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문서: [[독립군/한국]], [[정당]][[분류:일제강점기의 정당]][[분류:한국의 독립운동 단체]] ||<-5><:>'''[[한국독립운동|{{{#000000 한국독립운동}}}]] [[정당|{{{#000000 정당}}}]]'''|| ||<:>혁신의회[br]한족총연합회||<:>→||<:>{{{#FFFFFF '''한국독립당'''}}}||<:>→||<:>[[신한독립당]]|| == 개요 == [[1930년]] [[만주]]에서 조직된 [[정당]]. == 배경 == 1920년대 초 만주의 무장 독립운동 세력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부로 나뉘어 있었다. 20년대 중후반 [[민족유일당 운동]]의 영향으로 만주 지역에서도 3부 통합 운동이 전개되는데, 통합의 방법에 대한 의견차로 인해 하나의 단체로 완전한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북만주 지역의 [[혁신의회]](1928)와 남만주 지역의 [[국민부]](1929) 둘로 나뉘게 된다. 혁신의회를 주도하는 인물은 [[김좌진]]이었다. 1929년에 혁신의회는 한족총연합회(韓族總聯合會)로 개편되었다. == 창설 == 1930년 1월 김좌진이 암살당한 이후 [[지청천]]이 이끌어 1930년 7월 한족총연합회를 '''한국독립당'''으로 개편하고 당군으로 [[한국독립군]]을 창설했다. 1933년 한국독립당과 한국독립군의 주 활동 영역이 만주에서 중국 본토 지역으로 이동하여, 한중연합군을 구성하여 전과를 올리나 중국공산당의 압력으로 연합군은 해산된다. == 이후 == 1934년 [[한국혁명당]]과 합당하여 [[신한독립당]]을 창당한다. 신한독립당은 1935년 5당 합당에 참여하여 [[민족혁명당]]을 창당하나, 당내 노선 갈등으로 2개월만에 조소앙의 한국독립당 계열이 탈당할 때 신한독립당 계열도 일부 탈당하였고, 이후 1937년에는 지청천 자신이 탈당하여 [[조선혁명당(1937년)|조선혁명당]]을 창당한다. 1937년 이후 민족혁명당은 [[조선민족혁명당]]으로 개편된다. [[조선혁명당(1937년)|조선혁명당]]은 이후 1940년에 김구의 한국국민당 및 조소앙의 한국독립당과 3당 합당하여 한국독립당을 창당한다. 이로써 묘하게도, 만주에서 탄생한 한국독립당의 당맥은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창당한 한국독립당 계열의 두 정당들과 합류하여 또다른 한국독립당을 이루는 것으로 이어진 셈이다. == 관련 문서 ==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문단 가져옴/문단, title=한국독립당(1930년), version=46,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