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YAM-008-HI_Hyperlion_000.jpg]] [목차] == 설명 == || 형식번호 || XAM-008-HI || || 분류 || 인간형 / [[우주선]] || || 종별 || 합체형태 || || 소속 || [[프로젝트TD]] || ||<|2> 개발 || [[피리오 프레스티]] || || [[츠구미 타카쿠라]] || || 제조 || [[이스루기 중공]] || || 생산형태 || 원오프 모델 || || 전고 || 29.5m || || 중량 || 107.9t || || 승무원수 || 3명 || ||<|3> 탑승자 || [[아이비스 더글라스]](주 제어 담당) || || [[츠구미 타카쿠라]] (내비게이션 담당) || || [[슬레이 프레스티]] (화기관제 담당) || {{{+1 ハイペリオン / HYPERLION}}} [[게임]]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나오는 메카닉.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에서 [[주인공]] 기체 중 1기로 첫 등장했으며, [[슈퍼로봇대전 OG|OG 시리즈]]에는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부터 참전했다. α [[알테리온]]과 β [[베가리온]]이 합체해 탄생하는 프로젝트TD의 최종적인 결과물. 시리즈 77의 최종 완성형인 오메가(Ω). [[알테리온]]과 [[베가리온]]이 도킹하는 것으로 완성되는 최소 사이즈의 항성간항행선으로 [[테슬라 드라이브]]가 무려 4개가 되어 충분한 가속거리만 있다면 이론상 최고속도는 [[아광속]]에 달한다. 프로젝트 TD의 본래 목적은 소형의 항성간항행선 개발이므로 어쩔 수 없이 무장을 달았다고는 하나 본래라면 CF 형태로 합체한 다음 거주 모듈등을 탑재하는 것이 올바른 운용법이다. 알테리온처럼 순항형인 크루즈 피규어(CF) 모드와 [[휴머노이드|인간형]]인 돌 피규어(DF) 모드로 변형 할 수 있으며 본래는 CF로 합체하지만[* 3차알파 GRaMXs 피니시 연출에서 잠시 볼수 있다[[https://youtu.be/qKKp4TfIIiU?t=188|#]].] 게임중에서는 DF 모습이 기본으로 되어있다. 또한 설정의 대가 오노 세이지 답게 2차 알파 시절에도 [[:파일:Co0w20wUIAA5gmg.jpg|제대로 된 뒷모습을 그려놨는데]], 이 뒷모습이 묘하게 굴욕적이라 [[건담 하루트#s-5.1|알테리온의 다리가 베가리온 파트 쪽으로 수납되었지 않았을까]] 생각해 왔었던 플레이어들의 상상력을 말 그대로 산산조각내준다(…). 파일럿은 [[아이비스 더글라스]], [[슬레이 프레스티]], [[츠구미 타카쿠라]] 등 셋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이페리온이란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히페리온]](하이페리온)에서 따온 것이지만, 영문 철자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하이퍼-리온이라는 중의적인 뜻도 담고 있다. == 작품별 행보 == === α 시리즈 === || [youtube(6tAftgX2tlo)] || [youtube(qKKp4TfIIiU)] || ||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 ||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 ||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의 아이비스 편 37화에서 등장. 주인공기 중에서도 성능이 높은 편에다가 무기 체계가 다양하고 아이비스가 패견 모드에서 각성하는 바람에 능력치가 급격히 상승한 덕에, 체감적으로 느끼는 파워업이 상당하다. 수치상 공격력은 그리 높은 편이 아니지만 아이비스가 혼 보유자인지라 대미지도 꽤 잘 나오는 편.[* 2차 알파는 주력들 공격력들이 별로 차이 안 나는 시리즈이다. [[강철 지그]]만 제외하면.]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에서는 세레나 루트에서만 등장. [[베가리온]]과 [[알테리온]]은 시리즈 각각 초반, 중반에 합류하나 정작 합체가 가능해지는 화는 44화 마이 홈 마이 프렌즈에서나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작 합류는 늦는 편이다. 그래도 GRaMXs 피니시가 급정지 후 [[포인트 블랭크|영거리 GG캐논 사격]]에서 CF로 변형 후 소닉 세이버로 꿰뚫기로 바뀌는 등 일부 연출을 새로 그렸다. ~~하지만 2차 알파에 비해 연출이 구리다고 많이 까였다.~~ 결정적으로 세레나 루트에서만 등장하는 것 때문에 육성에서 손해를 많이 보고 팀TD 3인방 중 혼 가진 사람이 아무도 없는지라 안그래로 대미지 인플레가 심한 3차 알파에서 완전히 밀려버렸다. === OG 시리즈 === || [youtube(-pduP6dhqEA)] || ||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 [[슈퍼로봇대전 OG|OG 시리즈]]에서는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에서야 비로소 참전. 후반에서는 우주에 있는 부대가 [[바랄(슈퍼로봇대전)|바랄]]과 [[루이나(슈퍼로봇대전 시리즈)|루이나]]의 배리어를 돌파해서 지구로 강하하는 열쇠가 된다. 츠구미의 설명에 의하면 하이페리온에 사용된 제 3세대의 트윈 테슬라 드라이브 2기가 최대 동조로 쿼드 모델이 되면 디스크리트 스피어라는 일종의 결계가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바랄과 루이나의 배리어가 충돌하는 틈새를 비집고 [[그랑존]]의 왜곡 필드로 구멍을 넓혀서 진입한 것. 개발자인 피리오의 이론에 의하면 "시공연속체조차도 가를 수 있다(즉 시공간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하지만 아직은 이론상의 영역이다.[* 중요한 건, 하이페리온이 결계에 구멍을 낸 순간 그걸 그랑존이 왜곡필드로 늘려 놨다는 건 시공간 도약까지도 가능한 기체가 내는 최대속도를 [[그랑존]]이 '''바로 뒤에서 바짝 따라붙었다'''는 거다(...). 물론 설정상 아직 안된다고 하고 그랑존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중력간섭 무효'''에 왜곡필드까지 갖춘 그랑존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걸지도... --하지만 게임내에선 밸런스 상 운동성이 영 안 좋다-- --어째 이녀석은 날이 갈수록 강해지냐--] [[웬드로]]가 말했던 항성간 타격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것을 말하는 듯하다. [[알테리온]]과 [[베가리온]]이 따로 출격해서 맵 상에서 합체했던 알파 시리즈와 달리 OG 시리즈에서는 처음부터 하이페리온인 상태로 출격한다. 그리고 맵 상에서 분리/합체는 알파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 관련 항목 == *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 메카닉]] * [[아머드 모듈]] * [[리온 시리즈]] * [[CTM]] - 소닉 세이버, G드라이버 이외의 미사일 무장은 여기서 기술한다. [[분류:리온 시리즈]][[분류: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오리지널 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