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夏侯}}} [목차] == 개요 == 중국의 성씨. [[삼국지]]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성씨는 대한민국에도 있는 성씨이지만 이 성씨는 삼국지의 성씨 중 중국에만 있고 한국에는 없는 몇 안 되는 성씨 중 하나이다. 밑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상 초한지와 삼국지에서만 등장하는 일족이다. == 역사 == 원래 시조는 하나라 [[우(하나라)|우왕]]이다. 하나라가 망한 후, 상나라가 세워졌는데, [[주무왕|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우왕]]의 자손들을 기(杞)에 봉했다. 이들은 사(姒)를 성으로 삼았다. 간공(簡公) 시절 그 동생인 공자 타(佗)는 형과의 알력끝에 노나라에 망명했고, 노나라 도공(悼公)은 기나라의 조상인 우왕이 [[하나라]]를 세웠다는 사실을 상기하여 공자 타를 후(侯)로 삼았다. 그 이후 공자 타의 일족은 자기 조상의 왕조인 하와 작위인 후를 하나씩 딴 하후를 족명으로 쓰게 되었는 것이 하후씨의 창씨 설화이다. 진한 교체기의 한고조의 신하인 [[하후영]]이 이름이 알려지면서 한나라 때는 명문가가 된다. 한고조와 동향, 즉 패현(안휘성 [[보저우]]) 사람인 하후영의 자손들 외에도 영양후국(지금의 산둥성 닝양현)을 본적으로 삼는 하후시창(夏侯始昌) 일족이 있어, 이들은 전한 [[유교|유학]]에 기여를 한 것으로 이름을 남겼다. 하후씨는 [[조조]]와도 관련이 있는데 중상시 [[조등]]은 억조대에 달하는 부귀를 쌓았고,[* 환관의 세계에서는 아예 신으로 숭배받다시피한 인물이다.] 지방의 호족이던 하후씨 가문에서 양자를 들였다. 그가 조조의 아버지인 [[조숭]]이다.[* 그러나 조숭이 진짜 하후씨였었나 대한 논란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조숭]] 항목 참조.] 2021년 중국 공안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1.1만명이 존재하며 [[장시성]]에 74.87%가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 [[동성]] == === 실존 인물 === ==== 역사적 인물 ==== * '''[[하후영]]''' - 역사적으로 최초로 등장하는 하후씨 인물. * [[하후돈]] * [[하후란]] * [[하후영녀]] * [[하후무]] * [[하후상]] * [[하후연]] * [[하후유]] * [[하후위]] * [[하후패]] * [[하후현]] * [[하후화]] * [[하후혜]] * [[하후휘]] - [[사마사]]의 부인. * [[하후씨]] - 이름 불명인 [[장비]]의 부인으로 하후패의 친척 여동생이다. * [[하후담]] * 하후상(夏侯祥) - [[양(육조)|양(梁)]]의 [[상서복야|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위의 하후패(夏侯覇)의 7대손이다. 소연에 의해 상서좌복야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으나 겨우 3일 만에 세상을 떠났으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로 증직되고 경(景)의 시호를 받았다. * 하후반 - [[당나라]] [[대종]]시기 활동한 시인 * 하후가정 - [[북송]]의 문인 ==== 현대 인물 ==== == 가상인물 == * [[하후걸]] * [[하후은]] * [[하후덕]] * [[하후존]] == 관련 문서 == * [[삼국지]] * [[초한지]] [[분류:성씨/중국]][[분류:초군 하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