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대중음악상)]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대중음악상]] 역대 시상식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 2004년 == * 첫 수상이다. 2020년대의 수상 부문들과는 확연히 부문들이 다르다. * 타이틀 곡 고백으로 유명한 [[델리스파이스]]의 [[Espresso(음반)|Espresso]]와 훗날 4집으로 대성공을 거둘, 그리고 동시에 앨범이 좋은 평가를 받는 [[NELL|넬]]의 [[Let it Rain|정규 1집]]이 수상에 실패한다.[* 넬은 이 이후로도 수상에 거듭 실패하며 결국 한국대중음악상에서 받은 상이라고는 네티즌부문 하나 뿐이게 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더더]] - '''' || - || || 올해의 노래 || [[러브홀릭]] - "러브홀릭" || - || || 올해의 음악인-남자 || [[휘성]] - ''<[[휘성/음반 목록#s-1.2|It's Real]]>'' || [* 남성 솔로 최연소 수상자이다. 남성 최연소 수상자는 [[방탄소년단]]의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다.] || || 올해의 음악인-여자 || [[이상은(가수)|이상은]] - ''<[[신비체험(음반)|신비체험]]>'' || - || || 올해의 음악인-그룹 || [[빅마마(가수)|빅마마]] - ''<[[Like The Bible]]>'' || - || || 올해의 신인 || [[정재일]] - ''<눈물꽃>'' || -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록-음반 || [[코코어]] - ''<[[코코어#s-5.4|Super Stars]]>'' || - || || 최우수 힙합&댄스-음반 || [[데프콘(가수)|데프콘]] - ''<[[Lesson 4 The People]]>'' || - || || 최우수 알앤비&발라드-음반 || [[윤건]] - ''<1st Album>'' || [* 음원사이트에는 Yoongun이라는 이름으로 나와있지만 어째서인지 한국대중음악상 공식 홈페이지 아카이브에는 1st Album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 || 최우수 크로스오버-음반 || [[나윤선]] - '''' || - || || 올해의 영화드라마음악 || [[이병우]] - ''<스캔들>'' || - || ||<-3> '''특별분야''' || ||<|2> 선정위원회 특별상 || [[아소토 유니온]] || - || || [[전경옥]] || - || || 공로상 || [[이정선(1950)|이정선]] || - || || 올해의 레이블 || 플럭서스 뮤직 || - ||}}} == 2005년 == * 추가되거나 수정된 부문이 꽤 있다. '올해의 연주', '최우수 모던록-음반', '최우수 팝-음반' 부문은 신설되었고, '최우수 힙합-음반', '최우수-재즈&크로스오버-음반',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은 이름이 변경되었다. * 올해도 [[NELL|넬]]은 후보에 이름이 올랐지만 수상에는 또 실패했다. * 이외에도 명반이나 수작으로 불리우는 [[3호선 버터플라이]]의 3집과[* 물론 앨범의 내용만 수작이지 이 이후로 밴드는 침체기에 들어가다가 4집 [[Dreamtalk]]으로 완벽한 재등장을 알린다.] [[다이나믹 듀오]]의 [[Taxi Driver]][* 힙합계에서 상당한 명반으로 평가받으며 2020년대 현재에도 가끔 언급된다.]가 수상에 실패했다. * 후에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으로 파문을 일으킨 [[럭스(밴드)|럭스]]가 후보에 올랐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마이 앤트 메리]] - ''<[[Just Pop]]>'' || - || || 올해의 노래 || [[조PD]] - "[[친구여]] (Feat. [[인순이]])" || - || || 올해의 음악인-남자 || [[이승철]] - '''' || - || || 올해의 음악인-여자 || [[이소라(가수)|이소라]] - ''<[[눈썹달]]>'' || - || || 올해의 음악인-그룹 || [[클래지콰이]] - '''' || - || || 올해의 신인 || [[못(밴드)|M.O.T]] - ''<[[비선형(음반)|Bounce]]>'' || [* 2004년의 윤건 건과 마찬가지로 이쪽도 음원사이트에는 비선형 혹은 Non-Linear으로 나와있는데 이유는 모르나 Bounce라는 이름으로 기록이 되어있다. 아마도 비선형이라는 단어를 한국대중음악상 측에서 번역한 게 Bounce인 듯(...).] || || 올해의 연주 || 모그 - '''' || -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모던록-음반 || [[마이 앤트 메리]] - ''<[[Just Pop]]>'' || - || || 최우수 록-음반 || [[바세린(밴드)|바셀린]] - '''' || - || || 최우수 힙합-음반 || [[바비 킴|바비킴]] - ''''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 [[거미(가수)|거미]] - '''' || - || || 최우수 팝-음반 || [[클래지콰이]] - ''''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음반 || 전제덕 - ''<전제덕>'' || - || || 올해의 영화드라마음악 || [[아일랜드(MBC)|아일랜드]] OST || [* 두번째 달이 음악제작에 참여했다.] || ||<-3> '''특별분야''' || || 선정위원회 특별상 || 이기용 || [* 허클베리핀의 리더. 당시 [[허클베리핀]] 3집과 스왈로우 앨범을 프로듀싱했다.] || || 공로상 || [[한대수]] || - || ||<|2> 올해의 레이블 || JNH || - || || 카바레 사운드 || - ||}}} == 2006년 == * 1집에서 상업적인 실패의 쓴맛을 맛봤던 밴드 [[W(밴드)|W]]는 이번 2집의 수상과 평단의 찬사로 결국 한국 대중음악 명반에도 이름을 내미는 기염을 토한다. * [[두번째 달]]이 [[2nd Moon]]으로 5개 부문에 후보로, 그리고 '''그중 3개 부문(종합분야 2개 부문)'''을 차지하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 음반 뿐만 아니라 각 분야의 노래 부문이 신설되었다. 이때부터 2022년 현재의 모습과 비슷한 큰 틀을 맞춰간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두번째 달]] - ''<[[2nd Moon|두번째 달]]>'' || - || || 올해의 노래 || [[윤도현]] - "[[사랑했나봐]]" || - || || 올해의 음악인-남자 || [[조규찬]] - ''<[[조규찬#s-6.1.10|Guitology]]>'' || - || || 올해의 음악인-여자 || [[이상은(가수)|이상은]] - '''' || - || || 올해의 음악인-그룹 || [[W(밴드)|W]] - ''<[[Where The Story Ends]]>'' || - || ||<|2> 올해의 신인 || [[두번째 달]] - ''<[[2nd Moon|두번째 달]]>'' ||<|2> [* 공동수상] || ||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s-2.1.1]]>'' || || 올해의 연주 || [[Triologue]] - ''<[[Speak Low]]>'' || -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모던록-음반 || [[몽구스(밴드)|몽구스]] - ''<[[Dancing Zoo]]>'' || - || || 최우수 모던록-노래 || [[서울전자음악단]] - "[[서울전자음악단#s-5.2|꿈에 들어와]]" || - || || 최우수 록-음반 || [[블랙홀(밴드)]] - '''' || - || || 최우수 록-노래 || [[블랙홀(밴드)]] - "삶" || - || || 최우수 힙합-음반 || [[다이나믹 듀오]] - ''<[[Double Dynamite]]>'' || - || || 최우수 힙합-노래 || [[가리온(가수)|가리온]] - "[[무투#s-2]]" || - || || 최우수 팝-음반 || [[W(밴드)|W]] - ''<[[Where The Story Ends]]>'' || - || || 최우수 팝-노래 || [[루시드폴]] - "[[오, 사랑#s-2.3]]''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 [[윈디시티]] - ''''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 [[윈디시티]] - "Love Supreme"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음반 || [[두번째 달]] - ''<[[2nd Moon|두번째 달]]>''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노래 || [[Triologue]] - "It Rains" || - || || 올해의 영화드라마음악 || [[친절한 금자씨]] OST || - || ||<-3> '''특별분야''' || || 선정위원회 특별상 || [[연영석]] || [* [[민중가요]] 가수.] || || 공로상 || [[조용필]] || - || || 올해의 레이블 || [[파스텔 뮤직]] || - ||}}} == 2007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스왈로우]] - ''Aresco'' (2005.11.22) * 올해의 노래: [[이한철]] - "슈퍼스타" (2005.12.15) * 올해의 음악인 (남자): [[이지형]] - ''Radio Dayz'' * 올해의 음악인 (여자): [[박선주]] - ''A4rism'' * 올해의 음악인 (그룹): [[노브레인]] - ''Boys Be Ambitious'' * 올해의 신인: [[The Mustangs]] - ''The Mustangs'' * 올해의 연주: [[서영도 트리오]] - ''Circle'' * 장르분야 * 최우수 모던록 (음반): 스왈로우 - ''Aresco'' * 최우수 모던록 (노래): [[롤러코스터(밴드)|롤러코스터]] - "유행가" * 최우수 록 (음반): [[The Mustangs]] - ''The Mustangs'' * 최우수 록 (노래): [[스트라이커스]] - "Turn Back Time" * 최우수 힙합 (음반): [[더 콰이엇|The Quiett]] 2집 - ''[[Q Train]]'' * 최우수 힙합 (노래): [[Koonta]] In Nuoliunce "Holding On (Feat. Sean2slow)" * 최우수 팝 (음반): [[박선주]] - ''A4rism'' * 최우수 팝 (노래): [[이한철]] - "슈퍼스타"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엄정화]] - ''Prestige''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 [[페퍼톤스]] - "Superfantastic" * 최우수 알엔비&소울 (음반): [[펑카프릭 부스터]] - ''One'' * 최우수 알엔비&소울 (노래): [[헤리티지]] - "Starlight (Feat. P-Type)"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음반): [[서영도 트리오]] - ''Circle''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노래): [[배장은 트리오]] - "Secret Place" * 올해의 영화&드라마음악: [[라디오 스타(영화)|라디오스타]] OST[* 전설의 밴드 [[유앤미블루]] 출신 방준석이 음악감독으로 참여함]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EBS 스페이스 공감]] * 공로상: [[정태춘]] == 2008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이적(가수)|이적]] - ''[[나무로 만든 노래]]'' (2007.04.19) * 올해의 노래: [[이적(가수)|이적]] - "[[다행이다]]" * 올해의 음악인: [[이승열]] - ''In Exchange'' * 올해의 신인: [[윤하]] - ''고백하기 좋은 날'' * 올해의 연주: [[예산족]][* 공연 타악인 박재천의 작품이다.] - ''예산족(藝山族)''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 ''빵 컴필레이션 3: History Of Bbang''[* 홍대의 클럽 "빵"에서 낸 인디 컴필레이션 음반] * 공로상: [[신중현]]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할로우 잰]] - ''[[Rough Draft In Progress]]'' * 최우수 록(노래): [[마리서사]] - "너 없인 행복할 수 없잖아" * 최우수 모던록(음반): [[MOT|못]] - ''이상한 계절'' / [[허클베리핀]] - ''환상..나의 환멸''[* 공동수상(!)] * 최우수 모던록(노래): [[이승열]] - "아도나이" * 최우수 힙합(음반): [[에픽하이]] - ''[[Remapping The Human Soul]]'' * 최우수 힙합(노래): [[드렁큰 타이거]] - "8:45 Heaven" * 최우수 팝(음반): [[이적(가수)|이적]] - ''[[나무로 만든 노래]]'' * 최우수 팝(노래): [[이적(가수)|이적]] - "[[다행이다]]"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하우스룰즈]] -" ''Mojito''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원더걸스]] - "Tell Me"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윤미래]] - ''Yoonmirae''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윤미래]] - "What's Up! Mr. Good Stuff"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음반): [[웅산]] - ''Yesterday''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노래): [[웅산]] - "Yesterday" * 올해의 영화TV음악: - ''[[케세라세라(드라마)|케세라세라]] OST''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록: [[노브레인]] * 모던록: [[NELL]] * 힙합: [[에픽하이]] * 팝: [[윤하]] * 댄스&일렉트로닉: [[BIGBANG]] * 알앤비&소울: [[브라운 아이드 소울]] * 재즈&크로스오버: [[나윤선]] == 2009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언니네 이발관]] - ''[[가장 보통의 존재]]'' (2008.8.8) * 올해의 노래: [[장기하와 얼굴들]] - "[[싸구려 커피]]" * 올해의 음악인: [[유희열/토이|토이]] - ''Thank You'' * 올해의 신인: [[로로스]] - ''Pax'' * 특별분야 * 공로상: [[산울림]] * 선정위원회 특별상: [[김두수(가수)|김두수]]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갤럭시 익스프레스]] - ''Noise On Fire'' * 최우수 록(노래): [[장기하와 얼굴들]] - "싸구려 커피" * 최우수 모던록(음반): [[언니네 이발관]] - ''[[가장 보통의 존재]]'' * 최우수 모던록(노래): [[언니네 이발관]] - "아름다운 것" * 최우수 힙합(음반): [[버벌진트]] - ''[[누명(앨범)|누명]]'' * 최우수 힙합(노래): [[다이나믹 듀오]] - "어머니의 된장국(feat. Ra.D)" * 최우수 팝(음반): [[김동률]] - ''[[Monologue(김동률)|Monologue]]'' * 최우수 팝(노래): [[유희열/토이|토이]] - "뜨거운 안녕(Vocal [[이지형]])"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W&Whale]] - ''[[Hardboiled]]''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W&Whale]] - "[[R.P.G. Shine]]"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태양(BIGBANG)|태양]] - ''Hot''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태양(BIGBANG)|태양]] - "나만 바라봐"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나윤선]] - ''Voyage''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미연 & 박재천 - ''Dreams From The Ancestor''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미연 & 박재천 - ''Dreams From The Ancestor'' * 올해의 영화TV음악: - ''[[차마고도]] OST''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남자 아티스트: [[장기하와 얼굴들]] * 여자 아티스트: [[윤하]] * 그룹: [[원더걸스]] * 팝: [[윤하]] == 2010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서울전자음악단]][* [[신대철]]의 동생 [[신윤철]]의 밴드. 해체했다가 2014년 말에 복귀.] - ''[[Life is Strange(음반)|Life is Strange]]'' * 올해의 노래: [[소녀시대]] - "[[Gee]]"[* '''아이돌 그룹 사상 최초로 한국대중음악상 '대상'을 수상'''했다.] * 올해의 음악인: [[서울전자음악단]] * 올해의 신인: [[국카스텐]] - ''[[Guckkasten(앨범)|Guckkasten]]'', [[아폴로18]] - ''The Blue Album'' * 특별분야 * 공로상: [[조동진]] * 선정위원회 특별상: [[심성락]]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서울전자음악단]] - ''[[Life is Strange(음반)|Life is Strange]]'' * 최우수 록(노래): [[국카스텐]] - "[[거울(노래)|거울]]" * 최우수 모던록(음반): [[검정치마]] - ''[[201(음반)|201]]'' * 최우수 모던록(노래): [[브로콜리 너마저]] - "[[보편적인 노래]]" * 최우수 힙합(음반): [[드렁큰 타이거]] - ''Feel gHood Muzik: The 8th Wonder'' * 최우수 힙합(노래): [[San E]] - "Rap Genius" * 최우수 팝(음반): [[이소라(가수)|이소라]] - ''[[이소라 7집|7]]'' * 최우수 팝(노래): [[이소라(가수)|이소라]] - "Track 8"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브라운아이드걸스]] - ''[[Sound-G]]''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브라운아이드걸스]] - "[[Abracadabra]]"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Ra.D]] - ''Realcollabo''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정엽]] - "You Are My Lady"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송영주]] - ''Love Never Fails''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박주원(기타리스트)|박주원]] - ''집시의 시간''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김책]] & [[정재일]] - ''The Methodologies'' * 올해의 영화TV음악: - ''[[마더(한국 영화)|마더]] OST''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남자 아티스트: [[정엽]] * 여자 아티스트: [[백지영]] * 그룹: [[소녀시대]] == 2011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가리온(가수)|가리온]] - ''[[Garion 2]]'' (2010.10.26) * 올해의 노래: [[뜨거운 감자]] - "고백" * 올해의 음악인: [[갤럭시 익스프레스]] - ''Wild Days'' * 올해의 신인: [[게이트 플라워즈]] - ''Gate Flowers''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슈퍼 세션]] * 공로상: [[손석우]]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이 부문에서는 6회 이후로 수상자에게 티아라를 전달하는 전통이 생겼다]: [[크래쉬]] - ''The Paragon of Animals'' * 최우수 록(노래): [[게이트 플라워즈]] - "예비역"[* 여기서 엄청나게 인상깊은 수상소감이 나왔다. 그리고 게이트 플라워즈의 멤버였던 박근홍은 6년 후 다시 비슷한(?) 티를 입고 수상소감을 발표한다. [[https://youtu.be/7EUW-NbZ_7w|한번 보자.]]] * 최우수 모던록(음반): [[9와 숫자들]] - ''9와 숫자들'' * 최우수 모던록(노래): [[브로콜리 너마저]] - "졸업" * 최우수 힙합(음반): [[가리온(가수)|가리온]] - ''[[Garion 2]]'' * 최우수 힙합(노래): [[가리온(가수)|가리온]] - "[[영순위]] (feat.넋업샨)" * 최우수 팝(음반): [[조규찬]] - ''9'' * 최우수 팝(노래): [[10CM]] - "오늘 밤은 어둠이 무서워요"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2NE1]] - ''To Anyone''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미쓰에이]] - "Bad Girl Good Girl"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Jinbo|진보]] - ''[[Afterwork]]''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Deez]] - "Sugar"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나윤선]] - ''Same Girl''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라 벤타나]] - ''Nostalgia and the Delicate Woman''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이판근 프로젝트]] - ''A Rhapsoy In Cold Age'' * 올해의 영화TV음악: - ''[[브라보, 재즈 라이프]] OST''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남자 아티스트: [[태양(BIGBANG)|태양]] * 여자 아티스트: [[김윤아]] * 그룹: [[f(x)]] == 2012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장기하와 얼굴들]] - ''[[장기하와 얼굴들(음반)|장기하와 얼굴들]]''[* [[이적(가수)|이적]]에 이은 4관왕](2011.6.19) * 올해의 노래: [[아이유]] - "[[좋은 날]]"[* 건강상 이유로 시상식에는 불참. 급작스러운 인기로 섭외 요청이 들어오는 거의 모든 연말행사에 참석했고 삼단고음을 가는 곳마다 시전하다보니 심각한 성대결절과 컨디션 저하가 일어나 이듬해 연초에는 휴식기를 가졌다.] * 올해의 음악인: [[장기하와 얼굴들]] * 올해의 신인: [[바이바이배드맨]] - ''Light Beside You''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콜트&콜텍 노동자와 다큐멘터리 - ''꿈의 공장''[* 둘다 일렉트릭 기타 메이커로 세계적인 회사이나 2012년 2월 현재 회사의 무차별적인 직장폐쇄,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문제로 1년넘게 파업중이다. 법원에서 승소했으나 회사가 쌩까는 중.] * 공로상: [[이판근]]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장기하와 얼굴들]] - ''[[장기하와 얼굴들(음반)|장기하와 얼굴들]]'' * 최우수 록(노래): [[장기하와 얼굴들]] - "그렇고 그런 사이" * 최우수 모던록(음반): [[이승열]] - ''Why We Fail'' * 최우수 모던록(노래): [[이승열]] - "돌아오지 않아" * 최우수 팝(음반): [[야광토끼]] - ''Seoulight'' * 최우수 팝(노래): [[아이유]] - "[[좋은 날]]"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IDIOTAPE]] - [[11111101]]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2NE1]] - "[[내가 제일 잘 나가]]" * 최우수 랩&힙합(음반): [[시모&무드슐라]] - ''[[Mood Schula]]'' * 최우수 랩&힙합(노래): [[메타와 렉스]][* [[가리온(가수)|가리온]]의 MC메타가 DJ렉스와 결성한 힙합그룹] - "무까끼하이"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보니]] - ''1990''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정기고]] - "Blind"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박근쌀롱]] - ''습관의 발견''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박주원(기타리스트)|박주원]] - ''슬픔의 피에스타''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송영주]] - ''Tale of a City'' * 최우수 영화TV음악: - ''[[만추(2011)|만추]] OST''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남자 아티스트: [[버벌진트]] * 여자 아티스트: [[아이유]] * 그룹: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 2013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3호선 버터플라이]] - ''[[Dreamtalk]]'' (2012.10.8) * 올해의 노래: [[싸이]] - "[[강남스타일]]" * 올해의 음악인: [[싸이]] * 올해의 신인: [[404(밴드)|404]]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 공로상: [[김민기(가수)|김민기]]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정차식]][* [[레이니 썬]]의 보컬] - ''격동하는 현재사'' * 최우수 록(노래): [[정차식]] - "풍각쟁이" * 최우수 모던록(음반): [[3호선 버터플라이]] - ''Dreamtalk'' * 최우수 모던록(노래): [[3호선 버터플라이]] "헤어지는 날 바로 오늘" * 최우수 팝(음반): [[버스커 버스커]] - ''[[버스커 버스커 1집|버스커 버스커]]'' * 최우수 팝(노래): [[버스커 버스커]] "[[여수 밤바다]]"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글렌 체크]] - ''[[Haute Couture]]''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f(x)]] "Electric Shock" * 최우수 랩&힙합(음반): [[소리헤다]] - ''소리헤다 2'' * 최우수 랩&힙합(노래): [[G-DRAGON]] "One Of A Kind"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나얼]] - ''[[Principle Of My Soul]]''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나얼]] "[[바람기억]]"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이원술]] - ''Point Of Contact''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잠비나이]] - ''차연(Differance)''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강태환]] - ''소래화/素來花/Sorefa'' * 최우수 영화TV음악: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OST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남자 아티스트: [[박재범]] * 여자 아티스트: [[박정현]] * 그룹: [[버스커 버스커]] == 2014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윤영배]] - ''[[위험한 세계]]''[* [[장필순]] 6집에 기여를 많이 한 그녀의 소속사 "푸른곰팡이"의 동료로, [[유재하]] 음악상 출신이다. 3관왕을 했는데, 3번 올라오는 내내 기본소득 얘기를 했다.](2013.8.26) * 올해의 노래: [[조용필]] - "[[Hello(조용필 음반)#s-3.1|Bounce]]" * 올해의 음악인: [[선우정아]][* 2관왕을 했는데, 윤영배의 기본소득에 이어 "아이고!"를 연발했다.] * 올해의 신인: [[로큰롤 라디오]] - ''Shut Up And Dance''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네이버]] [[온 스테이지]] * 공로상: 박성연 * 장르분야 * 최우수 록(음반): [[옐로우 몬스터즈]] - ''Red Flag'' * 최우수 록(노래): [[옐로우 몬스터즈]] - "Red Flag" * 최우수 모던록(음반): [[윤영배]] - ''[[위험한 세계]]'' * 최우수 모던록(노래): [[윤영배]] "[[위험한 세계]]" * 최우수 팝(음반): [[선우정아]] - ''It's okay, dear'' * 최우수 팝(노래): [[조용필]] "Bounce"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글렌 체크]] - ''[[YOUTH!]]''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EXO]] "[[으르렁]]" * 최우수 랩&힙합(음반): [[팔로알토]] - ''Chief Life'' * 최우수 랩&힙합(노래): [[불한당#s.3|불한당 크루]] - "[[불한당가|불한당가(不汗黨歌)]]"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Zion.T]] - ''[[Red Light(자이언티)|Red Light]]''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Jinbo|진보]] "Fantasy"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나윤선]] - ''Lento''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살롱 드 오수경]] - ''Salon De Tango''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김오키]] - ''Cherubim's Wrath''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그룹): [[EXO]]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남자): [[G-DRAGON]]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여자): [[이하이]] == 2015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로로스]] - ''W.A.N.D.Y'' (2014.10.2) * 올해의 노래: [[소유(가수)|소유]]X[[정기고]] "[[썸(노래)|썸]](Feat. 릴보이 Of 긱스)"[* 재밌는 것이 최우수 팝 노래를 수상하였을 때는 둘 다 자리에 없었으나, 몇시간 뒤에 다시 올해의 노래 상을 받을 때는 그 사이 정기고가 시상식장에 도착하여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당일 일본에서 바로 한국으로 왔다고.] * 올해의 음악인: [[이승환]][* 수상소감을 야심차게 말하려다가 트로피를 선우정아에게 건네받지 않아서 옥상달빛에게 멘트를 막혔다. 그래도 좋은 수상소감을 전달하였다.] - ''Fall To Fly 前'' * 올해의 신인: [[김사월X김해원]]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잠비나이]] * 공로상: [[송창식]] * 장르분야 -[* 포크 분야가 신설되었다. 4회 시상식 이후 처음으로 한 장르에서 음반, 노래 둘 다 수상하는 뮤지션이 나오지 않았으며, 모든 수상을 통틀어 3관왕이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재밌게도 각 장르의 노래 부문 수상자는 록과 힙합을 제외한 모두가 동시에 올해의 노래 후보자이기도 했다. 포크 부문의 시상자로 한국 록의 전설인 [[한대수]]가 나와서 시상을 했는데, 중간에 영상을 거르고 수상자를 발표할 뻔 하다가 옥상달빛에게 제제당하였다.(...)] * 최우수 록(음반): [[단편선과 선원들]] - ''동물''[* 당일 아침까지 철거현장에서 철거반과 맞서 농성을 하였다고 한다.] * 최우수 록(노래): [[아시안체어샷]] "해야" * 최우수 모던록(음반): [[로로스]] - ''W.A.N.D.Y''[* 이로서 모던 록 장르에서 3년 연속 올해의 음반이 나왔다.] * 최우수 모던록(노래): [[9와 숫자들]] "숨바꼭질" * 최우수 포크(음반): [[김사월X김해원]] - ''비밀'' * 최우수 포크(노래): [[권나무]] "어릴 때" * 최우수 팝(음반): [[AKMU]] - ''PLAY'' * 최우수 팝(노래): [[소유(가수)|소유]]X[[정기고]] "[[썸]](Feat. 릴보이 Of 긱스)"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해오]] - ''Structure''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노래): [[윤상(가수)|윤상]] "날 위로하려거든" * 최우수 랩&힙합(음반): [[화지]] - ''[[EAT]]'' * 최우수 랩&힙합(노래): [[B-Free]] "Hot Summer" * 최우수 알앤비&소울(음반): [[Crush(가수)|Crush]] - ''Crush on You'' * 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 [[Zion.T]] - "[[양화대교#s-2]]"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재즈): [[이선지]] - ''The night of the border''[* 수상소감에서 남편이 '상 못 탈 것 같으니까 빨리 들어오라'고 했는데, 그걸 무릅쓰고 기다린 보람이 있다고 했다.]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 [[한승석 & 정재일]] - ''바리abandoned''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연주): [[김창현]] - ''망각(忘却)''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그룹):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남자): [[박재범]] *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여자): [[핫펠트|핫펠트(HA:TFELT)]][*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중 유일하게 당일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 특별공연 * 로큰롤라디오: 작년 신인상 수상자 자격으로 올해 오프닝 무대를 장식하였다. * 선우정아: 작년 최우수 팝 음반 및 올해의 음악인 수상자 자격으로 두번째 무대를 장식하였다. 자신의 앨범 수록곡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밴드 세션의 연주에 맞춰 노래하였다.[* 밴드 세션의 준비 동안 같은 레이블이었던 사회자 옥상달빛과 담소를 나눴다.] * 김오키: 작년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연주 부문 수상자 자격으로 세번째 무대를 장식하였다. 2014년 대중음악계를 떠난 3명을 추모하며 연주하였다. * 윤영배: 작년 최우수 모던 록 음반 및 올해의 음반 수상자 자격으로 네번째 무대를 장식하였다. 유가족들을 위하여 "죽음"을, 시상식장에 모인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백년의 꿈"을 불렀다.[* 첫 멘트를 "그래서 기본소득은 좀 알아보고 오셨어요?"로 장식하였다.] * 옐로우 몬스터즈: 작년 최우수 록 음반 및 록 노래 수상자 자격으로 모든 수상 결과 발표 후 마무리 무대를 장식하였다. == 2016년 == * 종합분야 * 올해의 음반: [[E SENS]] - ''[[The Anecdote]]'' (2015.8.27) * 올해의 노래: [[BIGBANG]] - "[[BAE BAE]]" * 올해의 음악인: [[딥플로우]] * 올해의 신인: [[혁오]][* 시상식에서 제일 첫 번째로 모던 락 노래 부문 상을 받고 두 시간 후 다시 이 상으로 무대에 올랐는데, "제가 말을 못하는 줄 알았는데 (그 사이) 다른 분들을 보니까 그렇지만도 않았군요."라고 말하였다.] * 특별분야 * 선정위원회 특별상: [[박재천]][* 무대 위에 올라와서 "한국대중음악상에서 5번이나 관심을 갖고 상을 주려 해서 정말 고맙다. 이번 상을 마지막으로, 나를 이어 나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후배 음악가들을 위해, 연주나 크로스오버 부문에서 나를 수상후보에서 빼주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라는 대인배적인 소감을 발표하였다.] * 공로상: [[김희갑(음악인)|김희갑]] * 장르분야 -[* 헤비니스 분야가 신설되었다.] * 최우수 헤비니스(음반): [[Method(밴드)|메써드]] - ''Abstract'' * 최우수 록(음반)[* 록 부문의 시상자인 단편선과 선원들의 단편선이 시상 직전 싸이와 테이크아웃드로잉 건물주 사이에 벌어진 법적 분쟁을 포함해 현재 예술 종사업자들이 사회에서 소외된 쪽으로 내몰리는 현실에 대해 비판하는 요지의 멘트를 하였다.]: [[더 모노톤즈]] - ''into the night'' * 최우수 록(노래): [[로다운30]] - "더 뜨겁게" * 최우수 모던록(음반): [[칵스]] - ''the new normal'' * 최우수 모던록(노래): [[혁오]] - "와리가리"[* 2관왕 수상] * 최우수 포크(음반): [[김사월]] - ''수잔''[* 2년 연속 수상. 조금 전 권나무의 수상에 이어 시상자로 나오면서 그대로 수상자가 되었다. 이로서 10~11회 글렌 체크에 이어 동 부문 2년 연속 수상 기록이 포크에서만 두 차례나 새로 기록되었다.] * 최우수 포크(노래): [[권나무]] - "이천십사년사월"[* 2년 연속 수상. 작년 수상자가 시상하는 것이 기본인 만큼 본인이 시상과 수상을 동시에 하는 뻘쭘함으로 웃음을 선사했다.] * 최우수 팝(음반): [[하비누아주]] - ''청춘'' * 최우수 팝(노래)[* 작년도 수상자인 윤상이 시상을 담당했는데, 만약 빅뱅이 무대에서 수상했다면 작년 무도 가요제 주역들이 다시 한대음 무대에서 만나는 진풍경을 연출할 뻔 했다.]: [[BIGBANG]] - "[[LOSER(BIGBANG)|LOSER]]"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음반): [[Trampauline|트램폴린]] [[Trampauline#s-3.1.3| '''장소''' ||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 || || '''방영일''' || [[2019년]] [[2월 26일]] [[화요일]] || ||<-2> [[http://koreanmusicawards.com/2019/nominee/nominee_total|전체 후보작/후보자]] || 특이하게도 올해의 신인 부문에서 애리, 마더바이브 등의 후보가 선정되었는데 이 후보들은 이제까지의 시상식에서 신인상 수상자들이 장르부문 후보에 최소 한 부문은 같이 노미네이트된 바 있던 것과 달리 신인상에만 후보로 올라갔다. [[방탄소년단]]은 "FAKE LOVE"와 "IDOL" 2곡을 최우수 팝 노래 부문에 동시 노미네이트시켰으며, 이 중 "FAKE LOVE"가 최종 수상했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장필순]] - ''soony eight : 소길花'' || - || || 올해의 노래 || [[방탄소년단|방탄소년단 (BTS)]] - "[[FAKE LOVE]]" || - || || 올해의 음악인 || [[방탄소년단|방탄소년단 (BTS)]] || [* 올해의 음악인 사상 최초로 2년 연속 수상] || || [[칭따오 맥주|칭따오]] 올해의 신인 || [[애리]] || [* 비어케어와의 [[MOU]] 덕분에 처음으로 상에 스폰서가 붙었다.]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록 음반 || [[라이프 앤 타임]] - ''Age'' || - || || 최우수 록 노래 || [[라이프 앤 타임]] - "잠수교" || - || || 최우수 모던록 음반 || [[세이수미]] - ''Where We Were Together'' || - || || 최우수 모던록 노래 || [[세이수미]] - "Old Town" || - || || 최우수 메탈&하드코어 음반 || [[Dark Mirror ov Tragedy]] - ''[[The Lord ov Shadows]]'' || - || || 최우수 팝 음반 || [[장필순]] - ''soony eight : 소길花'' || - || || 최우수 팝 노래 || [[방탄소년단|방탄소년단 (BTS)]] - "[[FAKE LOVE]]" || - ||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 [[공중도둑]] - ''무너지기'' || - ||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 || 예서 (YESEO) - "Honey, Don"t Kill My Vibe" || - || || 최우수 랩&힙합 음반 || [[뱃사공(래퍼)|뱃사공]] - ''[[탕아]]'' || - || || 최우수 랩&힙합 노래 || [[XXX(가수)|XXX]] - "간주곡"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 || [[Jclef]] - ''flaw, flaw''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 || [[수민(SUMIN)|수민]] - "너네 집" {{{-2 (feat. Xin Seha)}}} || - || || 최우수 포크 음반 || [[김사월]] - ''로맨스'' || - || || 최우수 포크 노래 || [[김사월]] - "누군가에게"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재즈 음반 || 이선지 - ''SONG OF APRIL''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크로스오버 음반 || near east quartet - ''near east quartet''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최우수 연주 || 송영주 - "Late Fall" || - || ||<-3> '''특별분야''' || || 공로상 || [[양희은]] || - ||}}} == 2020년 == || '''발표일''' || [[2020년]] [[2월 27일]] [[목요일]] || ||<-2> [[http://koreanmusicawards.com/2020/nominees|전체 후보작/후보자]][br] [[http://koreanmusicawards.com/2020/winner|전체 수상작/수상자]] || [[림킴|LIM KIM]], [[백예린]], [[잔나비]]는 신인을 제외한 종합분야 3부문과 장르분야 음반/노래 부문에 모두 후보로 올라, 5개 부문으로 공동 최다 노미네이트를 달성했다. 실제 수상은 백예린이 올해의 앨범과 최우수 팝 음반/노래 부문을 수상하며 3개 부문으로 최다 수상을 기록했고, 잔나비가 올해의 노래와 최우수 모던록 노래, LIM KIM이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노래 부문에서 수상했다. 올해의 신인에 선정된 [[sogumm]]은 프로듀서 dress와 함께 작업한 앨범과 단독 명의 앨범 2개가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 부문에 동시 노미네이트되었으나, 해당 부문 수상에는 실패했다. [[아이돌]] 및 대형 기획사가 부진했던 지난해와 달리, 이번 시상식에서는 [[방탄소년단]], [[AKMU]], [[ITZY]], [[태연]], [[(여자)아이들]]이 후보에 오르며 약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정작 이들 모두 수상에는 실패하였다. [[코로나 19]]로 [[https://facebook.com/koreanmusicawards/posts/1351946934993452|관객초청이 없는 비공개]] 행사로 축소되어 진행하려 했지만 상황이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https://facebook.com/koreanmusicawards/posts/1362217300633082|시상식을 취소]]하고 수상결과만 인터넷으로 공개하기로 하였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백예린]] - ''[[Our love is great]]'' || - || || 올해의 노래 || [[잔나비]] - "[[주저하는 연인들을 위해]]" || - || || 올해의 음악인 || [[김오키]] || [* 참고로 김오키는 시상식에서 받은 트로피에 낙서를 해서 각각 200만원에 팔았다. 결과는 완판(..)] || || [[칭따오 맥주|칭따오]] 올해의 신인 || [[sogumm]] || [*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신인 수상 역사 중 최초로 흑인음악 장르 뮤지션이 수상하였다.]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록 음반 || [[잠비나이]] - ''[[온다 (ONDA)]]'' || - || || 최우수 록 노래 || [[잠비나이]] - "온다 (ONDA)" || - || || 최우수 모던록 음반 || [[검정치마]] - ''[[THIRSTY]]'' || - || || 최우수 모던록 노래 || [[잔나비]] - "주저하는 연인들을 위해" || - || || 최우수 메탈&하드코어 음반 || 메써드 - ''Definition of Method'' || - || || 최우수 팝 음반 || [[백예린]] - ''[[Our love is great]]'' || - || || 최우수 팝 노래 || [[백예린]] -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은 아닐 거야" || - ||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 [[림킴|Lim Kim]] - ''GENERASIAN'' || - ||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 || [[림킴|Lim Kim]] - "SAL-KI" || - || || 최우수 랩&힙합 음반 || [[C JAMM]] - ''[[킁]]'' || - || || 최우수 랩&힙합 노래 || [[E SENS]] - "그XX아들같이"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 || [[서사무엘]] - ''[[The Misfit]]''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 || [[Jclef]] - "mama, see" || - || || 최우수 포크 음반 || [[천용성]] - ''김일성이 죽던 해'' || - || || 최우수 포크 노래 || [[천용성]] - "대설주의보"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재즈 음반 || [[김오키]] - ''스피릿선발대''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크로스오버 음반 || [[블랙스트링]] - ''Karma''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최우수 연주 || 배장은 리버레이션 아말가메이션 - ''JB Liberation Amalgamation'' || - || ||<-3> '''특별분야''' || || 공로상 || [[김수철(가수)|김수철]] || - || || 선정위원회 특별상 || 서울레코드페어 || [* 14회 이후로 수상자가 없던 특별상 부문에 3년만에 수상자가 나왔다.] ||}}} == 2021년 == || '''장소''' || 노들섬 뮤직라운지 || || '''방영일''' || [[2021년]] [[2월 28일]] [[일요일]] || ||<-2> [[http://koreanmusicawards.com/2019/nominee/nominee_total|전체 후보작/후보자]][br] [[http://koreanmusicawards.com/2021/winner|전체 수상작/수상자]] || 종합부문 후보가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겹쳤는데, [[방탄소년단]], [[백예린]], [[선우정아]], [[이날치]]가 3부문(앨범, 노래, 음악인) 동시 노미네이트되었다. 이외에는 [[정밀아]]가 음반과 음악인, [[조동익]]이 음반, [[지코]]가 노래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이날치는 장르 부문에서 앨범 [[수궁가(이날치)|수궁가]]가 최우수 크로스오버 음반 부문에, 수록곡 [[범 내려온다]]가 최우수 모던록 노래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지난해 올해의 앨범, 최우수 팝 부문 수상자 백예린은 [[Every letter I sent you.]], Square(2017)로 올해에도 동일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올해의 음악인 부문 2년 연속 수상 경력을 보유한 방탄소년단은 올해에도 동일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최초로 후보에 오른 아이돌로는 [[오마이걸]], [[백현]]이 있다. [[유키카]]는 일본 국적의 가수로는 최초로 한국대중음악상 후보에 올랐다.[* 구성원까지 범위를 넓히면 [[장기하와 얼굴들]]의 멤버였던 [[하세가와 요헤이]]가 후보에 올랐었다.] "Hot Summer"로 최우수 랩&힙합(노래)로 상을 받은 [[B-Free]]가 [[FREE THE BEAST]]로 인해 최우수 랩/힙합 앨범 후보에 올랐다. 쿤디판다의 가로사옥에 밀려 상은 못 받았지만 비프리의 기존과 다른 새로운 스타일과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멤피스 랩으로 여기까지 올라온 것만 해도 휼륭한 음반이며 선정된 이유 역시 앞서 말한 이유로 되었다. 지코의 [[아무노래]]는 올해의 노래 후보와 함께 랩&힙합 부문이 아닌 최우수 팝 노래 부문 후보에 올랐다. 시상식은 관중이 없는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다. 시상자가 수상자를 호명하면 별도의 방에 대기하던 후보자가 트로피를 받고 수상소감을 발표하는 방식. 축하공연은 천용성, 배장은 리버레이션 아말가메이션이 장식해 주었다. 전화통화중에 씨잼은 발매도 하지않은 어디를 즐기고 있냐고 했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정밀아]] - ''<[[청파소나타]]>'' || [* 3년 연속으로 예명을 쓰지 않는 여성 솔로 뮤지션이 수상하였다.][* 이번 시상식에서 최다 수상인 3관왕을 달성하였다.] || || 올해의 노래 || [[방탄소년단]] - "[[Dynamite]]" || [* 2018년 올해의 음악인 부문 수상, 2019년 올해의 음악인/노래 부문 수상에 이어 2021년에도 올해의 노래를 수상하면서 '''총 4회'''로 종합 부문 역대 최다 수상자가 되었다.] || || 올해의 음악인 || [[이날치]] || [* 크로스오버나 재즈와 같은 장르의 음악도 소비될 수 있는 건전한 음악시장이 앞으로 형성되길 바란다는 의미 있는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이번 시상식에서 최다 수상인 3관왕을 달성하였다.] || || 올해의 신인 || [[김뜻돌]] || [* 고마운 사람들을 열거하면서 '카카오페이로 천 원씩 축하송금 부탁드린다'라는 재밌는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록 음반 || [[ABTB]] - '''' || - || || 최우수 록 노래 || [[ABTB]] - "daydream (Feat. 신윤철)" || - || || 최우수 모던록 음반 || [[조동익]] - ''<푸른 베개>'' || [* 제주도에 거주하는지라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 || 최우수 모던록 노래 || [[이날치]] - "범 내려온다" || [* 시상식 최초로 재즈&크로스오버 장르 부문 수상팀이 다른 장르의 부문까지 넘나들어 상을 받았다!] || || 최우수 메탈&하드코어 음반 || [[램넌츠 오브 더 폴른]] - '''' || - || || 최우수 팝 음반 || [[백예린]] - ''<[[Every letter I sent you.]]>'' || [* 팝 부문 최초로 최우수 음반상을 2년 연속 수상하였다.] || || 최우수 팝 노래 || [[방탄소년단]] - "Dynamite" || [* 스케줄상 참석하지 못하였는데, 사무국에 미리 수상소감 영상을 만들어 보냈다. 수상 호명 직후 수상소감 영상이 송출되었다.] ||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 [[Mogwaa|Mogwaa(모과)]] - <[[Open Mind(Mogwaa)|Open Mind]]> || - || ||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 || [[아슬(Aseul)]] - "Bye Bye Summer" || - || || 최우수 랩&힙합 음반 || [[Khundi Panda]] - ''<[[가로사옥]]>'' || [* 2018년 수상과 겹쳐서 [[화지]]와 함께 해당 부문 최다 수상자가 되었다.] || || 최우수 랩&힙합 노래 || [[스월비]] - "Mama lisa" || [* 최우수 랩&힙합 부문 역사상 '''최초의 여성 수상자'''이자 '''최연소 수상자(만 19세)'''이다.] || ||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 || [[선우정아]] - ''''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 || [[추다혜차지스]] - "리츄얼댄스" || - || || 최우수 포크 음반 || [[정밀아]] - ''<[[청파소나타]]>'' || - || || 최우수 포크 노래 || [[정밀아]] - "서울역에서 출발"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재즈 음반 || [[말로(재즈 뮤지션)|말로]] - ''<송창식 송북>''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크로스오버 음반 || [[이날치]] - ''<[[수궁가(이날치)|수궁가]]>''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최우수 연주 || 서수진 - '''' || - || ||<-3> '''특별분야''' || || 공로상 || [[들국화(밴드)|들국화]] || - || || 선정위원회 특별상 || [이야기 해주세요] 프로젝트 || - ||}}} == 2022년 == || '''장소''' || 노들섬 뮤직라운지 || || '''날짜''' || [[2022년]] [[3월 1일]] [[화요일]] || ||<-2> [[https://koreanmusicawards.com/nominees/total-2022/|전체 후보작/후보자]][br] [[http://koreanmusicawards.com/2022/winner|전체 수상작/수상자]] || 올해 시상식부터 케이팝 부문이 추가되며[* 기존 팝 부문과의 차이는 댄스 음악 성격과 안무의 유무 정도로 보인다. 일례로 아이돌 가수이지만 [[웬디(Red Velvet)|웬디]]의 'When This Rain Stops'는 팝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댄스&일렉트로닉 부문이 댄스를 뺀 일렉트로닉 부문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최우수 크로스오버 부문이 재즈와 통합되어, 최우수 재즈 음반, 최우수 크로스오버 및 최우수 연주 부문이 최우수 재즈 음반(보컬, 크로스오버, 연주)로 변경되었다. 선정 관련해서 논란이 있는 편인데, 일부 국내 인디 아티스트들의 경우 꾸준하게 개근하는데 비해 국내 및 해외 리스너들에게 주목받으며 피치포크에서 평점 '''8.0'''점[* 역대 한국 음반 3위에 해당하는 높은 점수이다.]을 받는 등 인터넷을 통해 화제를 모았던 [[파란노을]]의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은 어떤 분야로도 후보에 오르지 못하였다. 최초로 록 음반과 모던록 음반, 메탈&하드코어 음반 세 부문에서 '''올해의 음반 후보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종합분야''' || || 올해의 음반 || [[이랑(인물)|이랑]] - ''<늑대가 나타났다>'' || [* 4년 연속으로 예명을 쓰지 않는 여성 솔로 뮤지션이 수상하였다.][* 2관왕] || || 올해의 노래 || [[aespa]] - "[[Next Level(aespa)|Next Level]]" || [* 3관왕][* '''아이돌 그룹 사상 최초로 한국대중음악상 '대상(올해의 노래)' 및 '올해의 신인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2006년 밴드 [[두번째 달]] 이후 16년 만에 올해의 신인상을 받은 뮤지션이 올해의 신인 이외 다른 종합분야 상도 수상하는 결과가 나왔다.] || || 올해의 음악인 || [[방탄소년단]] || [* 통산 3회 선정] || || 올해의 신인 || [[aespa]] || - || ||<-3> '''장르분야''' || || 최우수 록 음반 || [[소음발광]] - ''<[[소음발광#s-3.3|기쁨, 꽃]]>'' || - || || 최우수 록 노래 || [[소음발광]] - "춤" || - || || 최우수 모던록 음반 || [[이상의날개]] - ''<희망과 절망의 경계>'' || - || || 최우수 모던록 노래 ||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 - "Desert Eagle" || - || || 최우수 메탈&하드코어 음반 || AGNES - '''' || - || || 최우수 팝 음반 || [[아이유]] - ''<[[LILAC]]>'' || - || || 최우수 팝 노래 || [[AKMU]] - "[[NEXT EPISODE#s-3.2|낙하]]" {{{-2 (feat. [[아이유]])}}} || - || || 최우수 케이팝 음반 || [[청하]] - <[[Querencia]]> || - || || 최우수 케이팝 노래 || [[aespa]] - "[[Next Level(aespa)|Next Level]]" || - || || 최우수 일렉트로닉 음반 || [[해파리(가수)|해파리]] - || - || || 최우수 일렉트로닉 노래 || [[해파리(가수)|해파리]] - <경포대로 가서> || - || || 최우수 랩&힙합 음반 || [[최엘비]] - ''<[[독립음악(앨범)|독립음악]]>'' || - || || 최우수 랩&힙합 노래 || [[창모]] - "[[UNDERGROUND ROCKSTAR#s-3.2|태지]]"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 || [[THAMA]] - ''<[[DON'T DIE COLORS]]>'' || - || ||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 || [[SUMIN]], [[Slom]] - "곤란한 노래" || - || || 최우수 포크 음반 || [[이랑(인물)|이랑]] - ''<늑대가 나타났다>'' || - || || 최우수 포크 노래 || [[천용성]] - "보리차" {{{-2 (feat. [[강말금]])}}}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재즈-보컬 음반 || 마리아킴 - '''' || - || ||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재즈-연주 음반 || Jihye Lee Orchestra - '''' || - || ||<-3> '''특별분야''' || || 공로상 || 데블스 || - || ||<|2> 선정위원회 특별상 || [[한경록]] || - || || 한국재즈수비대 || - ||}}} == 2023년 == || '''날짜''' || [[2023년]] [[3월 1일]] 녹화 [br] [[2023년]] [[3월 5일]] 공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부문''' || '''수상''' || '''비고''' || ||<-3> '''{{{#fff 종합분야}}}''' || ||<|7> 올해의 음반 || || '''[[250(프로듀서)|250]]''' - ''' ''[[뽕(음반)|뽕]]'' ''' || [* 일렉트로닉 음반으로서 올해의 음반 최초 수상.] || || [[검정치마]] - ''[[TEEN TROUBLES|TEEN TROUBLES ]]'' || || || [[넉살]] X [[까데호]] - ''[[당신께]]'' || || || [[선과영]] - ''밤과낮'' || || || 송영주 - ''Atmosphere'' || || || [[NewJeans]] - ''[[New Jeans]]'' ||[* '''아이돌 그룹 사상 최초로''' 데뷔 앨범이(정규 1집도 아니다!) 올해의 음반에 노미네이트된 사례. 시상식 전체 역사로 따졌을 땐 이미 제3회 한대음에서 두번째 달이 올해의 신인을 거머쥔 동시에 올해의 음반을 수상까지 하여서 역대 최초의 기록은 아니다.] || ||<|6> 올해의 노래 || [[(여자)아이들]] - "[[TOMBOY((여자)아이들)|TOMBOY]]" || || ||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 - "[[NO PAIN]]" || || || '''[[윤하]]''' - ''' "[[사건의 지평선(윤하)|사건의 지평선]]" ''' || || || [[장기하]] - "[[부럽지가 않어]]" || || || [[IVE]] - "[[LOVE DIVE]]" || || || [[NewJeans]] - "[[New Jeans#s-4.1|Attention]]" || || ||<|6> 올해의 음악인 || || '''[[250(프로듀서)|250]]''' || [* [[ADOR]] 소속 걸그룹 [[NewJeans]]의 메인 총괄 프로듀서. 11년 만에 올해의 음반, 올해의 음악인 동시 수상.] || || [[넉살]] X [[까데호]] || || || [[윤하]] || || || [[장기하]] || || || [[NewJeans]] || || ||<|6> 올해의 신인 || 김유진 || || || [[시온(가수)|시온]] || || || [[한로로]] || || || [[IVE]] || || || [[LE SSERAFIM]] (르세라핌) || || || '''[[NewJeans]]''' || || ||<-3> '''{{{#fff 장르분야}}}''' || ||<|5> 최우수 록 음반 || [[BADLAMB]] - ''[[BADLAMB#s-3.5|Universal Anxiety]]'' || || || [[OVerdrive Philosophy]] - ''[[오버드라이브 필로소피#s-4.1|OVerdrive Philosophy]]'' || || || [[라날로그]] - ''Stereo Out!'' || || || '''[[콩코드(동음이의어)#s-4|콩코드]]''' - ''' ''초음속 여객기'' ''' ||[* 수상소감에서 자신은 원래 재즈 기타리스트였다고 밝혔다.] || || [[ABTB]] - ''[[ABTB#s-4.1.3|iii]]'' || || ||<|6> 최우수 록 노래 || || '''[[잠비나이]]''' - ''' "지워진 곳에서" {{{-2 (feat. 선우정아)}}}''' || || || [[콩코드(동음이의어)#s-4|콩코드]] - "무지개꽃 피어있네" || || || [[BADLAMB]] - "Love, Lies, Bleeding" || || || HarryBigButton - "Thelma & Louise" || || || [[OVerdrive Philosophy]] - "구호물품 Pt. 2" || || ||<|6> 최우수 모던록 음반 || || '''[[검정치마]]''' - ''' ''[[TEEN TROUBLES]]'' ''' || || || [[더 보울스]] - ''Blast From The Past'' || || || [[세이수미]] - ''The Last Thing Left'' || || || [[허클베리핀]] - ''[[허클베리핀#s-2.1.7|The Light Of Rain]]'' || || || [[TRPP]] - ''[[TRPP#s-3.2|Here to Stay]]'' || || ||<|5> 최우수 모던록 노래 || [[세이수미]] - "꿈에" {{{-2 (feat. Kim Oki)}}} || || ||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 - '''"[[NO PAIN]]"''' || || || [[조용필]] - "[[Road to 20 PRELUDE 1#s-4.1|찰나]]" || || || [[한로로]] - "[[입춘(노래)|입춘]]" || || || [[허클베리핀]] - "Tempest" || || ||<|5> 최우수 메탈&하드코어 음반 || [[미역수염]] - ''[[Bombora]]'' || || || 비세랄 익스플로전 - ''Human Meat Distribution Process'' || || || Dog Last Page - ''Drunken Dream'' || || || '''[[Madmans Esprit]]''' - ''' ''[[Madmans Esprit#s-3.1.3|나는 나를 통해 우리를 보는 너를 통해 나를 본다]]'' ''' || || || Nuclear Idiots - ''NCLRIDTS'' || || ||<|5> 최우수 랩&힙합 음반 || [[김아일]] - ''some hearts are for two'' || || || '''[[넉살]] X [[까데호]]''' - ''' ''[[당신께]]'' ''' ||[* 까데호: 녹음하다가 다 같이 코로나-19도 걸렸었으며, 그럼에도 작업하던 과정이 너무 재밌어서 좋았던 음반이었다는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 || [[이현준(래퍼)|이현준]] - ''[[번역 중 손실]]'' || || || [[팔로알토]] - ''[[Dirt(팔로알토)|Dirt]]'' || || || [[C JAMM]] - ''[[걘]]'' || || ||<|6> 최우수 랩&힙합 노래 || || '''[[넉살]] X [[까데호]]''' - '''"[[당신께#s-2.4|굿모닝 서울]]"''' ||[* 넉살: 계속 기대했지만 번번히 비껴갔는데 이번에 두번 한꺼번에 주고 치우려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아무튼 정말로 감사하다. 이 앨범을 만들면서 정말 즐거웠다. 예술가로서 작품을 만들려면 창작의 고통을 겪는 건 당연한 거라 생각했는데 스스로도 '이렇게 즐겁게도 음악을 만들 수가 있구나'라는 새로운 환기가 되는 기회이기도 했다. 그 정도로 제작 과정에서 너무 즐거웠고 술을 먹으며 흥겹게 만든 기억이 난다. 앞으로도 마약 없이 건강한 힙합을 하도록 하겠다.] || || [[이현준(래퍼)|이현준]] - "[[번역 중 손실#s-4.11|White Lighter]]" || || || [[지코]] - "[[새삥]]" {{{-2 (feat. 호미들)}}} || || || [[팔로알토]] - "[[Dirt(팔로알토)#s-3.6|PRICELESS]]" {{{-2 (feat. 토이고)}}} || || || [[lobonabeat!]] - "생일" {{{-2 (feat. BILL STAX)}}} || || ||<|7>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 || || '''[[에이트레인(A.TRAIN)|A.TRAIN]]''' - ''' ''[[에이트레인(A.TRAIN)#s-2.1.2|PRIVATE PINK]]'' ''' || || || CHE - ''Kpop'' || || || Joe Layne - ''Life O Life'' || || || [[Rad Museum]] - ''[[RAD]]'' || || || [[Slom]] - ''[[WEATHER REPORT]]'' || || || Soul Delivery - ''FOODCOURT'' || || ||<|5>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 || Soul Delivery with THAMA - "넋" || || || '''[[BIBI|비비]]''' - ''' "[[Lowlife Princess: Noir#s-2.11|조또]]" ''' || || || [[시온(가수)|시온]] - "Braindead" || || || [[에이트레인(A.TRAIN)|A.TRAIN]] - "SOMETHING BEAUTIFUL" {{{-2 (feat. 김뜻돌, 시문 & 서보경)}}} || || || [[Slom]] - "[[WEATHER REPORT#s-2.1|아니라고]]" {{{-2 (feat. Zion.T)}}} || || ||<|5> 최우수 팝 음반 || [[빛과 소금(밴드)|빛과 소금]] - ''Here We Go'' || || || '''[[이찬혁]]''' - ''' ''[[ERROR(이찬혁)|ERROR]]'' ''' || || || [[임영웅]] - ''[[IM HERO]]'' || || || [[장기하]] - ''[[공중부양(음반)|공중부양]]'' || || || [[최백호]] - ''찰나'' || || ||<|6> 최우수 팝 노래 || || '''[[윤하]]''' - ''' "[[사건의 지평선(윤하)|사건의 지평선]]" ''' || || || [[이찬혁]] - "[[ERROR(이찬혁)#s-4.3|파노라마]]" || || || [[장기하]] - "[[부럽지가 않어]]" || || || [[250(프로듀서)|250]] - "모든 것이 꿈이었네" || || || [[원필]] - "[[Pilmography#s-4.10|행운을 빌어 줘]]" || || ||<|5> 최우수 케이팝 음반 || [[(여자)아이들]] - ''[[I love]]'' || || || [[(여자)아이들]] - ''[[I NEVER DIE]]'' || || || [[태연]] - ''[[INVU]]'' || || || [[LE SSERAFIM]] - ''[[ANTIFRAGILE]]'' || || || '''[[NewJeans]]''' - ''' ''[[New Jeans]]'' ''' || || ||<|5> 최우수 케이팝 노래 || [[(여자)아이들]] - "[[TOMBOY((여자)아이들)|TOMBOY]]" || || || [[IVE]] - "[[LOVE DIVE]]" || || || [[LE SSERAFIM]] - "[[ANTIFRAGILE#s-4.2]]" || || || '''[[NewJeans]]''' - ''' "[[New Jeans#s-4.1|Attention]]" ''' || || || [[Red Velvet]] - "[[Feel My Rhythm]]" || || ||<|6> 최우수 일렉트로닉 음반 || || '''[[250(프로듀서)|250]]''' - ''' ''[[뽕(음반)|뽕]]'' ''' ||[* 너무 편하게 만든 곡과 음악이며, 뱅버스 음반은 절대 혼자 만들수 없었다고, 운이 좋았다는 그런 겸손한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 || [[Glen Check]] - ''[[Bleach(글렌체크)|Bleach]]'' || || || Pierre Blanche - ''Ego'' || || || Salamanda - ''ashbalkum'' || || || Two Tone Shape - ''Every Minute'' || || ||<|5> 최우수 일렉트로닉 노래 || [[태연]] - "INVU" {{{-2 (Moon Kyoo Remix)}}} || || || [[Glen Check]] - "4ever" || || || [[KIRARA]] - "[[KIRARA/발매 앨범#s-2.4|Stargaze]]" || || || Pierre Blanche - "Infinite Circle" {{{-2 (feat. Rondo Mo)}}} || || || '''[[250(프로듀서)|250]]''' - '''"뱅버스"''' || || ||<|5> 최우수 포크 음반 || [[김목인]] - ''저장된 풍경'' || || || [[루시드폴]] - ''[[목소리와 기타]]'' || || || 배영경 - ''푸른 너'' || || || [[생각의 여름]] - ''손'' || || || '''[[선과영]]''' - ''밤과낮'' ||[* 여기서 [[이랑]]이 '아이 3집, 정규 1집' 드립을 쳤다.] || ||<|5> 최우수 포크 노래 || [[김목인]] - "도심산책" {{{-2 (feat. 다정)}}} || || || [[루시드폴]] - "[[목소리와 기타#s-2.1|한 줌의 노래]]" || || || 배영경 - "사랑해" {{{-2 (feat. 경선)}}} || || || [[생각의 여름]] - "걷는 이" {{{-2 (박혜리와 함께)}}} || || || '''[[선과영]]''' - "밤과낮" ||[* 자신들은 08년도에 음악을 처음으로 시작하였고 현재 대구에 살고 있으며, 애를 업고 다녀야 하는데 기타를 계속 업고 다녔다고 말하면서 아들 딸이 최신 유행하는 음악만 좋아하고 엄마가 하는 음악을 재미없어하는데 엄마가 이렇게 상을 탔으니 한번만 다시 들어줬으면 좋겠다는, 소탈하면서도 훈훈한 수상소감을 발표하였다.] || ||<|6> 최우수 재즈-보컬 음반 || || '''김유진''' - ''' ''한 조각 그리고 전체'' ''' || || || 김주환 - ''Candy: Memories Of Nat King Cole Trio'' || || || [[나윤선]] - ''WAKING WORLD'' || || || 마리아킴 - ''Two for the Road'' || || || 전송이 & Vinicius Gomes - ''Home'' || || ||<|5> 최우수 재즈-연주 음반 || 김영후 빅밴드 - ''범인류적 유산'' || || || 김정식 - ''한글, 즉흥연주'' || || || 만동 - ''BIG SUN'' || || || '''송영주''' - ''' ''Atmosphere'' ''' ||[* 수상소감에서 이 앨범을 녹음하다 코로나-19에 걸렸음을 밝혔다.] || || 유태성 - ''미켈란젤로'' || || ||<|6> 최우수 글로벌 컨템퍼러리 음반 || 박지하 - ''The Gleam'' || || || 밤 새 - ''커뮤니케이션'' || || || '''[[정재일]]''' - ''' ''psalms'' ''' || || || 지박, BlankFor.ms & VRI String Quartet - ''Syntropy'' || || || 황진아 - ''Short Film'' || || || SINNOI - ''ILLUMINATION'' || || ||<-3> '''특별분야''' || || 공로상 || [[사랑과 평화]] || || || 선정위원회 특별상 || club EVANS ||[* 클럽 사장님이 상을 수여받고, 클럽을 운영하는 동안 화재도 났었고 힘든 시절이 많았지만 그럴 때마다 빌 에반스가 자신을 구원해주었고, 오늘 이 상으로서 또 구원해준 것 같다는 수상소감을 하였다.] ||}}} ===# 틀 둘러보기 #===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팝 음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팝 노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케이팝 음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케이팝 노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랩&힙합 음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랩&힙합 노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모던록 노래)]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메탈&하드코어 음반)]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대중음악상, version=83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대중음악상, version=899)] [[분류:한국대중음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