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울특별시의 공원|{{{#000,#fff 서울특별시의 공원}}}]]''' || ||<-2> {{{#fff {{{+2 '''학동근린공원'''}}}[br]鶴洞近隣公園 | Hakdong Park}}}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중국어 || 鹤洞公园 || || 일본어 || ハクトン公園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학동공원, 너비=100%, 높이=20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강남구)|논현동]] 279-75 || || '''개원일''' ||[[1992년]] || || '''면적''' ||29,947㎡ || || '''분류''' ||[[근린공원]] || || '''개방 기간''' ||연중무휴 || || '''개방 시간''' ||항시 개방 || || '''이용료''' ||무료 || || '''관리'''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br]동부공원여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강남구)|논현동]] 279-75번지에 있는 [[근린공원]]. 정식 명칭은 학동근린공원이나, 학동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고, 서울시 외국어 표기사전에서도 학동공원이라고만 표기한다. 면적은 29,947㎡이며,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동부공원여가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다. 옛날 이 근방을 관할하는 행정구역이 [[학동]](鶴洞)이었기 때문에 학동공원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법정동]] 학동은 [[1985년]] [[9월 1일]]에 폐지되어 논현동에 흡수되었고 [[행정동]]으로만 남았다가 [[1992년]] [[10월 1일]]에는 논현2동으로 개칭되었다. 이렇게만 말해 놓으면 오해할 수 있지만, 학동공원은 논현2동이 아니라 논현1동에 있다. 과거 용요봉은 1970년대 행정구역 경계 변동 전에도 논현동과 [[신사동(강남구)|신사동]]의 경계 지역이었고, 학동과는 전혀 상관 없는 곳이었다.[* [[학동역]]조차 옛 논현동 영역이었다.] 학동은 오히려 [[도산공원]] 쪽에 있는 동네였다. 즉, 이곳은 과거부터 이곳은 학동이 아니라 논현동 관할이었던 것이다. 학동공원이 원래부터 논현동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동공원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이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 역사 == 본래 이곳은 용요봉(龍搖峰)이라는 산으로, [[관악산]]에서 동북 방향으로 뻗은 산줄기의 맨 끝자락이었다.[* 지형도를 자세히 보면 산세가 학동공원에서 서남쪽으로 [[논현역]]사거리-[[반포동|반포1동]]-[[삼풍아파트]]-[[서리풀공원]]-[[방배동]] [[매봉재산]]-[[남현동(관악구)|남현동]]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관악산]]에 닿는 것을 볼 수 있다.] 멀리서 보면 [[용]]이 꿈틀거리며 하늘로 올라가는 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용 용(龍) 자에 흔들 요([[搖]]) 자를 붙여 용요봉이라 한 것이다. 지금은 개발되어 산 자체가 사라졌지만, 지금도 [[신논현역]]에서 [[신사역]]까지 상당한 오르막이 계속되는 걸로 볼 수 있듯 이 일대는 산지에 세워진 동네인 것이다. 지명의 유래가 된 학동은 본래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학리(鶴里)였다. 학리라는 지명은, 이 일대의 지형이 [[두루미|학]]을 닮았다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963년]] [[1월 1일]] 자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성동구]] [[학동]]이 되었고, [[언주출장소]] [[사평동]](砂坪洞)에서 관할하였다. [[1970년]] [[5월 5일]] 사평동이 [[신사동(강남구)|신사동]](新沙洞)으로 개칭되었고, [[1971년]] [[영동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시행될 때 [[논현동(강남구)|논현동]]으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자로 [[언주출장소]]가 폐지되고 [[영동출장소]](永東出張所)가 새로 생겨 이에 속했으며, [[1975년]] [[9월 3일]]에는 성동구에서 [[강남구]]가 분리신설되며 이에 속했다. 1971년에 영동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시행되며 용요봉 정상의 29,947㎡ 부지를 공원구역으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1976년]]에 이곳에 군부대가 들어서며 민간인 출입통제구역이 되었고[* 아무래도 고지대이다 보니 [[대공포]] 설치가 용이했던 탓이다.], 학동공원은 이름만 있는 공원인 채로 15년이 흘렀다. 그러자 공원을 개방하라는 주민들의 요구가 빗발쳤고,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3709443|1991년 10월 30일 자 KBS 9시 뉴스에 이 문제가 보도되기도 하였다.]]결국 [[1992년]]에는 군부대 동쪽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여 민간인에게 개방하였다. 현재도 서쪽 부지에는 군부대가 남아 있다. == 상세 == 학동공원은 [[논현동(강남구)|논현동]] 주택가 한가운데에 자리 잡은 공원으로, 대체로 한적한 분위기에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근처에 업무지구가 밀집된 관계로 점심시간에는 직장인들이 찾아와 피로를 풀기도 하고, 논현동 주민들이 [[배드민턴]]을 즐기기도 한다. 아무래도 근방에 공원다운 공원이 없다 보니 이곳이 의도치 않게 직장인들의 메카가 된 것이다. == 시설 == * 유학정(遊鶴亭) [[파일:학동공원 유학정.jpg]] 학이 놀고 간다는 뜻의 유학정은 학동공원 입구 쪽에 있는 육각형의 [[정자]]이다. * 배드민턴장 유학정이 있는 공원 입구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수풀 속에 배드민턴장이 있다. 약간 경사가 져 있어서 [[배드민턴]]을 칠 때 한 쪽이 근소하게 불리한 감이 있다고 한다. * 산책로 용요봉 정상을 타고 오르는 등산로 수준의 산책로이다. 약 500m 정도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가볍게 등산하기에는 알맞은 코스이다. 이외에도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터]] 시설와 기타 운동기구들이 배치되어 있다. == 주변 지역 == 북쪽에 [[도산대로]]가 지나고, 서쪽은 [[강남대로]], 동쪽은 [[논현로]], 남쪽은 [[학동로(서울)|학동로]]가 지나는 등 주변으로 [[서울]]의 주요 [[간선도로]]들이 지나간다. 도산대로 방면으로 200m 쯤 걸어가서 길을 건너면 [[신사동 가로수길]]이 나온다. 공원 서쪽에는 [[1971년]] [[12월 28일]]에 준공된 강남 최초의 아파트인 [[영동공무원아파트]]가 있었다. 현재는 논현신동아파밀리에로 재건축되었다. 주변에 [[연예기획사]]들이 몰려 있는 관계로 방송 촬영이 빈번하게 있는 곳이기도 하다. 학동공원 바로 남쪽에 [[키이스트]]가 있고, 바로 동쪽에는 [[마루기획]], 그리고 7분 거리에 [[DSP미디어]]가 있다. 때문에 [[아이돌]] 숙소들도 이 근방에 몰려 있는 편이다. 한때 [[하이브엔터테인먼트]]도 이 근방에 있었으나, [[2018년]]에 [[삼성동(강남구)|삼성동]]으로 이전하며 12년 간의 논현동 시대를 마치게 되었다. 걸어서 2분 거리에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도 있다. == 교통편 == || '''철도'''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수도권 전철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사역]]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수도권 전철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논현역]]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학동역]] || ||<|12> '''버스''' || 정류장 명칭 ||<-2> 노선 목록 || || 신사동고개 ||<|11><-2> [[서울 버스 140|140]], [[서울 버스 142|142]], [[서울 버스 144|144]], [[서울 버스 145|145]], [[서울 버스 147|147]], [[서울 버스 148|148]], [[서울 버스 240|240]], [[서울 버스 241|241]], [[서울 버스 400|400]], [[서울 버스 401|401]],[br] [[서울 버스 402|402]], [[서울 버스 420|420]], [[서울 버스 421|421]], [[서울 버스 440|440]], [[서울 버스 441|441]], [[서울 버스 463|463]], [[서울 버스 470|470]], [[서울 버스 542|542]], [[서울 버스 741|741]], [[남양주 버스 1100|1100]],[br] [[포천 버스 1403|1403]], [[군포 버스 3030|3030]], [[포천 버스 3100|3100]], [[서울 버스 3412|3412]], [[포천 버스 3600|3600]], [[서울 버스 4211|4211]], [[서울 버스 4212|4212]],[br] [[서울 버스 4312|4312]], [[서울 버스 6411|6411]], [[남양주 버스 8001|8001]], [[하남 버스 9202|9202]], [[서울 버스 9404|9404]], [[서울 버스 9409|9409]], [[경기광주 버스 9600|9600]],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br] [[서울 버스 9711|9711]], [[파주 버스 G7426|G7426]],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 [[서울 버스 강남08|강남08]], [[서울 버스 서초03|서초03]] || || 강남을지병원 || || 학동역 || || 논현동사거리.학동역 || || 영동시장 || || 신사역(중) {{{-2 ([[한남대교]] 방면)}}} || || 신사역.푸른저축은행(중) {{{-2 ([[강남역]] 방면)}}} || || 신사역3번출구 || || 신사역4번출구 || || 신사역1번출구 || || 신사역8번출구.가로수길 || == 미디어에서 == * [[SBS M]] 신인왕 방탄소년단 채널방탄의 7회에 등장했다. * [[걸그룹]] [[APRIL]]의 자체 예능 프로그램인 [[에이프릴이 간다]] 1화를 여기서 촬영했다. * [[UP]]의 정규 2집에 수록됐던 [[바다(동음이의어)#s-4.2|바다]]를 [[코요태]]가 [[바다(코요태)|리메이크]]하면서 이곳에서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 [[방탄소년단]]의 자체 예능인 [[달려라 방탄]] 스페셜 에피소드 텔레파시 편에서 등장했다. == 기타 == === [[방탄소년단]]과의 인연 ===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과거 회상에서 자주 언급되는 장소이다. 방탄소년단의 숙소가 당시에 학동공원 인근에 있었어서 연습생 시절에는 자주 오는 곳이었다고 한다. 당시 방탄소년단 숙소는 외출금지라는 규정이 있었는데, [[진(방탄소년단)|진]]은 몰래 밤에 나와서 학동공원을 자주 거닐었다고 하며,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은 생각이 많아질 때 혼자 와서 그네를 타곤 했었다고 한다. 연습생 시절에는 멤버들끼리 유학정 앞에서 때때로 안무 연습도 했고, 데뷔 초에는 여기서 버스킹 공연을 열었던 적도 있다. [[2022년]]에는 [[달려라 방탄]] 스페셜 에피소드 텔레파시 편에서는 멤버들이 이곳에 다시 와서 회상하기도 했다. 학동공원은 장소 자체만 보면 그냥 별 볼 일 없는 동네 [[근린공원]]이지만, 이런 일화로 인해 [[A.R.M.Y]]들에게는 [[성지]]로 자리매김하여 다녀가는 사람들이 많다. 근처에는 당시 방탄소년단 숙소를 개조해서 만든 갤러리카페 '휴가'가 있고, 연습생 시절 자주 갔다는 식당인 유정식당이 있다. 이 세 군데를 패키지로 묶어서 [[성지순례]]를 하면 딱 알맞다. == 관련 문서 == * [[논현동(강남구)]] * [[방탄소년단]] [[분류:서울특별시의 공원]][[분류:강남구]][[분류:나무위키 공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