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2 하이웨이맨}}}''' (2019)[br]''The Highwaym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highwaymen.jpg|width=100%]]}}} || || '''{{{#000000 장르}}}''' ||드라마, 전기 || || '''{{{#000000 감독}}}''' ||존 리 행콕 || || '''{{{#000000 각본}}}''' ||존 푸스코 || || '''{{{#000000 원작}}}''' || || || '''{{{#000000 제작}}}''' ||케이시 실버 || || '''{{{#000000 촬영}}}''' ||존 슈워츠만 || || '''{{{#000000 편집}}}''' ||로버트 프레이즌 || || '''{{{#000000 음악}}}''' ||[[토머스 뉴먼]] || || '''{{{#000000 주연}}}''' ||[[케빈 코스트너]], [[우디 해럴슨]], [[캐시 베이츠]] || || '''{{{#000000 주제곡}}}''' || - || || '''{{{#000000 촬영 기간}}}''' || || || '''{{{#000000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니버설 픽처스]]'''[br]케이시 실버 프로덕션 || || '''{{{#000000 배급사}}}'''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 || '''{{{#000000 공개일}}}''' ||[[2019년]] [[3월 29일]] || || '''{{{#000000 화면비}}}''' || || || '''{{{#000000 상영 시간}}}''' ||132분 || || '''{{{#000000 제작비}}}''' ||4,900만 달러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 -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000000 공식 홈페이지}}}'''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1930년대 미국의 연쇄 살인마 [[보니와 클라이드]]를 잡은 [[텍사스 레인저]]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 예고편 == ||
[youtube(gAQPlRxUPjc, width=640, height=360)]|| || 넷플릭스 공식 예고편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프랜시스 오거스터스 해머 役 - [[케빈 코스트너]] * 벤저민 매니 골트 役 - [[우디 해럴슨]][* 우디 해럴슨 배우는 모티브를 준 동일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된 또 다른 영화 [[올리버 스톤의 킬러]]에서는 살인범 역할을 맡기도 했다.] * 미리암 퍼거슨 주지사 役 - [[캐시 베이츠]] * 리 시몬스 役 - 존 캐럴 린치 * 테드 힌튼 부관 役 - [[토마스 만(배우)|토마스 만]] * 밥 알콘 부관 役 - 딘 덴튼 * 글래디스 헤이머 役 - 킴 디킨스 * 헨리 배로우 役 - 윌리엄 새들러 * 아이비 멜빈 役 - W. 얼 브라운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 등으로 인해 [[텍사스 레인저]]가 없어진 텍사스 주에서는 [[보니와 클라이드]]가 살해와 강도 짓을 저지르며 돌아다니지만 아무도 저지하지 못하고 사람들은 그들을 로빈 후드마냥 찬양한다. 결국 주지사는 최후의 수단으로 자신의 손으로 은퇴시킨 베테랑 레인저, 프랭크 해머를 불러들이고 해머는 파트너이자 현역 시절 동료 중 유일하게 늙어죽지 않은 골트와 함께 보니와 클라이드를 막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 재밌는 점은 기업 보안관련 일을 하고 도시에서 풍족한 은퇴생활을 하는 해머는 다혈질적이고 처음 보는 사람과의 친화력이 떨어지지만 시골 황무지에서 손자를 돌보며 빈곤하게 살아가는 골트는 주먹보다는 말로 먼저 해결하려고 하며 친화력이 좋은 편이다.] 해머와 골트는 능력 부족으로 자신들을 다시 불러들인 주제에 그들을 견제하는 주지사 직속 수사기관과 FBI의 텃세, 보니와 클라이드를 의적으로 생각하는 시민들의 비협조, 함정작전의 실패를 극복하고 결국 보니와 클라이드의 동료의 아버지 메스빈과 접촉하는데 성공한다. 아들을 살려주는 것을 조건으로 보니와 클라이드의 체포에 협조하기로 한 메스빈은 자신의 집으로 통하는 일방통행로로 그들을 유인해 사살하는 계획에 동참한다. 계획대로 보니와 클라이드가 약속된 장소에 나타나자 매복하고 있던 해머, 골트와 동료 경찰들은 수백 발의 총알을 보니와 클라이드가 탄 자동차에 난사해 강도커플을 사살하는데 성공한다. 그렇게 사건은 끝을 맞이하지만 보니와 클라이드의 시체가 그대로 있는 자동차를 경찰이 견인해가자 수많은 군중들은 영웅이라도 잃은 마냥 슬퍼하고, 돈에 눈이 먼 언론사는 해머에게 보니와 클라이드의 죽음에 대한 독점 인터뷰를 요청한다. 해머는 질렸다는 듯이 아무 말 없이 떠나버리고 골트는 관계자에게 부끄러운 줄 알라는 말을 남기고 떠난다. 두 사람이 고속도로를 타고 돌아가는 장면으로 영화는 끝난다. == 평가 == ## 영화 코드란, 개별 영화를 구분하기 위해 숫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번호입니다. 해당 사이트 UR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메타크리틱의 경우 'https://www.metacritic.com/movie/aquaman/critic-reviews'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aquaman' 부분이 코드입니다. ## 야후 재팬 영화의 경우 'https://movies.yahoo.co.jp/movie/%E3%82%A2%E3%82%AF%E3%82%A2%E3%83%9E%E3%83%B3/365472/'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일본어 부분은 무시하고 '365472'만 적으면 됩니다. ## 왓챠의 경우 URL이 'https://watcha.net/mv/aquaman-2018' 형식에서 'https://watcha.com/ko-KR/contents/mWqJbZX' 형식으로 바뀌었습니다. 'mWqJbZX'가 코드입니다.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highwaymen, critic=58, user=7.2)]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highwaymen, tomato=57, popcorn=73)] [include(틀:평가/IMDb, code=tt1860242, user=6.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 기타 == 보통 보니와 클라이드에 대해 미화된 요소가 상당히 범벅된 대중매체와는 달리 이 영화는 그러한 미화를 싹 거두고 보니와 클라이드가 왜 사살해야만 하는 극악무도의 범죄자인지를 그들이 저질러온 범죄들을 사실주의적으로 적나라하게 묘사한 건 물론 이러한 범죄행각을 영웅의 서사시처럼 여기며 동조하고 옹호하는 당시 시대의 국민들의 군중 심리, 그리고 이들을 잡기 위해 주인공들을 고용했으면서 배척하거나 방해하고 이들을 이용해 자신의 지위를 드높이려는 무능한 정부들의 태도를 비판하는 요소가 특징이다. [[분류:2019년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영화]][[분류:미국의 전기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범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