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테마]][[분류:유희왕/러시 듀얼/드래곤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기계족]] [include(틀:유희왕/러시 듀얼/테마)] ||<-6><#486D39><:> '''{{{#!html하이브리드라이브}}}''' || ||<-6><:><#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일러스트.png|width=100%]][br] ,,[[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384140 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하이브리드라이브''' (비공식 번역명)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ハイブリッドライブ'''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Hybridrive''' (비공식 번역명)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속성#빛|빛]][br][[유희왕 러시 듀얼/속성#땅|땅]]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드래곤족|드래곤족]][br][[유희왕 러시 듀얼/종족#기계족|기계족]] ||<-2><^|1><#fff,#191919> 효과[br][[조인테크]][br][[하이테크드래곤]]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카드 테마. == 설명 == [[각성의 버스트렉스]] 팩에서 데뷔한 땅 속성의 기계족과 빛 속성의 드래곤족을 혼합한 테마로, 본 테마의 공개와 함께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된 카드가 [[블루테크 버스트렉스]]라는 점에서 [[유희왕 고 러시!!]]의 두 주역인 땅 속성 / 기계족 덱을 사용하는 [[오도 유히]]와, 빛 속성 / 드래곤족 덱을 사용하는 [[오도 유아무]]의 덱을 조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주 목적인 테마로 보인다. 애초에 테마 이름이 들어간 퓨전 마법에 대놓고 해당 캐릭터들의 에이스인 [[조인테크 렉스]]와 [[블루투스 버스트 드래곤]]이 나와 있다. 아직은 땅기계인 [[조인테크]]에 기계쪽만 쓸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는데다 테마가 다른 테마 에이스를 쓰는 전제이면서 정작 자기끼리 노는 느낌이 강한 면이 있어 미묘하게 평가받는다. 카드풀이 늘거나 적합한 조합이 발견되면 평가가 변할 것으로 보인다. 에이스인 스크류드라이버부터 마법, 함정 같이 쓰라고 만든 블루테크 버스트렉스에 이르기까지 카드 대부분이 묘지의 기계와 드래곤을 덱으로 돌리고 효과를 쓴다는 특징이 있다. 즉 덤핑과 묘지 관리가 상당히 중요하다. 테마 이름은 '[[하이브리드]]'+'[[드라이브]]'의 조어. 디자인의 경우, 기계족 몬스터들은 용종의 껍데기를 뒤집어 써서 드래곤으로 의태한 로봇 형태인 반면 드래곤족 몬스터들은 반대로 두터운 기갑으로 중무장하여 로봇처럼 보이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두 종족의 요소를 합친 '[[하이브리드]]'로서의 컨셉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카드 목록 == === 효과 몬스터 === ==== 하이브리드라이브 스케일 ==== [[파일:HybridriveScale-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스케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スケイル, 영어판명칭=Hybridrive Scal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700, 종족=기계족, 조건=자신 묘지에 몬스터(빛 속성 / 드래곤족)과 몬스터(땅 속성 / 기계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추가로 이 턴에\, 몬스터(드래곤족 / 기계족)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묘지에 빛 드래곤과 땅 기계가 모여있으면 매우 간단한 조건으로 더블 코스트 요원으로 쓸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03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하이브리드라이브 터스크 ==== [[파일:HybridriveTusk-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터스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タスク, 영어판명칭=Hybridrive Tus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700, 종족=기계족, 조건=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 묘지의 "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덤핑 후 스크류드라이버를 회수할 수 있다. 묘지에 스크류드라이버가 없어도 묘지 자원이 많이 필요한 테마 특성상 매우 도움이 되고 스크류드라이버를 계속 회수해 초반 비트를 도와줄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04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하이브리드라이브 리저드 ==== [[파일:HybridriveLizard-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리저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リザード, 영어판명칭=Hybridrive Lizar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700, 종족=드래곤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하이브리드라이브 스케일" 또는 "하이브리드라이브 터스크"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묘지 쌓기와 전개를 도와주는 스케일과 터스크를 회수해준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05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 [[파일:HybridriveScrewdriver-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リザード, 영어판명칭=Hybridrive Screwdriv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600, 종족=드래곤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드래곤족) 2장과 몬스터(기계족) 2장을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추가로 다음 상대 턴 종료시까지\, 서로는 이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와 원래의 카드명이 같은 몬스터를 앞면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하이브리드라이브의 단독 에이스. 조건만 달성하면 레벨 등 제한 없이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다. 거기에 다음 상대 턴 종료까지 파괴한 몬스터를 다시 소환 못하게 막는다. 특정 에이스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덱에서 해당 카드를 파괴하는데 성공했다면 매우 유리해질 수 있다. 그리고 흔한 경우는 아니겠지만 자기 몬스터를 터트려도 제한이 적용되기에 미러전에서 핵심 몬스터를 스스로 터트려 제한을 만들 수도 있다. 다만 테마 마법, 함정 대부분이 묘지 몬스터 돌리는 게 조건이라 신중하게 쓸 필요가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06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마법 카드 === ==== 하이브리드라이브 백퓨전 ==== [[파일:HybridriveBackFusion-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백퓨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バック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Hybridrive Back Fus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드래곤족 / 기계족)를 합계 4장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드래곤족) 1장과 몬스터(기계족) 1장을 소재로서 덱으로 되돌리고 퓨전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퓨전 몬스터로밖에 공격할 수 없다.)]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드래곤족|드래곤족]],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기계족|기계족]] 테마 전용 퓨전 마법. 상대 몬스터를 소환시켜주고 발동해야 해서 선공에는 못 쓰고 발동 조건 충족을 위해 묘지의 몬스터 4장+ 퓨전 소재를 몬스터 2장 합계 6장 써야 하지만 [[세븐즈 원더 퓨전]]처럼 묘지 퓨전을 할 수 있다. [[블루테크 버스트렉스]]의 경우 세트시켜준 몬스터를 몬스터를 파괴해 디메리트를 상쇄함과 동시에 타점을 확보할 수 있다. 같은 테마에 속하는 터스크, 스케일 등의 덤핑 요원과 [[니게이터 드래곤]], [[라이트웨이브 드래곤]]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조건을 만족하는데 도움이 된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52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하이브리드라이브 리스트럭트 ==== [[파일:HybridriveRestruct-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리스트럭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リストラクト, 영어판명칭=Hybridrive Restruc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빛 속성 / 드래곤족) 2장을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땅 속성 / 기계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소생용 마법 카드. 묘지 자원만으로 레벨 제한도 없이 몬스터를 살릴 수 있는 건 좋지만, 빛 속성 / 드래곤족 몬스터를 되돌리고 땅 속성 / 기계족만 되살릴 수 있으니 응용력이 떨어진다. 그리고 땅 기계 회수가 목적이라면 디메리트가 있다지만 [[조인테크 레오]]도 있다. 게다가 테마 내 에이스인 스크류드라이버는 드래곤족이라 소생이 안되고 [[조인테크 렉스]]는 일반 소환 시에만 효과를 쓸 수 있으니 바닐라가 된다. 제대로 활용하고 싶다면 [[조인테크]] 테마 등의 다른 땅/기계 카드를 넣는 게 좋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테마가 앞으로 장기 지원이 기대되니 카드풀이 늘어나 다른 땅/기계 에이스가 등장하면 평가가 변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땅/기계인 [[크래프터 드론]]을 개조하는 듯한 모습이 나와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53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함정 카드 === ==== 하이브리드라이브 범퍼 ==== [[파일:HybridriveBumper-RDKP17-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하이브리드라이브 범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イブリッドライブ・バンパー, 영어판명칭=Hybridrive Bump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자신 묘지의 몬스터(드래곤족 / 기계족)를 합계 4장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공격해 온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600 내린다. 이 효과의 조건으로 되돌린 몬스터의 종족이 2종류일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9 이하)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조인테크 범퍼]]를 의식한 반격용 함정 카드. 직접 공격 대응인 범퍼와 달리 몬스터끼리 배틀할 때 쓰는 게 좋은 카드이다. 물론 직공 시에도 데미지를 줄일 수 있지만 반격으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는 게 더 좋기 때문. 그리고 드래곤과 기계를 모두 돌리고 발동했다면 상대의 레벨 9 이하라는 매우 넓은 범위에서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공격을 최대 2회까지 차단할 수 있다. [[맥시멈 몬스터]]에는 파괴가 안 먹히지만 타점 감소 수치가 꽤 높으니 충분히 반격을 노릴 수 있다. 다만 하이브리드라이브와 에이스인 [[블루테크 버스트렉스]]를 쓰는 기본 플레이에도 묘지 자원이 많이 필요한데 반격용 카드인 이 카드가 쓸 묘지 자원이 남아날지는 의문이다. ||수록 시리즈 || ||<(> 2024-05-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7-JP059 | '''[[각성의 버스트렉스|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참고 카드 == * [[블루테크 버스트렉스]] 같은 팩에서 처음 등장한 카드인 만큼, 하이드라이브 백퓨전 등을 응용하여 대놓고 본 테마와의 연계할 것을 의도하고 있다. * [[조인테크 버스트드래곤]] * [[라이트웨이브 드래곤]], [[니게이터 드래곤]] 빛/드래곤의 덤핑 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