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YRMS-106 Hi-Zack}}}''' || || [[파일:Hizack-pre.jpg|width=95%]] ||<:> [[파일:Hizackback1.jpg|width=90%]] || ||<-2> {{{#!folding [제원 펼치기 · 접기] ||
형식 번호 ||<-2> RX-107 || || 분류 ||<-2> 프로토타입 범용 모빌슈트 || || 명칭 ||<-2> 하이잭 선행 양산형 [br] Hi-Zack Pre-Production Type [br] ハイザック先行量産型 || || 제작 ||<-2>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 || 조종 ||<-2> 리니어 시트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 || 파일럿 ||<-2> [[칼 마츠바라]] [br] [[웨스 머피]] || || 배치 ||<-2> U.C.85 .7 || || 엔진 ||<-2>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 발전기 || || 고정무장 ||<-2> 숄더 실드 || || 옵션무장 ||<-2> 빔 라이플 || || 소속 ||<-2> [[TTT]] || }}} || [목차] == 개요 == YRMS-106 Hi-Zack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중 '[[Advance of Zeta]] - 티탄즈의 깃발 아래'에서 등장하는 [[모빌슈트]]로 [[티탄즈]]가 MS의 추가 배치를 요구하자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에서 개발되었던 시험형 기체이다. == 상세 == [[티탄즈]]는 지온군 잔당 및 [[에우고]]의 활동을 저지하기 위해 그간 규모가 확대되어왔으며, 이에 따라 MS의 추가 배치가 필요했다. 물론 지구연방군 신형 기체인 [[하이잭]] 개발에 참여하고 있었기에 티탄즈에서도 정식 채용을위한 평가 시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하이잭]]의 외형이 아무래도 [[자쿠]]와 비슷한 형상이라 티탄즈 부대원들은 이를 꺼렸으나 궁극적인 대안이 없어 하이잭을 계속 밀고 나갈 수 밖에 없었다.] 이 때 사용된 것이 하이잭 선행 양산형이며, 일찍이 지온의 군수 공장을 흡수해 지온계의 기술자들을 가지고 있었던 애너하임이 개발을 맏게 되면서 외형은 [[자쿠 II]] 등의 기체에 가깝게 되었다. 이후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약간의 개량을 실시, 본 제품은 하이잭으로 정식 채용되게되었다. 이 선행 양산형은 실제 양산된 하이잭과 달리 남색과 검은색을 주요 배색으로 삼고 있으며 각 부의 형태도 미묘하게 다르다. 동력 파이프는 매끈한 모양새이고 완부의 것이 없는 대신 허벅지에도 동력 파이프가 달려있다. 다리 스러스터의 경우 보조 추진 시스템이며, 목적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 외 양산형에 보이는 다리와 백팩의 편향판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기체 자체의 신뢰성도 높고 전투 효율과 생산라인의 간소화가 큰 특징이었고, 모듈식 구조를 가져 쉬운 개조 및 개수가 가능했기에 [[바이잭 TR-2 빅위그]]의 코어유닛으로써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빔 라이플의 실전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면서 출력 부족 문제가 대두되었기 때문에 [[건담 TR-1 헤이즐]]과 같은 E팩을 장착한 E팩 홀더를 전완부 래치에 장착한다. == 파생형 == * RMS-106C 하이잭 캐논 [[짐 스나이퍼 III]] 에서 테스트 한 캐논 팩은 동시에 여러 빔 무기를 사용할 수 없는 하이잭의 화력을 증대시키고자 부착 할 수도 있다. 캐논 팩과 탈부착 할 수 있는 흉부 범용 장갑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품 교체만으로 큰 수정없이 부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이잭은 이런 식의 모듈식 교체를 통해 높은 운영 유연성을 제공받는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더 높은 제네레이터 성능을 가진 모빌슈트의 등장으로 이 바리에이션은 양산되지 않게 된 대신 특정 경우에 한해 후방 지원에 사용되었다. * [[바이잭 TR-2 빅위그]] [[분류:하이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