터 9월까지 예선 기간이며, 12월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예방을 위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으며, 개최 시기를 12월에 두 달 앞당겨 10월 23~25일로 조정하였다. 예선 기간 변화는 없다.[[https://playhearthstone.com/ko-kr/news/23482894/10|#]]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iGXc''' || $ 32,500 || || 준우승 || Alutemu || $ 25,000 || ||<|2> 3-4위 || J4YOU ||<|2> $ 15,000 || || Gaby || ||<|4> 5-8위 || MM78 ||<|4> $ 11,000 || || batupaksoy || || Hi3 || || GivePLZ || ||<|18> 8위 이하 7승 || Rami94 ||<|18> $ 3,500 || || mishail || || Zoltan || || Bozzzton || || INER || || Monsanto || || BZRK || || DerBass || || Joaquin || || UchihaMadara || || Tianming || || Furyhunter || || Aedaebak[* 한국 닉네임 애대박] || || NikosFas || || Meati || || Taesang || || Tlenn || || VKxhx || 1,2일차 스위스 라운드 결과, APAC 마스터즈에서 준우승을 거둔 Alutemu가 이번에도 8강에 진출하고 Rami94, Bozzzton, Monsanto가 7승 2패로 마무리하는 등의 그마들의 호성적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여태 마스터즈 투어와는 달리 7승 2패가 무려 세 명(Gaby, Hi3, MM78)이나 8강에 진출하게 되었는데 이는 이번 마스터즈 마드리드 성격상 스위스 라운드 중간에 드랍했던 인원 비중이 여태보다 많았던 거로 인해 발생했다. 이번 TOP8에는 미주가 아예 전멸했으나 아시아 태평양 플레이어들[* 대만 GivePLZ, 일본 Alutemu, 대한민국 Hi3]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유럽 선수들[* 우크라이나 J4YOU, 터키 batupaksoy, 프랑스 Gaby, 러시아 MM78]은 여전히 과반을 차지면서 저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작년 서울 Sooni와 부쿠레슈티 hone 이후 올해 여태까지 마스터즈 TOP8에 한국 선수가 들지 못하였으나, Hi3 선수가 8강에 진출하게 되면서 Hi3에게 있어 국내 기준 좋은 마스터즈 커리어를 남기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번 스위스 라운드로 인해 APAC 지역에는 GivePLZ, lambyseries, Hi3이, EU는 Leta, Warma가, 미주 지역은 justsaiyan, DreadEye, Impact, Fled가 내년 그마 시즌 1 승격 확정을 짓게 되었다.[* Warma와 justsaiyan은 여태 쌓아놓은 상금이 있었기에 시즌2 강등전에 최종적으로 졌음에도 재승격이 확정되었다. 오죽하면 justsaiyan이 덱 제출만 하고 1라 드랍했을 정도의 여유까지 부렸다. 이에 대해서 올해 승격 기준이 기존 그마 선수들에게 지나친 혜택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지적이 있다. 이와 별개로 ETC가 내년 그마 은퇴를 선언함에 따라 미주 4위 Fled가 승격된다.] J4YOU, Gaby 중 한 명이 우승한다면 그 한 명이 나머지 그마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고, 그 외 선수가 우승하게 되면 이전 대회의 우승자인 Frenetic이 승격될 것으로 보인다.[* batupaksoy, MM78은 마드리드 한 번만 참가했기 때문에 우승해도 그마 승격이 불가능하다. 그만큼 유럽 지역의 그마 승격 경쟁이 과도하게 치열해 있다는 것이다.] 3일차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에서, 스위스 전승자였던 J4YOU 선수가 8강에서 MM78 선수를 이기면서 여태 이어지던 징크스를 깨부수기까지는 했으나 4강에서 Alutemu한테 막히고 말았다. 2005년생이라는 나이와 대회 도중 보여주는 리액션으로 화제가 된 4강의 다른 유럽 선수 Gaby는 유일한 TOP8 진출한 중국 선수, iGXc[* 마드리드 포함 마스터즈 3연속 스위스 7승 이상을 해낸 선수이기도 하다]에게 막혀 그마 승격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이로써 '''올해 내내 이어져왔던 유럽의 마스터즈 우승은 깨지게 되었다.''' 이전 몬트리올 마스터즈 우승자였던 Frenetic이 승격하게 된 건 덤. 그리고 결승에서 기세가 상대적으로 더 좋았던 iGXc가 우승하게 되면서 '''중국 최초 마스터즈 우승자'''가 기록된다. 눈에 보이는 순위표 이외에 한국 선수들의 성적을 보면 grr, RaFaEl, ZizonZzang(슬퍼하지마노노노), [[남상수|Sooni]]가 6승 3패를 기록해 2250달러를, kevin, Siroco, [[곽웅섭|Palmblad]], [[김정수(프로게이머)|Surrender]], lojom(로좀), EretdGD(에렛지디), [[김천수(프로게이머)|Che0nsu]], [[심다솔|Ryvius]], Cassia, HyunMini(현명한현민이)가 5승 4패를 기록해 1000달러를 획득했다. == 그랜드 마스터즈 == 2020 그랜드마스터즈에서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승격 및 강등된다. * APAC : BloodTrail, Pathra(강등) / posesi, kin0531(승격) * 유럽 : Fenomeno, Orange(강등) / Felkeine, Zhym(승격) * 미주 : StrifeCro, Rase(강등) / Empanizado, languagehacker(승격) 2020 그랜드마스터 등록을 앞두고 미주의 Amnesiac이 은퇴를 선언하였고, 그 공석에 PapaJason이 들어왔다. >1-3주 차: 스위스 라운드를 통한 그룹 스테이지 결정 >1-3주 차에 선수들은 매주 수요일, 목요일에 스위스 라운드로 경기를 진행하여 주말 그룹 스테이지 진출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주말 라운드에서 획득하는 점수에 따라 라운드 로빈 주간에 각 지역의 2개 디비전이 결정됩니다. 경기 진행 방식은 매주 다릅니다. >주중에는 각 지역의 선수 16명이 방송에서 스위스 라운드를 7회 치르며 대결합니다. >목요일에 스위스 라운드가 종료되면 선수들이 순위에 따라 두 조로 나뉘고, 지역별 상위 8위 선수들이 금요일과 토요일에 걸쳐 유튜브 생방송에서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펼칩니다. 상위 4위의 결승전은 일요일에 진행됩니다. >경기 진행 방식은 매주 바뀝니다. >1주 차: 정복전, 1개 직업 금지 >2주 차: 4덱 승자연전제, 1개 직업 금지 >3주 차: 10덱 정복전, 6개 직업 금지 >4-7주 차: 라운드 로빈(풀 리그) >4-7주 차에는 그랜드마스터즈의 이전 시즌과 비슷하게, 각 지역 2개 디비전 내에서 라운드 로빈 그룹 경기를 진행합니다. >선수들은 1-3주 차에 이어 점수 순위에 따라 2개 디비전으로 나뉩니다. 디비전 A는 총점 기준 상위 8위, 디비전 B는 9-16위입니다. >이 2개 디비전이 4주에 걸쳐 라운드 로빈 그룹 경기를 펼칩니다. 이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의 순위에 따라, 플레이오프 진출 선수와 시즌 1 탈락 선수가 결정됩니다. >라운드 로빈 기간 동안에는 경기 방식이 변하지 않습니다. >5전 3선승제 정복전(4덱, 1개 직업 금지) >8주 차: 시즌 1 플레이오프 >라운드 로빈 주간에 이어 8주 차 플레이오프가 진행되며, 여기서 지역별 1명의 선수가 연말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권을 획득하고 지역별 3명은 탈락합니다. >디비전 A의 상위 6위 선수는 자동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합니다. >디비전 B의 상위 4위 선수는 1라운드의 진출권 결정전을 치러, 플레이오프의 듀얼 토너먼트 대진표에서 디비전 A의 상위 6위와 함께 경쟁할 선수를 결정합니다. >라운드 로빈 종료 시점에 디비전 B에서 7위, 8위를 기록하는 선수는 자동으로 그랜드마스터즈 시즌 1에서 탈락합니다. >최종 탈락자는 디비전 A의 7위와 8위, 디비전 B의 5위와 6위가 3회의 경기를 진행하는 진출권 결정전을 통해 결정됩니다. >지역별 플레이오프의 우승자는 올해 말에 있을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진출권을 얻습니다. >---- >- 그랜드마스터즈 2020 시즌 1 시청자 가이드 중 규칙 설명 부분 [[https://playhearthstone.com/ko-kr/news/23391368/2020-1?|가이드 전체 내용]] 아래는 2020 하스스톤 그랜드 마스터즈의 전체적인 일정을 요약한 그림이다. [[파일:HSGM 2020.jpg]] 스테이지 1에서는 각 지역별로 16명이 한 주마다 7라운드 스위스,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4강 싱글 엘리미네이션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점수를 얻는다. 기간은 총 3주이며, 총합 점수별로 1위부터 8위까지 디비전 A, 9위부터 16위까지 디비전 B로 분류된다. 스테이지 2에서는 A, B 두 디비전끼리 각자 4주 동안 라운드 로빈 방식의 경기를 거쳐 플레이오프 진출 인원을 가린다. 디비전 A에서는 6위까지, 디비전 B에서는 4위까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다. 플레이오프는 5명씩 2개조로 나뉘어 그림과 같은 대진표 형식([[https://en.m.wikipedia.org/wiki/Top_five_play-offs|5팀 매킨타이어 플레이오프 형식]]에서 결승전이 없다)을 통해 상위 4명을 가린다. 이후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지역별 진출자 한 명을 결정하게 된다.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들은 강등 대상이 된다. 이 중 디비전 B의 7위와 8위는 바로 강등되며 나머지는 그림과 같은 대진표를 통해 3번째 강등자를 정하게 된다. === 시즌1 === ==== 스테이지 1 ==== ===== 1주차: 4덱1밴 정복전 ===== - APAC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Ryvius''' || $ 2500,6 points || || 2위 || Surrender || $ 2250,5 points || ||<|2> 3~4위 || Che0nsu ||<|2> $ 2000,4 points || || posesi || ||<|4> 5~8위 || Staz ||<|4> $ 1750,3 points || || kin0531 || || glory || || tom60229 || ||<|4> 9~12위 || Flurry ||<|4> $ 1500,2 points || || Tyler || || SamuelTsao || || Alutemu || ||<|4> 13~16위 || blitzchung ||<|4> $ 1250,1 point || || Shaxy || || DawN || || FroStee || 유튜브 한국 채널에서 APAC 개막전 방송 중 화면이 뚝뚝 끊기고 프레임 드랍이 걸리는 등의 송출 문제가 발생해서 첫 경기였던 ‘Surrender vs Staz’ 경기 대부분이 아예 한국에서 중계가 되지 않았다! 결국 다수 시청자들은 이보다는 나은 본방송 채널로 가서 보는 불편함을 겪었으며,한국 채널 측에서 그나마 장소를 옮겨서 다시 해설 방송을 진행했으나 송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트위치 송출 때가 나았다는 시청자들의 볼멘 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었다. 다행히도 그 다음날 송출은 이런 현상들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 EU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BoarControl''' || $ 2500,6 points || || 2위 || SilverName || $ 2250,5 points || ||<|2> 3~4위 || Felkeine ||<|2> $ 2000,4 points || || Zhym || ||<|4> 5~8위 || hunterace ||<|4> $ 1750,3 points || || Thijs || || Jarla || || Casie || ||<|4> 9~12위 || Kolento ||<|4> $ 1500,2 points || || Swidz || || Seiko || || Bunnyhoppor || ||<|4> 13~16위 || Rdu ||<|4> $ 1250,1 point || || Viper || || Bozzzton || || Pavel || - NA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Empanizado''' || $ 2500,6 points || || 2위 || bloodyface || $ 2250,5 points || ||<|2> 3~4위 || justsaiyan ||<|2> $ 2000,4 points || || Fr0zen || ||<|4> 5~8위 || ETC ||<|4> $ 1750,3 points || || languagehacker || || Eddie || || muzzy || ||<|4> 9~12위 || Gallon ||<|4> $ 1500,2 points || || Zalae || || Firebat || || PapaJason || ||<|4> 13~16위 || Purple ||<|4> $ 1250,1 point || || Nalguidan || || Monsanto || || PNC || 첫번째 주 이후 스위스 라운드 단계에 구조적 문제점이 드러났다. 스위스 라운드 이후 토너먼트에서 등수에 따른 대진 차이가 없다 보니, 토너먼트 진출만 확정되면 그 이상의 성적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진출 커트라인인 4승을 일찌감치 챙겼다면, 그 뒤의 스위스 경기들은 의미가 없어진다. 7라운드에서 4승2패와 3승3패 선수가 매칭된다면 승부조작으로 진출을 도울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스포츠맨십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룰의 개선이 필요하다. ===== 2주차: 4덱1밴 승자연전제 ===== - APAC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Surrender''' || $ 2500,6 points || || 2위 || glory || $ 2250,5 points || ||<|2> 3~4위 || Flurry ||<|2> $ 2000,4 points || || kin0531 || ||<|4> 5~8위 || Shaxy ||<|4> $ 1750,3 points || || Alutemu || || Staz || || Tyler || ||<|4> 9~12위 || DawN ||<|4> $ 1500,2 points || || tom60229 || || SamuelTsao || || posesi || ||<|4> 13~16위 || FroStee ||<|4> $ 1250,1 point || || Ryvius || || Che0nsu || || blitzchung || - EU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Swidz''' || $ 2500,6 points || || 2위 || Jarla || $ 2250,5 points || ||<|2> 3~4위 || hunterace ||<|2> $ 2000,4 points || || Bunnyhoppor || ||<|4> 5~8위 || Felkeine ||<|4> $ 1750,3 points || || Thijs || || Bozzzton || || Viper || ||<|4> 9~12위 || SilverName ||<|4> $ 1500,2 points || || BoarControl || || Seiko || || Zhym || ||<|4> 13~16위 || Rdu ||<|4> $ 1250,1 point || || Kolento || || Casie || || Pavel || - NA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Gallon''' || $ 2500,6 points || || 2위 || languagehacker || $ 2250,5 points || ||<|2> 3~4위 || PNC ||<|2> $ 2000,4 points || || Eddie || ||<|4> 5~8위 || Zalae ||<|4> $ 1750,3 points || || Monsanto || || Nalguidan || || bloodyface || ||<|4> 9~12위 || justsaiyan ||<|4> $ 1500,2 points || || Purple || || Firebat || || Fr0zen || ||<|4> 13~16위 || muzzy ||<|4> $ 1250,1 point || || Empanizado || || PapaJason || || ETC || ===== 3주차: 10덱 6밴 정복전 ===== - APAC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glory''' || $ 2500,6 points || || 2위 || posesi || $ 2250,5 points || ||<|2> 3~4위 || kin0531 ||<|2> $ 2000,4 points || || blitzchung || ||<|4> 5~8위 || FroStee ||<|4> $ 1750,3 points || || DawN || || Flurry || || Alutemu || ||<|4> 9~12위 || tom60229 ||<|4> $ 1500,2 points || || Surrender || || Che0nsu || || Ryvius || ||<|4> 13~16위 || Staz ||<|4> $ 1250,1 point || || Shaxy || || Tyler || || SamuelTsao || - EU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Swidz''' || $ 2500,6 points || || 2위 || Bunnyhoppor || $ 2250,5 points || ||<|2> 3~4위 || Seiko ||<|2> $ 2000,4 points || || Bozzzton || ||<|4> 5~8위 || SilverName ||<|4> $ 1750,3 points || || Viper || || Jarla || || Pavel || ||<|4> 9~12위 || hunterace ||<|4> $ 1500,2 points || || Kolento || || Casie || || BoarControl || ||<|4> 13~16위 || Thijs ||<|4> $ 1250,1 point || || Zhym || || Rdu || || Felkeine || - NA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Nalguidan''' || $ 2500,6 points || || 2위 || Monsanto || $ 2250,5 points || ||<|2> 3~4위 || justsaiyan ||<|2> $ 2000,4 points || || Purple || ||<|4> 5~8위 || Eddie ||<|4> $ 1750,3 points || || Gallon || || muzzy || || PNC || ||<|4> 9~12위 || Fr0zen ||<|4> $ 1500,2 points || || Firebat || || PapaJason || || bloodyface || ||<|4> 13~16위 || Empanizado ||<|4> $ 1250,1 point || || languagehacker || || ETC || || Zalae || ==== 스테이지 2 ==== || APAC A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glory || 1 || 6-1 || || Alutemu || 2 || 5-2 || || Surrender || 3 || 4-3 || || Ryvius || 4 || 4-3 || || posesi || 5 || 3-4 || || Che0nsu || 6 || 3-4 || || Flurry || 7 || 2-5 || || kin0531 || 8 || 1-6 || || APAC B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blitzchung || 1 || 6-1 || || Shaxy || 2 || 5-2 || || Tyler || 3 || 5-2 || || tom60229 || 4 || 4-3 || || DawN[*타이브레이커1.1 Frostee전 승리] || 5 || 2-5 || || FroStee[*타이브레이커1.2 DawN전 패배] || 6 || 2-5 || || SamuelTsao || 7 || 2-5 || || Staz || 7 || 2-5 || || EU A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BoarControl || 1 || 5-2 || || Jarla || 2 || 5-2 || || Swidz || 3[*타이브레이커2.1 Bunnyhoppor전 승리]|| 4-3 || || Bunnyhoppor || 4[*타이브레이커2.2 Swidz전 패배]|| 4-3 || || Seiko || 5 || 4-3 || || SilverName || 6 || 2-5 || || hunterace || 7 || 2-5 || || Felkeine || 8 || 2-5 || || EU B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Rdu || 1 || 5-2 || || Casie || 2 || 4-3 || || Bozzzton || 3[*타이브레이커3.1 Viper전 승리]|| 4-3 || || Viper || 4[*타이브레이커3.2 Bozzzton전 패배]|| 4-3 || || Thijs || 5 || 3-4 || || Zhym || 6 || 3-4 || || Pavel || 7 || 3-4 || || Kolento || 8 || 2-5 || || NA A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Eddie || 1 || 5-2 || || bloodyface || 2 || 5-2 || || Gallon || 3 || 5-2 || || languagehacker || 4 || 4-3 || || Empanizado || 5 || 3-4 || || justsaiyan || 6 || 3-4 || || Monsanto || 7 || 2-5 || || Nalguidan || 8 || 1-6 || || NA B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Zalae || 1 || 6-1 || || Firebat || 2 || 5-2 || || muzzy || 3 || 5-2 || || Fr0zen || 4 || 4-3 || || ETC || 5 || 3-4 || || Purple || 6 || 2-5 || || PNC || 7 || 2-5 || || PapaJason || 8 || 1-6 || ==== 플레이오프 ==== - APAC A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glory || 4강 진출 || || 2위 || posesi || 4강 진출 || || 3위 || Ryvius || 최종전 매치 패배 || || 4위 || Shaxy || 패자전 매치 패배 || || 5위 || Tyler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APAC B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Surrender || 4강 진출 || || 2위 || Alutemu || 4강 진출 || || 3위 || tom60229 || 최종전 매치 패배 || || 4위 || Che0nsu || 패자전 매치 패배 || || 5위 || blitzchung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APAC 4강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glory''' || $ 2,000 || || 준우승 || Surrender || $ 1,500 || ||<|2> 3-4위 || Alutemu ||<|2> $ 1,000 || || posesi || - EU A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BoarControl || 4강 진출 || || 2위 || Bunnyhoppor || 4강 진출 || || 3위 || Bozzzton || 최종전 매치 패배 || || 4위 || Seiko || 패자전 매치 패배 || || 5위 || Casie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EU B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Jarla || 4강 진출 || || 2위 || SilverName || 4강 진출 || || 3위 || Swidz || 최종전 매치 패배 || || 4위 || Rdu || 패자전 매치 패배 || || 5위 || Viper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EU 4강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SilverName''' || $ 2,000 || || 준우승 || Bunnyhoppor || $ 1,500 || ||<|2> 3-4위 || BoarControl ||<|2> $ 1,000 || || Jarla || - NA A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Eddie || 4강 진출 || || 2위 || Empanizado || 4강 진출 || || 3위 || languagehacker || 최종전 매치 패배 || || 4위 || Firebat || 패자전 매치 패배 || || 5위 || muzzy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NA B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bloodyface || 4강 진출 || || 2위 || justsaiyan || 4강 진출 || || 3위 || Zalae || 최종전 매치 패배 || || 4위 || Gallon || 패자전 매치 패배 || || 5위 || Fr0zen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NA 4강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bloodyface''' || $ 2,000 || || 준우승 || Eddie || $ 1,500 || ||<|2> 3-4위 || justsaiyan ||<|2> $ 1,000 || || Empanizado || ==== 강등전 ==== - APAC * 매치 A : Flurry 2 vs '''3''' kin0531 * 매치 B : Flurry 0 vs '''3''' DawN * 매치 C : Flurry '''3''' vs 2 FroStee - EU * 매치 A : hunterace 2 vs '''3''' Felkeine * 매치 B : hunterace 2 vs '''3''' Thijs * 매치 C : hunterace 2 vs '''3''' Zhym - NA * 매치 A : Monsanto '''3''' vs 1 Nalguidan * 매치 B : Nalguidan 2 vs '''3''' ETC * 매치 C : Nalguidan '''3''' vs 2 Purple 매치 B에서 A조 출신이 모두 패배해 최종전에 모두 A조 출신이 한 명씩 진출한 것이 인상적. 유럽 지역에서만 두 명의 월챔 우승자들--과 [[알렉산더 말쉬|원팩맨]]--이 강등되는 결과가 나왔다. 인지도가 높은 선수들이다 보니 아쉬워하는 반응이 많다. === 시즌2 === * 승격 및 강등 2020 시즌 2에서는 다음과 같은 그랜드마스터 승격 및 강등이 이뤄진다. - APAC FroStee, SamuelTsao, Staz(강등) / Alan870806, Bankyugi, TIZS(승격) - EU hunterace, Pavel, Kolento(강등) / xBlyzes, Warma, AyRok(승격) - NA Purple, PNC, PapaJason(강등) / NoHandsGamer, Briarthorn, Rami94(승격) 대회 시작 약 2주 전인 한국 시간 2020년 8월 1일 새벽 경에 미주 그랜드마스터 Gallon이 돌연 은퇴 선언을 했다. 이유는 8월 중순부터 하스스톤 파이널 디자이너로 입사해서 블리자드에서 근무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그 공석에는 2020 전반기 미주 상금 4위 killinallday가 들어왔다. 지난 시즌과 규정은 거의 비슷하나, 스테이지 1의 각 주 차 포인트 배분 방식과 플레이오프 상금 배분 방식이 다소 변경되었다. ==== 스테이지 1 ==== ===== 1주차: 4덱1밴 정복전 ===== - APAC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Bankyugi''' || $ 2500,8 points || || 2위 || Che0nsu || $ 2250,6 points || ||<|2> 3~4위 || Tyler ||<|2> $ 2000,5 points || || Surrender || ||<|2> 5~6위 || posesi ||<|2> $ 1750,4 points || || glory || ||<|2> 7~8위 || Flurry ||<|2> $ 1750,3 points || || blitzchung || ||<|4> 9~12위 || Alan870806 ||<|4> $ 1500,2 points || || Alutemu || || DawN || || tom60229 || ||<|4> 13~16위 || Ryvius ||<|4> $ 1250,1 point || || Shaxy || || TIZS || || kin0531 || - EU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xBlyzes''' || $ 2500,8 points || || 2위 || Rdu || $ 2250,6 points || ||<|2> 3~4위 || Jarla ||<|2> $ 2000,5 points || || Seiko || ||<|2> 5~6위 || Thijs ||<|2> $ 1750,4 points || || Swidz || ||<|2> 7~8위 || Bunnyhoppor ||<|2> $ 1750,3 points || || BoarControl || ||<|4> 9~12위 || Casie ||<|4> $ 1500,2 points || || Warma || || Zhym || || Bozzzton || ||<|4> 13~16위 || Felkeine ||<|4> $ 1250,1 point || || SilverName || || Viper || || AyRok || - NA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muzzy''' || $ 2500,8 points || || 2위 || languagehacker || $ 2250,6 points || ||<|2> 3~4위 || Firebat[* 지각으로 인한 실격패[[https://m.dcinside.com/board/pebble/4362489?recommend=1|#1]][[https://m.dcinside.com/board/pebble/4362601?recommend=1|#2]][[https://m.dcinside.com/board/pebble/4362632?recommend=1|#3]][[https://m.dcinside.com/board/pebble/4362676?recommend=1|#4]] ] ||<|2> $ 2000,5 points || || Eddie || ||<|2> 5~6위 || bloodyface ||<|2> $ 1750,4 points || || Fr0zen || ||<|2> 7~8위 || justsaiyan ||<|2> $ 1750,3 points || || NoHandsGamer || ||<|4> 9~12위 || Zalae ||<|4> $ 1500,2 points || || Empanizado || || Nalguidan || || killinallday || ||<|4> 13~16위 || Monsanto ||<|4> $ 1250,1 point || || ETC || || Rami94 || || Briarthorn || ===== 2주차: 4덱1밴 승자연전제 ===== - APAC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Surrender''' || $ 2500,8 points || || 2위 || tom60229 || $ 2250,6 points || ||<|2> 3~4위 || Tyler ||<|2> $ 2000,5 points || || TIZS || ||<|2> 5~6위 || Shaxy ||<|2> $ 1750,4 points || || posesi || ||<|2> 7~8위 || kin0531 ||<|2> $ 1750,3 points || || Flurry || ||<|4> 9~12위 || Ryvius ||<|4> $ 1500,2 points || || Bankyugi || || glory || || Alan870806 || ||<|4> 13~16위 || Che0nsu ||<|4> $ 1250,1 point || || DawN || || Alutemu || || blitzchung || - EU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Rdu''' || $ 2500,8 points || || 2위 || Bunnyhoppor || $ 2250,6 points || ||<|2> 3~4위 || xBlyzes ||<|2> $ 2000,5 points || || Jarla || ||<|2> 5~6위 || Viper ||<|2> $ 1750,4 points || || Felkeine || ||<|2> 7~8위 || Casie ||<|2> $ 1750,3 points || || Thijs || ||<|4> 9~12위 || Warma ||<|4> $ 1500,2 points || || Swidz || || Seiko || || AyRok || ||<|4> 13~16위 || BoarControl ||<|4> $ 1250,1 point || || SilverName || || Bozzzton || || Zhym || - NA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Eddie''' || $ 2500,8 points || || 2위 || bloodyface || $ 2250,6 points || ||<|2> 3~4위 || Monsanto ||<|2> $ 2000,5 points || || languagehacker || ||<|2> 5~6위 || Zalae ||<|2> $ 1750,4 points || || Briarthorn || ||<|2> 7~8위 || Fr0zen ||<|2> $ 1750,3 points || || Empanizado || ||<|4> 9~12위 || Firebat ||<|4> $ 1500,2 points || || Rami94 || || Nalguidan || || justsaiyan || ||<|4> 13~16위 || muzzy ||<|4> $ 1250,1 point || || killinallday || || NoHandsGamer || || ETC || ===== 3주차: 3전2선승 스페셜리스트 ===== - APAC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DawN''' || $ 2500,8 points || || 2위 || blitzchung || $ 2250,6 points || ||<|2> 3~4위 || Che0nsu ||<|2> $ 2000,5 points || || glory || ||<|2> 5~6위 || Alan870806 ||<|2> $ 1750,4 points || || tom60229 || ||<|2> 7~8위 || Ryvius ||<|2> $ 1750,3 points || || Bankyugi || ||<|4> 9~12위 || TIZS ||<|4> $ 1500,2 points || || posesi || || Shaxy || || Flurry || ||<|4> 13~16위 || Tyler ||<|4> $ 1250,1 point || || Surrender || || kin0531 || || Alutemu || - EU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Viper''' || $ 2500,8 points || || 2위 || Seiko || $ 2250,6 points || ||<|2> 3~4위 || Thijs ||<|2> $ 2000,5 points || || Casie || ||<|2> 5~6위 || Warma ||<|2> $ 1750,4 points || || Jarla || ||<|2> 7~8위 || SilverName ||<|2> $ 1750,3 points || || BoarControl || ||<|4> 9~12위 || Rdu ||<|4> $ 1500,2 points || || AyRok || || Swidz || || Bunnyhoppor || ||<|4> 13~16위 || Zhym ||<|4> $ 1250,1 point || || Bozzzton || || xBlyzes || || Felkeine || - NA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1위 || '''Eddie''' || $ 2500,8 points || || 2위 || killinallday || $ 2250,6 points || ||<|2> 3~4위 || justsaiyan ||<|2> $ 2000,5 points || || NoHandsGamer || ||<|2> 5~6위 || bloodyface ||<|2> $ 1750,4 points || || ETC || ||<|2> 7~8위 || Monsanto ||<|2> $ 1750,3 points || || muzzy || ||<|4> 9~12위 || languagehacker ||<|4> $ 1500,2 points || || Zalae || || Empanizado || || Fr0zen || ||<|4> 13~16위 || Firebat ||<|4> $ 1250,1 point || || Nalguidan || || Rami94 || || Briarthorn || 세 지역 종합적으로 봤을 때, A조에 진출할 가능성이 적었던 선수들이 이 주간으로 단숨에 자력으로 A조 진출을 확정지은 기적적인 드라마가 쓰였다. DawN과 Viper는 각 지역 대회 진행 상황에 따라 우승만이 아니면 A조 진출이 어려웠던 선수들이었으나 끝내 우승을 해냈으며 killinallday도 결승 진출을 하면서 타이상 A조로 가게 되었다. 한편 APAC 지역의 posesi는 DawN 우승, blitzchung 준우승 이 경우의 수만 아니면 높은 확률(96%)로 A조 진출 확정으로 보였으나,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 경우의 수가 실제로 실현되면서]] 불운하게 B조로 가게 되었다... ==== 스테이지 2 ==== || APAC A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Surrender || 1 || 6-1 || || tom60229 || 2 || 4-3 || || blitzchung || 3 || 4-3 || || glory || 4 || 3-4 || || Bankyugi || 5[*A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3-4 || || Che0nsu || 6[*A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3-4 || || Tyler || 7[*A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3-4 || || DawN || 8 || 2-5 || || APAC B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Shaxy || 1 || 5-2 || || Alan870806 || 2 || 5-2 || || TIZS || 3 || 4-3 || || posesi || 4 || 4-3 || || Flurry || 5 || 4-3 || || Alutemu || 6 || 2-5 || || Ryvius || 7 || 2-5 || || kin0531 || 8 || 2-5 || || EU A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Rdu || 1 || 5-2 || || Jarla || 2 || 4-3 || || Seiko || 3[*B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4-3 || || Casie || 4[*B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4-3 || || Thijs || 5 || 3-4 || || xBlyzes || 6 || 3-4 || || Bunnyhoppor || 7 || 3-4 || || Viper || 8 || 2-5 || || EU B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Swidz || 1 || 6-1 || || Bozzzton || 2 || 5-2 || || Zhym || 3 || 4-3 || || Felkeine || 4 || 4-3 || || AyRok || 5 || 3-4 || || Warma || 6 || 3-4 || || BoarControl || 7 || 2-5 || || SilverName || 8 || 1-6 || || NA A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muzzy || 1 || 6-1 || || NoHandsGamer || 2 || 4-3 || || languagehacker || 3 || 4-3 || || Eddie || 4 || 3-4 || || killinallday || 5[*C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3-4 || || Monsanto || 6[*C 양자 비교 승자승 / 타이브레이크 점수로 비교가 안되면 스위스라운드 성적에 따라 비교한다라는 조항에 따른 순위 분류] || 3-4 || || justsaiyan || 7 || 3-4 || || bloodyface || 8 || 2-5 || || NA B 디비전 || 순위 || 매치 승패 || || ETC || 1 || 5-2 || || Briarthorn || 2 || 4-3 || || Zalae || 3 || 4-3 || || Fr0zen || 4 || 4-3 || || Nalguidan || 5 || 4-3 || || Rami94 || 6 || 3-4 || || Empanizado || 7 || 2-5 || || Firebat || 8 || 2-5 || ==== 플레이오프 ==== - APAC A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Surrender || 4강 진출 || || 2위 || Bankyugi || 4강 진출 || || 3위 || glory || $500 || || 4위 || Alan870806 || $500 || || 5위 || TIZS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APAC B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Che0nsu || 4강 진출 || || 2위 || tom60229 || 4강 진출 || || 3위 || posesi || $500 || || 4위 || blitzchung || $500 || || 5위 || Shaxy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APAC 4강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Bankyugi''' || $ 2,000 || || 준우승 || tom60229 || $ 1,500 || ||<|2> 3-4위 || Surrender ||<|2> $ 1,000 || || Che0nsu || - EU A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Thijs || 4강 진출 || || 2위 || Seiko || 4강 진출 || || 3위 || Rdu || $500 || || 4위 || Bozzzton || $500 || || 5위 || Zhym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EU B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Jarla || 4강 진출 || || 2위 || Casie || 4강 진출 || || 3위 || xBlyzes || $500 || || 4위 || Felkeine || $500 || || 5위 || Swidz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EU 4강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Jarla''' || $ 2,000 || || 준우승 || Thijs || $ 1,500 || ||<|2> 3-4위 || Casie ||<|2> $ 1,000 || || Seiko || - NA A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muzzy || 4강 진출 || || 2위 || killinallday || 4강 진출 || || 3위 || Eddie || $500 || || 4위 || Briarthorn || $500 || || 5위 || Zalae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NA B 그룹 || '''순위''' || '''선수명''' || '''결과''' || || 1위 || Monsanto || 4강 진출 || || 2위 || ETC || 4강 진출 || || 3위 || NoHandsGamer || $500 || || 4위 || languagehacker || $500 || || 5위 || Fr0zen || 플레이-인 매치 패배 || - NA 4강 || '''순위''' || '''선수명''' || '''상금''' || || '''우승''' || '''Monsanto''' || $ 2,000 || || 준우승 || ETC || $ 1,500 || ||<|2> 3-4위 || muzzy ||<|2> $ 1,000 || || killinallday || ==== 강등전 ==== - APAC * 매치 A : Tyler 1 vs '''3''' DawN * 매치 B : Tyler '''3''' vs 2 Flurry * 매치 C : Flurry 2 vs '''3''' Alutemu - EU * 매치 A : Bunnyhoppor 1 vs '''3''' Viper * 매치 B : Bunnyhoppor '''3''' vs 0 AyRok * 매치 C : AyRok '''3''' vs 0 Warma - NA * 매치 A : justsaiyan 2 vs '''3''' bloodyface * 매치 B : justsaiyan 1 vs '''3''' Nalguidan * 매치 C : justsaiyan 2 vs '''3''' Rami94 ===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참고. [[분류:하스스톤 마스터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