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바둑리그)] [include(틀: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5><#545045> {{{#fff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 ||<:> [[한국바둑리그/2005시즌|2005시즌]] ||<:> {{{+1 ←}}} ||<:> '''2006 시즌''' ||<:> {{{+1 →}}} ||<:> [[한국바둑리그/2007시즌|2007 시즌]] || ||||<#545045> '''{{{#ffffff KB국민은행 2006 한국바둑리그}}}''' || ||<:> '''기간''' || [[2006년]] [[4월 20일]] ~ [[2006년]] [[12월 17일]] || ||<:> '''주관''' || [[한국기원]] || ||<:> '''주최''' || [[한국기원]], [[바둑TV]] || ||<:> '''타이틀스폰서''' || [[KB국민은행|[[파일:KB국민은행 로고.svg|width=100]]]] || ||<:> '''참가팀'''[* 후원사도 겸했다.] || KIXX, 월드메르디앙, 영남일보, 매일유업[br]한게임, 제일화재, 신성건설, 파크랜드 이상 8개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바둑리그의 세 번째 시즌이자 현재의 메인 스폰서인 [[KB국민은행]]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은 첫 시즌이며 지역연고제가 정식으로 도입된 첫 번째 시즌이기도 하다. == 참가팀 == || '''팀''' || '''연고지''' || '''감독''' || || 대전 '''신성건설''' || 대전광역시 || 장주주 || || 부산 '''파크랜드''' || 부산광역시 || 이기섭 || || 경기 '''한게임''' || 경기도 || 정수현 || || 대구 '''영남일보''' || 대구광역시 || 문용직 || || 경북 '''월드메르디앙''' || 경상북도 || 장수영 || || 서울 '''제일화재''' || 서울특별시 || 이홍열 || || 인천 '''매일유업''' || 인천광역시 || 양상국 || || 광주 '''KIXX''' || 광주광역시 || 백성호 || == 진행방식 == * 당시 상금랭킹을 기준으로 20명이 시드로 출전하고,12명은 선발전을 통해서 출전할 선수를 가렸다. 그리고 각 팀별로 와일드카드(자율 지명 선수)를 팀 당 1명씩 지명했다. * 8개팀 더블 풀리그로 5인이 한 팀으로 구성되어 진행했다. * 자율오더제[* 지명순번이 아닌 감독이 제출한 엔트리에 따른 대국 진행]가 첫 시행된 대회다. 경기는 하루에 두 판씩 진행해서 이틀에 한 경기씩 진행했다. 한 라운드가 2주동안 진행됐다. * 대국 규정은 제한시간 각자 10분, 30초 초읽기 3회로 진행했다. == 선수단 구성 == * 2006년 4월 12일에 선수단 드래프트가 진행됐다. * 시드(20명) : 이세돌, 이창호, 최철한, 박영훈, 조한승, 유창혁, 박정상, 김성룡, 안조영, 이희성, 이영구, 목진석, 조훈현, 김영환, 유재형, 홍민표, 송태곤, 윤준상, 루이 나이웨이, 안달훈 * 선발전 통과자(12명) : 고근태, 김혜민, 서건우, 윤성현, 김형우, 김만수, 원성진, 이재웅, 김영삼, 강동윤, 김승준, 오규철 * 와일드카드(8명)[* 괄호 안에는 와일드카드 선수를 지명한 팀.] : 김지석(제일화재), 김주호(파크랜드), 홍성지(매일유업), 이정우(월드메르디앙), 최원용(KIXX), 허영호(영남일보), 양재호(신성건설), 온소진(한게임) ||<-6><#545045> '''{{{#fff KB국민은행 2006 한국바둑리그 선수 지명}}}''' || || '''팀''' || '''주장''' || '''2지명''' || '''3지명''' || '''4지명''' || '''5지명''' || || 인천 매일유업 || 이창호 || 고근태 || 류재형 || 홍성지 || 김영환 || || 광주 KIXX || 최철한 || 박정상 || 홍민표 || 이재웅 || 최원용 || || 대구 영남일보 || 박영훈 || 이희성 || 김형우 || 윤성현 || 허영호 || || 서울 제일화재 || 이세돌 || 송태곤 || 김지석 || 안달훈 || 김혜민 || || 부산 파크랜드 || 조훈현 || 강동윤 || 김주호 || 서건우 || 오규철 || || 경북 월드메르디앙 || 조한승 || 유창혁 || 윤준상 || 이정우 || 김만수 || || 대전 신성건설 || 안조영 || 목진석 || 김승준 || 루이 || 양재호 || || 경기 한게임 || 이영구 || 원성진 || 김성룡 || 김영삼 || 온소진 || == 정규리그 == ||<-8><#545045> '''{{{#fff KB국민은행 2006 한국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 순위 || 팀 || 승점[* 승리시 3점, 무승부시 1점, 패배시 0점] || 승 || 무 || 패 || 개인승 || 포스트시즌 || || 1 || 광주 KIXX || 26 || 7 || 5 || 2 || 33 || 챔피언결정전 || || 2 || 경북 월드메르디앙 || 24 || 6 || 6 || 2 || 32 || 플레이오프 || || 3 || 경기 한게임 || 23 || 6 || 5 || 3 || 32 ||<|2> 준플레이오프 || || 4 || 서울 제일화재 || 16 || 3 || 7 || 4 || 28 || || 5 || 부산 파크랜드 || 15 || 2 || 9 || 3 || 26 ||<|4> 탈락 || || 6 || 대전 신성건설 || 14 || 3 || 5 || 6 || 24 || || 7 || 인천 매일유업 || 13 || 1 || 10 || 3 || 24 || || 8 || 대구 영남일보 || 10 || 1 || 7 || 6 || 23 || == 포스트시즌 == * 포스트시즌은 상위 4개팀 스텝레더 방식으로 5전 3선승제로 진행했다.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는 단판, 챔피언결정전은 5전 3선승제 3번기로 진행했다. * '''준플레이오프''' - '''경기 한게임'''(정규리그 3위) 3 : 2 서울 제일화재(정규리그 4위) * '''플레이오프''' - 경북 월드메르디앙(정규리그 2위) 2 : 3 '''경기 한게임'''(준플레이오프 승자) * '''챔피언결정전''' - '''광주 KIXX'''(정규리그 1위) 2승 : 2패 경기 한게임(플레이오프 승자) - 1차전 3:1 KIXX 승, 2차전 3:1 KIXX 승 == 우승팀 및 개인 시상 == ||<#545045> '''{{{#fff KB국민은행 2006 한국바둑리그}}} {{{#gold 우승}}}''' || || {{{+3 광주 '''KIXX'''}}}[br](최철한, 박정상, 홍민표, 이재웅, 최원용 / 창단 첫 우승) || * 시즌종합 MVP : 최철한(KIXX) * 다승왕 : 최철한(KIXX), 이창호(매일유업) - 12승 2패 * 베스트 5 : 주장 최철한(KIXX) / 2지명 원성진(한게임) / 3지명 윤준상(월드메르디앙) / 4지명 이재웅(KIXX) / 5지명 온소진(한게임) * 연승상 : 강동윤(파크랜드) - 4라운드부터 11라운드까지 무려 '''8연승'''을 질주했다. * 대마상 : 조한승(월드메르디앙) [[분류:한국바둑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