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에 소재하는 대학교, rd1=대학 관련 정보, other2=블루스트링 및 레드스트링에 등장하는 학교, rd2=한국대학교(와이랩 유니버스))] [목차] == 가상의 대학 == '''한국대학교'''(韓國大學校), '''대한대학교'''(大韓大學校) 또는 '''대한민국대학교'''(大韓民國大學校)는 현대의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창작물]]에 주로 등장하는 가상의 대학교 이름이다. 실재하는 대학의 이름을 가져다 쓰는 데에는 [[어른의 사정|여러가지 문제]]들이 있어서 작가가 만들어낸 [[가공의 교육기관]]으로, 작품별로 묘사가 다르지만 일국의 국호를 그대로 따온 만큼 대체로 사회적 위치나 인지도는 국내 최고의 대학 위치를 맡는다. 실제로도 원래 국가 이름을 대학교명으로 쓰는 대학교들은 전세계적으로 그 국가 내에서 최고의 위상을 자랑하는 학교들이 많기에 가공의 최상위권 대학교들을 만들 때 부가 설명도 필요 없이 붙이기 딱 좋은 이름이다. 애당초 각 국의 최상위권 대학들은 보통 그 국가의 명칭이나 최대도시 혹은 수도의 명칭을 따온 대학들이 매우 많다. 국가 명칭을 대학교명으로 쓰는 각국의 최상위권 대학의 현실 예시로 [[대만]]의 [[국립대만대학]][* 다만 이쪽은 [[대만]]이나 [[양안관계]] 등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국호]] (한술 더 떠서 [[국체]]까지) 관련해서 논란이 매우 많다. 그래도 대만이 [[정체]](政體)가 무엇이던 (국가 혹은 [[중국]]에 속한 [[지역]]) 간에 대만 내부에서 1위 대학교는 대만대학이 맞다.], [[홍콩]]의 [[홍콩대학]][*A 다만 이들은 [[중국]] 산하 [[일국양제]]이기 때문에 [[국체]] 관련해서 논란이 있다.], [[마카오]]의 마카오대학[*A], [[베트남]]의 베트남국립대학, [[싱가포르]]의 [[싱가포르 국립대학]], [[필리핀]]의 [[필리핀 대학교]], [[인도]]의 [[인도 공과대학교]], [[멕시코]]의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인도네시아]]의 [[인도네시아 대학교]], [[호주]]의 [[호주국립대학교]], [[몽골]]의 몽골 국립대학교, [[카자흐스탄]]의 알파라비 카자흐스탄 국립대학교, [[우즈베키스탄]]의 미르조 울르그벡 우즈베키스탄 국립대학교, [[아이슬란드]]의 [[아이슬란드 대학교]], [[가나]]의 [[가나 대학교]], [[UAE]]의 UAE 대학교, [[카타르]]의 [[카타르 대학교]], [[칠레]]의 [[칠레 대학교]], [[콜롬비아]]의 콜롬비아국립대학교 등이 있다. 여담으로 [[미국]]의 [[아이비 리그]] 중 하나인 [[컬럼비아 대학교]]의 '컬럼비아'는 미국을 뜻하는 옛 이름이며, [[http://www.newsm.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46|#]] [[말레이시아]]의 최상위권 대학 [[말라야 대학교]]의 '말라야'는 말레이시아의 예전 이름이다. 이렇게 보면 [[고려대학교]] 역시 한국의 옛 이름을 교명으로 쓰고 있는 학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외도 물론 존재하는데 [[일본]]의 [[니혼대학|일본대학]]은 도쿄대 라인의 명문대가 아니며 [[미국]]의 [[아메리칸 대학교]]도 명문대 반열에는 들 수 있지만 [[아이비리그]] 수준은 아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국가 이름이 붙은 이름학교 대학교들이 공립대, 그 중에서도 국립대인 경우가 많은 반면 이 2개 학교는 다 사립대라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여담으로 최대도시나 수도의 명칭을 따온 최상위권 학교들은 우리나라 [[서울]]의 [[서울대학교]], [[일본]] [[도쿄]]의 [[도쿄대학]], [[중국]] [[베이징]]의 [[베이징대학]], [[캐나다]] [[토론토]]의 [[토론토 대학교]], [[호주]] [[시드니]]의 [[시드니 대학교]]와 [[멜버른]]의 [[멜버른 대학교]][* 이쪽은 상술했듯이 국가 명칭을 따온 최상위권 대학교([[호주국립대학교]])도 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뉴질랜드)|오클랜드]]의 [[오클랜드 대학교]], [[영국]] [[런던]]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킹스 칼리지 런던]]/[[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다만 이들은 [[옥스퍼드 대학교]]랑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음 가는 명문대들이다. 그래도 전부 세계구 명문대라는 것은 기정사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브라질]] [[상파울루]]의 상파울루 대학교 등이 있다. 상술한 국가 명칭에서 교명을 따온 최상위권 대학교들인 [[홍콩]]의 [[홍콩대학]], [[마카오]]의 마카오대학, [[싱가포르]]의 [[싱가포르 국립대학]] 등은 국가와 도시의 명칭이 같은 도시 국가들이기 때문에 도시 명칭에서 따온 최상위권 대학들의 예시에도 해당된다. 우리나라는 아니지만 과거 한반도 지역에 존재했던 국가들의 이름을 딴 대학들은 많다. 아마도 가장 유명할 [[고려대학교]]부터 [[고구려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신라대학교]], [[조선대학교]]가 있고, 연맹왕국 이름까지 포함하면 [[가야대학교]]도 있다. 우리나라 소재 대학은 아니지만 [[중국]] [[랴오닝 성]] [[진저우시]]에 보하이([[발해]])대학교도 있다. [[동북공정]]은 아니고, [[보하이 만]]에서 따온 것이다.[* 국가 [[발해]]도 이 발해만에서 따온 국명이다. 다만 발해 스스로는 진국 또는 고려로 불렀다.] 여담으로 [[보하이 만]]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데, 먼 거 아닌가 싶겠지만 중국 기준으로는 정말 가까운 것이다. 특이하게도 보하이대학교는 [[파주]]에 분교가 있다. 한국대학교가 아닌 '한국대학'이라는 명칭은 실제로 존재한 적이 있다. 지금의 [[서경대학교]]는 1947년 재단설립 당시 재단법인 한국학원의 한국대학으로 설립되었다. 하지만 1955년 재단법인 국제학원에서 인수하여 국제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실존했던 한국대학에 대해서는 [[한국대학(1947)]] 문서로. 드라마 중에선 [[한국방송공사|KBS]]와 [[SBS]]의 창작물에 특히 많이 등장하며, [[MBC]]의 경우는 '문화대학교'라는 가상의 대학교가 따로 존재한다. MBC의 사명인 [[문화방송]]에서 따온 이름이며, [[논스톱 시리즈]], MBC [[일일 드라마]] 등에서 문화대 동문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워낙 [[논스톱 시리즈]]에서 노는 장면만 보여 주었기에 서울대 급의 위치는 아닌 듯하다. 게임 판타지 소설 [[달빛조각사]]에도 주인공 [[이현(달빛조각사)|이현]]과 주인공의 여동생인 [[이혜연]]이 다니고 있는 대학교로 나오며 작중에서도 상당히 상위권에 위치한 수도권 대학으로 나온다. 그리고 한국대가 특히 국내 제작 [[BL]]계열 작품들에서도 주역들이 다니는 대학 이름으로 많이 언급되며 자주 쓰이는 대학이기도 한 편이다. === 등장 사례 === 현재까지 등장한 한국대학교 출신 가상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이민재 - KBS 드라마 [[학교 3]][* [[학교 1]]에서 [[최강희(배우)|최강희]]가 맡았던 배역으로, 학교 3 38회에 특별 출연했을 때 졸업 후 한국대학교에 진학했다고 나온다.] * 천재인 - KBS 드라마 [[641가족]] * 이몽룡 - KBS 드라마 [[쾌걸 춘향]], 한국대학교 법학과 * 진기한 - [[무한동력(웹툰)|무한동력]], 한국대학교 수의학과 * [[한진우(신의 퀴즈)|한진우]] - [[신의 퀴즈]],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 한수자 - [[무한동력(웹툰)|무한동력]], 한국대학교 기계공학부 * 신유경 - [[제빵왕 김탁구]], 한국대학교 사회학과 * 구자림 - [[제빵왕 김탁구]], 한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이단 - [[MBC]]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 한국대학교 법학과 * 백자은 - KBS 드라마 [[오작교 형제들]], 한국대학교 미술대학 금속공예과. 대학 [[홍보대사]] 역임중. * [[이현(달빛조각사)|이현]] - 게임 판타지 소설 [[달빛조각사]], 한국대학교 가상현실학과 * [[이혜연]] - 게임 판타지 소설 [[달빛조각사]] * [[태공실]] - SBS 드라마 [[주군의 태양]] * 고은님 - SBS 드라마 [[천만번 사랑해]], 한국대학교 사범대학 중퇴 * 오진희 - tvN 드라마 [[응급남녀]], 한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연민정]]''' - MBC 드라마 [[왔다! 장보리]] * 황우연, 옥근남 - 영화 [[너의 결혼식]], 한국대학교 체육학과 * 환승희, 구공자 - 영화 [[너의 결혼식]], 한국대학교 의상학과 * 최수표 - 영화 [[너의 결혼식]], 한국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유진우, 차형석 - tvN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드라마)|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한국대학교 전자공학학과 * 윤태이 - SBS 드라마 [[앨리스(드라마)|앨리스]], 한국대학교 물리학과 * 박선호 - tvN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드라마)|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한국대학교 경영학과 * 차병준 - tvN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드라마)|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한국대학교 경영학과 석좌교수 * 고미란, 오영선, 박경자, 황지훈 - tvN 드라마 [[날 녹여주오]] * 황병심(황동혁) - tvN 드라마 [[날 녹여주오]], 한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이호진 - JTBC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드라마)|이태원 클라쓰]], 한국대학교 경영학과 * 양재원, 박경원 - 네이버 시리즈 웹소설/네이버 웹툰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 반여단, 김혜힐, 김혜우, 반휘혈 - 카카오 페이지 웹소설 / 리디북스 웹소설 / [[인소의 법칙]], 한국대학교 경영학과, 경호학과 및 * 반여령, 함단이, 사대천왕 - 카카오 페이지 / 리디북스 웹소설 / [[인소의 법칙]], 한국대학교 의학과, 법학과 및 * 김명하 - MBC 드라마 [[부잣집 아들]], 한국대학교 건축학과 * 박동훈 - tvN 드라마 [[나의 아저씨]], 한국대학 건축설계학과 * 김해경 - MBC 드라마 [[저녁 같이 드실래요?(드라마)|저녁 같이 드실래요?]], 한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블랙독/등장인물#s-5.3|송영태]] - tvN 드라마 [[블랙독]], 3학년 부장, 물리, 정교사 * 노애정, 오대오, 류진 - JTBC 드라마 [[우리, 사랑했을까]], 한국대학교 연극영화과 * 최준서, 최준영 - 웹툰 [[내일]], 한국대 의대/법대 * 박호구 - [[키테레츠 대백과]] * 서희수 - tvN 드라마 [[마인]], 한국대학교 연극영화과 * 김수호 - 네이버 웹소설 [[역대급 영지 설계사]] * [[유진 킴]] - 네이버 웹소설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한국대 [[군장학생]][* 이후 환생 뒤에도 한국을 독립시키며 한국대를 설립한다.~~그리고 죽헌관과 유진 킴 전신상이 세워진다~~] * [[김희우]], [[김규리(어게인 마이라이프)#s-2.2|김규리]] 등 - SBS 드라마 [[어게인 마이 라이프]], 한국대학교 법학과 * 김희아 - SBS 드라마 [[어게인 마이 라이프]], 한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한여름 - KBS 드라마 [[연애의 발견]], 한국대학교 목조형가구학과 * 최행복 - 네이버 웹툰 [[와이키키 뱀파이어]], 한국사범대 * 이병찬 - 넷플릭스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한국대학교 생물연구학 석사 학위, 한국대 종합연구소 연구원 경력 * 곽용철, 이채연, 권신아, 김현성 등 - [[교환학생(웹툰)]], 한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영상학과]] * [[한승문]] - 웹소설 [[임기 첫날에 게이트가 열렸다]], 한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복수전공. * [[변민호]] - 웹툰 [[새디스틱 뷰티]], 한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차우경]] - 웹툰 [[새디스틱 뷰티]], 한국대학교 경영학과 * 이해수 - 웹툰 [[러브 오어 헤이트]], 한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장재영 - 웹툰,웹소설 [[시맨틱 에러]], 한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추상우 - 웹툰,웹소설 [[시맨틱 에러]], 한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정호]], [[김유리]]- 네이버 웹툰, 네이버 웹소설 [[법대로 사랑하라]], 한국대학교 법학과[* 드라마 버전도 동일하다.] * 권윤호 - 웹툰 [[깨진 사랑의 형태]], 한국대학교 도자학과 * 이수연 - 웹툰 [[깨진 사랑의 형태]], 한국대학교 도자학과 교수 * 이장환 - 영화 [[제보자]], 한국대학교 수의학과[* 작 중에서 직접 졸업 과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수의대를 졸업했다는 식으로 언급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실제 주인공의 모티브인 [[황우석]]을 통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 윤민철 - 영화 [[제보자]], 한국대학교[* 90학번으로 졸업했다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 졸업한 과는 나오지 않음] [[OCN]] [[드라마]] [[신의 퀴즈]]는 정부에서 전국 5개 의과대학에 법의관 사무소를 설치하고 범죄 수사를 한다는 설정인데, 이 중 드라마의 주요 무대가 되는 곳이 희귀 질환을 전담하는 한국대학교 법의관 사무소이다. 심지어 [[학교 2017|이 드라마]]에서는 주인공 라은호가 웹툰 특기자 전형으로 이 학교에 입학하고 싶어 한다. [[임성한]] 드라마에는 한국대학교 대신 신촌대학교나 안암대학교가 자주 나온다. 유래야 뭐 [[연세대학교|설명할 필요도]] [[고려대학교|없을 듯 하다.]] 여담으로 한국에서 실제로 이렇게 동급 행정구역명을 딴 대학교는 [[서강대학교]]가 있다. [[서강동]]에 위치한건 아니지만 바로 옆 동네인 [[신수동]]에 위치해 있고 같은 [[마포구]] 소속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대학에 관한 지문 혹은 내용이 실릴 때에는 한국대학교를 예명으로 사용하며, [[대성학원]]배치표에서도 예시로 한국대학교를 사용한다. [[2018년]]에 개봉한 영화 '[[너의 결혼식]]'에서 해당 교명이 나온다. 모티브는 [[청주대학교]]. 마크와도 청주대학교 마크와 거의 비슷하다. [[KBS]] 드라마 [[고백부부]]의 배경 학교로 등장한다. 주인공과 그 친구들이 한국대학교 사학과와 토목과 동기들이다. 네이버 웹툰 [[심연의 하늘]]에서 생존자였던 사람들이 건물 벽에 적은 글에 한국대학교라는 곳이 적혀있다. 다만 이 세계관엔 서울대학교가 따로 대놓고 존재한다. [[JTBC]] 드라마 [[로스쿨(드라마)|로스쿨]]은 한국대 법학전문대학원을 배경으로 한다. [[SBS]] 드라마 [[소방서 옆 경찰서]] 5화에 한국대학교 연구소가 주요 배경으로 나오는데, 극중에서 묘사된 교색과 엠블럼을 보았을 때 모티브는 [[고려대학교]]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가공의 교육기관]] * [[작품에 등장하는 실제 대학교]] == 교명에 한국, Korea가 들어간 대학 == * '''[[고려대학교]]'''의 영문명은 '''Korea University'''이다. 애당초 '''Korea'''라는 명칭이 '''[[고려]]'''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 '''[[한국외국어대학교]]'''도 영문명이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이기 때문에, 이쪽도 따지자면 한국대학교가 된다.[* 종합대학 이전의 명칭은 Foreign Language College of Korea인데 Korea를 Hankuk으로 바꿨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외대를 방문해 연설했을 때 해외 언론에서 'of Foreign studies'를 생략한 Hankuk University로 표기한 것이 그대로 굳어져, 지금도 구글 등에서 Hankuk University를 검색하면 한국외대가 뜬다. *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영문명은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이다. * '''[[한국체육대학교]]'''의 영문명은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이다. '한국'이라는 글자가 교명에 들어가는 국립대학 중 하나로 대한민국의 체육 특성화 국립대학으로 상당수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한체대 출신이다. 한국외대를 포함하여 한국이 학교명칭에 들어간 학교가 상당수 있으며, 알게 모르게 국명의 버프 아닌 버프를 받기도 한다. 그 중 국립대학교도 일부 있지만 실제로 사립대학교임에도 '한국'이라는 타이틀에 낚여 국립대학교로 착각하는 경우가 꽤 있다. === 국립대학 ===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국립전문대학 === * [[한국농수산대학]] === 사립대학 === * [[한국국제대학교]] - 구 진주전문대학. 2003년에 진주국제대학교로 4년제 대학으로 승격하였으며, 2008년에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 * [[한국뉴욕주립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참고로 교내에는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도 있다.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Korea Aerospace University, 줄여서 KAU * [[가톨릭대학교]] - 영문명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약자 또한 CUK이다. * [[고려대학교]] - 영칭으로 '''Korea''' University이다.[* Korea의 어원이 고려이다.] * [[나사렛대학교]] - 고려대학교처럼 영문명에 KOREA를 쓴다. ==== 국가가 설립한 사립대학 ==== * [[한국공학대학교]] -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고용노동부]] 산하 === 사립대학원대학[* [[대학알리미]] 기준 이들 대학들은 사립으로 분류된다.] ===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국전력공사]]에서 설립하였다. === 사립전문대학 === * [[한국관광대학교]] * [[한국승강기대학]] * [[한국복지사이버대학]] * [[한국영상대학교]] - 구 공주영상대학. 세종시로 편입되면서 '세종영상대학교'로 교명변경을 추진했으나 [[세종대학교]]의 반대로 무산됐다 카더라. * [[한국폴리텍대학]][* [[대학알리미]]에는 사립으로 분류하므로 이 범주에 넣는다.] === 현재에 교명에는 쓰지 않는 대학 === * [[숭실사이버대학교]] - 과거에는 한국사이버대학이었으나, 2012년에 [[숭실대학교]]가 인수하여 숭실사이버대학교로 변경되었다. * [[한경국립대학교/평택캠퍼스]] - 과거에는 한국복지대학교였으나, 2023년에 [[한경대학교]]와 통합되면서 한경국립대학교 평택캠퍼스로 변경되었다. == 1947년 실존했던 대학 == 서경대학교의 전신 [[한국대학(1947)]]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의 목표 == 전국의 [[거점국립대학교]] 일각에서 [[국공립대 공동학위제]]를 통해 '한국대학교'로 통합하겠다는 논의가 잠시 나온 바가 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견본]][[분류: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