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하스스톤 프로젝트)] * 상위 문서: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목차] = 개요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관련 용어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원하시는 용어를 빨리 찾고 싶으시다면 Ctrl + F 등의 기능을 사용해 주세요.|| [[하스스톤]]의 카드 일람을 보면 "회전하는 자동제압로봇(10글자)", "자동화 마력제거기 X-21(영문 포함 12글자)"등의 이름이 너무 길어서 부르기 힘들어서 적당히 줄이거나, 이름 보다도 소환 시 대사가 더 유명해서 대사로 불리거나, 그 카드만의 고유의 별명이 지어져서 하나의 이름으로 정착된 경우, 혹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다른 게임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던 축약어가 있는 경우]] 등의 다양한 경우로 [[하스스톤 갤러리]]등의 하스스톤 커뮤니티에서 많은 카드들이 별도의 용어로 불리고 있다. 또한 꼭 카드가 아니더라도, 덱의 종류, 영웅 등을 부르는 다양한 표현 법을 서술해두었다. ※ '''유의사항 1''': 각 항목 내에서는 '''[[가나다순]]'''대로써 주시길 바랍니다. ※ '''유의사항 2''':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5.3.1|공포마]],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1.1|검은폭탄]]과 같이, 서술한 내용 중에서 그 카드에 맞는 역링크를 추가해주세요. ※ '''유의사항 3''': 아래의 서술과 같이,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일러스트나 영상, 링크등의 추가 자료가 필요한 경우는 링크로 제시해주세요.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고간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s-2.6.1|막강 에너지 전차]]||<:>[[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204030933/hearthstone/images/7/7f/ForceTankMAX.gif|막강 에너지 전차의 일러스트]]에서 [[이말년 서유기]]의 [[고간포]]가 연상되어 붙은 별명.||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559&name=subject&keyword=%BF%EB%BE%EE&l=5403|하스스톤 용어, 은어 정리]] 항목 참고. = 용어 목록 = == 직업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고추사||<:>[[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성기사(聖騎士)의 성기(聖騎)가 [[성기]](性器)와 발음이 같다는 것에 착안한 [[섹드립]]. [[아프리카 TV]]의 채팅에서는 성기사의 성기라는 말이 검열되어 '♡사'로 되어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성기를 [[고추]]로 치환한 것이다.--실제로 와우에서 남자성기삽니다, 성기사이즈킹이...--|| ||<:>노루||<:>[[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드루이드]]||[[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드루이드]]의 영웅인 [[말퓨리온]]이 노루처럼 생긴 데서 온 별명. 드루와 발음도 묘하게 유사하다.|| ||<:>[[돚거]]||<:>[[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도적]]||<:>[[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에서 도적을 돚거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 [[돚거]] 문서 참고. || ||<:>법뻔뻔||<:>[[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마법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에서 부르던 그 별명 맞다.~~그리고 하스에서도 법뻔뻔 고증이 잘 반영되었다~~대다수 빙결 카드의 비용이 너프되기 전 마법사는 미칠 정도로 상당히 강한 직업이었기에 뻔뻔하다는 뜻으로 생긴 별명. 꼭 빙결 법사가 아니더라도 마법사가 각종 피해 카드를 갓드로로 뽑아서 이길 때 등에도 쓰이기도 한다. || ||<:>[[사적 #s-4|사적]]||<:>[[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사제]]+[[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도적]]||사제+도적=사적. 사제가 주문을 사용해 상대의 카드를 훔치는 모습이 마치 도적처럼 보여 생긴 별명.|| ||<:>씹랄||<:>[[씹]]+[[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주술사]]||주술사 영웅의 이름인 스랄에 욕설인 [[씹]]을 붙여서 부르는 멸칭. 탐험가 연맹 이전 주술사가 과부하 등의 이유로 직업 중 최하위를 달렸기에 붙었지만, 탐험가 연맹 카드를 등에 업은 어그로 술사가 초강세를 보이면서 밑의 씹서와 동일한 의미로 변질되었다. 주로 디씨인사이드 돌갤에서 쓰인다. || ||<:>씹서||<:>[[씹]]+[[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우들러와 마찬가지로 대 마상시합 이후 비밀기사가 대세가 되었고 다른 성기사의 덱 중에도 필드 장악력을 높이는 카드들이 대거 추가되면서 제압할 수 없는 필드를 징글징글하게 장악해 가는 모습 때문에 극혐의 의미로 부르고 있다. || ||<:>애미오우거[br](앰오,엠오,MO)||<:>[[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s-2.1|사냥꾼]][br](렉사르 한정)||[[렉사르]]가 쿼터 [[오우거]]임을 이용한 패드립성 멸칭으로 돌냥 등을 지칭할 때 주로 쓰인다. 반대로 죽척냥 등의 덱들은 [[렉사르]]의 아버지가 오크이므로 클린하다는 의미로 애비[[오크]]라고 부른다. 근데 사실 렉사르는 할머니가 오우거인 쿼터 오우거다. || ||<:>앰뒤인||<:>[[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사제]]||[[돌갤]]에서 자주 사용하는 별명으로, [[안두인 린|안두인]]의 이름에 패드립을 앞에 섞은 별명이다. || ||<:>우들러||<:>[[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가 대 마상시합 이후 "[[수수께끼의 도전자]]"를 이용해 온갖 비밀을 거는데, 초상화 위에 비밀을 상징하는 물음표가 가득한 것이 [[리들러]]와 비슷하게 보여 생긴 별명. 실제로 해외의 유저들은 거의다 [[리들러]]의 얼굴에 [[빛의 수호자 우서|우서]]의 얼굴을 합성해 [[http://i.imgur.com/LZO1zzU.jpg|웃음거리]]로 쓰고 있다. 그리고 유저들은 이런 성기사 네타가 나올 때마다 배트맨을 흉내내어 "지랄은 거기까지다 우들러!"라는 드립이 흥하고 있다 || ||<:>[[우리혐]]||<:>[[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사제]]||[[안두인]]을 돌갤에서 부르는 명칭. 원래는 야구선수 [[오재원]]의 별명이다.|| ||<:>좌서||<:>[[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우서 -> 우(右)서 -> 좌(左)서.|| ||<:>주수리||<:>[[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주술사]]||주술사를 간단히 '주수리'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 || ||<:>황건적||<:>[[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성기사]]의 대표 색상인 노란색과 후한 말기의 종교 집단인 [[황건적]]과 어우려져 생긴 별명이지만 이제는 저비용 하수인 위주의 공격적인 성기사만을 지칭한다. 영웅 능력과 병력 소집 등으로 잔뜩 모인 노란 패거리가 황건적을 연상시킨다. 천상의 보호막 하수인까지 나오면 노란색의 끝을 보여준다. 어그로 성기사가 몰락한 고대신 시점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시스템 == 아래 용어 중 일부는 하스스톤이 아닌 다른 TCG에서도 쓰인다.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갓드로, 탑덱||<:>[[사기 드로]]||God+Draw. 신이 내린 드로. 특정 카드가 뽑히면 이기거나 유리해지는 상황에서 정확히 원하는 카드가 나오는 상황을 지칭한다. || ||<:>[[드로]]||<:>-||<-2>카드를 뽑는 것을 말한다. 하수인이나 마법 카드로 카드를 뽑는 것까지 포함.|| ||<:>[[멀리건]]||<:>-||<-2>본래는 골프 용어로, 첫 패 중 일부 카드를 넣고 다시 뽑는 행위를 말 한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명치]]||<:>영웅 본체||영웅 본체 공격을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해석해 '명치를 때린다'고 표현한다. 참고로 [[영어]]권에서 쓰이는 은어는 [[얼굴|Face]]. 명치를 면상이나 얼굴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다면 영문 돌충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명치를 때리는 행위는 영어권에서 SMOrc라고 불린다. 트위치 이모티콘에서 따온 표현.|| ||<:>번(Burn)||<:>-||<-2>단일 대상에게 피해를 주는 주문을 번 카드, 번 주문이라고도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Burn_card|다만 외국에서 "burn card"는 뽑자마자 버려지는 카드를 지칭하니 주의.]] 하스스톤의 경우 패에 10장이 있을 때 카드를 뽑을 경우 그 카드가 "burn card"인 거다.|| ||<:>[[블러핑]]||<:>-||<-2>본래는 포커 용어로, 하스스톤에서는 감정 표현으로 상대의 심리를 건들 수 있고 카드를 건들거나 대상을 지정하는 카드를 쓸 때 적도 무슨 카드인지는 보이지 않으나 뭔가 하고 있다는 것은 보인다. 이를 이용하여 사실 필요한 카드가 없는데 있는 척을 해서 적의 항복을 받아내는 전략을 말한다. [[https://youtu.be/dArT2ftK3BY|예시]][* 자연의 군대만 뽑아놓고 감정 표현으로 야생의 포효를 [[인성질|잡고 있는데 상대를 놀리는]] 척을 하는 것], [[https://youtu.be/KQUnCD1seCQ?t=227s|예시2]][* 똑같이 대상 지정형인 소용돌이 칼날을 빙빙 잡고 돌려 화염구 맞힐 준비를 하는 척을 하는 것]|| ||<:>[[상위 호환]][br][[하위 호환]]||<:>-||<-2> 한 카드의 효과가 다른 카드의 효과를 완전히 포함하면서 더 좋을/나쁠 때 사용한다. 참고로 이는 '하위 호환'이라는 표현의 정확한 용법은 아니다. 문서 참조. [br] 좋은 예시로 박사 붐과 전쟁 골렘[* 7마나에 7/7이라는 공체 배분은 같으나 박사 붐은 1/1 폭탄로봇을 2기 소환해 추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얼음 화살과 검은 폭탄[* 2마나로 3의 피해를 입히는 주문이라는 점은 같지만 얼음 화살은 대상을 빙결시킨다.], 화염구와 필사의 일격, --갓갓 갓갓갓-- --좆좆 좆좆좆--[[용암 광전사|용암 광전사와 얼음 광전사]] 등이 있다. 하지만 그냥 비슷한 용도의 두 카드 중 한 카드가 효율이 훨씬 좋다는 뜻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압축||<:>덱 압축, 또는 패 압축||노움 발명가, 풋내기 기술자, 탈노스, 지혜의 축복의 효과가 발동해서 카드를 뽑은 경우 덱 압축이 된다고 한다. 카드 한 장을 써서 카드 한 장을 뽑았기 때문에 패의 크기는 그대로지만 덱의 크기가 줄었기에 결과적으로 연계가 좋은 카드를 뽑을 확률이 증가한다. || ||<:>영능, 어빌||<:>영웅 능력||대체로 영웅 능력을 줄여서 '영능'이라고 하는데 가--아아아--끔 능력이라는 말을 ability로 해석해 '어빌(리티)'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본래 영웅 능력의 원문은 Hero Power이다. || ||<:>오라||<:>-||<-2>전투의 함성이나 죽음의 메아리처럼 발동 시점에만 적용되는 효과가 아닌 필드에 존재하기만 하면 적용되는 능력을 말한다. (공격대장이나 광포한 늑대 우두머리의 효과 등)|| ||<:>위니||<:>비용이 낮은 하수인||오염된 노움, 단검 곡예사 등, 비용이 0~2마나 정도되는 가벼운 하수인을 말한다. 주로 무과금 유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다.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덱으로는 --좆니좆마--위니 흑마법사 덱이 있다. || ||<:>전함||<:>전투의 함성||전투의 함성을 줄인 말.|| ||<:>죽메||<:>죽음의 메아리||죽음의 메아리를 줄인 말.|| ||<:>천보, [[콘돔]]||<:>[[천상의 보호막#s-4]]||천상의 보호막을 줄여서 천보라고 하고, 천상의 보호막이 지닌 피해를 한 번 막아주는 효과에서 착안해 [[콘돔]]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천상의 보호막이 있는 하수인을 많이 쓰는 성기사 덱을 콘돔기사라고도 한다. || ||<:>코스트||<:>마나 수정, 비용||비용을 뜻하는 Cost를 소리나는 대로 쓴 것. 예를 들어 비용이 4인 하수인일 경우 4코스트 하수인이라고도 부른다. 이를 더 간단히 줄여서 4코 하수인처럼 '코'만 붙이기도 한다.|| ||<:>킬각||<:>킬(Kill)+[[각(유행어)|각]]|| 게임을 이길 수 있는 상황이 갖춰진 경우. 간단하게 하수인 공격만으로도 킬각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내 손의 있는 카드와 연계해서 킬각을 만들어야 하므로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도적이나 드루이드 등 연계가 특히 중요한 덱의 경우 사용자의 판단력이 자주 승패를 가른다. 그래서 가끔씩 하스스톤 대회에서 이를 놓쳐서 지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킬각을 잘 찾아야 하스스톤을 좀 한다고 할 수 있겠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77063&page=4&exception_mode=recommend|100%의 킬각을 놓친 예시]][* [[자군야포|자연의 군대]]를 쓰고 아르거스의 수호자를 소환한 뒤 전부 명치를 때리면 8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영어권에서 쓰이는 은어는 Lethal. || ||<:>[[토큰#s-2]]||<:>-||실제로 수집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닌 전투의 함성이나 죽음의 메아리 등 갖가지 효과에 의해 나오는 하수인, 주문, 무기 카드를 토큰 또는 토큰 카드라고 한다. 예로는 보랏빛 여교사의 수습생, 티리온 폴드링의 파멸의 인도자 등이 있다. || ||<:>필드||<:>-||하수인이 깔리는 공간. 주로 자신의 필드와 상대의 필드를 구별하지만 필드 제어, 필드를 잡았다 등의 표현에서는 자신과 상대의 필드를 통틀어 지칭한다. 영어권에서 쓰이는 표현은 Board. 위의 명치/면상과 마찬가지로 '보드'란 표현을 쓴다면 영문 돌충일 가능성이 높다.|| ||<:>후드로||<:>-||<-2>카드를 뽑으면 그만큼 선택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보다 유리한 선택을 할 기회가 늘어난다. 따라서 이번 턴에 카드를 뽑아야 할 경우 다른 행동을 취하기 전에 드로부터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옳은 선택이다.[* 물론 예외 상황도 많다. 예를 들어 성기사의 '신의 은총' 카드의 경우 자신의 패의 크기가 상대방의 패의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카드를 뽑으므로 최대한 들고 있는 카드를 쓴 다음에 신의 은총을 써야 이득이다. 그 외에는 드로를 하면 카드가 타는 상황에서 카드 미리 쓴 다음에 드로를 하거나 필드에 폭탄로봇 등이 있어서 이걸 먼저 정리하고 하늘빛 비룡을 내거나 적 마법사에게 비밀이 걸려있어서 일단 값싼 주문을 한 장 던져보고 드로 주문을 쓰거나 소용돌이로 고통의 수행사제의 효과를 발동시켜 카드를 뽑고 싶은데 적 필드에 거품무는 광전사가 있어서 그걸 먼저 제거하고 소용돌이를 돌리는 등.] 반대로 다른 행동을 먼저 취한 후 드로를 보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좋지 않으며 이를 후드로라고 한다. 기초적인 실수이므로 스트리머가 후드로를 시전했을 경우 채팅창에는 "후드로 극혐"이라고 도배되는 편.|| == 카드 == === 전사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거무광, 거광, 거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3.4|거품 무는 광전사]]||<:>거품 무는 광전사를 줄인 말.|| ||<:>내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2.1|내면의 분노]]||<:>내면의 분노를 줄인 말.|| ||<:>마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1.1|마무리 일격]]||<:>마무리 일격을 줄인 말.|| ||<:>방로리||<:>[[전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2.3|방패 여전사]]||<:>방패와 [[로리]]를 합친말. 방패 여전사가 [[노움]] 여캐이기 때문에 붙은 별명.|| ||<:>방막||<:>[[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1.7|방패 막기]]||<:>방패 막기를 줄인 말.|| ||<:>방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4.1|방패 밀쳐내기]]||<:>방패 밀쳐내기를 줄인 말.[br] 컨트롤 전사덱의 핵심적인 제압기이기에 컨트롤 전사덱을 '방밀전사'라고도 한다.|| ||<:>방제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3.2|방어구 제작자]]||<:>방어구 제작자를 줄인 말.|| ||<:>소돌||<:>[[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1.2|소용돌이]]||<:>소용돌이를 줄인 말.|| ||<:>아버지||<:>[[그롬마쉬 헬스크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그롬마쉬 헬스크림]]||<:>하스스톤의 전사 영웅인 [[가로쉬]]의 아버지가 [[그롬마쉬 헬스크림]]임을 이용한 별명.|| ||<:>양아버지||<:>[[바리안 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바리안 린]]||<:>안두안 린의 아버지인 바리안 린이 전사 직업전설로 나왔기 때문에 양아버지로 불린다.[br]--아들아! 많이 성장했구나!--|| ||<:>어서 일해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2.4|잔인한 감독관]]||<:>잔인한 감독관의 소환 대사인 '''"어서 일해라!"'''에서 따왔다.|| ||<:>워송||<:>[[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1.8|전쟁노래 사령관]]||<:>전쟁노래 사령관의 영문명인 Warsong Commander에서 따왔다. || ||<:>이글, 이-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1.4|이글거리는 전쟁도끼]]||<:>이글거리는 전쟁 도끼의 앞의 두글자를 딴 말. [br]~면 '''[[이글#s-5|이 글]]'''부터 봐라라는 [[언어유희]]로 쓰이기도 한다.|| ||<:>저거너트||<:>[[강철의 거대괴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강철의 거대괴수]]||<:>강철의 거대괴수의 영문명인 Iron Juggernaut에서 따왔다.|| ||<:>죽빨, 죽니(이)||<:>[[전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1.1.1|죽음의 이빨]]||<:>죽음의 이빨을 줄인 말.|| ||<:>피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4.3|피의 울음소리]]||<:>피의 울음소리를 줄인 말.|| ==== 전사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아버지 일해라,[br]그롬 감독관||<:>[[그롬마쉬 헬스크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그롬마쉬 헬스크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2.4|잔인한 감독관]]||<:>그롬마쉬 헬스크림의 고유 효과인 격노: +6을 발동시키는 동시에 잔인한 감독관의 공격력 +2 효과로 10마나로 '''12의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연계. 한 번에 입히는 피해량만 보면 노루의 자군야포-- 자군야포가 뒤졌습니다. --보다는 효율이 떨어지지만--비교 대상이...-- 한 턴 지나면 모두 사라지는 노루의 나무정령과는 달리 그롬은 공격을 하고도 멀쩡히 살아있다. 잔인한 감독관 외에도 소용돌이, 죽음의 이빨, 급하다면 방패 밀쳐내기 등으로도 그롬의 격노를 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사를 상대한다면 꼭 유의해둬야 하는 연계다. || === 주술사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가동중, 소라빵||<:>[[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2|회전하는 자동제압로봇]]||<:>소환 대사인 '''"가동--주우우우우웅--중"''' 에서 유래. 또한 생김새가 소라빵을 닮아 소라빵이라고도 불림.|| ||<:>갈아키르, 발암군주, 발암이여!, 파리||<:>[[알아키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바람의 군주 알아키르]]||<:>하스 초창기에 알아키르는 너무 구려서 카드팩에서 나오면 암 걸릴 것 같다 + [br]나오는 족족 갈아버린다는 뜻으로 '발암군주 갈아키르'로 통했고,[br]이후 재평가가 이루어졌음에도 별명은 그대로 유지되었다.[br]소환 대사인 '''"바람이여! 내 명에 따라라!"'''와 공격 대사인 '''"파리같은 놈들!"'''에서 따온 별명도 있다.|| ||<:>김치, 김치 폭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3.5|용암 폭발]]||<:>[[하스스톤 갤러리]]의 한 유저가 용암 폭발카드에 [[김치싸대기]] 사진을 합성한 것에서 따온 별명.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293432|참고]].|| ||<:>대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1.4|대지의 무기]]||<:>대지의 무기를 줄인 말.|| ||<:>대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4.2|대지의 정령]]||<:>대지의 정령을 줄인 말.|| ||<:>대출, 빚||<:>과부하||<:>과부하 효과가 달린 카드는 비용 대비 성능이 좋지만 다음 턴에 후유증이 온다는 단점이 있다. 당장 급전을 끌어다 쓰고 미래에 이자 때문에 고통받는다는 점에서 대출과 비슷하다는 의미로 과부하를 대출이라고도 부른다.|| ||<:>대출 지룡, 과부하 지룡||<:>[[땅굴 트로그]]||<:>과부하(대출)된 만큼 공격력을 얻는 것이 마법사의 마나 지룡과 비슷해보여 붙은 별명이다.|| ||<:>대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2.2|대지 충격]]||<:>대지 충격을 줄인 말.|| ||<:>둠빠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4.3|둠해머]]||<:>왜 [[빠따]]인지는 확증이 없으나, 해머(hammer)라는 영단어 대신[br]우리에게 친숙한 단어인 "빠따"를 붙였다고 추정된다.|| ||<:>마해토||<:>[[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3.2|마나 해일 토템]]||<:>마나 해일 토템을 줄인 말.|| ||<:>번폭||<:>[[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3.3|번개 폭풍]]||<:>번개 폭풍을 줄인 말.|| ||<:>번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2.4|번개 화살]]||<:>번개 화살을 줄인 말.|| ||<:>불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1.10|불의 정령]]||<:>불의 정령을 줄인 말.|| ||<:>불토||<:>[[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1.5|불꽃의 토템]]||<:>불꽃의 토템을 줄인 말.|| ||<:>블러드, 피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1.9|피의 욕망]]||<:>피의 욕망을 줄여 피욕이라고도 부르고, 영문 명칭인 bloodlust에서 따온 블러드로도 통한다.|| ||<:>선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1.1|선인의 치유력]]||<:>선인의 치유력을 줄인 말.|| ||<:>속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2.6|속박 풀린 정령]]||<:>속박 풀린 정령을 줄인 말.|| ||<:>안개맨,눅눅이||<:>[[안개소환사]]||<:>안개소환사를 줄인 별명, 플레이버 텍스트에 안개를 소환하면 눅눅해진다는 언급.|| ||<:>야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3.4|야수 정령]]||<:>야수 정령을 줄인 말.|| ||<:>용충||<:>[[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1.2.1|용암 충격]]||<:>용암 충격을 줄인 말.|| ||<:>조상앤캐쉬, 선조론||<:>[[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1.1|선조의 지혜]]||<:>2마나로 2장이나 뽑는 대신 과부하(대출)을 2마나나 받는 점에서 착안해 [br]선조의 지혜와 러쉬앤캐쉬를 합쳐서 이르는 말.|| ||<:>토템장교||<:>[[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2.3|썬더 블러프 용맹전사]]||<:>썬더 블러프 용맹전사의 토템에게 버프를 주는 효과가[br] 성기사 카드 병참장교의 신병에게 버프를 주는 효과와 유사해 붙은 별명.|| ||<:>흑드라군, 77맨||<:>[[얼굴 없는 화염투사]]||<:>카드의 일러스트가 [[흑드라군]]과 유사해 붙은 별명.|| ==== 주술사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대동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1.4|대지의 무기]][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2.5|엘프 궁수]]||<:>드루이드의 위정땜 연계에 대항할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로나 나도는 연계. 만약 오버스파크가 위습을 1/1 다람쥐로 바꾼다면 대지의 무기를 써서 오버스파크를 잡고 엘프 궁수의 전투의 함성으로 다람쥐를 잡으면서 1/1 하수인을 남길 수 있다. 사실 아무 쓸모가 없지만 순전히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382671&exception_mode=recommend|짤방]] 하나 때문에 유명해졌다.|| ||<:>먼동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2.3|먼지 악령]][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주술사 #s-2.3|먼지 악령]]||<:>첫 턴에 먼지 악령 2개를 깔아 다음 턴에 도합 12의 피해를 명치에 꽂을 수 있는 연계. 성공만 시킨다면 바로 게임을 거의 터트릴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지만 먼지 악령은 1턴 외에는 효율이 매우 구리므로 채용률이 극히 낮은 카드이다. 결국은 입하스. 먼동먼에 성공해도 상대방이 2마나 도발 하수인을 낸다면 반대의 의미로 게임이 터진다. 하다못해 영능만 맞아도 피해량이 3/4나 1/2로 급감한다. [* 게다가 먼지 악령의 과부하는 2라서 다음 턴에 '''마나를 쓸 수가 없다.'''] || === 도적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그밟||<:>[[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2.1|그림자 밟기]]||<:>그림자 밟기를 줄인 말.|| ||<:>기름, 땜장이||<:>[[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2|땜장이의 뾰족칼 기름]]||<:>땜장이의 뾰족칼 기름을 줄인 말.[br]이 카드를 키카드로 쓰는 도적을 기름도적(Oil Rogue)이라고 한다.|| ||<:>꼴뚜기||<:>[[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1.1.1|아눕아르 복병]]||<:> 아눕아르 복병을 부르는 별명이다.|| ||<:>데피, 여긴 우리 구역이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2.4|데피아즈단 두목]]||<:>데피아즈단 두목을 줄인 말. 동데피(동전+데피아즈단 두목)로 주로 쓰인다.[br]소환 대사가 "여긴 우리 구역이다."여서 별명이 되었다.~~그래, 당장 꺼져!~~|| ||<:>똥칼||<:>[[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3.2|독 묻은 칼]]||<:>독 묻은 칼이 너무 구려서 독칼이 아닌 똥 묻은 칼이라는 뜻의 똥칼로 통용된다.|| ||<:>랩터||<:>[[발굴된 랩터]]||<:> 붉은늪지랩터와 겹치는데 [[탐험가 연맹]]에서 발굴된 랩터가 출시되고 나서는 발굴된 랩터를 칭하는 일이 더 많아졌다.|| ||<:>맘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4.1|마음가짐]]||<:>마음가짐을 줄인 말.|| ||<:>요원, 슥삭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3.2|SI:7 요원]]||<:>SI:7 요원을 줄인 말. 연계 발동시 슥삭하는 이펙트가 나와서 슥삭맨이라고도 불린다.|| ||<:>전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1.10|전력 질주]]||<:>전력 질주를 줄인 말.|| ||<:>침착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4.2|침착한 암살자]]||<:>침착한 암살자를 줄인 말. [[이말년]]의 별명이기도 하다.|| ||<:>칼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1.6|칼날 부채]]||<:>칼날 부채를 줄인 말.|| ||<:>킹습||<:>[[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6년 #s-1.1.2|어둠의 일격]]||<:>어둠의 일격 효과가 기습의 강화판이라 붙여진 말.|| ||<:>폭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3.1|폭풍의 칼날]]||<:>폭풍의 칼날을 줄인 말.|| ||<:>혼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1.5|혼절시키기]]||<:>혼절시키기를 줄인 말.|| ==== 도적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가동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6.1|가젯잔 경매인]][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2.3|은폐]]||<:> 주문도적의 밥줄. 은신상태의 4/4 가젯잔을 처리하지 못하면 다음 턴 도적의 폭풍드로를 막을 수가 없다.|| ||<:>동데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2.4|데피아즈단 두목]]||<:>첫 턴에 동전 한 닢으로 연계를 발동시켜 2/2 데피아즈단 두목--여긴 우리 구역이다.--과 2/1 데피아즈단 무법자--그래 당장 꺼져!--를 소환할 수 있다.|| ||<:>리그리그리--니코니코니--||<:>[[리로이 젠킨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리로이 젠킨스]][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2.1|그림자 밟기]][br]+[[리로이 젠킨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리로이 젠킨스]][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2.1|그림자 밟기]][br]+[[리로이 젠킨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리로이 젠킨스]]||<:>과거 가젯잔 경매인이 5마나고 리로이 젠킨스가 4마나였던 시절에 8마나로 18의 피해를 입히던 연계. 전성기 손놈 그 이상의 덱 압축을 자랑하던 너프 전 주문 도적은 이 연계에 자주 성공했다.|| ||<:>맘가비룡||<:>[[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4.1|마음가짐]][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5.3|하늘빛 비룡]]||<:>하스스톤 BJ 타요가 BJ리그에서 맘가전질을 하려다 실수해 나온 필살기다.[* 실수로 전력 질주 대신 옆에 있던 하늘빛 비룡을 내버렸다.][br]--이 연계를 사용하면 게임을 이긴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 ||<:>맘가소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4.1|마음가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1.9|소멸]]||<:>6마나인 소멸을 내기 전 마음가짐을 내서 3마나로 소멸을 쓸 수 있다. 핸파도적의 경우 자주 사용한다.|| ||<:>맘가전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4.1|마음가짐]][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1.10|전력질주]]||<:>7마나인 전력 질주를 마음가짐과 함께 써서 4마나로 4장을 뽑는 미친 효율의 연계. [br] 하스스톤에서 가장 효율적인 덱 압축이다. [br] 다만 드로 표준 성능이라 볼 수 있는 마법사의 신비한 지능이 1장을 소모해서 2장을 뽑는 반면 맘가전질은 2장 소모 4장 드로니 실질적 카드 어드밴티지는 +2뿐. [br]관련된 낚시로 맘가맘가전질이 있다.[* 마음가짐의 효과는 '''바로 다음'''에 사용하는 주문의 비용을 3마나 줄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첫 번째 맘가의 효과가 전질이 아닌 두 번째 맘가에 적용되어 버린다.]|| ||<:>맹독폭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1.2|맹독]][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3.1|폭풍의 칼날]]||<:>폭칼이 2마나였고 모든 적에게 피해를 주던 시절 도적의 대표적인 광역기였다. [br] 미리 영능으로 단검을 차 둔 뒤 맹독(1마나) + 폭풍의 칼날(2마나) 총 3마나(영능까지 총 5마나) 2장으로 모든 적에게 3의 피해를 입힐 수 있었다. 여기에 땜장이의 뾰족칼 기름까지 발라주면 전체 6 피해며, 도적은 이 연계를 위해 칼을 아껴두는 경우가 많아서 보통은 단검 + 맹독 + 기름 + 상대방 명치 한 대 때려주고 + 폭칼 = 명치에 12 피해, 적 하수인 전체에게 6 피해라는 살인적인 연계가 나왔다. 마음가짐 등을 통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적의 유연함을 상징하는 연계 중 하나였다.|| ||<:>하땜폭||<:>[[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2.2|남쪽바다 갑판원]][br]+[[도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2|땜장이의 뾰족칼 기름]][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도적 #s-3.1|폭풍의 칼날]]||<:>남쪽바다 갑판원의 별명인 하하맨과 땜장이와 폭칼을 섞어서 말하는 말. 기름도적의 필살기로 맹독과 마음가짐을 섞어서 맹땜폭 하맹땜폭 맹맹땜폭 하맹맘땜맘땜폭 등이 있다. || === 성기사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눈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2.3|눈에는 눈]]||<:>눈에는 눈을 줄인 말.|| ||<:>들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6|신성화]]||<:>주문 사용 시 상대방 캐릭터들이 공중으로 떠올랐다가 다시 떨어지는 모습 때문에 붙은 별명. 중간에 하이픈을 넣어 들-썩이라고도 한다.|| ||<:>무가옳||<:>[[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3.2.1|무엇이든 가능하다옳]]||<:>무엇이든 가능하다옳을 줄인 말.|| ||<:>묵은지, 볼간지||<:>[[볼바르 폴드라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볼바르 폴드라곤]]||<:>볼바르를 제대로 쓰기 위해선 패에서 오래 묵혀야 하다 보니 붙은 별명.[br]또는 공격력에 따라 달라지는 소환이펙트--만--가 아주 멋져서 볼[[간지]]라고도 불린다.|| ||<:>[[병영|배럭]]||<:>[[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1.3|멀록 기사]]||<:>격려 효과로 무작위 멀록을 쑴풍쑴풍 뽑아내는게 마치 배럭 같다고 붙은 별명.|| ||<:>법규, [[김병현|법규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3.3|알도르 평화감시단]]||<:>소환 대사인 '''"~~[[fuck you]]~~법규를 준수하십시오."'''에서 유래한 별명.|| ||<:>법규왕||<:>[[성기사 에드릭]]||<:>전투의 함성 효과가 알도르 평화감시단의 광역판이라 붙은 별명.|| ||<:>병참||<:>[[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3.2|병참장교]]||<:>병참장교를 줄인 말. 또는 소환 대사인 '''"공격해라 제군들!"''' 으로도 통한다.|| ||<:>보쓴꼬,보꼬봇,보꼬,씹쓴꼬,혐쓴꼬||<:>[[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1|보호막을 쓴 꼬마로봇]]||<:>보호막을 쓴 꼬마로봇을 줄인 말. 2턴에 칼같이 나오면 매우 짜증나기에 앞에 [[씹]], [[혐]]을 붙이기도 한다.|| ||<:>빛그, 빛라그||<:>[[라그나로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s-2|빛의 군주 라그나로스]]||<:>빛의 군주 라그나로스를 원래 있던 불의 군주 라그나로스와 구별하기 위해 생긴 별명.|| ||<:>뿅망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3|빛의 정의]]||<:>생긴 게 뿅망치처럼 생겼고 공격력도 뿅망치 수준이라 붙은 별칭이다. || ||<:>신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4.3|신의 축복]]||<:>신의 축복을 줄인 말.|| ||<:>신풀||<:>[[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2.1|병력 소집]]||<:>신병을 소환하는 효과가 사냥꾼의 '개들을 풀어라'와 유사해 붙은[br]'''신병을 풀어라'''라는 별명을 줄인 말.|| ||<:>엎드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2.1|고귀한 희생, 수호자]]||<:>고귀한 희생을 통해 소환되는 하수인의 소환 대사 '''"엎드려!"'''에서 유래한 별명.[br] 고귀한 희생으로 소환되는 하수인인 수호자를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비슷하게 영어권에서도 소환 대사인 get down이라 자주 불린다. || ||<:>왕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7|왕의 축복]]||<:>왕의 축복을 줄인 말.|| ||<:>응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4.2|응징의 격노]]||<:>응징의 격노를 줄인 말.|| ||<:>정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4.1|정의의 칼날]]||<:>정의의 칼날을 줄인 말.|| ||<:>즈엉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10|왕의 수호자]]||<:>소환 대사인 '''"정의.."'''를 늘여서 발음하는 것이[br]마치 '''즈엉이'''라고 하는 것 같다 해서 붙은 별명.|| ||<:>진은검, 지는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s-1.8|용사의 진은검]]||<:>용사의 진은검을 줄인 말. 소리나는 대로 지는검이라고도 한다.|| ||<:>천망||<:>[[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9|천벌의 망치]]||<:>천벌의 망치를 줄인 말.|| ||<:>콘돔맨, 허튼 수작||<:>[[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2.6|여명회 파수병]]||<:>전투의 함성으로 콘돔이라고도 불리는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하기에 생긴 별명. 그 외에 소환 대사인 '''"허튼 수작 마라!"'''에서 따와 '''허튼 수작'''이라고도 부른다.|| ||<:>톱망||<:>[[성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3.1|톱니 망치]]||<:>톱니 망치를 줄인 말.|| ||<:>[[파마맨]], 원장님, ㄴㄱㄴㄱㄴㄱ||<:>[[수수께끼의 도전자]]||<:>수수께끼의 도전자는 전투의 함성으로 덱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비밀을 하나씩 거는데 이 효과가 발동된 뒤 우서의 머리 위에 물음표 아이콘이 여러 개 떠있는 것이 마치 '''파마'''를 한 것 같다 하여 붙여진 별명이며 그래서 우서 경 파마 해주는 '''미용실 원장님'''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수수께끼의 도전자의 등장 대사인 '''"내가 누구냐고? 알 필요 없다."''' 또한 유명하다. 하스스톤 방송에서 상대가 성기사인데 6턴이 되면 채팅창이 ㄴㄱㄴㄱㄴㄱ로 도배되는 경우가 많다.|| ||<:>힘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4|힘의 축복]]||<:>힘의 축복을 줄인 말.|| ==== 성기사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광평||<:>[[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2.4|광기의 화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3.1|평등]]||<:>평성화와 비슷한 용도로 쓰이는데 비용이 더 적게 드는 대신 아군 하수인도 포함한 '''모든''' 하수인이 처치된다. 이 역시도 평성화와 같이 유의해야 한다.[br] 파마기사나 황건적 등 어그로 계열의 성기사 덱에서는 잘 쓰이지 않지만, 탐험가 연맹 시점의 무가옳 성기사, 고신속 시점의 느조스 성기사 등 컨트롤 성기사 덱에서는 자주 쓰인다.|| ||<:>로수붐티||<:>[[로데브(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로데브]][br]+[[수수께끼의 도전자]] + [[박사 붐]][br]+[[티리온 폴드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티리온 폴드링]]||<:>이들은 각각 5, 6, 7, 8마나 하수인으로 비밀 기사가 4턴까지 비밀과 위니를 전개해서 필드를 잡은 후 5, 6, 7, 8턴에 비용에 맞추어서 위의 하수인들을 내는 행위. 발전형으로 동전을 아껴서 수수붐티[* 수수께끼의 도전자-수수께끼의 도전자-박사 붐-티리온 폴드링]를 하거나, 1턴부터 8턴까지 정해진 카드만 내는 '''비보신벌로수붐티'''[* 비밀지기 - 보호막을 쓴 꼬마로봇 - 병력 소집 (신병을 풀어라) - 누군가 조종하는 벌목기 - 로데브 - 수수께끼의 도전자 - 박사 붐 - 티리온 폴드링]라는 연계도 있다.[br] 엄밀히 말하자면 한 턴에 쓰는 게 아니니 연계는 아니다만 워낙 유명해 항목이 생겼다. 한술 더 뜨자면 라팜과 유물까지 합해 로수붐티팜유라고 말하기도 한다.~~게임을 이기는 마법의 주문이라고 한다.~~ [br] 냥꾼에게는 로사붐이 있다.|| ||<:>비동엎||<:>[[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1.3|비밀지기]][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2.1|고귀한 희생]]||<:>1턴에 나올 수 있는 연계로 자신이 비밀기사임을 증명하는 동시에 상대에게 딥빡을 선사한다. || ||<:>평성화 ~~평신~~||<:>[[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3.1|평등]]+[[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성기사 #s-1.6|신성화]]||<:>평등과 신성화를 함께 써서 내 하수인들의 체력도 1이 되어버리는 대신 적 하수인들은 모두 처치할 수 있게 되는 연계. 천보 효과를 가지고 있는 하수인 외에는 다 죽으니 미드레인지 성기사를 상대한다면 유의해야 한다.|| === 사냥꾼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개판, 개판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1.7|사냥개조련사]]||<:>사냥개조련사의 소환 대사인 '''"내가 개판을 보여주지"'''에서 나온 별명.|| ||<:>개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2.5|개들을 풀어라]]||<:>개들을 풀어라를 줄인 말.|| ||<:>도토||<:>[[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1.3|왕의 엘레크]]||<:>엘레크가 코끼리와 비슷한 동물임에서 착안한 별명으로 무한도전에 출연했던 코끼리 도토의 이름을 따왔다.|| ||<:>[[둘리]]||<:>[[왕 크루쉬]]||<:>녹색 공룡이라 [[둘리]]가 연상되어 붙은 별명.|| ||<:>빙, 빙덫||<:>[[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1.2.1|빙결의 덫]]||<:>빙결의 덫을 줄인 말.|| ||<:>사바나,[br]갓바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3.5|사바나 사자]]||<:>사바나 사자의 줄임말.[br]혹은 [[OP#s-3|희귀 카드를 가장한 전설 카드]]인 만큼 갓을 붙여 부르기도한다.|| ||<:>살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1.5|살상 명령]]||<:>살상 명령을 줄인 말.|| ||<:>야벗||<:>[[야생의 벗 #s-1|야생의 벗]]||<:>야생의 벗을 줄인 말. 여기서 소환되는 레오크는 [[호구|레호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야벤저스||<:>[[야생의 벗 #s-2|야생의 부름]]||<:>야생의 벗에서 소환되는 야수 3마리를 한꺼번에 소환하는 것을 [[어벤저스]]에 빗대어 표현한 별명.|| ||<:>죽척||<:>[[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3.2|죽은척하기]]||<:>죽은척하기를 줄인 말.|| ||<:>징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1.1|사냥꾼의 징표]]||<:>사냥꾼의 징표를 줄인 말.|| ||<:>치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2.6|치명적인 사격]]||<:>치명적인 사격을 줄인 말.|| ||<:>폭, 폭덫||<:>[[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2.4|폭발의 덫]]||<:>폭발의 덫을 줄인 말.|| ||<:>폭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3.4|폭발 사격]]||<:>폭발 사격을 줄인 말.|| ==== 사냥꾼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개풀살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2.5|개들을 풀어라]][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1.5|살상 명령]]||<:>사냥꾼의 대표적인 연계. 개들을 풀어라로 필드 위의 적 하수인의 수만큼 1/1 돌진 하수인을 소환한 뒤 살상명령으로 상대방의 명치에 5의 피해를 박아넣는다. 최소 5댐 + 필드 위의 적 하수인 갯수만큼 추가 피해 + 영능/속사/장궁 등을 통해 한 턴에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요주의 대상.|| ||<:>광고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2.4|광기의 화염술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4.1|고통의 수행사제]]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1.3|추적]]||<:>사실 연계가 아닌 버그로, 이 순서대로 카드를 내면 상대방의 화면이 정지하는 현상이 있었다. 게임 초창기에 있었던 버그로 지금은 해결된 상태.|| ||<:>로사붐||<:>[[로데브(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로데브]][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냥꾼 #s-3.5|사바나 사자]][br]+[[박사 붐]]||<:>이들은 각각 5, 6, 7마나 하수인으로 미드냥이 5, 6, 7턴에 비용에 맞추어서 위의 하수인들을 내는 행위. [br] 엄밀히 말하자면 한 턴에 쓰는 게 아니니 연계는 아니다만 워낙 유명해 항목이 생겼다.~~게임을 이기는 마법의 주문이라고 한다.~~ [br] 비밀기사의 로수붐티에 묻힌 감이 없지않아 있다. || === 드루이드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교감, 대마약,[br]보라색 약||<:>[[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3.2|천공의 교감]]||<:>뒷글자를 따서 교감이라 부르거나 급속 성장이 빈 마나 수정을 1개 주는 거에 비해[br]천공의 교감은 패를 전부 버리는 대신 마나 수정을 '''10개''' 채워주기 때문에[br]급속 성장의 약과는 비교도 안 된다고 해서 대(大)마약이라 불린다.[br][[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48/213/635746400047499178.png|일러스트]]가 보라색이라서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보라색 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급성~~, 급속, 약||<:>[[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4|급속 성장]]||<:>~~단순히 줄여서 '급성장', '급성'이라고도 불리고~~ 15년 11월 현재는 급성은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급속이라고 부른다. 급속 성장을 사용할 때 들리는 소리나, [br] 마나를 채워준다는 능력이 묘하게 [[마약]]과 연결지어지기에 약이라도도 불린다.|| ||<:>[[너비아니]]||<:>[[아비아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아비아나]]||<:>[[돌갤]]에서 [[대 마상시합]] 발매와 함께 등장한 아비아나의 이름을 부르기에 어색해 하며[br]이름을 이비아나, 너비아니 등으로 잘못 부르던 것이 결국 대부분의 사람에게 친숙한[br][[너비아니]]로 부르게 된데서 유래.|| ||<:>다르나서스, 노루앤캐시||<:>[[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2.1|다르나서스 지원자]]||<:>다르나서스 지원자를 줄인 말. 또는 전투의 함성으로 빈 마나 수정을 하나 얻고 죽음의 메아리로 마나 수정을 하나 파괴하는 것이 대출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말.|| ||<:>달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1|달빛 섬광]]||<:>달빛 섬광을 줄인 말.|| ||<:>랩목기||<:>[[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3.1.2|랩터 탈것]]||<:>죽음의 메아리로 비용이 (1)인 하수인을 소환하는 랩터 탈것의 능력이 누군가 조종하는 벌목기와 유사해서 이 둘을 합친 별명.|| ||<:>발드, 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2.6|발톱의 드루이드]]||<:>발톱의 드루이드를 줄인 말. 또는 곰으로 변신했을 때 한정으로 곰이라고도 불리는데,[br] 당장 돌진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대부분 곰으로 변신하기 때문에[br]'곰'이 발톱의 드루이드를 뜻하기도 한다.|| ||<:>별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9|별빛 섬광]]||<:>별빛 섬광을 줄인 말.|| ||<:>살뿌||<:>[[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1.1|살아있는 뿌리]]||<:>살아있는 뿌리를 줄인 말.|| ||<:>세나, 스승님||<:>[[세나리우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세나리우스]]||<:>세나리우스의 앞글자를 딴 말. 스승님은 세나리우스가 말퓨리온의 스승이라는 것에서 따온 별명인데 비슷한 입지의 안토니다스를 칭할 때도 쓰인다.|| ||<:>숲수, 키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3.3|숲의 수호자]]||<:>숲의 수호자를 줄인 말. 숲의 수호자의 영문명이 Keeper of the Grove이므로 Keeper만 따서 키퍼라고도 불린다.|| ||<:>야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5|야생의 징표]]||<:>야생의 징표를 줄인 말.|| ||<:>야포||<:>야생의 포효||<:>'''[[자군야포]] 문서 참조.'''|| ||<:>야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2.2|야생의 힘]]||<:>야생의 힘을 줄인 말.|| ||<:>양흡, 3코 혼절||<:>[[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3.1|양분 흡수]]||<:>양분 흡수를 줄인 말. 간혹 크툰 덱 상대로 크툰을 죽였는데 크툰을 다시 패에 넣어주는 등의 역적질을 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럴 때는 3코스트로 혼절을 썼다고 비웃음의 대상이 되어 3코 혼절이라고도 불린다.|| ||<:>어흥||<:>변신||<:>영능 중 특히 드루이드의 초중반 영능만을 어흥이라고 부른다. 약을 써가며 빠르게 중반으로 넘어가야 게임을 쉽게 풀어나갈 수 있는 드루이드 특성상 초중반에 약을 못 빨고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는 영웅 능력은 다른 영웅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해인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영능 발동시 "어흥"거리는 짐승 소리를 따와 노루의 영능을 어흥이라는 조롱기 섞인 별칭으로 부른다.[* 영능을 한 번 사용시 1어흥 적립, 두 번 사용시 2어흥 적립이라고 부른다. 이 횟수가 늘어날수록 드루이드의 예상 승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추락한다.] 단 중후반에 비용이 남아돌아 사용하는 영능은 어흥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 ||<:>자군||<:>자연의 군대||<:>'''[[자군야포]] 문서 참조.'''|| ||<:>전고정, 코끼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4.2|전쟁의 고대정령]]||<:>전쟁의 고대정령을 줄인 말.[br][[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8/26/242.png|일러스트]]가 [[코끼리]]를 닮았다고 하여, 코끼리라고도 불린다.|| ||<:>정자, 약||<:>[[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2|정신 자극]]||<:>정신 자극을 줄여서 정자라고 하는데 간혹 [[정자]](精子)와 엮어서 드립을 치기도 한다.[br] 이 카드도 마나를 채워주기 때문에 급속 성장 처럼 약이라고도 불린다. [br] 두 카드의 별명이 같기 때문에 보통 약은 급속 성장을 말하는 경우가 많고[br]대부분 정자라고 불린다.|| ||<:>지고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4.3|지식의 고대정령]]||<:>지식의 고대정령을 줄인 말.|| ||<:>치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7|치유의 손길]]||<:>치유의 손길을 줄인 말.|| ||<:>휘둘, 갓둘, 챱챱||<:>[[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8|휘둘러치기]]||<:>휘둘러치기를 줄인 말. 그 엄청난 성능을 찬양하는 의미로 생긴 갓둘러치기를 줄여 쓰기도 한다.[br]사용할 때의 효과음 때문에 챱챱이라는 별명도있다.|| ==== 드루이드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독똥별||<:>[[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1.1.1|독성 씨앗]]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3.4|별똥별]]||<:> [[낙스라마스의 저주]]가 한창이었을 때 드루이드의 카드인 독성 씨앗이 공개되자 이거랑 별똥별을 연계하면 적 필드가 다 정리된다는 말이 나와서 생겨났다. 내 하수인들이 다 2/2가 되기는 하지만 9마나로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을 제외한 모든 적 하수인을 죽일 수 있는 연계. 하지만 어차피 자군야포 노루는 필드 정리는 상대에게 맡겼기에 등급전에서는 거의 안 쓰였고 탈진노루덱이나 투기장에서만 가끔 보였다.|| ||<:>말동정휘||<:>[[말리고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말리고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2|정신 자극]]+[[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8|휘둘러치기]]||<:> 대표적인 입하스. 6의 광역 피해와 9의 단일 대상 피해를 입힌다.|| ||<:>아말정배배달달||<:>[[아비아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아비아나]]+[[말리고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말리고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2|정신자극]]+[[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영웅 등급 #s-2.4.2|얼굴 없는 배후자]]x2+[[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1|달빛섬광]]x2||<:>[[https://youtu.be/e4WVTMSPMKs|한 턴에 32피해로 게임을 끝낼 수 있는 연계. 정자 하나와 살뿌 두개를 첨가하는 자매품도 있다.]]|| ||<:>양폭독성||<:>[[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 #s-2.2.5|양 폭탄]]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2.1.1|독성 씨앗]]||<:> 양 폭탄을 필드에 놓은 후 독성 씨앗을 쓰면 독성 씨앗이 먼저 발동하고 양폭 죽메가 발동하기 때문에 필드 정리가 가능하다. 독성 씨앗 + 별똥별보다 비용은 싸지만 내 필드까지 전부 정리 당하는게 문제. 필드에 하수인이 4마리 있을 경우 양폭독성을 쓰고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4.2.1|화산의 나무정령]]을 공짜로 내는 양폭독성화산정령 연계도 있다. 6마나 필드 정리 + 7/8 도발이 깔리는 셈. 허나 패치로 막혀버려 탈진드루의 삶이 더욱 힘겨워졌다.|| ||<:>위정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1.1|위습]]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드루이드 #s-1.2|정신자극]][br]+[[수석땜장이 오버스파크]]||<:>오버스파크가 한창 떴을 때 [[돌갤]]에서 언급된 입하스로, 첫 턴에 드루이드가 위습과 오버스파크를 낸 후 위습이 5/5로 변신만 한다면 3/3, 5/5하수인이 깔리는 --답이 없는-- 상황이 만들어진다. 물론 매우 불안정한 연계다. --대응책으로 주술사의 대동엘이 있다.-- || ||<:>[[자군야포]]||<:>자연의 군대 + 야생의 포효||<:>자연의 군대와 야생의 포효를 함께 사용해서 전장에 아무런 하수인이 없어도 14의 피해를 입히고, 미리 깔려있는 하수인의 수에 따라 20의 피해 정도까지는 우습게 줘버리는 연계. 정신 자극과 연계해서 자군야포야포(22댐), 자군자군야포(26댐), 자군자군야포야포[* 제왕 타우릿산으로 한 턴 이상 비용을 줄여야 가능하다. ~~상대방 차원문에서 밀하우스 마나스톰이 나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0댐)'''을 줘버리는 경우도 있다. [[http://1o9nid.blog.me/220527124102|#]][br]'''자세한 것은 [[자군야포]] 문서 참조.'''|| === 흑마법사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갓갓마, 오빠차, 오빠마||<:>[[흑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3.1|공포마]]||<:>[[용암 광전사|갓갓 갓갓갓]]과 비슷한 맥락으로 갓갓마라고도 하고, [[쇼미더머니]]의 [[오빠차]]와 엮어서 오빠차, 갓빠차, 오빠마--[[오바마]]?-- 등으로 부른다.|| ||<:>검폭||<:>[[흑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1|검은폭탄]]||<:>검은 폭탄를 줄인 말.|| ||<:>누가가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4|파멸수호병]]||<:>소환 대사인 "누가 감히 날 부르느냐"의 [[몬데그린]].[br]--세나리우스의 대사도 누가 감히로 시작하는데..--|| ||<:>떠감, 쪼아||<:>[[흑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2|떠 다니는 감시자]]||<:>떠감은 떠 다니는 감시자의 줄임말. [br]'쪼아'는 떠 다니는 감시자의 효과인 '영웅 자해시 능력치 증가'를 발동할 때의 대사 '''"좋오오아!"'''를 들리는 대로 쓴 것.|| ||<:>말가||<:>[[말가니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말가니스]]||<:>말가니스를 줄인 말.|| ||<:>생전, 탭||<:>생명력 전환(흑마법사 영웅 능력)||<:>생명력 전환의 줄임말. 영어권에서 따온 별명은 흑마 영능의 원문 Life Tap에서 따온 tap인데, 이를 본따 탭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암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3|암흑불길]]||<:>암흑 불길을 줄인 말.|| ||<:>압도, 압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1|압도적인 힘]]||<:>압도적인 힘을 줄인 말.|| ||<:>[[레니아워]], 원로원||<:>[[흑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6년 #s-1.1.2|어둠골 원로원]]||<:>카드 일러스트가 살찐 대법관을 연상시키기에 붙여진 별명. 원로원은 어둠골 원로원을 줄인 말이다.|| ||<:>영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1.4|영혼의 불꽃]]||<:>영혼의 불꽃을 줄인 말.|| ||<:>영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5|영혼 착취]]||<:>영혼 착취를 줄인 말.|| ||<:>운파||<:>[[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4.2|운명의 파멸]]||<:>운명의 파멸을 줄인 말.|| ||<:>이천군수, 자락||<:>[[군주 자락서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군주 자락서스]]||<:>[[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자락서스의 대사 중 하나인 '''"뼈에서 살을!"'''이 [[몬데그린]]으로 "벼에서 쌀을!"로 들려 붙은 별명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군주 자락서스]] 문서로.|| ||<:>임폭||<:>[[흑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2.2|임프폭발]]||<:>임프 폭발을 줄인 말.|| ||<:>죽고, 고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1.5|죽음의 고리]]||<:>죽음의 고리를 줄인 말.|| ||<:>지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1.9|지옥의 불길]]||<:>지옥의 불길을 줄인 말.|| ||<:>피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2|피의 임프]]||<:>피의 임프를 줄인 말.|| ||<:>화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3|화염 임프]]||<:>화염 임프를 줄인 말. [[불임]]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황천, 변기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4.3|뒤틀린 황천]]||<:>황천은 뒤틀린 황천을 줄인 말. 변기물은 주문을 발동하면 변기물이 내려가듯이 한 점으로 카드들이 빨려들어가서 붙은 별명.|| ==== 흑마법사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리압배||<:>[[리로이 젠킨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리로이 젠킨스]]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1|압도적인 힘]]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영웅 등급 #s-2.4.2|얼굴 없는 배후자]]||<:>과거 리로이가 4마나였던 때 리로이 (6공 돌진 하수인) + 압도적인 힘(+4공) + 얼굴 없는 배후자(하수인 복사)로 총 10마나 20피해를 입히던 연계. 리로이가 5마나로 변하면서 사장되었지만, 3마나 4/2 돌진 하수인이었던 비전 골렘을 이용해 비압압배로 10마나 20피해를 입히는 연계도 나왔었다. 혹은 제왕 타우릿산의 힘을 빌어 리압압배(리로이 + 압도 + 압도 + 배후자 28피해), 소소리압압배배(소환문 + 소환문 + 리로이 + 압도 + 압도 + 배후자 + 배후자 42피해) 등의 예능을 시도하기도 한다.|| ||<:>압도알공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1|압도적인 힘]]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희귀 등급 #s-2.1.1|네루비안 알]]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1|공허의 괴물]]||<:>압도적인 힘과 네루비안 알, 공허의 괴물을 연계해서 4/4와 7/4~9의 하수인을 깔 수 있다.~~타우릿산을 한 번 돌려준 상태로 퓨진 스탈라그 놓고 사이에 공허의 괴물을 까는 방법도 있다. 리븐데어가 필드에 있으면 혐짤 탄생~~.|| ||<:>압도암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1|압도적인 힘]]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3|암흑불길]]||<:>압도적인 힘과 암흑불길을 연계한 광역기.|| ||<:>용거암불||<:>[[거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s-4|용암 거인]]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3|암흑불길]]||<:>용암 거인과 암흑불길을 연계한 광역기. 거흑의 경우 용거가 매우 싼 비용에 나오기도 했던만큼 4마나 정도의 비용을 내고 상대의 모든 하수인에게 8의 피해를 입힐 수 있었다.|| ||<:>화동공, 봇듀오,메라로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2.3|화염 임프]]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1.2|공허방랑자]]||<:>1턴 후공에 동전을 사용하여 공격과 수비에 각각 특화된 두 악마 하수인을 소환하는 연계. 화염 임프의 [[구승빈|임프]]가 유명한 롤 프로게이머의 아이디라는 점에서 '''원거리 딜러''', 그리고 화염 임프와는 반대로 수비적이고 단단한 면모를 가지며 원거리 딜러인 화염 임프를 보호할 수 있는 도발이라는 점에서 공허방랑자를 '''서포터'''라고 부르며 이 둘을 묶어서 '''봇듀오'''라고 하며 여기서 파생된게 씨제이의 영혼의 봇듀오 메라로코.|| === 마법사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갓기둥||<:>[[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10|불기둥]]||<:>[[갓]]+불기둥. 카드 한 장으로 다수의 하수인과 교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갓기둥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고폭법, 불이야,[br][[퍄]][[퍄]][[퍄]][[퍄]]||<:>[[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2.3|고블린 폭발법사]]||<:>단순히 줄여서 고폭법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고,[br]소환 대사인 '''"퍄퍄퍄퍄, 불이야!"'''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냉돌, 냉풍||<:>[[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6|냉기 돌풍]]||<:>냉기 돌풍을 줄인 말.|| ||<:>마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3.1|마법 차단]]||<:>마법 차단을 줄인 말.|| ||<:>물정--물딩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7|물의 정령]]||<:>물의 정령을 줄인 말. 물딩딩은 와우저들이 부르는 애칭이다. 물의 정령인데 푸르딩딩하다고...|| ||<:>미니카||<:>[[거대 화염전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거대 화염전차]]||<:>거대 화염전차가 워낙 쓰레기라 [br]본래 이름인 거대 화염전차가 아닌 [[미니카]]로 격하. || ||<:>불작||<:>[[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4.3|불덩이 작렬]]||<:>불덩이 작렬을 줄인 말.|| ||<:>비작||<:>[[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3.1|비전 작렬]]||<:>비전 작렬을 줄인 말.|| ||<:>수습생||<:>[[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3|마술사의 수습생]]||<:>마술사의 수습생을 줄인 말.|| ||<:>신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6|신비한 지능]]||<:>신비한 지능을 줄인 말.|| ||<:>신폭||<:>[[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3|신비한 폭발]]||<:>신비한 폭발을 줄인 말. 하지만 채용률 문제로 신폭은 주로 사제의 신성한 폭발을 지칭한다.|| ||<:>신폭맨||<:>[[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6년 #s-1.1.2|황혼의 불꽃소환사]]||<:>전함으로 신비한 폭발을 시전하는 하수인이기 때문에 붙은 별명.|| ||<:>신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1|신비한 화살]]||<:>신비한 화살을 줄인 말.|| ||<:>[[안선생님]], 안토니, 아하할배||<:>[[안토니다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대마법사 안토니다스]]||<:>[[안토니다스]]가 제이나의 스승임에 착안, [br] 안토니다스의 '안'을 붙여서 [[안선생님]]이라고 부른다. 또한 능력 사용 시 --아하!-- 외치는 말에서 유래한 아하할배도 있다.|| ||<:>양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8|변이]]||<:>"'''양'''으로 '''변'''이시킨다."를 줄인 표현. 워크래프트 3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 깊은(?) 표현이다.|| ||<:>얼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4.1|얼음 방패]]||<:>얼음 방패를 줄인 말.|| ||<:>얼창||<:>[[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2|얼음 창]]||<:>얼음 창을 줄인 말.|| ||<:>얼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4|얼음 화살]]||<:>얼음 화살을 줄인 말.|| ||<:>얼회||<:>[[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5|얼음 회오리]]||<:>얼음 회오리를 줄인 말.|| ||<:>에코||<:>[[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3.1|메디브의 메아리]]||<:>메디브의 메아리의 영문명인 Echo of Medivh에서 따온 것.|| ||<:>염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9|화염구]]||<:>화염구를 줄인 말.|| ||<:>염포||<:>[[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2|화염포]]||<:>화염포를 줄인 말.|| ||<:>지룡, 지렁이, 지드래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1|마나 지룡]]||<:>마나 지룡의 줄임말.[br]혹은 지룡(地龍)이 한자로 지렁이를 뜻하기에 지렁이라고도 부른다. 지(G)룡이기 때문에 지드래곤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차원문, 불차,[br]전설문, 실력문||<:>[[불안정한 차원문]]||<:>이름을 줄여서 불차 또는 차원문이라도 말하고, 전설 하수인만 잘 뽑아 온다고 전설문이라고도 불린다. 실력붐과 비슷한 맥락으로 실력으로 필요한 카드를 뽑아서 쓰면 된다는 뜻에서 실력문으로도 통한다. ~~위습문~~|| ||<:>킁변||<:>[[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2.2|변이: 멧돼지]]||<:>"'''킁'''킁이로 '''변'''이시킨다."를 줄인 표현. 여기서 나오는 멧돼지는 킁킁이는 아니지만 비용, 능력치, 효과 모두가 일치해서 킁킁이라 부른다.|| ||<:>[[퍄]][[퍄]], [[퍄]][[퍄]]맨||<:>[[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1.2.1|불꽃꼬리 전사]]||<:> 퍄퍄맨이라는 별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br]하지만 [[이말년]]이, 위에서 언급한 고블린 폭발법사가 퍄퍄퍄퍄로 불리고 있던 상황에서[br]고블린 폭발법사가 전투의 함성을 통해 발사하는 불꽃이 4개여서 퍄퍄퍄퍄라라 불리니 [br] 따라서 불꽃꼬리 전사의 특수 능력이 2개의 불꽃을 발사하기 때문에[br]불꽃꼬리 전사를 퍄퍄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 처음이라는 것이 정설이다.[br]이 카드를 넣고 운영하는 템포형 법사덱을 '''퍄퍄덱'''이라고 흔히 부를 정도.|| ||<:>화작||<:>화염 작렬||<:>마법사 기본 영능인 '화염 작렬'을 줄인 말. 불작과 헷갈리지 말자.|| ||<:>환복||<:>[[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2|환영 복제]]||<:>환영 복제를 줄인 말.|| ==== 마법사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동차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불안정한 차원문]][br]+[[에드윈 밴클리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에드윈 밴클리프]]||<:>흔히 입하스 얘기를 할 때 거론되는 연계. 성공 시 첫 턴에 6/6 하수인이 등판한다. 다만 위정땜 등 아예 비주류 카드를 준비해와야 하는 다른 입하스와 달리 동차밴은 확률이 매우 낮지만 주류 카드인 차원문 한 장만으로 이루어지기에 실전에서 일어날 확률도 있다는 점에서 실전성이 조금은 있는 입하스. --실전에서 동전 차원문을 한다고??-- --더 발전해서 동전-차원문-주문사수-마음가짐-차원문-밴클리프도 가능하다--|| ||<:>마동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1|마나 지룡]][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2|환영 복제]]||<:>첫 턴에 마나 지룡을 내고 동전 한 닢과 환영 복제를 써서 필드에 3/3 마나 지룡과 0/2 도발 2개를 까는 연계다.|| ||<:>얼화얼화얼창얼창||<:>[[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1.4|얼음 화살]]×2[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2|얼음창]]×2||<:>단 6마나로 무려 14의 피해를 한 번에 꽂아넣는 연계. 화염구와 함께라면 10마나 20피해가 된다. 간혹 말리고스를 쓰는 슈팅법사가 타우릿산의 힘까지 빌려서 말리고스 얼화얼화얼창얼창이라는 34피해 연계를 날리기도 한다.|| ||<:>마동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1|마나 지룡]][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마법사 #s-2.1|마나 지룡]]||<:>첫 턴에 마나 지룡을 내고 동전 한 닢을 써서 두번째 마나 지룡을 내 첫 번째 마나지룡을 키우고 다음턴에 저코스트 마법이 있다면 마나 지룡을 엄청나게 키울수 있는 연계|| === 사제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거품 무는 누나||<:>[[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1.3|신성한 용사]]||<:>치유가 발생할 때 마다 공격력을 얻는 모습이 마치 거품 무는 광전사를 떠올리게 하여 붙은 별명. 외모 때문에 [[설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교회누나, 누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4.3|비밀결사단 어둠사제]]||<:>비밀결사단 어둠사제가 공격력 2이하인 하수인을 훔쳐가는 것을[br][[교회]]에 [[전도]](傳道)하는 것에 빗대어 생긴 별명. || ||<:>내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2.3|내면의 열정]]||<:>내면의 열정을 줄인 말. || ||<:>대무[* 사제의 대규모 무효화는 쓰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보통 대무하면 주술사의 대지의 무기를 뜻한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3.2|대규모 무효화]]||<:>대규모 무효화를 줄인 말.|| ||<:>마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1|마음의 눈]]||<:>마음의 눈을 줄인 말.|| ||<:>망자맨||<:>[[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1.1.1|어둠의 이교도]]||<:>어둠의 이교도의 소환 대사인 "망자를 불렀는가?"에서 따온 별명. || ||<:>벨선,벨렌||<:>[[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2|벨렌의 선택]]||<:>벨렌의 선택을 줄인 말. 전설 카드인 예언자 벨렌과 겹치지만 이 카드는 거의 안 쓰이니...|| ||<:>북녘골, 북챙||<:>[[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2|북녘골 성직자]]||<:>보통 북녘골 성직자의 앞 글자만 따서 북녘골이라고 한다.[br]주로 [[돌갤]]에선 첫턴에 나오면 까다로운 하수인인 북녘골 성직자를 [[창녀]]로 비하하여[br]북창으로 불렀는데 어감이 너무 센지라 주로 북챙으로 불린다.|| ||<:>빛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2.5|빛의 정령]]||<:>빛의 정령을 줄인 말.|| ||<:>빛폭||<:>[[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3.2|빛폭탄]]||<:>빛폭탄을 줄인 말. --빛fuck탄으로도 통한다--|| ||<:>생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2.4|생각 훔치기]]||<:>생각 훔치기를 줄인 말. ~~상대가 쓰면 높은 확률로 전설 훔치기가 된다.~~|| ||<:>순치||<:>[[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2.1.1|순간 치유]]||<:>순간 치유를 줄인 말.|| ||<:>신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3.5|신성한 불꽃]]||<:>신성한 불꽃을 줄인 말.|| ||<:>신폭[* 마법사의 신비한 폭발도 신폭이라고 하지만 거의 안 쓰이므로 보통 신폭 하면 사제의 신폭이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9|신성한 폭발]]||<:>신성한 폭발을 줄인 말.|| ||<:>심리 [[주작#s-3]], 사바사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4.2|심리 조작]]||<:>조작을 [[주작#s-3]]으로 바꿔서 부르기도 하고,[br]하스스톤 스트리머인 [[쥬팬더]]가 심리조작을 사용할 때 좋은 하수인이 나오길[br]기원하는 마음에서 말하는 "사바사바"를 따서 부르기도 한다.|| ||<:>아키||<:>[[아키나이 영혼사제]]||<:>아키나이 영혼사제를 줄인 말.|| ||<:>암광||<:>[[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3.4|암흑의 광기]]||<:>암흑의 광기를 줄인 말.|| ||<:>전설 관리인||<:>[[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 #s-3.1.1|박물관 관리인]]||<:>박물관 관리인이 유독 전설 카드를 잘 발견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실바나스 윈드러너가 단골 손님이다.~~|| ||<:>정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10|정신 지배]]||<:>정신 지배를 줄인 말.|| ||<:>정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6|정신 분열]]||<:>정신 분열을 줄인 말.|| ||<:>천정||<:>[[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7|천상의 정신]]||<:>천상의 정신을 줄인 말.|| ||<:>축소, 축술||<:>[[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1|축소술사]]||<:>축소술사를 줄인 말.|| ||<:>치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2.1|치유의 마법진]]||<:>치유의 마법진을 줄인 말.~~치킨마요가 아니다~~|| ==== 사제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금단의 쌍녘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2|북녘골 성직자]]×2||<:>북녘골 성직자를 2장 모두 필드에 올릴 경우 카드를 굉장히 많이 뽑을 수 있지만 사제 미러전의 경우 상대방이 치유의 마법진 등을 사용하여 오히려 패가 터지고 빠르게 탈진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사제 미러전의 경우 북녘골 성직자를 2장 필드에 올리는 건 좋지 못하며 이를 금단의 쌍녘골이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4hpbdqTZPRU|백문이 불여일견]]|| ||<:>아키치마||<:>[[아키나이 영혼사제]]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2.1|치유의 마법진]]||<:>아키나이 영혼사제를 두고 치유의 마법진을 쓰는 사제의 광역기. [br]치유의 마법진의 효과가 아키나이의 효과로 광역 4 회복 대신 4피해로 변하여[br] '''모든''' 하수인이 피해 4를 입고 생명력이 5인 아키나이가 생명력 1로 남는다. 아키나이 이외의 다른 하수인에게 벨렌의 선택을 걸어 주문 공격력 1이 올라가면 아키나이도 같이 죽어버린다는 점에 주의하자.|| ||<:>천정내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1.7|천상의 정신]][br]+[[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2.3|내면의 열정]]||<:>천상의 정신과 내면의 열정을 같이쓰는 연계.[br]모구샨 감시자, 죽음의 군주와 같이 공격력은 적고 체력이 많은 하수인에게[br]주로 사용하며 이를 잘 이용하면 한번에 공격으로 게임이 끝나는 경우도 있다.|| ||<:>축소교회, 축교,축소누나,축축교||<:>[[사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4년 #s-2.1.1|축소술사]]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사제 #s-4.3|비밀결사단 어둠사제]]||<:>축소술사로 공격력이 3이나 4인 하수인을 훔쳐오는 연계.[br]성공하면 4/5, 3/2, 공격력이 원래대로 돌아온 적 하수인 하나가 깔리게 된다.[br]이 연계로 '''이세라'''처럼 일반적으로는 사제가 처리할 수 없는 4공 하수인을[br]훔쳐올 수 있기 때문에 사제를 상대한다면 이를 유의해야 한다.[br]여기에 축소술사를 하나 더 추가해서 축소+축소+교회 누나, 혹은 브란+축소+교회누나로[br]5~6공 하수인(실바나스, 티리온등)을 훔쳐가는 --미친--경우도 있다.--동전까지 써서 브란축소축소교회 누나를 시전하면 이샤라즈도 훔쳐올 수 있다-- || === 공용 === 항목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는 관계로 비용별로 분리 후 가나다 순으로 정렬. ==== 0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갓습, 즈언통||<:>[[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1.1|위습]]||<:>[[하스스톤 갤러리]]에서 위습을 신격화 하여 God습이라고 부르는 [[반어법]]이다. [br] 또한 [[돌갤]]에서 카드깡을 하다가 황금 위습이 나오면 개념글에 보내주는 전통이 있는데 이 전통이라는 단어를 즈엉의 처럼 늘려서 부르는 것이다. || ||<:>안두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희귀 등급 #s-2.1.1|표적 허수아비]]||<:>생긴게 [[안두인]]이랑 닮아서 안두인이라고도 불린다.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3847/hearthstone/images/5/5a/TargetDummy.gif|직접 확인해보자.]]|| ==== 1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간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일반 등급 #s-2.1.1|간식용 좀비]]||<:>간식용 좀비를 줄인 말. || ||<:>노움, 쏘오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2.6|오염된 노움]]||<:>노움 계열 하수인들은 많지만, 오염된 노움만큼 자주 기용되면서도 이름에 노움이 들어가는 하수인은 없다. 쏘오기는 소환 대사인 "속이 메스꺼워'에서 속이의 몬데그린이다.[br]~~반댓말은 정화된 예스웃음이라 하더라~~|| ||<:>엉덩지기,뒷태지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1.3|비밀지기]]||<:>[[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147/914/483.png|비밀지기의 일러스트]]에서 엉덩이가 탐스러워 붙어진 말.|| ||<:>엘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2.5|엘프 궁수]]||<:>엘프 궁수를 줄인 말. || ||<:>치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1.6|화난 닭]]||<:>[[치킨]].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하하맨,하로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2.2|남쪽바다 갑판원]]||<:>소환 대사인 '''"하하!"'''에서 따왔다. 그리고 하하!+돌진의 대명사 리로이를 줄여 하로이 라고 부르기도 한다 || ==== 2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고감, [[박주영]][* "공격을 할 수 없다. = 박주영" 이라는 생각으로 이 드립을 치는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게, 박주영은 [[고려대학교]] 출신이다. 적절한 비유이자 동시에 언어유희이기도 한 것.] , 주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2.2|고대의 감시자]]||<:>이름을 줄여서 고감이라도 하고, 특수 능력도 없고 공격도 할수 없는 효과가 K리그의 [[박주영]]과 묘하게 일치해서 박주영이라고도 불린다. [* 고감에 도발 부여를 하면 수비수 출전, 침묵을 시켜 공격이 가능해지면 공격수 출전, 이라는 식의 드립도 있다. ~~그럼 침묵을 걸고 도발을 걸면 미드필더인거냐~~ --진정한 토탈사커--]|| ||<:>과학자, 증명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일반 등급 #s-2.2.2|미치광이 과학자]]||<:>과학자의 줄임말. 혹은 소환 대사의 일부인 '''"내가 보여주겠다! 모두에게 증명하겠다!"'''에서 착안.|| ||<:>광기,불장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2.4|광기의 화염술사]]||<:>광기의 연금술사도 있지만, 광기 하면 보통 이쪽을 지칭한다. 혹은 소환 대사의 일부인 '''"불장난, 좋아하냐!"'''에서 착안.|| ||<:>구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일반 등급 #s-2.2.3|불안정한 구울]]||<:>굶주린 식인 구울도 있지만, 구울 하면 보통 이쪽을 지칭한다.|| ||<:>기소봇||<:>[[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 #s-2.2.2|기계소환로봇]]||<:>기계소환로봇을 줄인 말.|| ||<:>낚시꾼, 월척이다||<:>[[내트 페이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내트 페이글]]||<:>페이글이 낚시꾼이라 붙은 별명. 월척이다는 페이글의 특수 효과로 카드를 뽑을 때 '''"월척이다!"'''는 효과음이 나는 데서 유래했다.|| ||<:>단검, 단검맨, 갓검 곡예사,단틀링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2.5|단검 곡예사]]||<:>단검 곡예사를 줄인 별명. 비용 대비 성능이 뛰어나서 앞에 갓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단검을 쏘는 것이 기관총과 같다고 하여 단틀링건이라고도 한다.|| ||<:>랩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3.3|붉은늪지랩터]]||<:>붉은늪지랩터를 줄인 말. || ||<:>매너스톰, 밀가루||<:>[[밀하우스 마나스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밀하우스 마나스톰]]||<:>카드팩에서 나오면 보통 가루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에 밀(하우스)+가루.|| ||<:>미역||<:>[[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2.6|마나 망령]]||<:>[[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148/575/197.png|일러스트]]를 언뜻 보면 미역과 유사하게 생겨서 붙은 별명.|| ||<:>보박딱||<:>[[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탐험가 연맹/일반 등급 #s-2.2.1|보석 박힌 딱정벌레]]||<:>보석 박힌 딱정벌레의 각 음절의 앞 글자를 딴 것. --"아만보는 박제가 딱이야!"가 아니다.-- || ||<:>수액, [[스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3.4|산성 늪수액괴물]]||<:>늪수액괴물을 줄인 말. 수액이 [[스웩]]과 발음이 비슷해 스웩이라고도 불린다.|| ||<:>악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3.2|민물악어]]||<:>민물악어를 줄인 말.|| ||<:>안녕이, 갓녕로봇, 악령로봇||<:>[[안녕로봇]]||<:>"'''안녕! 안녕! 안녕!'''"하는 안녕로봇의 소환 대사에서 딴 별명. 도발에 천상의 보호막이 붙은 사기적인 능력으로 갓녕로봇으로 주로 불린다. --상대가 내면 천하의 개쌍놈--|| ||<:>유령거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일반 등급 #s-2.2.4|유령 들린 거미]]||<:>유령 들린 거미를 줄인 말.|| ||<:>입찰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3.5|전리품 수집가]]||<:>등장 대사인 '''"입찰해도 될까?"'''에서 딴 별명.|| ||<:>종말맨, 종말이, 종마리, 김종말||<:>[[파멸의 예언자]]||<:>'''"종말이 다가온다!"''' 라는 소환 대사에서 딴 별명.|| ||<:>코볼트, 양초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3.6|코볼트 흙점쟁이]]||<:>'''"너, 양초 못 가져간다!"'''[* 플레이버 텍스트에도 써있듯이, 양초가 맞다.]라는 소환 대사에서 딴 별명이다|| ||<:>폭격수, 갓격수, 2코 화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3.7|정신나간 폭격수]]||<:>잘 터져서 상대 하수인을 잡는 경우에 한해 폭격수에서 갓격수로 격상... 정반대의 경우 내 명치에만 3딜을 다 박고 필드에 나올 경우에는 화염 임프를 2코스트로 냈다고 비웃으며 2코 화임으로 불린다.|| ==== 3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갓]][[갓]] [[갓갓갓]]||<:>[[용암 광전사]]||<:>'''[[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암 광전사]] 문서 참조.|| ||<:>갓보기, 경보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3.1|노움 자동경보기]]||<:>[[갓보기]] 문서 참조.|| ||<:>갓빼미, 빼미, 올빼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4.4|무쇠부리 올빼미]]||<:>너프 전 2마나였던 시절 적은 비용으로 침묵을 걸 수 있는 공용 카드였기 때문에 범용성이 좋아 갓빼미라고 불리고, 쉽게 줄여서 올빼미, 빼미라고도 한다.|| ||<:>검귀, 의무병||<:>[[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3.2|부상당한 검귀]]||<:>부상당한 검귀를 줄인 말, 또는 소환 대사인 '''"으.. 의무병!"'''에서 따온 별명.|| ||<:>고통이, 고통맨, 고수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4.1|고통의 수행사제]]||<:>고통의 수행사제를 줄인 별명.|| ||<:>망령||<:>[[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영웅 등급 #s-2.2.1|낙스라마스의 망령]]||<:>낙스라마스의 망령을 줄인 말.|| ||<:>비로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3.3|비전 골렘]]||<:>비전 골렘과 [[리로이 젠킨스]]의 합성어. 예전 리로이 젠킨스가 너프 당하기 전, 전설카드인 리로이가 없는 사람이나 비전골렘을 쓴다는 뜻에서 비로이라고 했었다. 비전 골렘마저 고신속에서 돌진이 삭제되는 너프를 받음으로서 사어가 되었다.|| ||<:>삭삭 삭삭삭||<:>[[용암 광전사#s-4.2|암용 광전사]]||<:>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용암 광전사와 완전히 반대되는 능력치를 가졌기 때문에 '갓'의 초성과 종성을 뒤집어 '삭'이라 부른다.|| ||<:>반스렌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대 마상시합/일반 등급 #s-2.3.5|은빛십자군 기수]]||<:>6마나인 은빛십자군 부대장의 정확히 반이 되는 능력치와 비용을 갖고 있어 생긴 별명. 반(半)+(노)스렌드|| ||<:>[[신도림역|신도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영웅 등급 #s-2.3.3|혈기사]]||<:>'''"신도레이에 영광 있으라!"''' 라는 소환 대사의 [[몬데그린]].|| ||<:>엉뚱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 #s-2.3.5|오우거 투사]]||<:>오우거류 하수인이 50%확률로 엉뚱한 적을 공격하는 데에서 나온 단어.|| ||<:>울언니, 울엄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4.1|가시덩굴 사냥꾼]]||<:>소환대사인 '''"뿔엄니한테 까불지마!"'''에서 뿔엄니의 [[몬데그린]].|| ||<:>[[좆]][[좆]] [[좆]][[좆]][[좆]]||<:>[[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대 마상시합/일반 등급 #s-2.3.2|얼음 광전사]]||<:>[[용암 광전사]] 문서 참조. --어째서 얼음 광전사의 별명인데 용암 광전사 문서를 참조해야 하는거냐-- ~~갓갓 갓갓갓과 달리 참회할 게 많아서 그렇다~~|| ||<:>죽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희귀 등급 #s-2.2.1|죽음의 군주]]||<:>죽음의 군주를 줄인 말.|| ||<:>TC, TC130||<:>[[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3.7|정신 지배 기술자]]||<:>소환 대사인 '''"TC130 정신 분열기 작동!"'''에서 TC130만 딴 표현. 참고로 TC일삼공이라 읽는다.|| ||<:>파그나로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3.9|파괴전차]]||<:> 턴이 시작할 때 2의 피해를 넣는 모습이 라그나로스의 하위 호환 같은 동시에 비교도 안 되게 성능이 떨어져서 이를 비꼬는 말.|| ||<:>크무새||<:>[[크툰(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s-3.2.4|크툰의 사도]]||<:>안녕로봇이랑 비슷하게 '''크툰! 크툰! 크투운!''' 해서 붙여진 별명.|| ==== 4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굶용||<:>[[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검은바위 산/일반 등급 #s-2.2.1|굶주린 용]]||<:>굶주린 용을 줄인 말|| ||<:>기계누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 #s-2.4.1|기계설인]]||<:>기계설인의 별명. 아래의 누누 항목 참고.|| ||<:>[[누누]], 설인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5.3|서리바람 설인]]||<:>[[리그 오브 레전드]]의 설인을 닮은 것에서 유래. 정작 그 설인은 윌럼프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고[br]위에 타고 있는 꼬마가 누누인데 롤유저나 돌겜 유저나 그냥 누누라고 부른다.--안습--[br]덩달아 기계설인도 기계누누라 불린다.|| ||<:>니엄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대 마상시합/일반 등급 #s-2.4.1|고약한 야유꾼]]||<:> [[패드립|소환 대사]]인 '''"니 엄마는 [[멀록]]이야!"'''에서 유래했다.[br]하지만 패치로 더 이상 니엄멀이라고 하지 않는다. ~~이제 대사마저 너프~~ ~~하스스톤에서 가장 심하며 또한 납득할 수 없는 너프라는 얘기가 많다.~~|| ||<:>도살장, 어린 양||<:>[[남작 리븐데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남작 리븐데어]]||<:> 남작 리븐데어의 공격대사 '''"도살장에 끌려가는 어린 양이로다!"'''에서 각각 따온 별명.|| ||<:>센진, 타즈딩고||<:>[[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5.4|센진 방패대가]]||<:>센진은 당연히 센진 방패대가의 앞 부분만 딴 것이고, 타즈딩고는 소환 대사에서 따왔다.[br]여담으로 타즈딩고는 트롤 언어인 잔달리로 파이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앙앙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5.4|기계용 정비사]]||<:>소환 대사인 '''"나랑 앙앙이 나가요!"'''에서 유래했다|| ||<:>울영||<:>[[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희귀 등급 #s-2.3.1|울부짖는 영혼]]||<:>울부짖는 영혼을 줄인 말.|| ||<:>주파||<:>[[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5.7|주문파괴자]]||<:>주문파괴자를 줄인 말.|| ||<:>케잔||<:>[[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희귀 등급 #s-2.3.3|케잔 비술사]]||<:>케잔 비술사의 앞 단어를 딴 말.|| ==== 5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나이사||<:>[[나 이런 사냥꾼이야]]||<:>나 이런 사냥꾼이야를 줄인 말. 해외에서는 Big game hunter를 줄인 BGH로 통한다.|| ||<:>미래절단기, 지절||<:>[[지옥절단기 #s-2|지옥절단기]]||<:>지옥절단기를 줄여 지절이라고도 부르고, 상대가 카드를 낼 때마다 자신의 덱에서 카드 3장을 태우는,[br]미래를 팔아 현재를 사는 효과 때문에 미래절단기로도 통한다.|| ||<:>[[박물관]], 존스||<:>[[해리슨 존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해리슨 존스]]||<:>뒷 글자만 따서 존스라고 부르거나, 소환 대사인 '''"이건 박물관으로 가야 해!"''' 에서 따 부르기도 한다.|| ||<:>[[손놈]], [[다들 모여]], 싸움이야?||<:>[[험상궂은 손님]]||<:>각각 [[손님]]의 멸칭인 [[손놈]]과 손님이 증식할 때 나는 소리인 '''"다들 모여"'''에서 딴 별명.[br]자세한 건 [[험상궂은 손님]] 문서 참고.|| ||<:>썩누, 썩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낙스라마스의 저주/희귀 등급 #s-2.4.1|썩은위액 누더기골렘]]||<:>썩은위액 누더기골렘을 줄인 말.[br] 소환 대사인 '''"내 속이 이상해"''', 혹은 이의 [[몬데그린]]으로 '내 속에 위산이' 로도 불린다. || ||<:>얼배, 얼배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영웅 등급 #s-2.4.2|얼굴 없는 배후자]]||<:>얼굴 없는 배후자를 줄인 말.|| ||<:>이익맨, 이익충||<:>[[연합용사 사라아드]]||<:>효과 발동 대사 '''"이익이 발생했군."'''에서 유래한 별명.|| ||<:>정타족, ETC||<:>[[정예 타우렌 족장(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정예 타우렌 족장]]||<:>각각 정예 타우렌 족장, 그 영문 명칭인 Elite Tauren Chieftain을 줄인 말. ETC라는 용어는 소환 시 위에 걸리는 간판 덕분에 친숙하다.|| ||<:>치봇, 힐봇||<:>[[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 #s-2.5.1|낡은 치유로봇]]||<:>낡은 치유로봇을 줄인 말. ~~힐을 하는 효과 때문에~~ 힐봇이라는 명칭도 널리 쓰인다. 사실 낡은 치유로봇의 영어 명칭이 'Antique Healbot'이다. || ||<:>택배맨||<:>[[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희귀 등급 #s-2.4.2|폭탄 투척수]]||<:>소환 대사인 '''"택배 왔어요!--헤헤헿헿헿--"''' 에서 유래|| ==== 6마나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리노, 부자맨||<:>[[리노 잭슨]]||<:>전자는 리노 잭슨의 이름. 후자는 리노 잭슨의 소환 대사 '''"우린 부자가 될거야!"'''에서 유래. 등장과 동시에 영웅의 생명력이 가득 차는 장면이 상당히 강렬하기 때문에 대사가 머리속에 각인되서 붙은 별명이다.|| ||<:>꿀주먹||<:>[[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7.2|돌주먹 오우거]]||<:>비용 대비 훌륭한 능력치와 오우거 하수인이면서 엉뚱한 적을 공격하지 않는 천재성 때문에 붙은 별명.|| ||<:>난다 날아, 난로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7.3|못 말리는 로켓병]]||<:>원래 초기에는 소환 대사인 '''''난다 날아!'''''라 부르다가,[br]전설 카드인 [[리로이 젠킨스]]가 없는 사람들이나 난다 날아를 쓴다는 뜻에서 난로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노스렌드, 북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6.3|은빛십자군 부대장]]||<:>'''"노스렌드로!"'''라는 소환 대사에서 따옴. 카드가 전체적으로 붉어서 북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소누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희귀 등급 #s-2.6.2|태양길잡이]]||<:>하스스톤에 몇 없는 타우렌 여캐로 누나라고 불린다.|| ||<:>실바, 여왕님||<:>[[실바나스 윈드러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실바나스 윈드러너]]||<:>실바나스의 줄임말, 혹은 밴시 여왕의 여왕이기 때문이 여왕님으로도 불린다.|| ||<:>케른||<:>[[케른 블러드후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케른 블러드후프]]||<:>케른 블러드후프를 줄인 말.|| ||<:>토미||<:>[[흑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s-2|해골 기사]]||<:>대 마상시합 전설 카드인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대 마상시합/전설 등급#s-2.4.3|해골 기사]]의 별명. [[BJ타요|타요]]가 이 카드에 대해 얽힌 ~~웃지 못할~~ 추억이 있다. 자세한 것은 [[흑기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s-2|해골 기사]] 항목 참조.|| ==== 7마나 이상 ==== ||
<#eaeaea><:>'''용어'''||<#eaeaea><:>'''본래 이름'''||<#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고간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s-2.6.1|막강 에너지 전차]]||<:>[[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204030933/hearthstone/images/7/7f/ForceTankMAX.gif|막강 에너지 전차의 일러스트]]에서 [[이말년 서유기]]의 [[고간포]]가 연상되어 붙은 별명.|| ||<:>구로막국수, [[막국수]]||<:>[[크로마구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크로마구스]]||<:>크로'''마구스'''를 의도적으로 막국수로 치환해서 부르는 별명. || ||<:>데사장(머사장), 머스윙, 임금잡채||<:>[[데스윙(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데스윙]]||<:>머스윙은 [[야민정음]], 임금 잡채는 패치 전 소환 대사인 "나는 힘 그 자체다!"라는 소환 대사의 [[몬데그린]].|| ||<:>도오올지이인,[br]저 앵무새는 뭐지||<:>[[하늘선장 크라그]]||<:>[[https://youtu.be/mxiLLAmH7IA?t=27s|대 마상시합 트레일러 영상]]에서 이 하수인이 나올 때 들리는, 여관주인의 "저 앵무새는 뭐--↗--지--↘↘↘--?"라는 노래에서 딴 별명. 또는 이 하수인의 설명에 '''도오올지이인(돌진)'''이라고 적혀있는 것에서 착안하여 도오올지이인이라고도 불린다.|| ||<:>라그, 벌레, [br]부레세레[br](불의세례)||<:>[[라그나로스(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불의 군주 라그나로스]]||<:>불의 군주 라그나로스를 줄인 말, 또는 [[라그나로스]]의 명대사인 '''"죽어라 벌레야!", "불의 세례를 받아라!"'''에서 각각 따와, 벌레나 부레세레로도 불린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17/read?articleId=27630747&bbsId=G005&searchKey=subjectNcontent&itemId=64&sortKey=depth&searchValue=%ED%95%98%EC%8A%A4%EC%8A%A4%ED%86%A4&pageIndex=1|이 만화로]] 인해서 라그의 제구력이 좋을 때 베,,스트,,오,,브,,베,,스트,,라고도 불린다.|| ||<:>바거, 와사비거인, 5급거인||<:>[[거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s-2|바다거인]]||<:>바다거인을 줄여서 바거라고 부르고, 일러스트의 주된 색상이 초록색 계열이라 [[와사비]]거인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등급전 5등급의 얼굴이므로 5급거인으로도 불린다.|| ||<:>박붐, 실력붐||<:>[[박사 붐 #s-2]]||<:>단순히 글자 수를 줄여서 '박붐'이라고도 하고, 박사 붐이 소환하는 폭탄로봇의 무작위성을 [[피지컬]] 또는 실력으로 칭하면서 생긴 용어. 해외에서는 Dr. Boom 대신 Dr. Balanced, 혹은 7턴의 최고존엄이라는 이유로 Dr.7이라고 부른다.|| ||<:>산거, 두부거인, 4급거인||<:>[[거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s-3|산악거인]]||<:>산악거인을 줄여서 산거라고 부르고, 일러스트의 주된 색상이 흰색 계열이라 [[두부]]거인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등급전 4등급의 얼굴이므로 4급거인으로도 불린다.|| ||<:>석사 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s-2.8.3|전쟁 골렘]]||<:>[[https://www.youtube.com/watch?v=u7PJRj6MINw|이 영상]]에서 유래한 별명.[br]박사 붐의 하위 호환이라 박사 과정 아래 과정인 [[석사]] 과정에서 별명을 따왔다. 경보기나 심리조작, 죽음의 군주의 죽음의 메아리 등으로 전투의 함성 없이 필드에 나간 박사 붐도 석사 붐 또는 학사 붐이라고 부른다.|| ||<:>스겜용, 스겜도르무||<:>[[노즈도르무(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노즈도르무]]||<:>서로의 턴을 15초로 제한하는 노즈도르무의 효과에서 나온 별명.|| ||<:>알렉, 어머니||<:>[[알렉스트라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알렉스트라자]]||<:>알렉스트라자의 앞 두 글자를 딴 줄인 말.[br]알렉스트라자의 이명인 생명의 어머니(Life-Binder)에서 따서 어머니라 칭하기도한다.|| ||<:>용거, 떡볶이거인, 3급거인||<:>[[거인(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s-4|용암거인]]||<:>용암거인을 줄여서 용거라고 부르고, 일러스트의 주된 색상이 빨간색 계열이라 [[떡볶이]]거인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등급전 3등급의 얼굴이므로 3급거인으로도 불린다.|| ||<:>[[69]]머신,수박서버||<:>[[전투 절단기 4000]]||<:>공격력 6, 생명력 9의 미묘한 능력치와 기계라는 종족값이 합쳐져 69머신이라고 불린다. 또한 소환 대사인 '안전 제한 작동 정지, 수확 서보 가동' 에서 수확 서보가 수박서버로 들려서 수박서버로도 불린다. || ||<:>이모, 세라누나||<:>[[이세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이세라]]||<:>생명의 어머니라는 이명을 갖고 있는 알렉스트라자와 친자매라는 점에서 착안,[br]이모라 칭하기도 한다.|| ||<:>죽창맨||<:>[[렌드 블랙핸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렌드 블랙핸드]]||<:>렌드 블랙핸드의 일러스트 에서 들고 있는 창이 [[죽창]]을 연상시키고 체력이나 보호막 여부에 상관없이 전설 하수인 하나를 단숨에 처치하는 모습이 [[죽창드립]]을 떠올리게 하기에 붙은 별명. || ||<:>즐겜용||<:>[[네파리안(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네파리안]]||<:>네파리안 출시 이전에는 무작위 카드 2장을 가져온다는 게 예능으로만 보였기 때문에, 노즈도르무=스겜용에 대응하여 즐겜용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막상 출시된 이후에는 무작위 직업카드라도 의외로 쓸만한 카드가 많다는 게 재발견되어 용덱에서 유용하게 써먹었던 하수인.|| ||<:>크라켄 빔,[br]부카케 크라켄,[br]북핵 크라켄||<:>[[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대 마상시합/일반 등급#s-2.7.1|북해 크라켄]]||<:>[[돌갤]]에서 북해 크라켄의 전투의 함성으로 피해를 주는 효과를 지칭하는 별명. 또한 효과로 물을 쏘는 모습히 심히 [[부카케]]같다는 이유의 별명. 투기장에서 고평가를 받아 [[북한|北]][[핵무기|핵]] 크라켄이라고도 한다.|| ==== 공용 연계 ==== ||
<#eaeaea><:>'''용어'''||<#eaeaea><:>'''뜻'''||<#eaeaea><:>'''이름에 관한 설명'''|| ||<:>노동노||<:>(후공 1턴에)[[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2.6|오염된 노움]]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기본 등급 #s-2.1.1|동전 한 닢]]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일반 등급 #s-2.2.6|오염된 노움]]||<:>노움이 1/1로 너프되기 전에 극혐이었던 연계. 1턴 후공에 2/1 하수인 2개가 올라오는데 선공 측이 1턴에 하수인을 내지 않았다면 2턴에 저것들을 모두 처리할 방법이 별로 없다. 설령 저 둘을 모두 처리한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4의 피해가 보장되며, 한 턴이라도 저것들이 살았다간 명치가 터져나가 골치아팠다. 주로 돌진 냥꾼이 사용했다.|| ||<:>영트영||<:>영웅 능력 + [[심판관 트루하트]] + 영웅 능력||<:>트루하트로 인해 영웅 능력이 변경되면 이미 기존 영능을 사용하였더라도 다시 한번 영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0마나를 모두 사용하여 영트영이 가능하다. 영트영을 시전하였을 경우 전사는 방어도 6이 쌓이고 사제는 6 회복이 가능하여 자신의 킬각이 잡혔더라도 급한 불을 끌 수 있다. 성기사의 경우에는 신병 3마리가 필드에 깔리게 된다. 나머지 영웅은 트루하트를 거의 채용하지 않으므로 생략.|| == 은어 == ||<#eaeaea><:>'''은어'''||<#eaeaea><:>'''본래 의미'''|| ||<:>'''갓승'''||<:>'''[[갓]]+[[승]]'''|| ||<-2><:>투기장에서 0승~3승을 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은어. 왜 하필 3승이냐 하면 대충 3승부터 투기장 입장료의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때문이다.[* 투기장 입장료는 골드로 150골드인데, 이 이상 승리를 거둘 경우 150골드 이상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참고로 순수하게 골드 보상으로만 150골드 이상을 받아 무한 투기장이 가능한 건 7승 이상부터. ][br]이 때 투기장을 마치고 나면 카드팩은 항상 1팩 이상[* 12승을 할 경우에 2팩을 주는 경우도 있다. 고신속 패치 이후 7승에서 팩 2개와 가루를 받은 경험도 있다.] 주는데 0~3승을 한 후 주는 카드팩에서는 전설 카드가 나올 확률이 높다는 [[루머]]가 있다.[br]하지만 ~~당연하게도~~ 증명되지는 않은 사실이고, ~~아만보 유저들이~~ 갓승을 하는 빈도수가 많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일듯. ~~그럴거면 그냥 카드팩을 까는 게~~ || ||<:>'''김치식 서렌'''||<:>미련을 가지고 이것저것 하다가 서렌을 치는 경우.|| ||<-2><:> 후술된 스시식 서렌이 유행하고나서 김치식은 무엇이냐는 논란이 나왔고, 미련을 못 버려 가능한 모든 행동을 하고 정신승리를 하는 모습이 한국답다해서 붙여진 별명.|| ||<:>'''나만의 XX 덱'''||<:>마치 등급전 덱처럼 뽑힌 투기장 덱|| ||<-2><:> 등급전에서 덱을 새로 만들면 나만의 (직업명) 덱 식으로 이름이 정해지는데, 그것처럼 투기장 덱이 무작위로 짜인 게 아니라 마치 자기가 쓰고 싶은 카드만 쏙쏙 골라 짜온 것처럼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또 다른 의미로는 안 쓰이는 여러 카드들을 넣고 등급전을 돌리는 경우에도 이 단어를 쓴다 || ||<:>'''동전산거'''||<:>동전 한 닢+산악거인|| ||<-2><:> 산악 거인은 손에 카드 한장이 있을 때마다 비용이 1 감소하는데 어떤 유저가 동전 쓰고 산거를 --피지컬로-- 빨리 내면 낼 수 있다는 발언을 해서 나온 말. 실제로 저러면 마나가 1 늘지만 산거의 비용도 1 올라가서 안 내진다. 이를 딴 '동전산거'라는 하스스톤 클랜 팀이 있다. || ||<:>'''명치충'''||<:>명치 + -충|| ||<-2><:> 필드에 하수인이 있든지 없든지 상관하지 않고 무조건 상대방 명치를 공격하는 사람 또는 덱을 비하하는 말. 주로 어그로 계열의 덱이 명치충 소리를 듣게 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사냥꾼이 있다. 탐험가 연맹 이후로는 신흥강자 어그로 주술사가 명치충의 계보를 이어가는 중. || ||<:>'''밧줄 메타'''||<:>쓸데없이 시간을 끄는 것.|| ||<-2><:> 하스스톤에서의 시간 제한은 75초로 종료하기 전 15초에는 밧줄(도화선)이 타들어가며 시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br]여기서 이 밧줄을 계속 태우면서 쓸데없이 시간만 끄는 경우를 빗댄 표현. 게임 내 대전상대 찾기 창에서도 '턴종료 버튼의 존재를 모르는 자'라고 깐다.|| ||<:>'''[[방패병]]'''||<:>하스스톤 게임 내에서 20등급에 해당하는 등급|| ||<-2><:>하스스톤에서 20등급까지는 패배해도 별이 감소하지 않기에 조금의 노력만 하면 누구나 올라올 수 있는 기본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서 유래하긴 했지만 현재 '''방패병'''이라는 단어는 대개 하스스톤 초보들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스타크래프트 2]]의 [[잡금]], [[리그 오브 레전드]]의 [[심해]]와 비슷한 의미로 볼 수 있다.|| ||<:>'''부끄사'''||<:>자신의 실수를 부끄러워 하며 서렌을 치는 행위.|| ||<-2><:> 치명적인 실수를 하여 게임이 순식간에 크게 기울었을 경우 의욕이 싹 날아감과 동시에 서렌을 치게 되는데 이를 부끄사라 한다. || ||<:>'''스시식 서렌'''||<:>서렌을 치지 않고 무기로 상대 하수인을 때리거나 자신에게 주문을 날려 자살하는 경우.|| ||<-2><:> [[카미카제]]나 [[할복]]처럼 항복버튼을 누르지 않고 자기 스스로 목숨을 끊어 게임을 종료하는 행위를 [[스시]]식 서렌이라고 부른다. 2015 블리즈컨에서 일본의 크노 선수가 자주 시연했다.|| ||<:>'''실력'''||<:>강한 운을 요구하는 모든 행위들의 접두사 혹은 운이 좋은 상황 그 자체.|| ||<-2><:>운에 의해 결과가 결정되는 모든 카드들을 비꼬아 접두사로 실력을 붙인다. 대표적으로 [[박사 붐|실력붐]], [[불안정한 차원문|실력문]],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전사 #s-1.4.2|실력투]],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흑마법사 #s-3.2.2|실력폭발]] 등. 혹은 운이 좋았던 플레이를 일컬어 모두 실력이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운빨좆망겜|실력으로 상대 벌목기에서 종말이를 뽑아 필드를 클리어했다, 라그 컨트롤 실력으로 상대 라그를 잡았다.]] 등등. 영어권에서도 skill이란 단어로 이를 비꼰다. 예를 들어 하스스톤을 skillstone이라고 부르거나 필요할 때 칼같이 나오는 불기둥, 즉 flamestrike를 skillstrike라고 부르는 등. || ||<:>'''실력갓흥겜'''||<:>[[운빨좆망겜]]의 반의어.|| ||<-2><:>실력에 따라 승패가 결정되는 좋은 게임이라는 뜻으로 운빨좆망겜과는 반대의 의미로 쓰인다. 때로는 반어법으로 누가 봐도 운빨로 이겼을 때 실력갓흥겜이다라도 쓰인다. || ||<:>'''[[아만보]]'''||<:>''''아는 만큼 보인다''''의 준말.|| ||<-2><:>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허세를 떤 어느 ~~원조 아만보~~ 유동닉 유저로부터 유래된 드립. [[http://gall.dcinside.com/hearthstone/74868|#]] 본래 아는 것도 없으면서 아는 척하는 유저를 비꼬기 위해 쓰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게임 지식이 부족한 유저들을 ~~싸잡아~~ 지칭하는데 주로 쓰인다. ~~위에서 언급한~~ 방패병, [[겜알못]] 등의 단어와 유사하게 쓰이는 은어. || ||<:>'''아끼똥'''||<:>아끼다 똥 된다의 준말.|| ||<-2><:> 광역기나 제압기 등을 더 큰 그림을 그린답시고 아껴뒀다가 결국 사용할 타이밍을 내지 못하고 비효율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사용한다.|| ||<:>'''오른쪽 메타'''||<:>갓드로에 여러 번 성공할 때 주로 나오는 말.|| ||<-2><:> 하스스톤에서 카드를 뽑으면 손의 제일 오른쪽에 들어오게 되는데 제일 오른쪽에 들어오는 카드로만 게임을 한다는 뜻.[br]즉, 게임을 오로지 갓드로만 하는 것을 빗댄 표현이다.|| ||<:>'''운빨좆망겜'''||<:>'''[[운빨좆망겜]]''' 문서 참조.|| ||<-2><:> 하스스톤의 대부분이 운빨에 달려있다고 해서 하스스톤을 비하하는 멸칭.|| ||<:>'''[[e스포츠]]'''||<:>운으로 유리한 결과를 얻었을 때, 이를 비꼬는 말.|| ||<-2><:> 유난히 운을 실력이라고 하는 등, 운적인 요소가 많은 게임이 e스포츠의 한 종목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을 비꼬는 말이다. 보통 순수하게 실력만이 주가 되는 게임이나, 운적인 요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력과 심리전이 더 큰 몫을 차지하는 게임들이 e스포츠로 인정받아 왔지만, 하스스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이를 비꼬는 사람들이 하스스톤 게임에서 기가 막힌 '''운빨'''을 볼 때마다 '''이게 e스포츠야?'''라는 말을 언급하면서 깐다. 그러나, 이 드립이 널리 퍼지면서 이제는 까거나 비꼬는 용도가 없음에도 단순 재미를 위해 e스포츠 드립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영어권에서도 이런 의미로 자주 쓰인다. 특히 영어로 unstable portal인 불안정한 차원문을 자주 줄여서 portal이라고 부르는데, 차원문에서 강력한 카드가 나올 경우 e-sportal이라고 자주 지칭한다.|| ||<:>'''[[인성질]]'''||<:>상대방을 도발하는 감정 표현 내지 비정상적인 마우스 커서질 및 시간 끌기 등의 행위 전반.|| ||<-2><:> [[인성질]] 문서 참고.|| ||<:>'''입하스'''||<:>입으로 하는 하스스톤, 거의 불가능한 콤보|| ||<-2><:> 입과 하스스톤의 합성어로, 입으로만 가능한 플레이, 즉 거의 불가능한 플레이라는 뜻으로 쓰이며, [[운빨좆망겜]]과 비슷하게 쓰인다. 유명한 입하스의 예로는, '동차밴', '위정땜'등이 있다.|| ||<:>'''정리충'''||<:>(필드)정리 + -충|| ||<-2><:> 명치충과는 반대로 무조건 필드를 깨끗하게 정리해놓으려 하는 사람을 비하하는 말. 대부분의 경우 필드를 정리하는 건 게임의 기본이지만, 정리도 정리 나름이지 비효율적인 카드 전개를 해가면서까지 상대방의 필드를 깔끔하게 정리하면 정리충 소리를 듣는다. 물론 성기사나 드루이드처럼 필드에 하수인 남겨놨다가는 피눈물을 흘리게 될 상대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르며, 명치충에 비하면 사용 빈도나 비하 강도는 낮은 편이다. || ||<:>'''카드깡'''||<:>하스스톤에서 산 카드팩을 까는 행위.|| ||<-2><:> 카드깡을 하거나 보는 것만에도 나름의 재미가 있기에 직접 카드팩을 산 후 하나씩 카드를 까는 것을 스크린샷이나 방송 등으로 중계를 하기도 한다.[br][[돌갤]]에서는 각종 필수 전설 카드들이나, 황금 전설 등이 나오면 알바[* "이렇게 잘 뜨니까 여러분도 카드팩 사세요." 라고 홍보하는 느낌이 들어서.]라고 하고, 카드깡이 망하면 비웃어주는 전통이 있다.~~[[하스스톤 갤러리#s-2.3|그리고 황금 위습이 나오면 개념글을 보내준다]]~~ || ||<:> '''클린'''||<:>말 그대로 깨끗하다는 뜻.|| ||<-2><:> [[디시인사이드]]에서 자신들의 갤러리는 [[분탕종자|분탕질]]이 없다는 뜻으로 사용했었는데,--클린 [[야갤]] 이라던지-- 이게 [[돌갤]]에서도 쓰여 돌냥, 파마기사 등의 노양심덱과 대조해 '''정정당당한 덱'''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조금이라도 대세를 타는 덱들은 죄다 노양심취급하며 실질적으로 클린덱=예능덱의 어감이 강하다.] 그냥 약한 덱을 비꼬는 의미로 쓸 때는 길게 늘여 '크-린' 이나 '클-린'이라고도 한다.||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투기장|투]][[카지노|박장]]'''||<:>'[[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투기장|투기장]]+[[카지노|도박장]]' 또는 투기장|| ||<-2><:>두 가지 설이 있는데, 투기장에 150골드나 2000배틀코인의 돈을 내고 들어와 운으로 카드를 선택해서 승리를 많이 하서 12승에 가까워질 수록 낸 돈 보다 더 많은 이득을 볼 수 있기에 생긴 별명이라는 설과, [[와갤]]에서 유래한 [[기드립|기→박]]이 투'''기'''장에 적용된 것이라는 설이있다. || ||<:>튀지컬||<:>튀기+피지컬|| ||<-2><:> 진 경기 끝나기 전에 튀는데 특화된 피지컬을 의미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확실히 승부를 결정짓는 패가 나와 나의 패배가 확정된 상황에서, 상대방의 공격 명령이 입력되기 전 재빨리 게임을 포기하는 행위다. 과거에는 상대가 공격 명령을 내린 후라면 공격이 끝난 후에야 항복을 하고 나갈 수 있었기에 튀지컬의 하한선이 높았다. 또한 튀지컬은 패색이 짙어진 상태에서 상대방의 손패에 나를 끝낼 수 있는 패가 무엇인지, 상대방이 어떤 킬각을 보유하고 있을지 예상하는 판단력을 요구한다. 고로 튀지컬은 하스스톤의 덱 메타를 어느 정도 파악해야만 갖출 수 있다. [[침착맨]]은 하스스톤 플레이어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능력으로 이 튀지컬을 꼽기도 했다.|| ||<:>'''[[피지컬]]'''||<:>'''[[피지컬]]''' 문서 참조.|| ||<-2><:>흔히들 요행~~운빨~~을 [[피지컬]]이라 한다. 운빨좆망겜 vs 실력갓흥겜의 구도에서 파생된 일종의 반어법. 운빨이 없으면 [[노력드립|노력이 부족하다]]고 드립친다.[br]또한 '동전산거를 내는 [[피지컬]]' 등과 같이 본래의 피지컬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피지컬이 된다고 동전산거를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피지컬이 부족한 사람의 변명입니다.-- || ||<:>'''하린이, 돌린이'''||<:>하스스톤+[[어린이]], 돌겜+어린이|| ||<-2><:> 뉴비, 초보를 일컫는 표현이다. || [[분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