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이딜린 디아스.jpg|width=100%]]}}} || || {{{#ffffff '''이름'''}}} ||하이딜린 프란치스코 디아스[br]Hidilyn Francisco Diaz||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 {{{#ffffff '''출생'''}}} ||[[1991년]] [[2월 20일]]([age(1991-02-20)]세), 남잠보앙가주 [[잠보앙가|잠보앙가시티]]|| || {{{#ffffff '''신체'''}}} ||149cm, 54kg|| || {{{#ffffff '''종목'''}}} ||[[역도]]||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하이딜린 디아스 금메달.png|width=100%]] || [[필리핀]]의 [[역도]] 선수이며, 필리핀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다. == 선수 경력 == === 유년 시절 === 1991년 필리핀에서 6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디아스의 아버지는 여러 직업을 전전하며 생계를 유지했을 정도로 그녀의 집안은 가난했으며, 그녀도 어린 시절부터 40L의 물통을 이고 수백 미터를 왕복하며 물을 길어 와야 했다.[* 이 때문에 그녀의 어린 시절 장래 희망은 [[은행원]]이였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무거운 물통을 더욱 효과적으로 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고, 이는 그녀가 역도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어린 시절에는 가난 때문에 별다른 장비 없이 일상적으로 들던 물통이나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시멘트를 들고 역도를 연습했다. 이를 반복하며 그녀는 역도를 자신의 삶처럼 여기게 되었고, 뛰어난 재능과 놀라운 끈기로 성인이 채 되기도 전에 국제대회에 참가했다. === [[2007년]]~[[2012년]] === 2007년 만 16세의 나이로 동남아시안 게임에 출전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08 베이징 올림픽]]에도 출전했다. 이는 필리핀 여자 역도 선수 중 최초의 올림픽 참가 기록이였으나, 메달은 획득하지 못했다. [[2012 런던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나 메달은 획득하지 못했다. === [[2016년]]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도 출전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시기에는 여러 대회에도 참가하며 입상했다. === [[2018년]] ===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체제 전복 가능성이 있는 인물들을 [[블랙리스트]]에 등재했고, 여기에는 하이딜린 디아스의 이름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녀는 이 소식을 접하자 당혹감을 표하며 체제 전복 연루 가능성을 부정했고, 이후 조사 결과 다이스가 체제 전복에 가담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어 블랙리스트에서 이름을 지울 수 있게 되었다. === [[2020년]] === [[2020 도쿄 올림픽]]에도 참가 의사를 밝혔으나, 당시 그녀가 보유한 돈으로는 훈련 경비를 마련할 수 없었다. 이에 그녀는 SNS를 통해 전 세계의 대기업 및 스포츠 후원자들에게 모금을 요청하며 겨우 경비를 마련했다. 이후 2020년 2월 중국 코치의 조언에 따라 말레이시아로 전지 훈련을 떠났다. 그러던 중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사태]]가 발생했고, 말레이시아 정부는 전국 체육관의 출입을 전면 통제하는 방역 조치를 발표했다. 당시 말레이시아에서 훈련 중이였던 디아스는 체육관 출입이 통제되어 연습할 장소가 없어졌다. 이후 그녀는 체육관과 역기 없이 훈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 [[파일:하이딜린 디아스 물통.webp|width=100%]] || > '''"바벨이 없어도 문제 없어. 대나무 막대랑 큰 물통 두 개만 있으면 돼. 힘들지만 여전히 가슴에 꿈을 품고 살아가."''' > ---- > 하이딜린 디아스의 SNS. 이에 그녀는 주변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대나무 막대와 큰 물통 두 개로 '''직접 역기를 만들어 운동'''하며 역도에 대한 의지를 불태웠다. 체육관 봉쇄 조치가 해제된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체육관에서 훈련할 수 있게 되었다. === [[2020 도쿄 올림픽]] === 55kg 이하 종목에 출전했다. 결승전에서 인상 종목에서는 97kg을 들어올렸고, 용상에서는 상대 선수였던 랴오추윈이 126kg을 들어올려 그녀는 평소 들었던 무게보다 2kg 더 무거운 무게를 들어야만 금메달을 따낼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그녀는 용상 127kg에 도전했고, 이를 들어올리는 데 성공해 도합 224kg으로 '''[[https://youtu.be/AV1zk6GFYu8|필리핀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 [[파일:하이딜린 디아스 눈물.png|width=100%]] || 금메달이 확정되자마자 그녀는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기뻐했고, 필리핀 내에서 그녀를 축하하는 트윗이 10만 개 넘게 포스팅되었다.[* 반응은 대체로 "올림픽에서 우리 국가가 울려 퍼진 건 처음이였다", "역사를 쓴 디아스에게 고맙다" 등 그녀를 순수하게 축하해 주었다.] 이 금메달 하나로 그녀는 물통을 들고 연습하던 가난한 소녀에서 '''국민 영웅'''으로 거듭났다. 필리핀 정부와 몇몇 기업은 그녀에게 '''포상금과 집'''을 선물하기로 결정했고, 그녀가 받게 된 포상금은 한화로 '''약 7억 5,000만 원'''이 넘는 엄청난 액수였다. 포상금을 지급한 주체에는 그녀를 블랙리스트에 등재한 대통령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두테르테 대통령은 화면으로 그녀에게 '과거는 물에 흘려보내자'라는 말과 함께 한화로 약 7,0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그녀가 블랙리스트에 등재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 파넬로도 "그녀의 위업은 우리 필리핀인을 자랑스럽게 만들었다. 모든 필리핀 선수들에게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것이 꿈이 아니란 사실을 일깨웠으면 한다. 축하해 하이딜린 디아스!"라는 글을 올리며 그녀를 축하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20 도쿄 올림픽|2020 도쿄]] || -55kg || || 은메달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2016 리우]] || -53kg || ||<-3> {{{#white 세계선수권}}} || || 동메달 || 2015 휴스턴 || -53kg || || 동메달 || 2017 애너하임 || -53kg || || 동메달 || 2019 파타야 || -55kg || ||<-3>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자카르타·팔렘방]] || -53kg || ||<-3> {{{#white 아시아선수권}}} || || 금메달 || 2015 푸껫 || -53kg || || 은메달 || 2019 닝보 || -55kg || || 동메달 || 2016 타슈켄트 || -53kg || ||<-3> {{{#white 동남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2007 나콘랏차시마 || -58kg || == 기타 == * [[2020 도쿄 올림픽]] 공식 홈페이지에 하이딜린 디아스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타액 검사 [[https://olympics.com/ko/video/hidilyn-diaz-on-why-athletes-anxiety-is-high|관련 영상]]이 올라왔다. * 올림픽에서 우승한 후 인터뷰에서 '신께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 필리핀에서는 그녀의 인생을 단막극으로 만들었다. [각주] [[분류:필리핀의 여자 역도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남잠보앙가 주 출신 인물]][[분류:필리핀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분류:2012 런던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역도 메달리스트]][[분류:2020 도쿄 올림픽 역도 메달리스트]][[분류:필리핀의 동남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7 나콘랏차시마 동남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