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 [목차] == 정보 안내 == === 중계 정보 === * 바둑TV (목~일 저녁 7:00~) * 네이버(바둑TV 재송신) * [[https://www.youtube.com/channel/UC_kyhuCGhgbur6g7NJ_Nrqw|바둑TV 유튜브 채널]] === 중계진 === *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이소용]],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이희성(1982)|이희성]], [[송태곤]], [[백홍석(1986)|백홍석]] * 대국 도중에 중계 판외에 나머지 대국의 AI 스코어가 수시로 표출 된다. 또한 일부 경기에 한해 대국 중간에 8시와 9시에 배윤진 三단이 메인 중계 판 외에 다른 대국의 상황을 전한다. * 매주 금요일 경기(매 라운드 제2경기)는 송태곤, 백홍석, 유창혁 해설 중 한 명이 돌아가면서 이희성 해설과 함께 더블 해설을 진행한다. 이희성 해설은 해설과 동시에 진행자 역할도 맡게 됐다. * 금요일 경기를 제외한 매 라운드 중 한 경기를 지정해 자석바둑판을 사용하여 해설을 진행한다. (TV중계 기준) * 3라운드 중반부터 펀펀라이브가 10시 20분경에 일찍 끝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 전에는 끝장중계 였으나 [[어른의 사정|무엇]]인가 문제가 생긴 걸로 보인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큰 문제가 여기서 찾아온다. * 주로 끝내는 이유가 한 팀이 3승을 먼저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얼마 전부터는 바둑이 팽팽하고 재미있게 돌아가는 와중에도 시간만 되면 바둑TV 본채널을 살리자는 명목으로 중계를 끊고 퇴근한다. * 그러나 사실 알다시피 바둑TV 본채널은 대부분의 경우 [[키보드 워리어|최악]] 그 자체의 채팅 수준을 보이고 있기에[* 정치 얘기는 기본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바둑만 보고 싶은 이들에게 "경로당"(정치 이야기 엄청 해서) 또는 "상시 콜로세움"의 모습'''은...] 본채널을 살리고 콘텐츠를 분산시키고자 하는 게, 도리어 펀펀라이브가 짧고 굵게 즐기자는 느낌이 아닌 아예 시청자로부터 외면당하는 자충수가 되어가고 있다.[* 경쟁 방송사인 K바둑의 경우는 유튜브담당자로서의 필터링이 상대적으로 너무 잘 돼서 바둑TV 유튜브계정이 욕먹는 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K바둑이 프로바둑리그를 중계하고 있지 않은 관계로 이래저래 선택의 여지가 없다.] * 또한 최근 펀펀라이브는 [[우유부단|아예 소통과 바둑을 같이 즐기자는 것인지 아니면 바둑TV 2채널의 모습으로 못보는 바둑을 바둑TV 처럼 진지하게 보자인지]] 아무도 모를 정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작년에 공언한 펀펀라이브 기획의도 자체가 젊은층의 바둑인기를 끌어내고 재미있게 바둑을 즐기자는 것 임에 비춰보면, 현재의 모호한 모습이 과연 기획의도에 벗어나지 않고 올바르게 진행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물음표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여러 부계정을 통해서 미중계 대국을 보여주었으며 펀펀라이브가 정식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지난 시즌에서는 소통 컨텐츠를 포함한 끝장중계 내지 미중계 대국들을 집중조명했었다. 하지만 이번 시즌의 펀펀라이브는 어느순간부터 이 두가지의 모습조차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심각하게는 2019년 시즌 처음 등장해서 난잡했던 펀펀라이브의 모습을 점점 답습하는 모습까지도 보이고 있다.] * 펀펀라이브 이른퇴근 논란은 1월 15일 8라운드 3경기 막판에 긴박한 승부처에서 방송종료 할려고 하는 PD님의 모습에.. 시청자들이 폭발하여 연장방송 해달라는 앵콜 요청으로 완전히 불이 붙었고, 결국 앵콜과 동시에 PD님이 채팅창을 통해 직접 해명[* 내용 원문 : 코로나19로 인한 대중교통 시간 단축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출연자분들과 협의한 시간이 있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에 나섰고 --그 와중에 앵콜을 덕둥 프로가 결정지었고, 요구 시간도 2분이나 더 단축되었다.-- 괜한 이유민 캐스터와 이어덕둥 프로가 사과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그런데 이 해명마저 윗 내용의 사례로 인해 전혀 진정성 없는 해명으로 비춰지고 있다.[* 사실 2020-21시즌이 열렸던 때도.. 현재 상황과 유사한 상황이었고, 대중교통 단축 및 거리두기로 인한 시간단축의 문제가 걸려 있었으나, 유연한 대처를 통한 독립적인 방송환경 조성에 성공하여, 소통 컨텐츠를 포함한 끝장중계 및 여러 가지 지원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었다.] --그리고 그 다음날도 미리 짐쌌다고 한다..-- === 대회 정보 === * 이번 시즌은 더블리그 방식이 아닌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로 나누어 각 9라운드씩 진행하며, 전,후기리그에서 각각 상위 4팀이 포스트시즌을 통과하게 된다. * 모든 대국은 저녁 7시에 시작하며 5판이 동시에 진행된다. * 대국규정은 5판 모두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이다. == 팀과 선발식 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fff '''2021-2022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선수단 명단''' }}} || || '''팀명''' || '''감독''' || '''1지명'''[br]{{{-2 (주장)}}} || '''2지명''' || '''3지명''' || '''4지명''' || '''5지명''' || ||<#3eb034> {{{#fff 셀트리온}}} || 백대현 || 신진서 || 원성진 || 강승민 || 조한승 || 금지우 || ||<#e60516> {{{#fff 물가정보}}} || 한종진 || 강동윤 || 이영구 || 김정현 || 송지훈 || 김형우 || ||<#005890> {{{#fff 포스코}}} || 이상훈 || 변상일 || 최철한 || 이창석 || 박건호 || 박승화 || ||<#11439a> {{{#fff 합천}}} || 고근태 || 박정환 || 박영훈 || 나 현 || 김진휘 || 박종훈 || ||<#299cda> {{{#fff 의정부}}} || 김영삼 || 김지석 || 설현준 || 이원영 || 박상진 || 문민종 || ||<#cc000c> {{{#fff 정관장}}} || 최명훈 || 이동훈 || 김명훈 || 홍성지 || 최재영 || 송규상 || ||<#930b12> {{{#fff 컴투스}}} || 안형준 || 박하민 || 한승주 || 최 정 || 박진솔 || 한상조 || ||<#007562> {{{#fff KIXX}}} || 김영환 || 신민준 || 박민규 || 한상훈 || 김승재 || 김세동 || ||<#e9708c> {{{#fff 유후}}} || 한해원 || 안성준 || 안국현 || 이창호 || 윤찬희 || 이태현 || ||<-7><#545045> {{{-1 {{{#lime 라임색}}}{{{#fff 으로 칠해진 칸은 보호 선수지명}}}}}} ||}}} == 전기리그 일람 == * 대국 결과 정리표 (퓨처스리그 선수가 출전할 경우 '선수명(퓨)'으로 표기) * 대국란에 '''굵은 글씨'''는 집중 중계대국 ||<-5> {{{#fff '''( )R ( )G''' (( )년( )월 ( )일 ( )요일) - 팀1 0 : 0 팀2 }}} || || '''대국''' || '''개시''' ||<:><#000000>{{{#ffffff 팀1}}} ||<:><#000000>{{{#ffffff 팀2}}}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 || - 수 - 승 || || 2국 || || || - 수 - 승 || || 3국 || || || - 수 - 승 || || 4국 || || || - 수 - 승 || || 5국 || || || - 수 - 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 해설 :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 * Preview : * Review : * Etc. : ---- * 팀명 표기 : 팀명으로 표기해주시면 됩니다. (대국 정리표 맨 윗부분 색은 승리팀 색)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2021-2022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퓨처스 바둑리그 대진 순번''' }}} || || '''1''' || '''2''' || '''3''' || '''4''' || '''5''' || ||<#cc000c> '''{{{#fff 정관장}}}''' ||<#11439a> '''{{{#fff 합천}}}''' ||<#3eb034> '''{{{#fff 셀트리온}}}''' ||<#299cda> '''{{{#fff 의정부}}}''' ||<#e60516> '''{{{#fff 물가정보}}}''' || || '''6''' || '''7''' || '''8''' || '''9''' ||<|2><#fff> [[파일:바둑리그 엠블럼.png|width=40]] || ||<#e9708c> '''{{{#fff 유후}}}''' ||<#930b12> '''{{{#fff 컴투스}}}''' ||<#007562> '''{{{#fff KIXX}}}''' ||<#005890> '''{{{#fff 포스코}}}''' ||}}} === 제1라운드 (휴식 : {{{#005890 포스코케미칼}}}) === ||<-5> {{{#fff '''1R 1G''' (2021년 11월 18일 목요일) - 정관장 1 : 4 '''합천'''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11439a>{{{#ffffff 합천}}}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송규상''' || 나 현 || 235수 흑 불계승 || || 2국 || 김명훈 ||<#97ecab,#006118> '''박종훈''' || 272수 흑 2집반승 || || '''3국''' || 홍성지 ||<#97ecab,#006118> '''박정환''' || 146수 백 불계승 || || 4국 || 이동훈 ||<#97ecab,#006118> '''김진휘''' || 187수 흑 불계승 || || 5국 || 최재영 ||<#97ecab,#006118> '''박영훈''' || 172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송태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특별출연 : 배윤진, [[고근태]]({{{#11439a 합천}}} 감독)) || * Preview : "승부에 선 해설자 듀오와 3박", 승부로 돌아온 송규상, [[홍성지]]의 해설자 듀오의 활약이 중요한 정관장과 '쓰리박'을 결성한 합천의 시즌 개막전! 과연 첫 단추를 잘 꿸 팀은? * Review : "쓰리박과 김진휘", 박정환, 박영훈, 박종훈의 쓰리박의 대활약 그리고 6년 만의 바둑리그 복귀 전에서 [[이동훈(1998)|상대 주장]]을 잡아낸 김진휘의 만루 홈런까지! 화끈한 개막전 승리를 장식하는 수려한 합천!, 반면 정관장은 시작 부터 완패를 당하며 출발이 순탄치 않게 되었고, [[https://www.youtube.com/watch?v=0_446S9UoW0|그 와중에 소년가장이 된 송규상 프로는 속이 터지고 있다..]] * Etc.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후반기#s-4.6|시니어리그 13R 4G]](서울D:의정부)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s-4.1|7회 국수산맥 국내프로 토너먼트 예선 6차]] ---- ||<-5> {{{#fff '''1R 2G''' (2021년 11월 19일 금요일) - '''셀트리온''' 4 : 1 의정부 }}} || || '''대국''' || '''개시''' ||<:><#3eb034>{{{#ffffff 셀트리온}}} ||<:><#299cda>{{{#ffffff 의정부}}}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금지우''' || 이원영 || 222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원성진''' || 문민종 || 195수 흑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조한승''' || 박상진 || 204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신진서''' || 김지석 || 233수 흑 불계승 || || 5국 || 강승민 ||<#97ecab,#006118> '''설현준''' || 308수 흑 반집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송태곤]] (더블 해설)[* 이번 시즌에는 바둑리그 사상 처음으로 매 라운드 중 한 경기를 캐스터 - 해설 조합이 아닌 더블 해설 중계로 진행을 하게 됐다. 즉 이 경기가 더블 해설 체제로 진행하는 첫 대국이 된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디펜딩 챔피언 vs '미래메타' 시즌 2", 디펜딩 챔피언 셀트리온과 미래를 본 의정부, 지난 시즌 멤버들을 모두 보호한 두 팀의 시즌 첫 경기 그리고 [[GS칼텍스배 프로기전|GS배]] 악연이 있는 [[신진서|주장]] [[김지석(바둑)|대결]]과 [[원성진|지난 시즌 MVP]]를 만난 [[문민종]]까지 눈뗄 수 없는 승부의 주인공은? * Review : "지난 시즌 우승팀의 화력", [[원성진|노련한]] [[조한승|선수들]], 패기의 5지명 그리고 뒷심의 [[신진서|세계최강]]까지 다 갖춘 지난 시즌 챔피언의 위력을 보여주며 2연패를 향한 힘찬 시동을 걸기 시작하는 셀트리온. 반면 1, 4국의 패배가 너무나 치명적이었던 의정부는 그나마 설현준의 반집승으로 개인승수를 건진것을 위안으로 삼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전의 계기를 찾아야 한다. * Etc.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결정전 본선 16국]](조혜연:김은선)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s-4.1|7회 국수산맥 국내프로 토너먼트 예선 7차]] /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1|대학동문전 8강 1경기 3국]](고연/연고전) ---- ||<-5> {{{#fff '''1R 3G'''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 물가정보 2 : 3 '''유후''' }}} || || '''대국''' || '''개시''' ||<:><#e60516>{{{#ffffff 물가정보}}} ||<:><#e9708c>{{{#ffffff 유후}}}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강동윤''' || 안성준 || 256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이영구''' || 이창호 || 221수 흑 1집반승 || || 3국 || 김정현 ||<#97ecab,#006118> '''이태현'''[* 상대 전적 통산 첫 승이다.] || 249수 흑 불계승 || || 4국 || 송지훈 ||<#97ecab,#006118> '''안국현''' || 266수 백 불계승 || || 5국 || 김형우 ||<#97ecab,#006118> '''윤찬희''' || 231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자석바둑판 해설)[* 백홍석 九단의 KB리그 해설 데뷔전이자 2018 시즌 이후 3시즌만에 자석바둑판 해설이 진행됐다. 여담으로 이 날 중점 대국으로 중계된 강동윤 - 안성준 대국 도중에 백홍석 해설과 강동윤 선수가 극중 이름으로 등장했던 드라마 [[추적자 더 체이서]]가 언급되기도 했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새로운 출발점에 선 7년차 팀과 신생팀", 주전 보호연한 3년 만료로 [[강동윤]]만 남고 새로운 멤버로 진용을 꾸린 리그 7년차 물가정보를 상대하는 신생팀 '유후'의 KB리그 데뷔전. 과연 새로운 멤버로의 첫 승이냐? 신생팀의 창단 첫 승이냐? * Review : "첫 경기에서 첫 승", [[김정현(1991)|김정현]] 상대로 드디어 판맛을 본 [[이태현(바둑)|이태현]][* 이 경기 전까지 상대 전적이 6:0으로 밀리고 있었다.], 3시즌만에 돌아온 [[안국현]]의 복귀 첫 승, [[윤찬희(1990)|윤찬희]]의 짜릿한 승리까지 단단한 허리층을 보여주며 창단 첫 승을 신고한 유후, 반면 1~2지명이 승리했으나 3~5지명에서 패점을 안고 마는 물가정보 특히 상대전적에서 천적관계던 김정현의 3국 패배와 미세한 승부에서 실착이 나온 4국의 패배가 너무나 아쉬운 대목이다. * Other.[* 소식이 없을 경우(오로 기사 등), "ETC."가 아닌 "Etc."로 표기.]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1|퓨처스리그 1R 1~2G]]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결정전 본선 17국]](오유진:정유진) /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1|1기 우슬봉조 본선 우슬5R1G]](신민준:신진서) /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2|대학동문전 8강 2경기 1국]](서울대-국민대) * ETC. : 학생랭킹전의 최종대회가 이날부터 중등부, 고등부 경기로 시작하여 21일 초등부(4~6학년), 27일 초등부(1~3학년) 진행된다. 그리고 그 결과 중등부에서는 반곡중 윤다우 선수가 우승, 육민관중 김우용 선수가 준우승, 한국바둑중 서준우가 3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고등부에서는 한국바둑고 선수들로만 TOP 3를 차지했다(...)[* 금현우 선수가 우승, 김태우 선수가 준우승, 염지웅 선수가 3위.] ---- ||<-5> {{{#fff '''1R 4G''' (2021년 11월 21일 일요일) - 컴투스 1 : 4 '''KIXX''' }}} || || '''대국''' || '''개시''' ||<:><#930b12>{{{#ffffff 컴투스}}} ||<:><#007562>{{{#fff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최 정 ||<#97ecab,#006118> '''한상훈''' || 231수 흑 불계승[* 계가로 갈 수 있었으나 실수가 나와서 좌상귀에서 가일수까지 해야하는 상황이 되자 최정이 돌을 거뒀다.] || || '''2국''' || 한승주 ||<#97ecab,#006118> '''신민준''' || 220수 백 불계승 || || 3국 || 한상조 ||<#97ecab,#006118> '''김세동''' || 155수 흑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박하민''' || 김승재 || 207수 흑 불계승 || || 5국 || 박진솔 ||<#97ecab,#006118> '''박민규''' || 183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새로운 멤버로 올해는 봄바둑을!", 지난 시즌 혹독한 신생팀 첫 해롤 보내고 [[최정(바둑기사)|최정]]과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그리고 새 멤버들로 팀을 꾸린 컴투스와 지난 시즌 최하위의 수모를 겪고 [[신민준]]을 중심으로 새로운 팀을 꾸린 KIXX. 과연 봄바둑을 향한 여정을 산뜻하게 시작할 팀은? * Review : "이번 시즌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 킥스", 지난 시즌 퓨처스리그에서 맹활약한 한상훈과 김세동의 대활약 그리고 완승을 거둔 주장 신민준과 돌아온 박민규까지 지난 시즌 최하위는 잊으라는 듯 대승으로 화끈한 시즌 첫 승을 신고한 KIXX, 반면 한상조의 호된 신고식 그리고 최정의 아쉬운 역전패로 무너진 컴투스, 박하민의 주장 데뷔전 승리에 위안을 삼고 다음 라운드를 준비해야 한다. * Other.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1|퓨처스리그 1R 3G]] /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2|1기 우슬봉조 본선 봉조4R1G]](변상일:이창석) /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2|대학동문전 8강 2경기 2국]](서울대-국민대) * ETC. : 학생랭킹전 최종대회 초등부(4~6학년) 결과는 아래와 같다. 4학년부에서는 둔전초 금예훈 선수가 우승, 초당초 김민찬 선수가 준우승, 한별초 심효준 선수-죽산초 홍준선 선수가 각각 3위-4위를 거뒀다. 5학년부에서는 순위 순서대로 산의초 김단유 선수-목동초 박종찬 선수-남문초 이선우 선수-태안초 서윤태 선수가, 6학년부에서는 신창초 기대현 선수-용전초 임지호 선수-어은초 김종훈 선수-불당초 이태섭 선수가 차지했다. ---- === 제2라운드 (휴식 : {{{#007562 KIXX}}}) === * 2라운드는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농심신라면배]] 주간으로 국가대표팀 요청에 따라 오더를 경기 당일 오전에 제출하고, 오후 2시에 발표될 예정이다.[* 원래는 해당 주 월요일 오전 11시까지 오더 제출, 오후 2시 발표이다. 국가대표팀 측에서 재작년 부터 일정 조정을 요청했으나 이번 시즌은 18라운드로 일정이 빡빡하다 보니 당일 오전 오더 제출, 당일 오후 2시 발표로 진행을 하게 됐다.] 다만 퓨처스리그는 원래대로 경기 해당 주 월요일에 오더가 발표됐다.[[http://naver.me/GcBYvRfh|#]] * 1라운드에서 [[오징어 게임]]을 연상하게 하는 티저가 대국 중간에 나왔는데 2라운드 시작을 하루 앞두고 11월 24일에 [[http://m.baduk.or.kr/news/B01_view.asp?news_no=3987|바둑리그 승자 예측 이벤트]]를 실시한다는 안내가 나왔다. 4, 5, 6라운드 동안 진행하는 승자 예측 이벤트로 라운드 별 모든 대국 승자(바둑리그 4경기, 퓨처스리그 3경기 총 7경기[* 퓨처스리그는 방송 중계되는 수요일 경기를 제외시켰다.] 29판) 승자를 맞추는 단 1명에게 [[기아 쏘렌토|자동차]]를 상품으로 주고 나오지 않으면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고 한다. * 퓨처스리거 출전 - 2라운드에서 이번 시즌 처음으로 퓨처스리그 선수들의 콜업이 있었다.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005890> {{{#fff 포스코}}} || 최철한(2) || → || 류민형(F1) || ---- ||<-5> {{{#fff '''2R 1G''' (2021년 11월 25일 목요일) - 유후 0 : 5 '''포스코''' }}} || || '''대국''' || '''개시''' ||<:><#e9708c>{{{#ffffff 유후}}}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안국현 ||<#97ecab,#006118> '''박건호''' || 172수 백 불계승 || || 2국 || 윤찬희 ||<#97ecab,#006118> '''류민형(퓨)''' || 233수 흑 불계승 || || 3국 || 이태현 ||<#97ecab,#006118> '''변상일''' || 242수 백 불계승 || || 4국 || 안성준 ||<#97ecab,#006118> '''박승화''' || 297수 흑 1집반승 || || '''5국''' || 이창호 ||<#97ecab,#006118> '''이창석''' || 258수 백 3집반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송태곤]]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영삼(1974)|김영삼]]({{{#299cda 의정부}}} 감독) || * Preview : "이제 우리가 나설 때인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내는 이번 시즌 양강 후보로 손꼽히는 포스코케미칼, 과연 포스코는 신생팀에게 이번 시즌 우승후보임을 증명 할 수 있을까? 아니면 유후가 첫 승의 기세를 이어 갈 수 있을까? * Review : "[[최철한|맏형]] 없이도 이 정도면..." 최철한이 결장하고도 강력한 전력으로 우승후보임을 증명하며 시즌 첫 승을 완봉승으로 장식하는 포스코케미칼, 최철한 대신 나온 류민형의 대타 홈런과 지난 시즌 무승의 악몽을 이겨낸 박승화의 승리가 더욱 돋보였다. 반면 유후는 첫 승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쓰디쓴 참패의 쓴 잔을 들이키고 말았다. * Etc. : 난설헌배 예선1차전 및 예선준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1조2경기]](김지석:허영락, K바둑), [[제26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26기 하림배 여자국수전 결승최종국]](최정:오유진),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후반기#s-4.7|시니어리그 FR 4G]](데이터스트림즈:구전녹용) ---- ||<-5> {{{#fff '''2R 2G''' (2021년 11월 26일 금요일) - 정관장 2 : 3 '''셀트리온'''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3eb034>{{{#ffffff 셀트리온}}}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최재영 ||<#97ecab,#006118> '''원성진''' || 310수 흑 반집승 || || '''2국''' || 이동훈 ||<#97ecab,#006118> '''신진서''' || 202수 백 불계승 || || 3국 || 송규상 ||<#97ecab,#006118> '''금지우''' || 213수 흑 5집반승 || || 4국 ||<#97ecab,#006118> '''홍성지''' || 조한승 || 233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김명훈''' || 강승민 || 142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백홍석(1986)|백홍석]]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조혜연]]&[[박창명]] 부부, [[이지현(1979)|이지현(女)]] || * Preview : "첩첩산중...",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의 합천에게 뺨맞고 울고 싶은데, [[신진서]]의 셀트리온을 만난 정관장. 과연 정관장은 지난 시즌 우승팀의 위력을 보여준 셀트리온 상대로 첫 승을 만들 수 있을까? 아니면 셀트리온의 개막 2연승? * Review : "기사 회생한 셀트리온 그리고 [[원성진|원펀치]]", 신진서와 금지우 그리고 2:2의 팽팽한 승부에서 바둑리그 연승행진이 중단 될 뻔한 위기에서 원성진의 짜릿한 재역전 반집 결승타[* 이 날 승리로 원성진은 정규리그와 포스트시즌 포함 바둑리그 '''23연승'''(정규리그만으로 따지면 '''20연승''')을 질주하며 신진서, 박정환의 22연승을 넘은 리그 통산 최다 연승 기록을 경신했다.]로 개막 2연승에 성공한 셀트리온, 반면 김명훈과 홍성지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최재영의 아쉬운 반집패로 시즌 첫 승의 기회를 놓친 정관장. * Etc. :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4.2|농심신라면배 5국]], 난설헌배 예선 결승,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3|대학동문전 8강 3경기1국]](부산대:중앙대) ---- ||<-5> {{{#fff '''2R 3G''' (2021년 11월 27일 토요일) - '''합천''' 4 : 1 물가정보 }}} || || '''대국''' || '''개시''' ||<:><#11439a>{{{#ffffff 합천}}} ||<:><#e60516>{{{#ffffff 물가정보}}}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나 현 ||<#97ecab,#006118> '''강동윤''' || 245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박정환''' || 김형우 || 165수 흑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박종훈''' || 김정현 || 234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박영훈''' || 송지훈 || 189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김진휘''' || 이영구 || 238수 백 5집반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엇갈렸던 첫 판의 행보", 화끈한 개막전을 펼친 합천과 아쉬운 첫 경기를 하고 온 물가정보의 대결 과연 합천은 연승을 달릴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물가정보가 시즌 첫 승을 챙길 수 있을 것인가? * Review : "2연속 4:1 대승! [[나현(바둑기사)|그러나...]]", 개막전에 이어 또 다시 쓰리박과 김진휘의 활약을 앞세워 4:1 대승을 거두는 수려한 합천. 그러나 나현은 개막전에 이어서 또 다시 패배를 안으며 웃지 못하는 하루를 보내고 말았다. 합천 입장에서는 나현의 부진 탈출이 과제로 떠올랐다. 물가정보는 주장 강동윤의 연승이 위안거리지만 개막전 석패에 이어 이번엔 대패를 당하며 개막 2연패에 빠졌다. * Other. :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4.2|농심신라면배 6국]],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2|퓨처스리그 2R 1G/2G]], 3회 대통령배 아마부문 1일차,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3|대학동문전 8강 3경기2국]](부산대:중앙대) * ETC. : 이 날 이원영(의정부) 선수가 입신에 등극함과 동시에 五단에 문민종(의정부), 三단에 문지환, 二단에 박동주/박신영/양유준 선수가 승단했다. 또한 대통령배 아마부문 첫날 열린 전국부에서 김정현 선수(성인최강부. 결승에서 온승훈 선수 상대)와 이루비 선수(시니어여성전국부. 결승에서 권병훈 선수 상대)가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 ||<-5> {{{#fff '''2R 4G''' (2021년 11월 28일 일요일) - '''의정부''' 3 : 2 컴투스 }}} || || '''대국''' || '''개시''' ||<:><#299cda>{{{#ffffff 의정부}}} ||<:><#930b12>{{{#ffffff 컴투스}}}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박상진 ||<#97ecab,#006118> '''박진솔''' || 305수 백 반집승 || || 2국 ||<#97ecab,#006118> '''문민종''' || 한상조 || 284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설현준''' || 박하민 || 161수 흑 불계승 || || 4국 || 이원영 ||<#97ecab,#006118> '''한승주''' || 213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김지석''' || 최 정 || 171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특별출연 : 배윤진) || * Preview : "1:4 대패로 받은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은 오로지 승리 뿐.", 지난 개막 라운드에서 1:4 대패를 당하며 출발한 2년차 시즌의 바둑메카 의정부와 컴투스 타이젬. 과연 첫 승을 신고하며 지난 라운드 참패의 아픔을 치유할 팀은? * Review : "승리로 아픔을 치유하는 의정부", [[설현준]]의 연승 그리고 주장 [[김지석(바둑)|김지석]]의 시즌 첫 승과 더불어 위기를 넘긴 [[문민종]]의 활약으로 시즌 첫 승을 신고하는 바둑메카 의정부. 반면 지난 라운드 대패에 이어 이번엔 아쉬운 석패를 당하며 2연패에 빠진 컴투스 타이젬은 휴식기 동안 재정비가 필요해보인다. * Other. :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4.2|농심신라면배 7국]],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2|퓨처스리그 2R 3G]], 3회 대통령배 아마부문 2일차,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4|대학동문전 8강 4경기1국]](방송대:명지대) * ETC. : 대통령배 아마부문 2일차에 열린 중고등부와 초등최강부에서 각각 김승구 선수(결승에서 김근태 선수 상대)와 기민찬 선수(결승에서 이민석 선수 상대)가 우승을 차지했다.[* 학년별 초등일반부 우승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 * 라운드가 끝나고..[* 시니어리그 정규시즌이 끝남으로 인해 기입함] * [[바둑TV|2021 바둑TV 어워즈]]에 대한 광고(?)가 나왔지만 여기선 자세한 기재를 하지 않는다. || 11월 29일 ||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4.2|농심신라면배 8국]][br]3회 대통령배 프로부문 16강~8강[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3.3|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4강]](오유진:정유진) || || 11월 30일 || [[제4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4회 오청원배 준결승]][br][[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4.2|농심신라면배 9국]][br]3회 대통령배 프로부문 4강 및 결승[* 한승주 우승, 김지석 준우승] || || 12월 1일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2|퓨처스리그 2R4G]][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18일차 || === 제3라운드 (휴식 : {{{#930b12 컴투스 타이젬}}}) === ||<-5> {{{#fff '''3R 1G''' (2021년 12월 2일 목요일) - 셀트리온 2 : 3 '''포스코''' }}} || || '''대국''' || '''개시''' ||<:><#3eb034>{{{#ffffff 셀트리온}}}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신진서''' || 박승화 || 230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조한승''' || 최철한 || 221수 흑 불계승 || || '''3국''' || 원성진 ||<#97ecab,#006118> '''변상일''' || 288수 흑 반집승 || || 4국 || 강승민 ||<#97ecab,#006118> '''이창석''' || 226수 백 불계승 || || 5국 || 금지우 ||<#97ecab,#006118> '''박건호''' || 155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장혜령]] || * Preview : "우승 후보들의 정면 충돌", 이번 시즌 우승후보로 주목 받는 셀트리온과 포스코케미칼. 각각 개막 2연승과 5:0 완봉승으로 기분 좋은 시즌 출발을 알린 가운데 만난 두 팀의 대결에서 과연 승부의 열쇠는 어디에 있는가? * Review : "[[원성진|원펀치]]의 리그 23연승을 끝낸 [[변상일|주장]]의 반집 결승타", 우승후보 팀들 다운 치열한 승부가 펼쳐진 가운데, 박건호와 이창석의 숭리 그리고 [[원성진]]의 바둑리그 23연승 행진을 끝내버린 [[변상일]]의 짜릿한 반집결승타로 2연승에 성공하는 포스코케미칼. 디펜딩 챔피언 셀트리온에게도 강력한 우승후보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반면 원성진의 연승행진 중단이 아쉬운 셀트리온은 석패를 하며 시즌 첫 패점을 안게됐다. * Etc. : [[제4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s-2.5|4회 오청원배 결승1국]] ---- ||<-5> {{{#fff '''3R 2G''' (2021년 12월 3일 금요일) - '''의정부''' 3 : 2 물가정보 }}} || || '''대국''' || '''개시''' ||<:><#299cda>{{{#ffffff 의정부}}} ||<:><#e60516>{{{#ffffff 물가정보}}}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설현준''' || 강동윤 || 186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문민종''' || 김정현 || 187수 흑 불계승 || || 3국 || 이원영 ||<#97ecab,#006118> '''김형우''' || 306수 흑 1집반승 || || 4국 || 박상진 ||<#97ecab,#006118> '''송지훈''' || 305수 백 2집반승 || || '''5국''' ||<#97ecab,#006118> '''김지석''' || 이영구 || 288수 백 1집반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유창혁]]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특별 출연 : [[권주리(1997)|권주리]][* 한프바(한국프로바둑) 유튜브에서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송혜령]], [[장혜령]] 선수와 같이한 랜선팬미팅 방송을 마치고 펀펀라이브 스튜디오를 방문했다.]) || * Preview : "첫 승의 맛을 본 자 vs 첫 승의 맛을 보고 싶은 자", 지난 라운드 첫 승을 맛 본 의정부와 개막 2연패에 빠진 물가정보의 만남, 과연 의정부의 연승이냐? 물가정보의 시즌 첫 승이냐? * Review : "연승맛을 보는 의정부", 이원영과 박상진의 부진 탈출이라는 과제를 안게 됐지만 지난 라운드에 이어 [[설현준]], [[문민종]], [[김지석(바둑)|김지석]]의 승리로 연승에 성공하는 의정부, 반면 [[송지훈(바둑)|송지훈]]과 김형우가 분전했지만 또 다시 패점을 기록하며 개막 3연패에 빠진 물가정보, 5국에서 역전 기회를 놓친 [[이영구(1987)|이영구]]의 끝내기 실수가 뼈아픈 패배였다. * Etc. : [[제4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s-2.5|4회 오청원배 결승2국]], [[제40기 KBS 바둑왕전#s-4.3|40기 KBS바둑왕전 결승 2국]](박정환:신진서),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4|대학동문전 8강 4경기 2국]](방송대:명지대) ---- ||<-5> {{{#fff '''3R 3G''' (2021년 12월 4일 토요일) - '''정관장''' 3 : 2 유후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e9708c>{{{#ffffff 유후}}}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최재영''' || 안성준 || 250수 백 불계승 || || 2국 || 송규상 ||<#97ecab,#006118> '''안국현''' || 192수 백 불계승 || || '''3국''' || 김명훈 ||<#97ecab,#006118> '''이창호''' || 133수 흑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이동훈''' || 윤찬희 || 209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홍성지''' || 이태현 || 184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이 시점부터 펀펀라이브를 10시 20분경에 빨리 끝내는 경향이 나타났다.] || * Preview : "쓰라린 패배를 뒤로하고...", 지난 라운드 아쉬운 석패를 하고 개막 2연패에 빠진 정관장과 포스코에게 충격적인 영봉패를 당하고 정관장을 만나는 유후, 과연 지난 라운드 패배의 상처를 치유할 팀은 어느 팀이 될 것인가? * Review : "혈투 속 첫 승", 치열한 대결 끝에 짜릿한 시즌 첫 승에 성공하는 정관장. 주장 [[이동훈(1998)|이동훈]]의 시즌 첫 승과 함께 [[홍성지]]의 대역전승과 [[안성준(바둑)|상대 주장]]을 잡은 최재영의 승리가 더욱 큰 판이었다. 반면 [[이창호]]의 대마 사냥이 빛이 바랜 유후는 지난 라운드 0:5 완패에 이어 석패를 당하며 2연패에 빠졌다. [[이태현(바둑)|이태현]]의 역전패도 아쉽지만 주장 안성준의 부진이 계속되는 것이 걱정거리로 떠올랐다. * Etc. : [[제4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s-2.5|4회 오청원배 결승3국]], 김인국수배 신예 8강 1일차(강진 현지), 14회 노사초배 전국바둑대회,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3|퓨처스리그 3R 1G,2G]],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3.4|대학동문전 8강 4경기 3국]](방송대:명지대) ---- ||<-5> {{{#fff '''3R 4G''' (2021년 12월 5일 일요일) - '''합천''' 4 : 1 KIXX }}} || || '''대국''' || '''개시''' ||<:><#11439a>{{{#ffffff 합천}}} ||<:><#007562>{{{#fff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박정환''' || 신민준 || 189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김진휘''' || 김승재 || 298수 백 3집반승 || || 3국 || 나 현 ||<#97ecab,#006118> '''김세동''' || 154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박영훈''' || 박민규 || 244수 백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박종훈''' || 한상훈 || 231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송태곤]]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이어덕둥]] || * Preview : "출발 좋은 두 팀.", 2연속 4:1 승리로 막강 화력을 과시하는 합천과 지난 개막라운드 4:1 승리 후 꿀맛같은 휴식을 보내고 경기를 치르는 KIXX, 합천의 기세 잇기냐? 에너지를 충전한 KIXX의 연승이냐? * Review : "[[블레어 월더프|이 구역의 미친 팀]]은 [[합천군|나야!]]", 나현의 부진이 길어지고 있지만 이를 상쇄하고도 남는 쓰리박과 김진휘의 쾌조의 컨디션이 이어지며 3연속 4:1 대승에 성공, 어느새 개인 승수 12승으로 시즌 초반부터 질주 중인 폭주기관차 수려한 합천. 반면 KIXX는 합천의 화력에 [[버틸 수가 없다|버티지 못했다.]] * Etc. : 김인국수배 신예 8강 2일차(강진 현지)[* 이틀간 열린 "국제" 시니어아마 대회였던 김인국수배가 2019년 이후 코로나 여파로 중단된 사이 [[김인(바둑)|김인 국수]]가 타계하는 바람에 2019년도 대회가 생전 마지막 대회가 되어버렸고 이번해 대회는 국내 시니어 아마대회로 바뀌는 동시에 추모대회로 치뤄지게 됐다.][* 대회 결과는 국수산맥 팀(양완규, 신영철, 박강수, 박성균)의 시니어단체부 3전전승 우승, 오병우 四단이 이번 대회 신설부문인 신예프로(원문 : 프로신예)부에서 우승을 거뒀고, 아마부문으로 남자개인부는 이학용 선수, 여자개인부는 송예슬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다. 나머지 부문인 강진군민부의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14회 노사초배 전국바둑대회[* 이 대회에서 오픈최강전의 경우 김누리 三단이 우승을 차지했다. 상대는 32강 토너먼트제 기준으로 순서대로 박대영, 정우진아마, 박현수/한우진, 홍세영아마 선수였다.][* 아마최강부의 경우 내셔널리그의 홈팀인 함양산삼 소속의 신현석 선수와 박수창 선수가 맞붙어 박수창 선수가 우승, 시니어여성최강부의 경우 심우섭 선수가 이서영-이용만-백여정-이우주 선수를 차례대로 승리를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여성단체부는 들꽃사랑(김현/장혜민/박미자/김효정/이윤경) 팀, 동호인단체부는 본인방가(김혁준/장부상/이석희/최병규/신홍섭) 팀, 지역(시군)단체부는 김해시가 우승을 거뒀다.],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1기 우슬봉조 본선 우슬5R2G]](강동윤:이동훈),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3|퓨처스리그 3R 3G]],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1|대학동문전 준결 1경기 1국]](연세대:서울대) ---- * 이 라운드가 끝나고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로 인해 한 주 휴식을 가질 예정이다. * 12월 15일 [[오타케 히데오|오다케류(또는 오다케 미학)의 시작점인 일본 바둑기사]]가 은퇴하였다. "머리는 바둑판을 향하였으나 떠오르는 그림은 궁색하기에 실례하게도 은퇴한다"라는 것. 입단시기가 1년 차이였던 [[린하이펑]]은 이 은퇴소식에 대해 요약하자면 "갑작스러워서 놀라웠고 아쉽지만, 앞으로도 건강유지하며 바둑계를 위해 조언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 라운드가 끝나고... || 12월 6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4.1|시니어리그 준플레이오프 1차전]](KH에너지:구전녹용)[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1일차]](이창석:김상인)[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3.3|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4강]](박지연:최정)[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1-1회전, 1-2회전]][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1조 패자전]](김지석:위태웅, K바둑) || || 12월 7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4.2|시니어리그 준플레이오프 2차전]](KH에너지:구전녹용)[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2일차]](송규상:조완규)[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1-3회전, 1-4회전]][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2조 승자전]](조한승:윤찬희, K바둑) || || 12월 8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5.1|시니어리그 플레이오프 1차전]](데이터스트림즈:구전녹용)[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3일차]](변상일:장혜령)[br][[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3|퓨처스리그 3R 4G]][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2-1회전, 2-2회전(통상)]][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2조 패자전]](문민종:백현우, K바둑)[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19일차 || || 12월 9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5.2|시니어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데이터스트림즈:구전녹용)[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4일차]](김다영:강우혁)[br]7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개막식[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1조 승자전]](홍무진:허영락, K바둑)[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준결(예선3회전, 통상)]] || || 12월 10일 || 7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16강~8강[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결승(통상), 예선준결(지연)]][br](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1|대학동문전 준결 1경기 2국]](연세대:서울대) || || 12월 11일 || 7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4강[br](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1|대학동문전 준결 1경기 3국]](연세대:서울대)[br]덕영배 전국아마대황전 1일차 || || 12월 12일 || 7회 국수산맥 국제대회 결승[br](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2|대학동문전 준결 2경기 1국]](중앙대:명지대)[br]덕영배 전국아마대황전 2일차[* 대회 결과 전국최강부의 경우는 임지혁 선수 우승, 홍근영 선수 준우승, 공동3위(3승1패) 서문형원,박지웅,조성호 선수. 시니어여성부의 경우는 최호철 선수 우승, 박성균 선수 준우승, 공동3위(3승1패) 김수영女,양덕주,안재성 선수.] || || 12월 13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5.3|시니어리그 플레이오프 3차전]](데이터스트림즈:구전녹용)[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5일차]](윤민중:한상조)[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3.4|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결승1국]](최정:오유진) || || 12월 14일 ||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6일차]](신재원:양유준)[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3.4|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결승2국]](최정:오유진)[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지연일정) 1일차]] || || 12월 15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6.1|시니어리그 챔피언결정전 1차전]](부천판타지아:구전녹용)[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7일차]](이도현:백현우)[br]통영 도남항등대 레전드 매치[* 중계방송에서는 "통영 도남관광단지 조훈현 vs 이창호 레전드 매치"로 표기.]([[통영국제음악당]] 특설대국장, K바둑)[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0일차[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27기 GS칼텍스배 예선(지연일정) 2일차]] || === 제4라운드 (휴식 : {{{#e9708c YOU WHO}}}) === * 해당 라운드 주 부터 6라운드 주간까지 바둑리그 승자예측 이벤트가 시작 된다. * 퓨처스리거 출전 - 의정부와 컴투스는 이번 시즌 첫 퓨처스리거 콜업이다.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299cda> {{{#fff 의정부}}} || 박상진(4) || → || 위태웅(F2) || ||<#005890> {{{#fff 포스코}}} || 박승화(5) || → || 류민형(F1) || ||<#930b12> {{{#fff 컴투스}}} || 한상조(5) || → || 조완규(F1) || ---- ||<-5> {{{#fff '''4R 1G''' (2021년 12월 16일 목요일) - 합천 1 : 4 '''의정부''' }}} || || '''대국''' || '''개시''' ||<:><#11439a> {{{#fff 합천}}} ||<:><#299cda> {{{#fff 의정부}}}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나 현 ||<#97ecab,#006118> '''김지석''' || 266수 백 3집반승 || || 2국 || 김진휘 ||<#97ecab,#006118> '''문민종''' || 332수 흑 4집반승 || || 3국 ||<#97ecab,#006118> '''박영훈''' || 위태웅(퓨) || 195수 흑 불계승 || || '''4국''' || 박정환 ||<#97ecab,#006118> '''설현준''' || 304수 흑 2집반승 || || 5국 || 박종훈 ||<#97ecab,#006118> '''이원영''' || 242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김노경[* 편파 해설 컨셉으로 진행했다. 김다영이 의정부, 김노경이 합천 편파 해설을 맡았다.] || * Preview : "연승의 기세싸움", 개막 3연승으로 파죽지세를 달리는 합천과 2연승을 달리며 차곡 차곡 승수를 쌓으려 하는 의정부의 대결. 과연 의정부가 합천의 질주를 저지 시키며 연승을 달릴 것인가? 아니면 합천의 개막 4연승이 이어질 것인가? * Review : "합천의 질주에 제동을 건 의정부", [[박정환(바둑기사)|상대 주장]]을 잡아낸 [[설현준]]의 활약은 물론 [[이원영(1992)|이원영]]의 시즌 첫 승의 빛나며 4:1 대승을 거두고 3연승을 달리는 의정부. 반면 3연속 4:1로 승리했던 합천은 이번엔 오히려 1:4로 대패를 당하며 쓰라린 시즌 첫 패전을 안게 됐다.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의 패배도 쓰라리지만 [[나현(바둑기사)|나현]]의 계속 되는 부진이 결국 영향을 미치고 말았다. * Etc. : [[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GS칼텍스배 예선(지연일정) 3일차]],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포스트시즌#s-6.2|시니어리그 챔피언결정전 2차전]](부천판타지아:구전녹용),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8일차]](한승주:한우진), [[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23회 맥심커피배 대진추첨식]] ---- ||<-5> {{{#fff '''4R 2G''' (2021년 12월 17일 금요일) - 셀트리온 2 : 3 '''KIXX''' }}} || || '''대국''' || '''개시''' ||<:><#3eb034> {{{#fff 셀트리온}}} ||<:><#007562> {{{#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조한승 ||<#97ecab,#006118> '''한상훈''' || 286수 백 1집반승 || || '''2국''' ||<#97ecab,#006118> '''신진서''' || 박민규 || 114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원성진''' || 김세동 || 231수 흑 불계승 || || 4국 || 금지우 ||<#97ecab,#006118> '''김승재''' || 213수 흑 불계승 || || 5국 || 강승민 ||<#97ecab,#006118> '''신민준''' || 162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백홍석(1986)|백홍석]]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신진서|양신]] [[신민준|대결]]은 무산됐지만...", 양신의 맞대결이 열리지 않게 된 가운데 만난 두 팀. 지난 라운드 아쉬운 석패를 당한 셀트리온과 합천의 화력에 무너진 KIXX 중 어느 팀이 내상을 극복 할 것인가? * Review : "팀에게 승리를 안긴 집념의 사나이 [[한상훈(1988)|한상훈]]", 대마 잡혀서 돌을 거둬야 할지도 모르는 바둑에서 포기를 하지 않은 한상훈의 집념의 역전승이 만들어낸 KIXX의 귀중한 1승. 반면 셀트리온에겐 그야말로 대참사급 역전패. 한상훈에게 끝낼 수 있었던 바둑에서 착각을 한 [[조한승]]의 대역전패로 결국 연패에 빠지고 말았다. * Etc. : [[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GS칼텍스배 예선(지연일정) 4일차]],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2|대학동문전 4강 2경기 2국]](방송대:명지대) ---- ||<-5> {{{#fff '''4R 2G''' (2021년 12월 18일 토요일) - 물가정보 0 : 5 '''포스코''' }}} || || '''대국''' || '''개시''' ||<:><#e60516> {{{#fff 물가정보}}} ||<:><#005890> {{{#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김형우 ||<#97ecab,#006118> '''박건호''' || 240수 백 불계승 || || 2국 || 김정현 ||<#97ecab,#006118> '''류민형(퓨)''' || 237수 흑 불계승 || || 3국 || 송지훈 ||<#97ecab,#006118> '''최철한''' || 208수 백 불계승 || || 4국 || 이영구 ||<#97ecab,#006118> '''이창석''' || 129수 흑 불계승 || || '''5국''' || 강동윤 ||<#97ecab,#006118> '''변상일''' || 166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송태곤]]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그 때의 팀과 지금의 팀", 2018년 후반기 부터 포스코케미칼에게 강한 모습을 보였던 한국물가정보.[* 현재 물가정보는 정규시즌 기준으로 포스코 상대 5연승, 그리고 지난 포스트시즌까지 포함하면 포스코전 7연승 중이다.] 하지만 그 때와 지금의 팀 구성이 완전히 다른 지금. 과연 지금의 멤버로 포스코를 잡고 첫 승을 만들 수 있을까? 아니면 포스코가 천적관계를 청산하고 연승을 이어갈 것인가? * Review : "무너진 물가정보...", 지금의 팀구성으로 포스코에게 무너져버린 물가정보. 개막 4연패에 빠지며 휴식주동안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반대로 시즌 두 번째 5:0 완봉승으로 물가정보전 연패를 끊어내고 3연승을 달리는 포스코케미칼은 맏형 [[최철한]]의 시즌 첫 승도 반가운 것은 물론 두 번 출전해 2승을 챙긴 퓨처스리거 류민형이 팀의 새로운 특급 조커로 떠오르며 강팀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 Etc. : 난설헌배 본선 8강 및 4강(강릉 현지), 의정부 바둑 페스티벌,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4|퓨처스리그 4R 1,2G]],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3|대학동문전 결승 1국]](서울대:명지대) ---- ||<-5> {{{#fff '''4R 4G''' (2021년 12월 19일 일요일) - 정관장 2 : 3 '''컴투스''' }}} || || '''대국''' || '''개시''' ||<:><#cc000c> {{{#fff 정관장}}} ||<:><#930b12> {{{#fff 컴투스}}}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김명훈 ||<#97ecab,#006118> '''조완규(퓨)''' || 175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이동훈''' || 박하민 || 169수 흑 불계승 || || 3국 || 송규상 ||<#97ecab,#006118> '''한승주''' || 153수 흑 불계승 || || 4국 || 홍성지 ||<#97ecab,#006118> '''박진솔''' || 302수 백 1집반승 || || 5국 ||<#97ecab,#006118> '''최재영''' || 최 정 || 204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이어덕둥]] || * Preview : "2주 휴식의 효과는?" 3라운드 휴번과 국수산맥배 휴식기로 2주를 쉬고 온 컴투스 타이젬. 과연 지난 라운드 첫승을 거두고 연승에 도전하는 정관장을 상대로 재정비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정관장이 2연승을 달릴 것인가? * Review : "[[박진솔|맏형]]과 퓨처스리거가 안겨준 첫 승", 한상조의 대타로 출전한 퓨처스리거 조완규의 대활약 그리고 2:2에서 맞서던 상황에서 맏형 박진솔의 1집반 승리로 드디어 시즌 첫 승을 신고하는 컴투스 타이젬. 반면 정관장은 지난 라운드 첫 승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아쉬운 패배로 4라운드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 Other. : 난설헌배 결승(정유진:조승아, 강릉 현지),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2|1기 우슬봉조 본선 봉조5R1G]](김지석:원성진),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4|퓨처스리그 4R 3G]], (본방송)[[제15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s-4.4.3|대학동문전 결승 2국]](서울대:명지대) * ETC. : 이 날 대한바둑협회 2021 바둑인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신상철 전 [[대한바둑협회|대바협]] 명예회장 추대패 수여를 시작으로 각 바둑리그별(내셔널/시도/유소년) 상위 입상팀 및 입상선수들의 시상으로 이어졌고, 그 이후 기록부문(우수성적선수)-우수활동부문(가장 활발히 활동한 시도/시군구협회)-공로부문이 수여됐다. 옆의 각주는 어느정도 요약된 내용이다.[* 기록부문 : 최우수선수 김정훈, 여성부문 박예원, 시니어부문 최호철, 초중고부문 기대현(초등)/윤다우(중등)/금현우(고등)][* 우수활동부문 : 최우수 시도부문 강원바둑협회, 최우수 시군구부문 광양시/울주군][* 공로부문(수상자 중 전 대바협 직책경력자인 경우 직함을 생략함) : 허윤 원로기사, 박주석 강원바둑협회 전무이사, 최화길 전 한국중고바둑연맹회장, 홍성칠 전 제주바둑협회 전무이사, 이용호 전 한국바둑교실협회장, 배지헌 [[MBC 스포츠플러스|엠스플]]뉴스 기자, 김영순 전주바둑협회장, 이성호 경북바둑협회 부회장, 문성숙 사천바둑협회장, 양성모/정재진/박경환.] ---- * 라운드가 끝나고.. * 12월 20일에 은퇴기사였던 김학수 五단과 김재구 八단의 노환 등으로 인한 별세소식이 동시에 알려졌다. 이 날은 신안 국제시니어바둑대회 개막식이 있던 날이었다. || 12월 20일 || 신안 국제시니어 개막식[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9일차]](김진휘:박종훈, 최재영:권주리)[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GS칼텍스배 예선(지연일정) 5일차]] || || 12월 21일 || 신안 국제시니어 16강 및 8강[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5|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페어 이벤트 1경기]](박지은-조혜연vs이민진-김혜민)[br][[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s-2|GS칼텍스배 예선(지연일정) 6일차]] || || 12월 22일 || 신안 국제시니어 4강~결승 및 폐막식[br][[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4|퓨처스리그 4R 4G]][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1일차 || === 제5라운드 (휴식 : {{{#e60516 한국물가정보}}}) === * 퓨처스리거 출전 - 이번 라운드에서는 3지명으로 뛰는 3명의 선수[* [[강승민(1994)|강승민]]({{{#3eb034 셀트리온}}} 3지명), [[최정(바둑기사)|최정]]({{{#930b12 컴투스}}} 3지명), [[나현(바둑기사)|나현]]({{{#11439a 합천}}} 3지명)]가 오더 제외되고 그 자리에 퓨처스 선수들이 등판했다. 또한 류민형 선수가 2주 연속 오더 등재된 것을 포함해 무려 6명의 선수가 5라운드에 오더로 등재됐다. 정관장, 합천, 셀트리온은 시즌 첫 퓨처스리거 콜업이며 특히 셀트리온은 두 명의 선수가 동시에 콜업됐다.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cc000c> {{{#fff 정관장}}} || 송규상(5) || → || 김창훈(F1) || ||<#11439a> {{{#fff 합천}}} || 나현(3) || → || 박진영(F2) || ||<#930b12> {{{#fff 컴투스}}} || 최정(3) || → || 조완규(F1)[* 2주 연속 출전이며 지난 라운드에서는 한상조 대신 출전했으나 5라운드에서는 최정 대신 출전했다.] || ||<#3eb034> {{{#fff 셀트리온}}} || 강승민(3)[br]금지우(5) || → || 이원도(F1)[br]유오성(F2) || ||<#005980> {{{#fff 포스코}}} ||<-3> 류민형(F1), 2주 연속 출전 || ---- ||<-5> {{{#fff '''5R 1G''' (2021년 12월 23일 목요일) - 정관장 1 : 4 '''포스코'''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김명훈 ||<#97ecab,#006118> '''변상일''' || 216수 백 불계승 || || 2국 || 김창훈(퓨) ||<#97ecab,#006118> '''최철한''' || 227수 흑 불계승 || || 3국 || 이동훈 ||<#97ecab,#006118> '''박건호''' || 122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최재영''' || 류민형(퓨) || 186수 백 불계승 || || 5국 || 홍성지 ||<#97ecab,#006118> '''이창석''' || 212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송태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김미리]]({{{#930b12 컴투스}}})[* 중간에 3국 승자인 박건호({{{#005890 포스코}}}) 선수가 펀펀라이브 스튜디오를 방문했다.] || * Preview : "왕년의 퓨처스 다승왕과 특급 조커 퓨처스", 19-20 시즌 퓨처스 다승왕 김창훈을 출격시킨 정관장과 팀의 조커 카드로 떠오른 류민형이 다시 출격한 포스코 과연 퓨처스 효과를 볼 팀은 어디인가? * Review : "[[공공의 적]]이 된 [[포스코케미칼]]", 막강한 1~4지명의 위용을 보여주는 포스코케미칼. 쾌조의 컨디션으로 이번엔 4:1 대승을 만들며 4연승을 질주했다. 반면 정관장은 [[김명훈(1997)|김명훈]]의 역전패와 [[이동훈(1998)|이동훈]]의 패배가 뼈아픈 연패로 이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4연승을 달리는 포스코케미칼은 이번 시즌 우승 후보를 넘어선 리그의 공공의 적이 되어 나머지 팀들의 강력한 경계 대상이 됐다. * Other. : [[제26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26기 하림배 여자국수전 시상식]],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10일차]](조승아:금지우, 박하민:김경은) * ETC. : 이날 열린 제22회 지역연구생입단대회 본선 3회전 최종국에서 부산지역의 이해원이 안상범을 이기며 마지막 2021년도 입단대회의 관문을 넘었다. ---- ||<-5> {{{#fff '''5R 2G''' (2021년 12월 24일 금요일) - 합천 1 : 4 '''컴투스''' }}} || || '''대국''' || '''개시''' ||<:><#11439a>{{{#ffffff 합천}}} ||<:><#930b12>{{{#ffffff 컴투스}}}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김진휘 ||<#97ecab,#006118> '''한승주''' || 193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박영훈''' || 박진솔 || 225수 흑 불계승 || || 3국 || 박종훈 ||<#97ecab,#006118> '''조완규(퓨)''' || 205수 흑 불계승 || || '''4국''' || 박정환 ||<#97ecab,#006118> '''박하민''' || 202수 백 불계승 || || 5국 || 박진영(퓨) ||<#97ecab,#006118> '''한상조''' || 203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송태곤]]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정지우, 김상인[* 원래는 이유민 캐스터와 [[김채영]],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자매가 출연 예정이었으나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변경됐다.] || * Preview : "4박이 된 합천과 최정이 빠진 컴투스", 지난 라운드 참패 후 박진영을 콜업하며 4박이 된 합천과 최정의 부진으로 조완규가 다시 출격한 컴투스. 퓨처스 카드에서 갈릴 수도 있는 승부의 향방은? * Review : "이제는 연승!", 지난 라운드에 이어 또 승리를 거둔 조완규의 활약은 물론 한상조의 첫 승과 주장전에서 이긴 [[박하민]], 절친 대결에서 승리한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까지 4:1로 완승을 거두고 2연승을 달리는 컴투스, 반면 합천은 3연속 4:1 대승의 기세는 온데 간데 없이 2연속 1:4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특히 김진휘와 박종훈의 연패도 걱정이지만 주장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까지 연패에 빠져서 고민이 커지게 됐다. * Etc. : [[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8|2021 중국여자갑조리그 15R]] ---- ||<-5> {{{#fff '''5R 3G''' (2021년 12월 25일(성탄절) 토요일) - 셀트리온 2 : 3 '''유후''' }}} || || '''대국''' || '''개시''' ||<:><#3eb034>{{{#ffffff 셀트리온}}} ||<:><#e9708c>{{{#ffffff 유후}}}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이원도(퓨) ||<#97ecab,#006118> '''이창호''' || 181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유오성(퓨)''' || 윤찬희 || 237수 흑 불계승 || || 3국 || 조한승 ||<#97ecab,#006118> '''안성준''' || 296수 흑 반집승 || || 4국 ||<#97ecab,#006118> '''신진서''' || 이태현 || 187수 흑 불계승 || || '''5국''' || 원성진 ||<#97ecab,#006118> '''안국현''' || 286수 흑 반집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극약 처방과 2주 휴식 버프", 2연패에 빠지며 디펜딩 챔피언의 체면을 구긴 셀트리온은 주전 두명을 오더 제외하는 극약 처방으로 분위기 반전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까? 아니면 2주 휴식을 하고 온 유후가 지난 주 2주 휴식 버프로 승리한 컴투스 처럼 분위기 반전에 성공할 것인가? * Review : "[[안성준(바둑)|반집으로 팀을 구한]] [[안국현|'안 브라더스']]", 셀트리온의 [[원성진|베테랑]] [[조한승|듀오]]를 무너트린 [[안성준(바둑)|안성준]]과 [[안국현]] '안 브라더스'의 짜릿한 반집 승과 백전노장 [[이창호]]의 활약으로 연패를 끊어낸 유후. 반면 [[신진서]]와 퓨처스 유오성[* 2021년 6월달에 개명을 했다고 한다. 개명 전 이름은 '유병용'이었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베테랑들의 반집패가 뼈아팠던 셀트리온은 2연승 후 3연패로 7위로 추락했다. * Etc.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5|퓨처스리그 5R 1,2G]], [[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8|2021 중국여자갑조리그 16R]], (본방송)"압구정리그 왕중왕전"과 "의정부 바둑 페스티벌" ---- ||<-5> {{{#fff '''5R 4G''' (2021년 12월 26일 일요일) - '''의정부''' 5 : 0 KIXX }}} || || '''대국''' || '''개시''' ||<:><#299cda>{{{#ffffff 의정부}}} ||<:><#007562>{{{#fff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설현준''' || 박민규 || 192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김지석''' || 신민준 || 291수 흑 불계승[* 계가까지 갈 수도 있었으나 패를 하는 과정에서 신민준이 팻감 부족으로 패배를 직감하고 돌을 거뒀다.] || || 3국 ||<#97ecab,#006118> '''문민종''' || 한상훈 || 210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이원영''' || 김세동 || 211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박상진''' || 김승재 || 248수 백 1집반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박지연(1991)|박지연]] || * Preview : "연승의 기세 vs 대역전승의 기세" 지난 라운드에선 4:1 대승으로 3연승을 달리는 중인 의정부와 지난 라운드 한상훈의 끈기가 만들어낸 대역전승을 거두고 온 KIXX의 대결. 과연 기세를 이어갈 팀은? * Review : "[[스윕|빗자루]]를 든 의정부의 질주", [[설현준]], [[문민종]]의 연승행진은 물론 시즌 첫 승을 거둔 박상진까지 '설, 문, 박' 영건 트리오의 동반 승리, [[이원영(1992)|이원영]]과 주장 [[김지석(바둑)|김지석]]까지 1승을 보태주며 4연승을 화끈한 스윕승[* '바둑메카 의정부' 팀의 창단 첫 스윕승이다.]으로 장식하는 바둑메카 의정부. 반대로 KIXX는 지난 라운드 대역전승의 분위기를 이어가지 못하고 영봉패의 수모를 당하고 말았다. * Etc. :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1기 우슬봉조 본선 봉조5R 2G]](박정환:변상일),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5|퓨처스리그 5R 3G]], [* 중국여자갑조리그 17R도 진행되지만 한국 선수가 출전하지 않아 생략함], (본방송)압구정리그 청룡부 ---- * 라운드가 끝나고... || 12월 27일 ||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11일차]](박상진:선승민, 설현준:박진영)[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5|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페어 이벤트 2경기]](박지연-김미리vs허서현-김경은)[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2조 최종전]](윤찬희:백현우)[br][[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8|여자갑조리그 18R]][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3국 홍성지-리웨이칭)[* 12월 7일 2차대회와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는데 타이젬 측이 이를 기재하지 않았다.] || || 12월 28일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시니어리그 시상식]][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1|크라운해태배 본선 32강 12일차]](오유진:김지명, 신민준:박건호)[br][[제5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s-5|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페어 이벤트 3경기]](김혜민-이민진vs박지연-김미리)[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1|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2차예선 1조 최종전]](위태웅:허영락)[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4국 변상일-투샤오위) || || 12월 29일 || 바둑대상[* 신진서가 MVP와 상금왕 등을 차지했다.][br][[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FR 1국]](조혜연:김채영)[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2|크라운해태배 본선 16강]][br][[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5|퓨처스리그 5R 4G]][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2일차[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5국 신진서-류위항) || === 제6라운드 (휴식 :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 === * 퓨처스리거 출전 - 물가정보는 시즌 첫 퓨처스리거 콜업이다.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930b12> {{{#ffffff 컴투스}}} || 박진솔(4) || → || 조완규(F1)[* 3주 연속 출전] || ||<#e60516> {{{#ffffff 물가정보}}} || 김정현(3) || → || 신재원(F1) || ---- ||<-5> {{{#fff '''6R 1G''' (2021년 12월 30일 목요일) - 유후 2 : 3 '''컴투스''' }}} || || '''대국''' || '''개시''' ||<:><#e9708c>{{{#ffffff 유후}}} ||<:><#930b12>{{{#ffffff 컴투스}}}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이창호 ||<#97ecab,#006118> '''최 정''' || 232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윤찬희''' || 한상조 || 232수 백 불계승 || || 3국 || 안성준 ||<#97ecab,#006118> '''박하민''' || 240수 백 불계승 || || 4국 || 이태현 ||<#97ecab,#006118> '''한승주''' || 157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안국현''' || 조완규(퓨) || 229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송태곤]]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채영]],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중위권 싸움에서 만난 [[이창호|돌부처]] vs [[최정(바둑기사)|바둑여제]]", 중위권 외나무 다리에서 이창호와 최정의 맞대결이라는 빅카드를 성사 시킨 두 팀의 한판 승부. 4위권 진입을 위해 놓칠 수 없는 승부의 승자는? * Review : "3연승, 그리고 [[최정(바둑기사)|여제]]의 시즌 첫 승", 또 다시 [[안성준(바둑)|주장]]을 잡는 [[박하민]]과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의 완승 그리고 [[이창호]]를 잡아낸 [[최정(바둑기사)|최정]]의 시즌 첫 승이 결승점이 되면서 3연승에 성공하고 4위자리를 사수해내는 컴투스 타이젬. 반대로 유후는 오랜만에 승리한 [[윤찬희(1990)|윤찬희]]와 팀의 버팀목인 [[안국현]]이 제역할을 했고, [[이창호]]가 처절한 버티기를 보여줬으나 패배로 빛이 바래고 말았다. * Etc.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5R 2G]](이민진:오유진),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2|크라운해태배 본선 16강 2일차]](이창석:송규상, 박상진:양유준),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6국 신진서-류위항) ---- ||<-5> {{{#fff '''6R 2G''' (2021년 12월 31일 금요일) - '''정관장''' 3 : 2 KIXX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007562>{{{#fff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송규상 ||<#97ecab,#006118> '''신민준''' || 210수 백 불계승 || || 2국 || 최재영 ||<#97ecab,#006118> '''김승재''' || 284수 흑 반집승 || || 3국 ||<#97ecab,#006118> '''이동훈''' || 김세동 || 296수 흑 반집승 || || 4국 ||<#97ecab,#006118> '''김명훈''' || 한상훈 || 154수 백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홍성지''' || 박민규 || 243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유창혁]]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훌훌 털고 가야 할 것들.", 1승 4패로 죽쑤고 있는 정관장과 지난 라운드 참패를 당한 KIXX, 2021년 마지막 대국에서 아픔을 훌훌 털고 승리하며 2022년을 준비 할 팀은? * Review : "2~3국 반집 승부가 바꾼 희비", [[김명훈(1997)|김명훈]]과 [[홍성지]]가 보태주고 [[이동훈(1998)|이동훈]]의 반집 결승타로 귀중한 1승을 챙기는 정관장 천녹. 반면 2국 김승재의 반집 역전승이 무색해져버린 김세동의 반집 역전패가 두고두고 아쉬운 KIXX는 2연패에 빠지고 말았다. * Etc.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6R 2G]](이민진:조승아),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7국 윤찬희-자오천위, 8국 박정환-양딩신) ---- ||<-5> {{{#fff '''6R 3G''' (2022년 1월 1일 토요일) - '''합천''' 4 : 1 포스코 }}} || || '''대국''' || '''개시''' ||<:><#11439a>{{{#ffffff 합천}}}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박종훈''' || 박승화 || 214수 백 불계승 || || 2국 || 김진휘 ||<#97ecab,#006118> '''이창석''' || 262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박정환''' || 박건호 || 162수 백 불계승[* 박정환은 이 날 승리로 '''바둑리그 통산 140승'''(역대 3번째)을 달성했다.] || || 4국 ||<#97ecab,#006118> '''나 현''' || 변상일 || 149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박영훈''' || 최철한 || 196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이어덕둥]] || * Preview : "새해를 여는 [[박영훈(바둑)|황소]] [[최철한|절친]] 대결", 3연속 4:1 승리로 기세를 올렸으나 2연속 1:4 패배로 주춤하는 합천과 이번 시즌 공공의 적 포스코의 새해 첫 판. 그리고 그 속에서 성사된 황소 절친 대결. 과연 승리로 2022년을 기분 좋게 시작할 팀은? * Review : "4:1은 합천의 스코어?!", 6경기 연속 4:1 승부가 나오는 수려한 합천, 이번엔 쓰리박의 동반 승리에 [[변상일]][* 변상일은 낮에 신진서와 TWT배 준결승 대국을 해서 본의아닌 더블헤더가 됐다.] 대마를 잡아낸 [[나현(바둑기사)|나현]]이 시즌 첫 승을 거두며 연패를 끊고 새해 첫 판의 승자가 됐다. 반대로 잘나가던 포스코케미칼은 시즌 첫 패를 1:4로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그나마 [[이창석(1996)|이창석]]이 팀의 영봉패를 막은게 위안거리다. * Etc.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5R 3G]](최정:정유진),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6|퓨처스리그 6R 1, 2G]] ---- ||<-5> {{{#fff '''6R 4G''' (2022년 1월 2일 일요일) - '''셀트리온''' 3 : 2 물가정보 }}} || || '''대국''' || '''개시''' ||<:><#3eb034>{{{#ffffff 셀트리온}}} ||<:><#e60516>{{{#ffffff 물가정보}}}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원성진''' || 신재원(퓨) || 294수 백 1집반승 || || 2국 || 금지우 ||<#97ecab,#006118> '''강동윤''' || 136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신진서''' || 이영구 || 130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조한승''' || 김형우 || 270수 흑 2집반승 || || 5국 || 강승민 ||<#97ecab,#006118> '''송지훈''' || 272수 흑 2집반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어쩌다|어쩌다...]]", 지난 두 시즌 리그를 호령했지만 각각 새 멤버들의 부진과 베테랑들이 흔들리며 하위권으로 추락한 물가정보와 셀트리온. 하위권 탈출과 시즌 첫 승이 각각 절실한 두 팀의 대결에서 승부의 향방은 어느 팀으로 향할 것인가? * Review : "살아난 [[원성진|베테랑]] [[조한승|듀오]]", [[신진서]]의 전승행진[* 신진서는 낮에 중국 주최 인터넷바둑대회인 TWT배(추정) 결승이 있어, 기전은 다르지만 본의아닌 더블헤더로 치르게 되었다.]과 베테랑 [[조한승]]과 [[원성진]]의 승리로 연패를 끊어낸 셀트리온. 반면 물가정보는 앞서던 바둑을 뒤집힌 신재원의 역전패가 너무나 뼈아프게 다가오며 개막 5연패의 수렁에 빠지고 말았다. * Etc.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6|퓨처스리그 6R 3G]](딜레이!(사유 : 코로나 확진자가 대국자 중에서 나와서)),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2|1기 우슬봉조 본선 봉조5R3G]](최정:이창석), (본방송)제4회 제주특별자치도지사배 전국바둑대회 ---- * 라운드가 끝나고... || 1월 3일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6R 3G]](조혜연:오유진)[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2|크라운해태배 본선 16강 3일차]](신민준:한상조, 한승주:최재영)[br][[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s-4.1|23회 맥심배 32강 1일차]](1경기 이지현:안국현, 2경기 박진솔:강유택) || || 1월 4일 || (순연)[[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6|퓨처스리그 6R 3G]] 중 현유빈:이형진, 이현호:김성진 대국[br][[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FR 2G]](이민진:최정)[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2|크라운해태배 본선 16강 4일차]][br][[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s-4.1|23회 맥심배 32강 2일차]](3경기 김지석:김형우, 4경기 김혜민:이동훈) || || 1월 5일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FR 3G]](김은선:정유진)[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3|크라운해태배 본선 8강 1일차]][br][[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6|퓨처스리그 6R 4G]][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3일차 || === 제7라운드 (휴식 : {{{#3eb034 셀트리온}}}) === * 바둑리그 승자예측게임 이벤트가 이번 라운드부터 시작해 9라운드까지 다시 진행된다. 이번에는 가장 많이 맞춘 사람에게 [[기아 쏘렌토|자동차]]를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는 많이 맞춘 경우가 있기는 했으나, 끝내 모든 대국을 예상 적중한 사람이 없어서 생긴 변동사항으로 보인다.] * 퓨처스리거 출전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930b12> {{{#ffffff 컴투스}}} || 한상조(5) || → || 조완규(F1)[* 4주 연속 출전] || ||<#e60516> {{{#ffffff 물가정보}}} || 김형우(5) || → || 신재원(F1)[* 2주 연속 출전] || ||<#11439a> {{{#ffffff 합천}}} || 김진휘(4) || → || 현유빈(F1) || ---- ||<-5> {{{#fff '''7R 1G''' (2022년 1월 6일 목요일) - 물가정보 1 : 4 '''KIXX''' }}} || || '''대국''' || '''개시''' ||<:><#e60516>{{{#ffffff 물가정보}}} ||<:><#007562>{{{#fff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강동윤 ||<#97ecab,#006118> '''한상훈''' || 135수 흑 불계승 || || 2국 || 이영구 ||<#97ecab,#006118> '''김승재''' || 112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신재원(퓨)''' || 신민준 || 218수 백 불계승[* 반집 승부였으나 신민준이 패배를 직감하고 돌을 거뒀다.] || || 4국 || 김정현 ||<#97ecab,#006118> '''김세동''' || 200수 백 불계승 || || 5국 || 송지훈 ||<#97ecab,#006118> '''박민규''' || 203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송태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첫 승이 고픈 친정팀을 만난 [[신민준]]", [[한국바둑리그/2018시즌|팀의]] [[한국바둑리그/2019-20시즌|영광의]] [[한국바둑리그/2020-21시즌|시절]]을 이끌었던 신민준을 적으로 만나는 물가정보, 과연 이번엔 첫 승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아니면 신민준의 KIXX가 승리를 통해 중위권 싸움을 이어 갈 것인가? * Review : "퓨처스의 만루 홈런, 그러나...", [[신민준|주장]]을 잡아낸 퓨처스리거 신재원의 대타 홈런 그러나 주전 선수들이 총체적인 부진에 빠진 한국물가정보. 특히 2지명 [[이영구(1987)|이영구]]와 3지명 [[김정현(1991)|김정현]]의 부진이 길어지며[* '''"물가정보팀 입장에서는 물론 [[이영구(1987)|이영구]] 선수와 [[김정현(1991)|김정현]] 선수가 이겼어도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이 두 선수가 살아나지 않고서는 결국은 답을 찾을 수가 없어요."'''([[송태곤]] 해설) 실제로 물가정보는 현재 팀내 최다승이 [[강동윤]]이 3승(3승 3패)이고, 송태곤 해설이 중계 도중 언급한 이영구와 김정현의 경우 이영구는 1승 5패, 김정현은 5전 전패로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고 하위지명인 김형우(1승 4패), [[송지훈(바둑)|송지훈]](2승 4패)도 좋지가 않다.] 또 다시 패점을 쌓고 말았다. 반면 주장은 패했지만 대승을 거두며 개인 승수 4승을 벌은 KIXX는 치열한 중위권 싸움을 이어 갈 수 있게 됐다. * Other.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5R 4G]](김채영:조승아),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3|크라운해태배 본선 8강 2국]],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9국 원성진-자오천위, 10국 홍성지-류위항) * ETC. * 2월 개막할 예정인 [[YK건기배|YK건기배(가칭 : 22' YK건기배)]][* YK건기는 전문 건설기계 수입업체 회사다. 해당 회사 대표가 바둑 애호가로 알려졌다.]가 신설됐음[* 기사에서는 "출범했다"고 적었다.]을 알리는 기사가 이 날 올라왔다. 이 대회의 총 상금규모는 2억 7천만원으로 우승 5천만, 준우승 2천만원 규모의 국내 종합기전이다. 신예, 여자, 아마에게도 문호를 개방한 이 대회는 2월 예선(아마 선발전 포함)[* 연구생 상위 랭커 24인(연구생부문 상위 22인+여자연구생부문 상위 2인)과 아마 상위랭커 18인 중 최종선발전 진출 6인을 선발한 뒤, 프로기사들과의 통합 예선을 통해 마찬가지로 6인을 선발하게 된다. 아마선수들 중 성적우수자에 대해서는 입단 포인트를 부여할 예정.]을 시작으로, 3월 본선리그전[* 랭킹 상위 2인+예선통과 6인+후원사추천 2인] 진행 후 결승으로 진행되는 대회이다. * 또한, 이 날 승단 소식이 있었다. 설현준(의정부)은 [[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전기리그#s-3.4|12월 16일 KB리그에서 박정환(합천)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김채영은 난설헌배에서 김노경에게 승리하면서, 서중휘는 GS칼텍스배 예선에서 백대현 9단에게 승리하면서 누적점수 충족(설현준 선수는 180점, 김채영 선수는 180.5점, 서중휘 선수는 182.5점)으로 七단(구체(具體))에 승단했다. 이를 포함해, 한국 프로기사협회리그와 GS칼텍스배 예선을 통해 10명의 승단자가 더 탄생했는데 송규상 五단(정관장), 박진영(합천)/최광호(정관장)/김윤영 四단, 신재원(물가정보)/김상천(KIXX)/백현우/권효진 三단, 주치홍/곽원근(유후) 二단이 각각 한 단씩 승단했다. ---- ||<-5> {{{#fff '''7R 2G''' (2022년 1월 7일 금요일) - 컴투스 1 : 4 '''포스코''' }}} || || '''대국''' || '''개시''' ||<:><#930b12>{{{#ffffff 컴투스}}}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최 정''' || 박건호 || 140수 백 불계승 || || 2국 || 조완규(퓨) ||<#97ecab,#006118> '''이창석''' || 202수 백 불계승 || || 3국 || 한승주 ||<#97ecab,#006118> '''최철한''' || 320수 흑 '''12집반'''승[* 이번 시즌 KB리그 최다 집차이 승리다.] || || 4국 || 박진솔 ||<#97ecab,#006118> '''박승화''' || 280수 백 3집반승 || || '''5국''' || 박하민 ||<#97ecab,#006118> '''변상일''' || 308수 흑 반집승[* 박하민이 다 이겼던 바둑에서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두 선수는 이 경기 전날에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크라운해태배]] 8강(변상일 백 불계승)에서 만났었다. 결국 이 2연전 포함해 두 선수의 상대전적은 변상일의 5승 무패로 벌어지게 됐다.]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유창혁]]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조완규 효과는 포스코에게도?", 퓨처스 조완규 등판 이후 3연승을 질주하는 컴투스는 선두 포스코를 제물로 4연승에 성공할 것인지? 아니면 지난 라운드 참패를 수습하고 포스코가 다시 한 번 강팀의 면모를 보여줄 것인가? * Review : "연패는 없다!", 지난 라운드 1:4 대패를 4:1 승리로 만회하는 포스코케미칼. [[변상일]], [[최철한]], [[이창석(1996)|이창석]] 1~3지명의 동반 승리와 함께 박승화가 1승을 보태주며 선두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반면 컴투스 타이젬은 포스코의 강력한 화력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홍일점 [[최정(바둑기사)|최정]]의 숭리로 영봉패를 모면한게 그나마 다행일 정도. * Etc. : (순연)[[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6|퓨처스리그 6R 3G]] 중 박진영:류민형 대국,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1|1기 우슬봉조 본선 우슬4R 3G]](이동훈:신진서),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6R 4G]](김채영:정유진),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 대회(11국 박정환-후위한, 12국 신진서-리웨이칭)[* 확인 결과 2022년도 1차 리그전은 4월 진행될 예정이다.] ---- ||<-5> {{{#fff '''7R 3G''' (2022년 1월 8일 토요일) - 정관장 2 : 3 '''의정부'''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299cda>{{{#ffffff 의정부}}}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이동훈 ||<#97ecab,#006118> '''설현준''' || 141수 흑 불계승 || || 2국 || 홍성지 ||<#97ecab,#006118> '''김지석''' || 316수 백 1집반승 || || 3국 ||<#97ecab,#006118> '''김명훈''' || 문민종 || 192수 백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최재영''' || 이원영 || 254수 흑 2집반승 || || 5국 || 송규상 ||<#97ecab,#006118> '''박상진''' || 231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홍무진 || * Preview : "의정부의 기세는 어디까지?", 4연승을 질주하는 파죽지세의 의정부, 과연 정관장은 지난 라운드 짜릿한 승리에 이어 의정부의 기세까지 멈추게 할 것인가? 아니면 휴식을 하고 돌아온 의정부가 기세를 이어 갈 것인가? * Review : "[[김지석(바둑)|의정부의]] [[설현준|원투펀치]]", 3:2 신승을 거두며 5연승을 달리는 바둑메카 의정부. 변함없이 팀의 중심을 잡아준 원투펀치 [[김지석(바둑)|김지석]], [[설현준]][* 김지석 5승 1패, 설현준 6전 전승. 두 선수 합계 11승 1패.]과 함께 박상진이 1승을 보태주며 팀의 연승을 이어갔다. 반대로 [[이동훈(1998)|이동훈]]의 역전패가 아쉬운 정관장 천녹은 사실상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의 희망이 멀어지고 말았다. * Etc.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본선 최종국]](오유진:조승아),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7|퓨처스리그 7R 1,2G]], (본방송)압구정 여류최강전 ---- ||<-5> {{{#fff '''7R 4G''' (2022년 1월 9일 일요일) - 합천 2 : 3 '''유후''' }}} || || '''대국''' || '''개시''' ||<:><#11439a>{{{#ffffff 합천}}} ||<:><#e9708c>{{{#ffffff 유후}}}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나 현 ||<#97ecab,#006118> '''이태현''' || 132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박영훈''' || 윤찬희 || 248수 백 불계승 || || 3국 || 현유빈(퓨) ||<#97ecab,#006118> '''안성준''' || 174수 백 불계승 || || 4국 || 박종훈 ||<#97ecab,#006118> '''이창호''' || 231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박정환''' || 안국현 || 167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송태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이어덕둥]] || * Preview : "또 4:1? 아니면 이번에는 [[가족오락관|몇 대 몇?]]", 시즌 돌입 후 이기던 지던 4:1승부로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이는 합천, 과연 유후에겐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반대로 유후는 지난 라운드 아쉬운 패배를 잊고 승리해 4위 진입의 희망을 이어갈 것인가? * Review : "[[이창호|백전노장]]의 결승타", [[이태현(바둑)|이태현]]과 [[안성준(바둑)|안성준]] 그리고 팀의 정신적 지주 [[이창호]]의 결승타로 승리를 거두고 4위 진입의 희망을 이어가는 유후. 반면 그동안 4:1 행보를 이어가던 합천은 3:2 승부가 났지만 패점을 기록하며 웃지 못한채 휴식을 맞이하게 됐다. [[박영훈(바둑)|박영훈]]은 전승행진을 이어갔지만 팀 패배로 빛이 바랬다. * Etc. :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1|1기 우슬봉조 본선 우슬 최종국]](강승민:한승주),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7|퓨처스리그 7R 3G]] ---- * 라운드가 끝나고... || 1월 10일 || [[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23회 맥심배 32강 3일차]](5경기 윤준상:강동윤, 6경기 홍성지:홍기표)[br][[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5|농심신라면배 이벤트 1일차]](한-중 Classic 슈퍼 매치) || || 1월 11일 || [[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23회 맥심배 32강 4일차]](7경기 박영훈:신진서, 8경기 최철한:백홍석)[br][[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5|농심신라면배 이벤트 2일차]](한-중 Classic 슈퍼 매치)[br][[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1|갑조리그 포스트시즌 1R 1차]][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13국 류위항-변상일) || || 1월 12일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7|퓨처스리그 7R 4G]][br][[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5|농심신라면배 이벤트 최종일]](한-중 Classic 슈퍼 매치)[br][[메디힐 밀레니엄 여자최강전|메디힐배 여자최강전 예선 1일차]](김은지:김노경 수순중계)[br][[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1|갑조리그 포스트시즌 1R 2차]][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14국 투샤오위-박정환)[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4일차 || === 제8라운드 (휴식 : {{{#11439a 수려한 합천}}}) === * 퓨처스리거 출전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3eb034> {{{#ffffff 셀트리온}}} || 금지우(5) || → || 유오성(F2) || ||<#005890> {{{#ffffff 포스코}}} || 박승화(5) || → || 류민형(F1) || ||<#cc000c> {{{#ffffff 정관장}}} || 송규상(5) || → || 최광호(F2) || ||<#e60516> {{{#ffffff 물가정보}}} || 이영구(2)[br]김정현(3) || → || 신재원(F1)[* 3주 연속 출전][br]이상헌(F3) || ---- ||<-5> {{{#fff '''8R 1G''' (2022년 1월 13일 목요일) - '''셀트리온''' 3 : 2 컴투스 }}} || || '''대국''' || '''개시''' ||<:><#3eb034>{{{#ffffff 셀트리온}}} ||<:><#930b12>{{{#ffffff 컴투스}}}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조한승''' || 박하민 || 216수 백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강승민''' || 한승주 || 183수 흑 불계승 || || 3국 || 유오성(퓨) ||<#97ecab,#006118> '''최 정''' || 236수 흑 2집반승 || || '''4국''' ||<#97ecab,#006118> '''신진서''' || 박진솔 || 131수 흑 불계승[* 신진서는 네 경기 연속 200수 내로 바둑을 끝냈다.] || || 5국 || 원성진 ||<#97ecab,#006118> '''한상조''' || 298수 흑 반집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송태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권주리(1997)|권주리]] || * Preview : "지켜야 하는 자와 뺏으려는 자.", 4위 사수를 노리는 셀트리온과 4위 탈환에 도전하는 컴투스. 과연 셀트리온이 지킬 것인가? 컴투스가 빼앗을 것인가? * Review : "4위 사수 성공!", [[조한승|맏형]]과 [[신진서|주장]]이 승리하고 드디어 시즌 첫 승을 거둔 [[강승민(1994)|강승민]]이 활약하며 4위 자리를 지켜내는데 성공하는 셀트리온. 반면 컴투스 타이젬은 [[최정(바둑기사)|최정]]의 연승행진과 [[원성진]]을 잡아낸 한상조의 활약이 있었지만 팀의 패배로 빛이 바래며 사실상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권에서 멀어져갔다. * Etc. :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3|크라운해태배 본선 8강 3일차]](송규상:박상진, 설현준:박종훈), [[메디힐 밀레니엄 여자최강전|메디힐배 여자최강전 예선 2일차(승자전/패자전)]](이도현:김노경 수순중계), [[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2|갑조리그 포스트시즌 2R 1차]],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15국 후위한-홍성지) ---- ||<-5> {{{#fff '''8R 2G''' (2022년 1월 14일 금요일) - '''의정부''' 4 : 1 포스코 }}} || || '''대국''' || '''개시''' ||<:><#299cda>{{{#ffffff 의정부}}}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이원영''' || 박건호 || 306수 흑 2집반승 || || 2국 || 문민종 ||<#97ecab,#006118> '''최철한''' || 245수 흑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김지석''' || 류민형(퓨) || 107수 흑 불계승[* 이번 시즌 최단수수로 종국됐으나 시즌 최단 수수 기록이 다음 경기에서 다시 경신됐다.] || || '''4국''' ||<#97ecab,#006118> '''설현준'''[* 변상일 상대로 상대 전적 5연패 후 첫 승을 거뒀다.] || 변상일 || 202수 백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박상진''' || 이창석 || 175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백홍석(1986)|백홍석]]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기세의 의정부 vs 공공의 적 포스코", 5연승의 기세를 달리는 의정부와 리그 선두[* 개인승수 3승 차이로 포스코가 선두다.(포스코 22승, 의정부 19승)] 포스코 5승 1패 두 팀의 한판 승부, 사실상 전반기 1위를 가를 수 있는 승부에서 과연 6승을 찍으며 앞서갈 팀은? * Review : "공공의 적을 잡고 6연승!", 주장 킬러로 거듭난 [[설현준]]을 필두로 [[김지석]], 박상진, [[이원영(1992)|이원영]]이 합작해 6연승을 질주하며 선두로 도약하는 바둑메카 의정부. 반대로 포스코케미칼은 박건호가 흔들리는 상황에 [[변상일]]과 [[이창석(1996)|이창석]]까지 무너지면서 선두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그리고 이 날 경기로 두 팀은 개인 승수가 23승으로 동률이 됐다. * Etc. : [[메디힐 밀레니엄 여자최강전|메디힐배 여자최강전 예선 최종국]], [[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2|갑조리그 포스트시즌 2R 2차]][* 양 팀 주장인 김지석({{{#299cda 의정부}}})과 변상일({{{#005890 포스코}}})이 더블헤더를 치뤘는데 둘 다 낮에 열린 갑조리그에서 패했다. 특히 이 날 생일이었던 변상일은 자오천위에게 역전패를 당하고, 바둑리그에서 설현준에게 대마 몰살을 당하며 악몽의 생일날을 보내고 말았다.],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16국 양딩신-원성진, 17국 리웨이칭-윤찬희) ---- ||<-5> {{{#fff '''8R 3G''' (2022년 1월 15일 토요일) - 유후 2 : 3 '''KIXX''' }}} || || '''대국''' || '''개시''' ||<:><#e9708c>{{{#ffffff 유후}}} ||<:><#007562>{{{#ffffff KIXX}}}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윤찬희''' || 김승재 || 264수 백 불계승 || || 2국 || 이창호 ||<#97ecab,#006118> '''박민규''' || 254수 백 불계승 || || 3국 || 안국현 ||<#97ecab,#006118> '''한상훈''' || '''97수''' 흑 불계승[* 전날 김지석-류민형의 107수를 단 하루만에 경신하며 이번 시즌 최단 수수 기록을 다시 썼다.] || || '''4국''' || 안성준 ||<#97ecab,#006118> '''신민준''' || 224수 백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이태현''' || 김세동 || 180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이어덕둥]] || * Preview : "너를 잡아야 내가 산다." 4위를 노리는 두 팀의 맞대결 서로를 잡고 가야 4위 경쟁을 이어 갈 수 있는 가운데 과연 승자는 어느 팀이 될 것인가? * Review : "마지막 희망을 잡은 KIXX", 1~3지명의 활약 속에 4승째를 거두는 KIXX가 이 승리를 통해 마지막 라운드에서 포스트시즌 통과권인 4위 진입의 마지막 희망을 갖게 됐다. 반면 안성준의 역전패가 너무나 치명적이었던 유후는 이 패배로 사실상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가 어려워지게 됐다. * Etc.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8|퓨처스리그 8R 1, 2G]],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2|1기 우슬봉조 본선 봉조 4R3G]](원성진:최정) ---- ||<-5> {{{#fff '''8R 4G''' (2022년 1월 16일 일요일) - 정관장 2 : 3 '''물가정보''' }}} || || '''대국''' || '''개시''' ||<:><#cc000c>{{{#ffffff 정관장}}} ||<:><#e60516>{{{#ffffff 물가정보}}}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이동훈''' || 신재원(퓨) || 184수 백 불계승 || || '''2국''' || 김명훈 ||<#97ecab,#006118> '''강동윤''' || 178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홍성지''' || 송지훈 || 202수 백 불계승 || || 4국 || 최재영 ||<#97ecab,#006118> '''이상헌(퓨)''' || 182수 백 불계승 || || 5국 || 최광호(퓨) ||<#97ecab,#006118> '''김형우''' || 209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 * Preview : "죽을 쑤고있는 두 팀...",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가 어려워진 정관장과 물가정보의 대결 과연 정관장이 승리로 전반기를 마무리[* 정관장 천녹은 9라운드가 휴식이므로 이 대국이 전기리그 마지막 대국이다.] 할 것인가? 아니면 [[이영구(1987)|2]], [[김정현(1991)|3]]지명을 빼는 극약 처방을 한 물가정보가 시즌 첫 승에 성공 할 것인가? * Review : "드디어 첫 승!", 개막 7연패의 악몽을 끊고 드디어 시즌 첫 승을 챙기는 한국물가정보. 강동윤, 김형우의 활약 속에 퓨처스리거 이상헌의 대타 홈런이 빛이 나며 감격스러운 시즌 첫 승을 거뒀다. 반면 정관장 천녹은 물가정보에게 패배하며 2승 6패로 전기리그 일정을 마무리하고 말았다. * Etc.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8|퓨처스리그 8R 3G]], [[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3|갑조리그 포스트시즌 3R 1차]] ---- * 라운드가 끝나고... || 1월 17일 || [[제9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9기 대주배 예선1회전 및 개막식]](김수장:강훈大 수순중계)[br][[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3|갑조리그 포스트시즌 3R 2차]](하위플옵 한정 최종일)[br][[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결승1국]](최정:오유진)[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4|크라운해태배 본선 4강 1국]][br][[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s-4.1|23회 맥심배 32강 5일차]](9경기 안조영:이영구, 10경기 조한승:안성준) || || 1월 18일 || [[제9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9기 대주배 예선2회전]][br][[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결승2국]](최정:오유진)[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4|크라운해태배 본선 4강 2국]][br][[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s-4.1|23회 맥심배 32강 6일차]](11경기 이창호:조혜연, 12경기 박승화:윤찬희)[br][[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2|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본선 대진추첨식]][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18국 리웨이칭-원성진, 19국 자오천위-신진서) || || 1월 19일 || [[제9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9기 대주배 예선결승]][br][[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8|퓨처스리그 8R 4G]][br][[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4|갑조리그 포스트시즌 FR 1차]][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5일차[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20국 류위항-윤찬희) || === 제9라운드 (휴식 : {{{#cc000c 정관장 천녹}}}) === * 현재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6승 1패, 개인 23승)와 {{{#005980 포스코케미칼}}}(5승 2패, 개인 23승)은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가 확정된 상황이다. 두 팀은 전기리그 1위를 놓고 다투며 의정부가 승리시 자력으로 전기리그 1위를 확정한다. 반면 의정부가 패할 경우에는 포스코가 승리시 포스코가 개인 승수에서 앞서 전기리그 1위를 확정한다. 둘 다 패할 경우 의정부가 전기리그 1위를 확정한다. * 3위 {{{#11439a 수려한 합천}}}(4승 3패, 개인 20승), 4위 {{{#32b034 셀트리온}}}(4승 3패, 개인 19승)은 9라운드 1경기에서 맞대결을 하며 여기서 승자가 전기리그 포스트시즌 통과를 확정짓는다. 패한 팀은 KIXX, 유후, 컴투스의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 5위 {{{#007562 KIXX}}}(4승 3패, 개인 17승)는 포스코에게 승리시 5승 3패가 되어 9라운드 1경기 패자와 순위를 바꿀 수 있다. 반면 패배시에는 셀트리온이 합천에 5:0으로 지고 KIXX가 포스코에게 최소 2승을 거두면 승자승으로 4위로 진입이 가능하며 그 외는 탈락이 확정된다. * 유후와 컴투스는 KIXX의 패배를 전제로 하여 가능성이 있다. * 6위 {{{#930b12 컴투스 타이젬}}}(3승 4패, 개인 16승)은 합천이 5:0으로 패할 경우 5:0 승리를 해야 하며 셀트리온이 1:4 패배시 5:0 승리, 5:0 패배시 4:1 승리를 하면 포스트시즌 통과가 가능하다.(다만 KIXX가 승리를 하게 되면 이 조건과 관계 없이 탈락이 확정) * 7위 {{{#e9708c YOU WHO}}}(3승 4패, 개인 15승)는 셀트리온이 합천에게 4:1로 패할 경우 와 5:0으로 패할 경우에 포스트시즌 통과 가능성이 생긴다 5:0으로 승리시 개인 20승이 되는데 셀트리온이 4:1로 패할 경우 개인 승수 동률이나 승자승[* 5라운드 3경기 - 유후 3:2 셀트리온] 에서 앞서며 5:0으로 셀트리온이 패배하고 5:0으로 유후가 승리할 경우 개인 승수에서 앞설 수 있다. 만약 합천이 5:0으로 패하고 팀이 5:0으로 승리 할 경우 승자승에 앞설 수 있다.[* 7라운드 4경기 - 유후 3:2 합천](다만 KIXX가 승리를 하게 되면 이 조건과 관계 없이 탈락이 확정) ---- * 이번 라운드 부터 중계에 사용되는 BGM들이 교체됐다. * 퓨처스리거 출전 - 유후는 시즌 첫 퓨처스리거 콜업이다. || '''{{{#fff 팀}}}''' || '''{{{#fff 1군(지명순번)}}}''' || {{{#fff '''→'''}}} || '''{{{#fff 퓨처스(지명순번)}}}''' || ||<#3eb034> {{{#ffffff 셀트리온}}} ||<-3> 유오성(F2), 2주 연속 출전 || ||<#005890> {{{#ffffff 포스코}}} ||<-3> 류민형(F1), 2주 연속 출전 || ||<#e9708c> {{{#ffffff 유후}}} || 이태현(5) || → || 진시영(F1) || ||<#e60516> {{{#ffffff 물가정보}}} || 송지훈(4) || → || 이상헌(F3)[* 2주 연속 출전] || ---- ||<-5> {{{#fff '''9R 1G''' (2022년 1월 20일 목요일) - '''합천''' 4 : 1 셀트리온 }}} || || '''대국''' || '''개시''' ||<:><#11439a>{{{#ffffff 합천}}} ||<:><#3eb034>{{{#ffffff 셀트리온}}}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박정환''' || 조한승 || 145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박영훈''' || 원성진 || 220수 백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김진휘''' || 유오성(퓨) || 292수 흑 반집승 || || 4국 || 박종훈 ||<#97ecab,#006118> '''신진서''' || 199수 흑 불계승 || || 5국 ||<#97ecab,#006118> '''나 현''' || 강승민 || 219수 흑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송태곤]] (자석바둑판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특별출연 : 김진휘({{{#11239a 합천}}})) || * Preview : "이기면 3위, 지면 위기 상황", 이기면 3위로 전기리그 포스트시즌 통과를 확정지으나 지면 장담 할 수 없는 두 팀의 사생결단 대결, 그리고 또 다른 [[원성진|황소 절친]]을 만난 [[박영훈(바둑)|박영훈]]은 전승행진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인가? * Review : "화끈하게 전반기 포시통과!", 이기면 4:1로 이기는 합천.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의 승리는 물론 김진휘와 [[나현(바둑기사)|나현]]까지 살아나고 [[박영훈(바둑)|박영훈]]이 전반기 전승으로 마무리하여 화끈한 승리를 거두고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를 확정짓는데 성공했다. 반면 셀트리온은 [[신진서]]를 빼고 모두 패하면서 이제는 전반기 포스트시즌 통과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유오성의 반집 패가 두고두고 아쉬운 대목. * Other. : [[2021 중국바둑갑조리그#s-9.4|갑조리그 포스트시즌 FR 2차]][* 이 날 신진서({{{#3eb034 셀트리온}}})와 박정환({{{#11439a 합천}}})이 더블헤더를 치뤘다.], 5회 한국제지 여자기성전 시상식,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21국 후위한-변상일) * ETC. : 이 날 의정부 국제바둑신예단체전이 창설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02년 1월 1일 출생자 중 남자2+여자1 조합으로 한중일+대만의 단체리그전 대회이다. 우선 1월 24일 한국기원에서 진행하는 국내예선 1회전을 시작으로, 25일~27일 예선 2~4회전은 의정부 아일랜드캐슬(1월 15일 진행한 개막식 장소)에서, 28일 예선 결승은 한국기원으로 다시 돌아와서 진행해 한국팀 본선진출자를 가린다. 대회 본선 풀리그전은 3월 3일에 진행된다. ---- ||<-5> {{{#fff '''9R 2G''' (2022년 1월 21일 금요일) - 의정부 2 : 3 '''유후''' }}} || || '''대국''' || '''개시''' ||<:><#299cda>{{{#ffffff 의정부}}} ||<:><#e9708c>{{{#ffffff 유후}}}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박상진''' || 안국현 || 163수 흑 불계승 || || '''2국''' ||<#97ecab,#006118> '''김지석''' || 이창호 || 194수 백 불계승 || || 3국 || 설현준 ||<#97ecab,#006118> '''안성준''' || 198수 백 불계승 || || 4국 || 이원영 ||<#97ecab,#006118> '''윤찬희''' || 217수 흑 불계승 || || 5국 || 문민종 ||<#97ecab,#006118> '''진시영(퓨)''' || 266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해설 : [[이희성(1982)|이희성]], [[유창혁]] (더블 해설)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 * Preview : "전기리그 1위는 내 것! vs 내가 막아주지!", 6연승 고공행진 중인 의정부. 과연 유후도 잡으며 전기리그 1위를 스스로 확정지을 것인가? 아니면 유후가 의정부의 기세를 멈춰세우고 실낱같은 희망도 만들어 낼 것인가? * Review :"멈춰세운, 당신 누구야(유후YouWho)", 전승의 기세를 달리던 [[설현준]]을 멈춰 세운 [[안성준(바둑)|안성준]]을 필두로 [[윤찬희(1990)|윤찬희]]의 완승과 퓨처스리거 진시영의 결승타로 의정부의 6연승 질주를 멈춰세우며 비록 탈락이 확정됐지만 후기리그를 기약하는 유후. 반대로 의정부는 [[김지석(바둑)|김지석]]과 박상진이 승리했지만 나머지 선수들이 모두 패하며 자력으로 전반기 1위를 확정할 기회를 날려버리고 말았다. * Other.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결승 3국]](최정:오유진), 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22국 양딩신-홍성지)[* 이후에도 대국은 있었지만 잘 알려지지 못했다(...)] * ETC.(부고) : 이재윤 [[대한바둑협회]] 회장이 이날 향년 73세의 나이로 [[숙환]]으로 별세했다. ---- ||<-5> {{{#fff '''9R 3G''' (2022년 1월 22일 토요일) - 물가정보 2 : 3 '''컴투스''' }}} || || '''대국''' || '''개시''' ||<:><#e60516>{{{#ffffff 물가정보}}} ||<:><#930b12>{{{#ffffff 컴투스}}}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 이상헌(퓨) ||<#97ecab,#006118> '''박하민''' || 186수 백 불계승 || || '''2국''' || 강동윤 ||<#97ecab,#006118> '''한승주''' || 165수 흑 불계승 || || 3국 ||<#97ecab,#006118> '''이영구''' || 한상조 || 217수 흑 불계승 || || 4국 ||<#97ecab,#006118> '''김형우''' || 최 정 || 289수 백 반집승 || || 5국 || 김정현 ||<#97ecab,#006118> '''박진솔''' || 274수 백 5집반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 해설 : [[백홍석(1986)|백홍석]]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이유민, [[이어덕둥]][* 중간에 송규상({{{#cc000c 정관장}}}) 선수와 [[송지훈(바둑)|송지훈]]({{{#e60516 물가정보}}}) 선수가 펀펀 스튜디오를 찾았다.] || * Preview : "이제는 연승 도전 vs 마지막까지..", 지난 라운드 시즌 첫 승을 해낸 물가정보 과연 연승을 하며 후기리그를 기약 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컴투스도 마지막 희망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가? * Review : "이겼지만 못내 아쉬운 컴투스", 승리로 전기리그를 마무리하는 컴투스 타이젬. 그러나 최정의 아쉬운 역전패와 한상조의 패배로 5:0을 만드는데 실패하며 결국 전기리그 포스트시즌 통과가 좌절되며 후기리그를 기약하게 됐다. 물가정보는 연승에 실패하며 결국 꼴지로 전기리그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 Etc.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9|퓨처스리그 9R 1,2G]] ---- ||<-5> {{{#fff '''9R 1G''' (2022년 1월 23일 일요일) - KIXX 1 : 4 '''포스코''' }}} || || '''대국''' || '''개시''' ||<:><#007562>{{{#ffffff KIXX}}} ||<:><#005890>{{{#ffffff 포스코}}} ||<:> '''대국 결과''' || || 1국 ||<|5> 19:00 ||<#97ecab,#006118> '''박민규''' || 류민형(퓨) || 271수 흑 불계승 || || 2국 || 한상훈 ||<#97ecab,#006118> '''이창석''' || 147수 흑 불계승 || || 3국 || 김세동 ||<#97ecab,#006118> '''변상일''' || 198수 백 불계승 || || 4국 || 김승재 ||<#97ecab,#006118> '''최철한''' || 177수 흑 불계승 || || 5국 || 신민준 ||<#97ecab,#006118> '''박건호''' || 176수 백 불계승 || ||<#545045><-2> {{{#fff '''TV 중계'''}}} ||<-3> 캐스터 : [[이소용]] / 해설 : [[유창혁]] || ||<#545045><-2> {{{#fff '''유튜브 Fun Fun'''}}} ||<-3> 김지명, [[이어덕둥]], 박경근 || * Preview : "4위를 향해 달려가는 KIXX앞에 나타난 포스코", 이기면 자력 4위 확정이 가능한 KIXX, 과연 포스코에게 승리를 거두며 막차를 탈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포스코가 지난 라운드 패배를 씻고 KIXX의 4위진입 시도를 저지 할 수 있을 것인가? * Review : "흔들릴지언정 쓰러지지 않는다.", [[변상일]], [[최철한]], [[이창석]]의 삼각편대와 함께 [[신민준|상대 주장]]을 쓰러트리고 연패를 끊은 박건호[* 신민준 상대로 상대전적 통산 첫 승이다.]까지 1~4지명의 강력함을 다시 한 번 보여주며 전기리그 1위를 확정짓는 포스코케미칼, 반면 KIXX는 포스코에게 무너지며 6위로 추락하는 쓰라린 전기리그 마지막 경기가 되고 말았다 .[* 이 결과로 셀트리온이 전기리그 4위를 확정했다.] * Etc. :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s-4.2|1기 우슬봉조 본선 최종국]](봉조리그 김지석:박정환),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9|퓨처스리그 9R 3G]] ---- * 이 라운드가 끝난 후 한 주 휴식기를 가지며 2월 3일 부터 후기리그 일정에 들어간다. * 28일에 여러 소식이 들려왔다. * 14회 지역영재입단대회에서 한국바둑중 학생인(=전남지역 참가자) 이승민 선수가 대전/세종지역 참가자인 윤다우에게 승리하며 입단에 성공했다. * 명지대의 바둑전문학사과정을 모집하고 있다. * 박건호(포스코)(23일 신민준(KIXX) 상대 승리)/박상진(의정부) 선수([[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전기리그#s-3.8|14일 이창석(포스코) 상대 승리]])가 六단, 이지현女/강우혁 선수가 五단, 김경은 선수가 三단, 허영락/조남균/김선빈 선수가 二단으로 승단했다. || 1월 24일 ||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2|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본선 1국]](윤찬희:신민준)[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5|크라운해태배 결승 1국]](변상일:한승주)[br][[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s-4.1|23회 맥심배 32강 7일차]](13경기 박정환:최정, 14경기 허영호:한상훈)[br]의정부 국제 신예 단체전 예선1회전(10시 남자조, 14시 여자조) || || 1월 25일 ||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2|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본선 2국]](강동윤:허영락)[br][[2022 메디힐배 밀레니엄 여자최강전|메디힐배 여자최강전 8강 동시대국]][br][[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s-4.1|23회 맥심배 32강 8일차]](15경기 나현:신민준, 16경기 원성진:변상일)[br][[2022 YK건기배|YK건기배(가칭) 조인식]][br]의정부 국제 신예 단체전 예선2회전 || || 1월 26일 ||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s-2.3.2|3기 쏘팔코사놀 최고기사결정전 본선 3국]](조한승:박정환)[br][[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5|크라운해태배 결승 2국]](변상일:한승주)[br][[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1-22시즌#s-6.2.9|퓨처스리그 9R 4G]][br]의정부 국제 신예 단체전 예선3회전[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6일차[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23국 신진서-후위한) || || 1월 27일 || [[2021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s-4.5|크라운해태배 결승 최종국]](변상일:한승주)[br]의정부 국제 신예 단체전 예선4회전[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24국 박정환-류위항) || || 1월 28일 ||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s-3.1.2|호반 여자최고기사 결승4국]](최정:오유진)[br]의정부 국제 신예 단체전 예선결승[br]2021 타이젬 한중 Super League 3차대회(25국 변상일-자오천위) || || 1월 31일 || (바둑TV 2022 설 특집 본방송)범 내려온다 흑호:백호 1경기 || || 2월 1일 || (바둑TV 2022 설 특집 본방송)범 내려온다 흑호:백호 2경기 || || 2월 2일 || (바둑TV 2022 설 특집 본방송)범 내려온다 흑호:백호 3경기[br](본방송)오공도사 아무데나 접바둑 27일차 || == 전기리그 순위 및 포스트시즌 통과팀 == ||<:>
<-8> '''{{{#fff 2021-2022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전기리그 순위}}}'''||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개인승''' ||<:> '''비고''' || || 1 || [include(틀:표시, other1=#005890, other2=#FFFFFF, other3=포스코케미칼)] || 8 || 6 || 0 || 2 || 27 || || || 2 || [include(틀:표시, other1=#299cda, other2=#FFFFFF, other3=바둑메카 의정부)] || 8 || 6 || 0 || 2 || 25 || || || 3 || [include(틀:표시, other1=#11439a, other2=#FFFFFF, other3=수려한 합천)] || 8 || 5 || 0 || 3 || 24 || || || 4 || [include(틀:표시, other1=#3eb034, other2=#FFFFFF, other3=셀트리온)] || 8 || 4 || 0 || 4 || 20 || || || 5 || [include(틀:표시, other1=#930b12, other2=#FFFFFF, other3=컴투스 타이젬)] || 8 || 4 || 0 || 4 || 19 || || || 6 || [include(틀:표시, other1=#007562, other2=#FFFFFF, other3=KIXX)] || 8 || 4 || 0 || 4 || 18 || [*승자승 동률 승자승 - 8라운드 3경기 KIXX 3:2 유후] || || 7 || [include(틀:표시, other1=#e9708c, other2=#FFFFFF, other3=YOU WHO)] || 8 || 4 || 0 || 4 || 18 || [*승자승] || || 8 || [include(틀:표시, other1=#cc000c, other2=#FFFFFF, other3=정관장 천녹)] || 8 || 2 || 0 || 6 || 16 || || || 9 || [include(틀:표시, other1=#e60516, other2=#FFFFFF, other3=한국물가정보)] || 8 || 1 || 0 || 7 || 13 || || ||<-8><#545045> {{{#8e8 초록색}}} {{{#fff : 포스트시즌 통과, }}}{{{#fbb 분홍색}}} {{{#fff : 포스트시즌 탈락}}} || ----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21KB리그.png|width=90]]||{{{#fff '''2021-2022 KB국민은행 바둑리그[br]전기리그 포스트시즌 통과팀'''}}} ||}}} || ||<#fff> [[파일:2021-22 포스코케미칼.png|width=100]] ||<#fff> [[파일:2021-22 바둑메카의정부.png|width=100]] || ||<#005890> {{{#fff {{{+1 포항 '''포스코케미칼'''}}}[br](전기리그 1위)}}} ||<#299cda> {{{#fff {{{+1 의정부 '''바둑메카 의정부'''}}}[br](전기리그 2위)}}} || ||<#fff> [[파일:2021-22 수려한합천.png|width=100]] ||<#fff> [[파일:2021-22 셀트리온.png|width=100]] || ||<#11439a> {{{#fff {{{+1 합천 '''수려한 합천'''}}}[br](전기리그 3위)}}} ||<#3eb034> {{{#fff {{{+1 인천 '''셀트리온'''}}}[br](전기리그 4위)}}} || [[분류:한국바둑리그]][[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