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무조정실 산하기관)] [include(틀: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2> '''{{{+1 한국개발연구원}}}[br]韓國開發硏究院[b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 ||<-2> [[파일:한국개발연구원 CI.svg|width=100%]] || || '''설립일''' ||[[1971년]] [[3월 11일]] || || '''원장''' ||[[조동철]] ||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개발연구원, 너비=100%)] ----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반곡동(세종특별자치시)|반곡동]]) || || '''종업원 수''' ||472명^^(2022.12)^^ || || '''주무기관''' ||[[국무총리]]([[국무조정실]]) || || '''형태''' ||기타공공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 ||<-2> [[http://www.kdi.re.kr|[[파일:한국개발연구원 CI.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정부]]가 설립한 [[공공기관]]으로, 일종의 [[싱크탱크]]다. 주소는 과거엔 서울에 있었으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207-41, 현재의 글로벌지식협력단지], 2013년 이전하여 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반곡동(세종특별자치시)|반곡동]])에 있다. 500명 내외의 거대 연구기관이다. [[거시경제]], [[금융]], [[재정]], [[노동]], [[산업]], [[무역]], 사회보장, 국토인프라, 경쟁정책(Competition Policy), 북한경제 등 경제·사회 연구를 통해 정책 수립과 제도 개혁에 기여하는 것을 취지로 설립되었다. 또한 교육, 재정사업 평가 및 민간투자 지원, 국제사회의 공영발전을 위한 경제발전경험공유(KSP)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경제학을 잘 몰라도, 뉴스를 보다보면 나오는 '○○ 사업 예타 통과' 같은 문장은 친숙할 것이다. 특히 부동산, 도로, 철도 등 인프라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굉장히 친숙한것이 이 '예타'이다. 예타는 [[예비타당성조사]]의 준말로, 500억이상 국비가 들어가는 국책사업에 대해 KDI내의 공공투자센터에서 해당 조사를 실시하여 B/C 비율(Benefit Cost) 등을 따져 사업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예비타당성조사]] 참고. 각종 보고서 발표 전, 사내망에 연구내용에 대한 내부검증을 받는 레프리(심판)제도 운영을 하고 있다. 관련기사 [[https://kr.investing.com/news/economy-news/article-188045|#]] == 역사 == 1970년, '한국개발연구원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1971년, 한국개발연구원이 설립되었다. [[김만제]] 초대 원장이 직접 [[미국]]으로 건너가 박사 학위를 딴 10명의 수석 연구원을 뽑아 데려오고 (원장과 10명의 한국인 해외 유학파 박사, 그리고 미국 국제개발처 고문 데이비드콜 박사까지를 합쳐 '12 [[사도]]'라는 별명으로 불렀다)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13억 그리고 당시 대통령이던 박정희의 사재 100만 원을 보탰다. 1972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47 ([[청량리동]]) 홍릉에 개원했다. 1974~7년, [[미국]]이 대신 짜주던 [[경제계획/대한민국|경제개발 5개년 계획]]를 4차부터 스스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사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세울 당시 이를 체계적으로 입안할 공공기관을 설립하기로 했던 것. 1981년, [[공정거래법]] 제정 및 1980년대 후반 개정 때 KDI의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되었다. 1993년, [[금융실명제]] 추진 당시 [[김영삼]] 대통령의 비밀 지시에 따라 당시 남상우 KDI 부원장 등으로 구성된 금융실명제팀이 비밀 작업을 수행했다. 1998년, 외환위기 직후 [[유승민]] 당시 선임연구위원을 팀장으로 KDI의 모든 연구위원들이 참가해 작성한 '경제위기 극복과 구조조정을 위한 종합대책' 이란 보고서를 발간해 [[김대중]] 대통령에게 전달했고, 이 보고서는 [[국민의 정부]]의 IMF 구조조정에 도움이 되었다. 그 외 북한 경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2000년대 초중반 북한과의 교류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1998년, 산하에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이 설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999년,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 시행되며 설립근거가 변경되고, 주무기관이 [[국무총리실]]이 되었다. 2013년, 서울 홍릉에서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세종특별자치시)|반곡동]]으로 이전했는데, 당시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금강 남쪽 지역에 가장 먼저 입주한 정부기관이었다. 2014년, 국제정책대학원도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했다. == 기타 == [[김만제]] 경제부총리, [[사공일]] 무역협회장,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송병락]] 서울대 명예교수, 홍원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차문중 삼성경제연구소 소장, [[이회성]] IPCC 의장 등 정치권, 기업, 대학 등에서 활동한 KDI 출신들이 많다. 중앙홀딩스 [[홍석현]] 회장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한 후 KDI 연구위원으로 재직한 바 있다. [[유승민]]과 [[이혜훈]] 전 의원이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사수]]-[[부사수]] 관계였다고 한다. 때문인지 이혜훈 의원은 이후 정계에서도 [[친유|유승민 의원의 최측근]]으로 활동했다. 유 의원은 2016년 국감에서 금통위원 5명 중 3명이 KDI 출신으로 '거수기' 논란이 일자 '''나도 KDI 출신인데 답답하다'''며 [[한국은행]]의 독립성 문제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또한 KDI 출신 노동경제학자인 [[이종훈(정치인)|이종훈]]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새누리당]] [[제19대 국회의원]],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역시 유승민의 대선캠프에서 정책본부장으로 일했었다.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미 콜롬비아대 박사)도 KDI 재정복지정책연구부장 출신. [[유경준]] 의원 역시 KDI 수석이코노미스트 출신. 당시 선배로 같이 일하던 사람이 유승민 전 의원이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20세기 한때 기획재정부 고위직에 올라간 관료들이 많다보니 기재부 A급 라인으로 평가될 때도 있었다. 다만 21세기 들어선 KDI 출신이 기재부 고위직에 올라가는 것은 예전보단 많이 줄어들었는데, [[박근혜 정부]] 시기엔 KDI 출신 인사들이 상대적으로 다시 늘기도 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유일호]] 국토부 장관 및 경제부총리,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대표적. 사실 이후 정부에서도 아예 없지는 않은 것이 [[황수경(공무원)|황수경]] 통계청장, 조동철 금융통화위원 등이 KDI 출신이었으며, 문재인 정부 첫 경제부장관을 지낸 [[김동연]] 부총리의 [[자문]]관을 지낸 안상훈 박사 역시 KDI 선임연구위원 출신이었다. [[한국경제신문]]에서 발행하는 100대 싱크탱크 조사에서 2019년 기준 7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0&aid=0000049745|#]] 그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국제관계 프로그램 산하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이 선정한 글로벌 싱크탱크 순위(미국 제외)에서 6위에 올랐고, 아시아 주요국(한국, 일본, 중국, 인도) 싱크탱크 순위에서 6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싱크탱크 순위에선 6위를 기록했다. 2017년과 2018년에 MBC와 공동으로 다큐멘터리 라디오 드라마 한국경제 오디세이를 기획하였는데, 오랜만에 MBC 라디오 드라마에 [[MBC 성우극회]] 성우들이 출연하여 큰 관심을 끌었다. == 교통 == [[세종 버스 991|991번]] 간선버스와 [[세종 버스 221|221번]] 지선버스가 'KDI(한국개발연구원)' 정류장을 경유하며, [[대전 버스 B1|B1번 BRT]] 노선도 KDI 바로 앞 해당 정류장을 경유한다. 단, 정류장 위치가 다르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역대 원장 == [include(틀:한국개발연구원장)] ---- * 초대 [[김만제]] (1971~1982) * 2대 김기환 (1982~1983) * 3대 안승철 (1983~1986) * 4대 박영철 (1986~1987) * 5대 구본호 (1987~1992) * 6대 송희연 (1992~1993) * 7대 황인정 (1993~1995) * 8대 차동세 (1995~1998) * 9대 이진순 (1998~2001) * 10대 [[강봉균]] (2001~2002) * 11대 [[김중수]] (2002~2005) * 12대 현정택 (2005~2009) * 13대 [[현오석]] (2009~2013) * 14대 김준경 (2013~2017) * 15대 최정표 (2018~2021) * 16대 [[홍장표(교수)|홍장표]] (2021~2022) * 17대 [[조동철]] (2022~)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include(틀:국무조정실 산하기관)] [include(틀:국제개발협력 시행기관)] [[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특수법인]][[분류:싱크탱크]][[분류:연구개발목적기관]][[분류:국무조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