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鶴城驛 / Haksŏng Station}}} ||<-3> {{{+2 '''학성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학성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Haksŏng || || [[한자]] ||<-2> 鶴城 || || [[중국어]] ||<-2> 鹤城 || || [[일본어]] ||<-2> [ruby(鶴城, ruby=ハクソン)] || ||<-3> '''주소''' || ||<-3> [[함경북도]] [[김책시]] 학성동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4년 10월 11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장평역|장 평]][br]← 2.7 ㎞ || '''[[평라선]]'''[br]학 성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송상역|송 상]][br] 4.4 ㎞ → || [목차] || [[파일:학성역(평라선).jpg|width=100%]] || || 학성역사 [[http://jubileeuni.com/?mid=menu85&document_srl=9968&listStyle=viewer&page=6|출처]] ||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김책시]] 학성동(광복 전 [[성진시]] 농성동) 소재. == 상세 == [[장평역]] 문서에서도 이야기했지만 한 [[러시아인]]이 [[두만강역]]에서 [[평양역]]까지 달리면서 [[구글 어스]]에 학성역이라고 링크되어 있던 역은 실은 [[장평역]]. 장봉역은 학성역. 자세한 속사정은 해당 문서 참고. 원래 역이 소속된 군이었던 학성군은 그 역사가 짧다. 1943년 성진군 성진읍이 성진부[* [[부(행정구역)|부]](府)는 현재의 [[시(행정구역)|시]](市)에 해당된다. 1949년 전국의 부를 시로 개칭하였다.]로 승격되자, 성진군의 나머지 다섯 개의 면을 학성군으로 개칭했다. 그리고 학성군의 면 이름들이 참으로 [[아스트랄]]한 게, 학중면(鶴中面), 학남면(鶴南面), 학상면(鶴上面), 학동면(鶴東面), 학서면(鶴西面)이다. 귀찮다고 '학'이라는 글자 뒤에 방위를 붙이는 것으로 면 생성을 끝낸 일제의 위엄...[* 이 면 이름들은 성진군 시절부터 만들어졌다. 더욱 골때리는 건 학서면이 북쪽, 학중면이 동쪽, 학동면이 동남쪽, 학상면(학성면)이 서측에 있었다. 유일하게 방위가 맞는 곳은 학남면 뿐. ~~진짜 대충 지었군~~] 훗날 김책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가 김책시에 통합된다. 이 역의 역명은 원래 이 지역의 동명인 성진시 농성동에서 딴 [[농성역]](農城驛)이었는데 학성군이 생기면서 이름이 바뀐 것. 1944년까지는 농성역으로 불렸던 것으로 보아 북한 정권 수립 후에 역명이 바뀐 것으로 생각된다. 역명에서 알 수 있듯이 학성군 지역의 중심 역이며 인근에 있는 민가의 규모도 상당히 큰 편. 이 역의 동쪽으로 엄청나게 넓은 농토(12㎢ 이상 : 1,200헥타르 이상)가 있다. [[장평역]]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튼 평라선은 이 역부터 본격적으로 해안이 아닌 내륙 지방을 지나가는데, 다시 해안이 나오려면 [[어대진역]]까지 약 100여 km를 지나가야 한다. [[평양역]] 기점 553.3km. [[분류:평라선]][[분류:192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