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손오의 인물, rd1=하정(손오))] 何楨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위(삼국시대)|조위]], [[서진]]의 [[신하]]이며 자는 원간(元干)으로 [[동진]] 시기에 지낸 [[하충]]의 증조할아버지. [[양주(중국)|양주]] 여강군 잠현 사람. == 생애 == 집이 가난해 [[갈대]]를 짜서 부채를 만들어 팔아 부모님을 모셨으며, [[정시]] 연간[* 240 ~ 249년이다.]에 홍농 [[태수]]를 지내다가 [[조엄]], 황휴, 곽이, [[순의]], [[종육]], [[유애]] 등과 함께 [[호소(삼국시대)|호소]]를 [[천거]]했다. 257년 [[제갈탄]]이 [[제갈탄의 난|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정주]], [[서주(중국)|서주]], [[형주]], [[예주]]와 [[관동]]에서 부대를 징집해서 모두 [[화이베이|회복]]으로 모여 군대를 [[항]]에 주둔시킬 때 [[정위]]로 있던 하정이 부절을 지니면서 [[회남]]으로 나아가 병사들을 위로하면서 반역, 충성, 형벌, 포상 등을 밝혀 알렸다. [[오(삼국시대)|손오]]의 [[장엄(삼국지)|장엄]]이 조문차 방문했을 때는 [[양호(삼국지)|양호]]와 친분을 맺었으며, 누후에 봉해졌다가 271년 [[흉노]]의 우현왕 [[유맹]]이 봉기해 공야성에 주둔하자 하정은 부절을 지니고 감군으로 갔다. 하정은 평소 지략이 있었고 272년 정월에 여러 번 공격해 이겼지만 유맹의 무리들이 흉악하고 사나워 적은 군사로 그들을 제압할 수 없다고 여겨 몰래 이익을 가지고 유맹의 부하인 좌부수 이각[* [[후한]] 말의 [[군벌]] [[이각]]과 동명이인이다.]을 유혹해 유맹을 ~~[[팀킬]]~~ 죽이게 만들면서 그들이 [[항복]]했고 흉노는 두려워하면서 복종해 여러 해 동안 다시 배반하지 않았다고 한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hezhen.jpg]] || || 삼국지 9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83.jpg|width=400]] || || 삼국지 13 PK, 14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는 [[제갈탄(삼국지 시리즈)|제갈탄]] 반란 진압에도 참여했기 때문인지 통솔 70, 무력 64, 지력 74, 정치 72라는 어정쩡한 능력치와 대충 만든 듯한(...) 일러스트를 가지고 있다.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몽충, 정란, 파괴,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거꾸로 편 채 위로 들어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48/74/72. 중신특성은 적중작적이며 특기는 문화 2, 설파 8, 교섭 6, 언변 6. 전수특기는 특이하게도 설파보다 6 낮은 문화다. 거슬린다면 전수특기를 설파로 변경해주자. 전법은 기병선동. 병과 적성은 모두 C.[* 이전에는 B/C/B로 표기되어 있었으나 이건 중신특성을 포함해서 하나씩 오른거고 실제론 C/C/C가 맞다. 그래도 모든 C 적성을 가진 사실장수 중에선 통솔이 높은 편이다.] [[하증]]과 마찬가지로 한국어판에서 '하후정'으로 표기되는 오류가 있다. [[삼국지 14]]에서는 ~~드디어~~ 하증과 함께 하정이란 명칭으로 제대로 개선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51, 지력 74, 정치 71,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문화, 친선, 소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안행, 장사, 전법은 저지, 치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정, version=81)] [[분류:조위의 인물]][[분류:서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