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바둑리그)] [include(틀: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5><#545045> {{{#fff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 ||<:> [[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2021-22 시즌]] ||<:> {{{+1 ←}}} ||<:> '''2022-23 시즌''' ||<:> {{{+1 →}}} ||<:> [[한국바둑리그/2023-24시즌|2023-24 시즌]]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 |width=75%&theme=light]][[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 |width=75%&theme=dark]] || ||<-2> {{{#545045,#fff '''{{{+1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 || {{{#545045 '''주최, 주관'''}}} ||<-2>[[한국기원]] || || {{{#545045 '''주관방송사'''}}} ||<-2>[[바둑TV]] || || {{{#545045 '''타이틀스폰서'''}}} ||<-2>[[KB국민은행]] || || {{{#545045 '''대회기간'''}}} ||<(><-2>정규리그 일정 : [[2022년]] [[12월 28일]] ~ [[2023년]] [[5월 19일]] 포스트시즌 : [[2023년]] [[5월 25일]] ~ [[6월 29일]] || || {{{#545045 '''전기 우승팀'''}}} ||<-2>합천 {{{#11439a 수려한 합천}}} ([[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2021-22시즌]]) || ||<|2> {{{#545045 '''참가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br](10팀) ||<(>[[합천군|수려한 합천]], [[셀트리온]], [[포스코케미칼|포스코퓨처엠]][br][[타이젬 바둑|컴투스 타이젬]], [[GS칼텍스|KIXX]], [[의정부시|바둑메카 의정부]][br][[한국인삼공사|정관장 천녹]], [[한국물가정보]], [[고려아연]], [[원익IPS|원익]] || || 해외[* 퓨처스리그 미참가][br](2팀) ||[[중화 타이베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0]] 보물섬정예]][br][[일본기원|[[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기원]] || ||<|4> {{{#545045 '''대국규정'''}}} || 1국(장고) ||각자 4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 || 2~4국(속기) ||각자 2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 || 5국(초속기) ||각자 1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 || 계가 ||한국룰 [[덤(바둑)|덤]] 6.5집 || ||<-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대회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1 {{{#545045 '''우승'''}}}}}} || ||<-3><:> [[파일:22-23KIXX 수정판.png|width=50]] {{{+3 광주 '''{{{#007562 KIXX}}}'''}}} || ||<|2> {{{#545045 '''정규리그[br]1위'''}}} || [[난가리그]] ||<#e60516> {{{#fff 서울 '''한국물가정보'''}}} || || [[수담리그]] ||<#cc000c> {{{#fff 대전 '''정관장 천녹'''}}} || ||<-2> {{{#545045 '''MVP'''}}} || [[신진서]]({{{#007562 KIXX}}}) || ||<|3> {{{#545045 '''다승왕'''}}} || '''리그 통합''' ||<:> [[신진서]]({{{#007562 KIXX}}}) - 20승 2패 || || 난가리그 || [[신진서]]({{{#007562 KIXX}}}) - 20승 || || 수담리그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11439a 합천}}}), [[신민준]]({{{#fb8243 고려아연}}}) - 16승 || ||<-2> {{{#545045 '''신인왕'''}}} ||<:> [[권효진(2004)|권효진(男)]] ({{{#cc000c 정관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기원]]이 주최, 주관하고 [[KB국민은행]]이 후원하는 [[한국바둑리그]]의 19번째 시즌. 바둑리그의 역사상 가장 늦게 개막을 하는 시즌이며 처음으로 수요일에 개막을 한다. 이번 바둑리그는 출범이래 사상 최초로 대만과 일본도 팀을 구성해 참가하며 역대 최다인 12개팀 체제로 리그를 진행한다. == 중계 및 해설진 == === 중계 === * [[바둑TV]] (매주 수~일 저녁 7시) * [[네이버]], [[바둑TV]] [[유튜브]] 채널 (바둑TV 재송신) * 일부 프로기사 유튜브: 박지은 9단, 김영삼 9단(의정부 감독), 이현욱 9단 등이 일부 경기를 중계하고 있다. * 20-21시즌 바둑TV 유튜브, 지난 시즌은 바둑리그 유튜브에서 진행되었던 펀펀라이브는 이번 시즌은 진행하지 않는다. [* 그러나 [[https://youtu.be/YoLzsu_GSQQ?t=1717|지난시즌 합천 우승 팬미팅때]] 펀펀에서 선수들의 동의가 있다면 찾아가는 검토실 등의 KB리그에 대한 좋은 의견들이 많이 나왔음에도 대부분 지워졌으며, 지난시즌 펀펀 진행자들도 다음시즌의 대한 기대를 비췄으나 펀펀 폐지로 물거품이 되었고, [[https://baduk.hangame.com/news.nhn?gseq=101837&m=view&page=1&searchfield=&leagueseq=0&searchtext=|다음의 기사에서도]] '인기증대'라는 공통된 목표로 이야기가 나눠졌음에도 이런 결정이 나온 것에 대해서 더더욱 문제가 있어보인다. 또한 주간여바리, 주간시니어처럼 똑같이 주간 방송으로 오후 5시 방송이 될 경우 참여하는 사람은 제한적이고 공통된 목표에서 퇴보하는 결과가 될 것으로 보이기에 과연 어떤 포맷이 될 지도 의문이 남는 상황이다.] * 매주 수요일 저녁 6시에는 유희영, [[이현욱]] 九단 진행으로 리그 주간 매거진 방송인 'KB리그 NOW'를 방송한다. === 해설진 === * 캐스터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류승희, [[문도원]] 三단 - [[이소용]] 캐스터가 빠지고 지난 두 시즌동안 퓨처스리그를 전담했던 류승희 캐스터가 [[한국바둑리그/2019-20시즌|2019-20시즌]] 시즌 이후 세 시즌만에 바둑리그 중계에 합류했다. * 해설 : [[유창혁]] 九단, [[송태곤]] 九단, [[백홍석(1986)|백홍석]] 九단 - 그동안 바둑리그 해설을 맡아온 [[이희성(1982)|이희성]] 九단이 '원익' 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해설진에서 빠지게 되었으며 나머지 해설진 3명은 지난 시즌과 동일하다. == 참가팀 == ||<-5>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참가팀''' }}} || || '''구분 ''' ||<-2> '''팀명''' || '''연고지''' || '''감독''' || ||<|10> 국내 || [[파일:22-23수려한합천 수정판.png|height=50]] ||<#11439a> {{{#fff 합천 '''수려한 합천'''}}}[br]{{{-1 {{{#fff (전기 정규 + PS + 퓨처스 통합 우승)}}}}}} || [[경상남도|경남]][br][[합천군]] || [[고근태]] || || [[파일:22-23셀트리온 수정판.png|height=50]] ||<#3eb034> {{{#fff 인천 '''셀트리온'''}}}[br]{{{-1 {{{#fff (전기 정규 6위 + 최종 준우승)}}}}}} || [[인천광역시]] || 백대현 || || [[파일:22-23포스코퓨처엠.png|height=50]] ||<#005890> {{{#fff 포항 '''포스코퓨처엠'''}}}[br]{{{-1 {{{#fff (전기 정규 2위 + 최종 3위)}}}}}} || [[경상북도|경북]][br][[포항시]] || 이상훈 || || [[파일:22-23컴투스타이젬 수정판.png|height=50]] ||<#930b12> {{{#fff 서울 '''컴투스 타이젬'''}}}[br]{{{-1 {{{#fff (전기 정규 3위 + 최종 4위)}}}}}} || [[서울특별시]] || [[안형준(바둑)|안형준]] || || [[파일:22-23KIXX 수정판.png|height=50]] ||<#007562> {{{#fff 광주 '''KIXX'''}}}[br]{{{-1 {{{#fff (전기 정규 4위 + 최종 5위)}}}}}} || [[광주광역시]] || 김영환 || || [[파일:22-23바둑메카의정부 수정판.png|height=50]] ||<#299cda> {{{#fff 의정부 '''바둑메카 의정부'''}}}[br]{{{-1 {{{#fff (전기 정규 5위 + 최종 6위)}}}}}} || [[경기도|경기]][br][[의정부시]] || [[김영삼(1974)|김영삼]] || || [[파일:22-23정관장천녹 수정판.png|height=50]] ||<#cc000c> {{{#fff 대전 '''정관장 천녹'''}}}[br]{{{-1 {{{#fff (전기 정규리그 7위)}}}}}} || [[대전광역시]] || [[최명훈]] || || [[파일:22-23한국물가정보 수정판.png|height=50]] ||<#e60516> {{{#fff 서울 '''한국물가정보'''}}}[br]{{{-1 {{{#fff (전기 정규리그 9위)}}}}}} || [[서울특별시]] || [[박정상]] || || [[파일:22-23고려아연 수정판.png|height=50]] ||<#fb8243> {{{#fff 울산 '''고려아연'''}}}[br]{{{-1 {{{#fff (신생팀)}}}}}} || [[울산광역시]] || 박승화 || || [[파일:22-23원익 수정판.png|height=50]] ||<#264481> {{{#fff 성남 '''원익'''}}}[br]{{{-1 {{{#fff (신생팀)}}}}}} || [[경기도|경기]][br][[성남시]] || [[이희성(1982)|이희성]] || ||<|2> 해외 || [[파일:22-23일본 수정판.png|height=50]] ||<#dca051>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 일본기원}}}''' || [[일본]] || -[* 일본은 별도의 감독 선임은 없이 [[일본기원]] 기전부에서 오더를 작성해 제출하며 [[홍맑은샘]] 四단이 대국 장소 제공 및 원활한 대국진행을 돕기 위한 매니저 역할을 맡는다.[[https://naver.me/FOhMlvqM|관련 기사]]] || || [[파일:22-23대만 수정판.png|height=50]] ||<#624999>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fff 보물섬정예}}}''' || [[대만]] || [[저우쥔쉰]] || * 이번 시즌은 '''12개팀'''이 참가하여 바둑리그 역사상 최다 팀수로 시즌을 시작하며, 사상 최초로 해외팀 2팀도 이번 대회에 참여한다. * 국내팀은 기존 9개 팀 중 전기 정규리그 8위였던 '유후(EDGC)'가 빠지고 [[고려아연]]과 [[원익IPS|원익]][*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십단전(한국)|십단전]]', 2013년에 '[[여류십단전]]'을 후원했었다.]이 새롭게 바둑리그 신생팀으로 참가하여 기존 8팀, 신생 2팀으로 국내팀 10팀이 참가하게 됐다. '고려아연'은 울산을 연고지로 참가하기로 했으며[* 디아채, SK엔크린에 이은 세 번째 울산연고 팀이다. 2018년까지 참가했던 '울산 SK엔크린' 이후 네 시즌만에 울산 연고 팀이 탄생했다. 고려아연은 울산 울주군에 사업장이 있어 연고지를 울산으로 정했다.] '원익'은 경기도 성남시로 연고를 정했다.[* 원익의 본사 소재지가 성남에 있어 성남시로 연고를 정했다. 간혹 회사정보에 원익의 본사를 '''평택'''으로 기재하는 오류가 있기도 했는데, 이는 곧 실제와 다르다.][* 여담으로 팀 자체는 의정부에 이은 경기도 연고 팀이 됐다.] * 해외팀은 일본과 대만이 참가해 각 국가별로 8명씩 파견하여 이번 시즌을 진행한다. 대만은 '보물섬정예'라는 팀명[* 당초에는 '포모사엘리트'로 알려졌으나 TV중계와 바둑리그 홈페이지에서 '보물섬정예'로 알려졌다. 한자로 읽으면 '보도정예대([[寶]][[島]][[精]][[銳]][[隊]])'로 이를 번역해 '보물섬정예'로 부른다.]으로 참가하며 일본은 '일본기원' 팀으로 참가한다. 단, 해외팀 두 팀은 퓨처스바둑리그에는 출전하지 않는다. * 포항 '포스코케미칼'이 2023년 3월 20일자로 [[https://naver.me/xYTVHz8w|모기업이 사명을 변경]]함에 따라 13주차부터 포항 '포스코퓨처엠'이라는 팀명으로 출전한다. == 선수단 구성 및 리그 배정 == === 국내팀 선수선발식 결과 === * 1~3지명 11월 16일 지명[* 이 때 'K리그'와 'B리그'로 배정될 팀도 정해지며 이번 선수선발식은 1,2차 모두 기존에 열렸었던 한국기원 2층 대회장이 아닌 영등포구에 있는 '올댓마인드'에서 행사를 진행한다.] ([[https://youtu.be/l5yGMyI6EnM|1차 선수선발식 영상]]) / 4~5지명 및 퓨처스리거 12월 6일 지명 (2차 선수 선발식 영상 [[https://youtu.be/7cCCHHcT9aE|바둑TV]], [[https://youtu.be/bx0ZFDD_qpo|타이젬TV]][* 타이젬은 1차 선발식에서 '컴투스 타이젬'의 지명을 받아 주장을 맡게된 [[안성준(바둑)|안성준]] 九단이 선수선발식 해설로 출연했다.]) * 드래프트 순서[* 1~3지명은 먼저 보호지명을 안한 팀, 보호 연한 만료팀, 신생팀 대상으로 순서 추첨 후에 순서대로 원하는 순번을 결정했고, 보호지명을 행사한 팀은 추첨으로 자동 결정했다. 4~5지명과 퓨처스 1~2지명, 퓨처스 3지명은 10팀 모두 추첨으로 다시 뽑았다.] - 1~3지명[* 1, 4지명은 드래프트 순서, 2, 3지명은 드래프트 순서의 역순으로 지명.] : {{{#007562 KIXX}}} → {{{#cc000c 정관장 천녹}}} → {{{#fb8243 고려아연}}} → {{{#3eb034 셀트리온}}} → {{{#005890 포스코퓨처엠}}} → {{{#e60516 한국물가정보}}} → {{{#11439a 수려한 합천}}} →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 → {{{#264481 원익}}} → {{{#930b12 컴투스 타이젬}}} - 4~5지명&퓨처스 1~2지명[* 4지명과 퓨처스 1지명은 드래프트 순서, 5지명과 퓨처스 2지명은 드래프트 역순으로 지명.] : {{{#11439a 수려한 합천}}} → {{{#930b12 컴투스 타이젬}}} → {{{#007562 KIXX}}} → {{{#e60516 한국물가정보}}} →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 → {{{#cc000c 정관장 천녹}}} → {{{#fb8243 고려아연}}} → {{{#264481 원익}}} → {{{#3eb034 셀트리온}}} → {{{#005890 포스코퓨처엠}}} - 퓨처스 3지명 : {{{#005890 포스코퓨처엠}}} → {{{#007562 KIXX}}} → {{{#fb8243 고려아연}}} → {{{#930b12 컴투스 타이젬}}} → {{{#cc000c 정관장 천녹}}} →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 → {{{#11439a 수려한 합천}}} → {{{#3eb034 셀트리온}}} → {{{#264481 원익}}} → {{{#e60516 한국물가정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수 지명''' }}} || || '''팀명'''[* 팀 배치는 1~3지명 드래프트 순번 순] || '''보호[br]여부''' || '''1지명'''[br]{{{-2 (주장)}}} || '''2지명''' || '''3지명''' || '''4지명''' || '''5지명''' || ||<#007562> {{{#fff KIXX}}} || × || [[신진서]] || [[박진솔]] || [[김승재]] || 백현우 || 김창훈 || ||<#cc000c> {{{#fff 정관장 천녹}}} || × || [[변상일]] || [[홍성지]] || [[김정현(1991)|김정현]] || [[권효진(2004)|권효진]] || 허영락 || ||<#fb8243> {{{#fff 고려아연}}} || N || [[신민준]] || [[최정(바둑기사)|최정]] || 홍무진 || [[윤준상]] || [[박현수(2000)|박현수]] || ||<#3eb034> {{{#fff 셀트리온}}} || × || [[김명훈(1997)|김명훈]] || [[최철한]] || [[심재익]] || [[윤찬희(1990)|윤찬희]] || 송규상 || ||<#005890> {{{#fff 포스코퓨처엠}}} || × || [[원성진]] || 박민규 || [[한우진(바둑기사)|한우진]] || [[강유택]] || [[한상훈(1988)|한상훈]] || ||<#e60516> {{{#fff 한국물가정보}}} || △ || [[강동윤]] ||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 [[강승민(1994)|강승민]] || [[조한승]] || 진시영 || ||<#11439a> {{{#fff 수려한 합천}}} || △[* 박정환 보호연한 마지막 시즌]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박영훈(바둑)|박영훈]] || 김진휘 || 박종훈 || [[허영호(1986)|허영호]] || ||<#299cda> {{{#fff 바둑메카 의정부}}} || ○[* 주전 5명 전원 보호연한 마지막 시즌] || [[김지석(바둑)|김지석]] || [[이원영(1992)|이원영]] || [[설현준]] || 박상진 || [[문민종]] || ||<#264481> {{{#fff 원익}}} || N || [[이지현(1992)|이지현]] || [[이창석(1996)|이창석]] || [[이영구(1987)|이영구]] || [[송지훈(바둑)|송지훈]] || 한상조 || ||<#930b12> {{{#fff 컴투스 타이젬}}} || × || [[안성준(바둑)|안성준]] || [[박건호(바둑)|박건호]] || [[안국현]] || 최재영 || 김형우 || ||<-7><#545045> {{{-1 {{{#97ecab,#006118 초록색}}}{{{#fff 으로 칠해진 칸은 보호 선수[br]○ : 전체 보호, △ : 일부 보호, × : 전체 재건, N = 신생팀}}}}}} ||}}} * 3년 보호 연한 해제 선수(괄호 안의 팀은 [[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지난 시즌]] 소속 팀) : [[신진서]] ({{{#3eb034 셀트리온}}}), [[변상일]], [[최철한]], [[이창석(1996)|이창석]], 박건호 (이상 {{{#005890 포스코케미칼}}}) * 팀 해산으로 인한 보호 해제 : [[안성준(바둑)|안성준]], [[안국현]], [[이창호]], [[윤찬희(1990)|윤찬희]], [[이태현(바둑)|이태현]] (이상 {{{#e9708c 유후}}}) * [[https://naver.me/5nPc3ywX|11월 14일 발표된 보호선수 지명 결과]] 3팀에서 10명의 선수가 보호지명을 받았다. 먼저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는 주전 5명을 다시 한 번 전원 보호했으며[* 의정부는 주전 5명이 모두 3년 보호연한 마지막 시즌을 맞이하며, [[설현준]]과 [[이원영(1992)|이원영]]의 지명 순번을 바꿔 이원영이 2지명, 설현준은 3지명으로 이번 시즌을 뛰게 된다. 애초에 첫 시즌이었던 20-21 시즌 부터 미래를 보는 지명 방향으로 가는 만큼 지난 시즌에 이어 다시 한 번 전원 보호지명을 한 것으로 보인다.], {{{#e60516 한국물가정보}}}는 보호 선수 지명 마감 시점이었던 2022년 11월 한국랭킹 4위인 주장 [[강동윤]]을 보호지명했다. 지난 시즌 3지명 [[나현(바둑기사)|나현]]의 군 입대로 인해 변수가 있었던 전기 챔피언 {{{#11439a 수려한 합천}}}은 주장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과 2지명 [[박영훈(바둑)|박영훈]]은 그대로이나 김진휘와 박종훈의 지명순번을 한 단계씩 올려서 지명해 주전 4명을 보호선수로 지명했다.[* 바둑리그 보호 선수 규정은 보호 선수는 보호할 인원 만큼 1지명 부터 차례대로 지명해 보호하도록 되어있다. 합천은 주장 박정환이 보호연한 마지막 시즌을 맞이한다.] 한편, {{{#007562 KIXX}}}가 보호지명을 포기하면서 11월 한국랭킹 5위인 [[신민준]]도 드래프트에 풀리게됐다. * 1차 선수선발식 결과 각 팀의 주장으로 {{{#007562 KIXX}}}가 전체 1번[* 여담으로 드래프트 순번 순서를 정하는 추첨에서 1번을 골라 맨 먼저 순서를 결정할 권한을 가졌는데 김영환 감독이 너무 기분이 좋은 나머지 순서를 정해야하는 상황에 곧바로 신진서의 이름을 호명하기도 했다. ([[https://youtube.com/shorts/7e6zh4P9RxA?feature=share|당시 상황이 담긴 쇼츠]])]으로 이번 선수선발식 최대어 [[신진서]]를 지명했고 [[변상일]]은 {{{#cc000c 정관장 천녹}}}[* 변상일은 2015시즌 부터 7시즌동안 포스코케미칼(포스코켐텍 시절 포함)에서 뛰고 8시즌만에 새팀에서 뛴다. 포스코 시절에는 2015~2018시즌까지 3지명, 2019-20 시즌부터 주장을 맡았었다.], [[신민준]]은 신생팀인 {{{#fb8243 고려아연}}}의 지명을 받았다. {{{#3eb034 셀트리온}}}의 지명을 받은 [[김명훈(1997)|김명훈]]이 바둑리그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주장을 맡게됐으며, {{{#005890 포스코케미칼}}}의 지명을 받은 [[원성진]]은 2016년 물가정보에서 주장을 맡은 이후 6시즌만에 주장을 맡게됐다. 그리고 {{{#930b12 컴투스 타이젬}}}은 지난 시즌에 이어 드래프트 순번 맨 마지막을 선택했는데[* 타이젬은 지난 시즌에도 맨 마지막 순번을 골라서 박하민을 주장으로 픽한 뒤 한승주와 최정을 2~3지명으로 지명해 포스트시즌까지 올려놓는 성과가 있었다. 이번에도 2022년 11월 랭킹 10위 안성준을 주장으로 지명하고 바로 다음 2지명 첫 차례에 2022년 11월 랭킹 8위인 박건호를 2지명으로 선발했다.] 안형준 감독의 동생인 [[안성준(바둑)|안성준]]을 주장으로 지명해 형제가 감독과 선수로 한 팀에서 뛰게됐다.[* 이상훈(小) 감독-[[이세돌]]의 '신안 천일염' 이후 형제가 감독과 선수로 뛰는 팀이 탄생했다. 여담으로 안형준-안성준 형제는 2012년에 '정관장'에서 선수로 같이 뛴 적이 있다. 당시 4지명이 안성준, 5지명이 안형준 이었다.] [[이지현(1992)|이지현]]은 신생팀 {{{#264481 원익}}}의 주장으로 지명되어 3시즌 만에 바둑리그에 컴백했다.[* 이지현은 바둑리그 데뷔 후 처음으로 주장을 맡았다.] * 여자바둑기사인 [[최정(바둑기사)|최정]]은 생애 처음으로 울산 {{{#fb8243 고려아연}}} 팀의 2지명에 발탁되는 기쁨을 누렸다.[* 최정은 2016년 'BGF리테일 CU'에서 5지명으로 처음으로 바둑리그 데뷔를 한 뒤 2017년까지 뛰었고 2018시즌을 불참한 후 19-20 시즌엔 셀트리온 4지명, 20-11 시즌엔 타이젬 4지명, 지난 시즌은 타이젬 3지명으로 바둑리그를 뛰었으나 이번 시즌에는 데뷔 후 처음으로 2지명으로 발탁됐다.] 세계대회 준우승의 커리어가 많은 도움이 된 것이다. * KIXX의 [[박진솔]]은 2016~2018년 정관장 시절 이후에 다시 신진서와 같은 팀이 됐다. [[안국현]]은 컴투스 타이젬 3지명이 됐는데 팀을 옮겼지만 지난 시즌에 이어 안성준과 한 팀에서 뛰게 됐다. 2020-21 시즌 타이젬에서 9승으로 맹활약해 주목을 받았던 [[심재익]]은 셀트리온 3지명으로 두 시즌 만에 컴백했으며 2016년 부터 포스코에서 뛰었던 [[최철한]]은 6시즌 만에 셀트리온으로 이적했다. [[한우진(바둑기사)|한우진]]은 포스코 3지명으로 선발되며 바둑리그에 첫 데뷔를 하게됐다. 지난 시즌 유튜브 펀펀라이브 해설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홍무진은 고려아연 3지명으로 발탁되어 정식 바둑리거[* 홍무진은 2016년 'BGF리테일 CU' 팀 퓨처스리거로 뛴 이후 처음으로 바둑리그에서 활동한다. 정식 바둑리거로는 이번 시즌이 첫 데뷔시즌이다.]가 됐다. * 바둑리그에서 잔뼈가 굵은 선수들이었으나 21-22 시즌에서 볼수 없었던 [[윤준상]], [[허영호(1986)|허영호]], [[강유택]]은 치열한 선발전을 뚫고 바둑리그에 돌아왔다. [[윤준상]]은 2016 시즌에 자신에게 두 번이나 아픔을 안겼던 최정과 고려아연에서 한 팀이 됐고, [[허영호(1986)|허영호]]는 전기 챔피언인 합천의 5지명으로 이번 시즌을 뛰게 됐다. 바둑리그 최다 우승 경력이 있는 [[강유택]]은 포스코케미칼 4지명으로 2시즌만에 리그에 컴백해 1차 선발식에서 2지명으로 뽑힌 박민규와 함께 같은 팀이 되어 티브로드 시절 이후에 이상훈 감독과 재회했다. * 2차 선발식에서 정관장에 지명된 권효진과 허영락, 고려아연에 지명된 [[박현수(2000)|박현수]]는 1차 선발식에서 포스코케미칼 3지명으로 선발된 한우진과 함께 바둑리그에 첫 데뷔를 하게됐다. 그리고 퓨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은 김창훈은 KIXX팀에서 정식 바둑리거로 데뷔하게 됐다. * 바둑리그 복귀/첫 지명 or 퓨처스에서의 승격선수는 아래와 같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3eb034; font-size: .9em" {{{#fff '''셀트리온'''}}}}}} - 심재익(20-21 컴투스 5지명 이후 셀트리온 3지명으로 바둑리그 복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890; font-size: .9em" {{{#fff '''포스코퓨처엠'''}}}}}} - 한우진(바둑리그 첫 지명), 강유택(20-21 합천 5지명 이후 포스코 4지명으로 바둑리그 복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64481; font-size: .9em" {{{#fff '''원익'''}}}}}} - 이지현(19-20 합천 2지명 이후 원익 1지명으로 바둑리그 복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b8243; font-size: .9em" {{{#fff '''고려아연'''}}}}}} - 홍무진(2016 BGF리테일 CU (퓨처스)이후 첫 바둑리거 선발), 윤준상(20-21 합천 3지명 이후 고려아연 4지명으로 바둑리그 복귀), 박현수(바둑리그 첫 지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1439a; font-size: .9em" {{{#fff '''수려한 합천'''}}}}}} - 허영호(20-21 물가정보 5지명에서 합천 5지명으로 바둑리그 복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60516; font-size: .9em" {{{#fff '''한국물가정보'''}}}}}} - 진시영(21-22 유후 퓨처스 1지명에서 바둑리그로 승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c000c; font-size: .9em" {{{#fff '''정관장 천녹'''}}}}}} - 권효진(男), 허영락(바둑리그 첫 지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7562; font-size: .9em" {{{#fff '''KIXX'''}}}}}} - 백현우(20-21 KIXX 5지명 이후 2시즌만에 4지명으로 복귀[* [[한국바둑리그/2020-21시즌|2020-21시즌]] 신인왕]), 김창훈(21-22 정관장 퓨처스 1지명 에서 KIXX 5지명으로 승격[* 정식 바둑리거로는 첫 데뷔 시즌이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fff '''2022-2023 KB국민은행 퓨처스 바둑리그 선수 지명''' }}} || || '''팀명'''[* 팀 배치는 4~5지명 및 퓨처스 1~2지명 드래프트 순서 순으로 배치] || '''1지명''' || '''2지명''' || '''3지명''' || ||<#11439a> {{{#fff 수려한 합천}}} || 유오성 || 김희수 || 강지범 || ||<#930b12> {{{#fff 컴투스 타이젬}}} || 김세현 || 오병우 || 송상훈 || ||<#007562> {{{#fff KIXX}}} || 박재근 || 임진욱 || 김선기 || ||<#e60516> {{{#fff 한국물가정보}}} || 위태웅 || 최원진 || 유재호 || ||<#299cda> {{{#fff 바둑메카 의정부}}} || 이원도 || 전영규 || 이호승 || ||<#cc000c> {{{#fff 정관장 천녹}}} || 이연 || 김승진 || 최정관 || ||<#fb8243> {{{#fff 고려아연}}} || 한웅규 || 김윤태 || [[김경은]] || ||<#264481> {{{#fff 원익}}} || [[김은지(2007)|김은지]] || [[김채영]] || 김성재 || ||<#3eb034> {{{#fff 셀트리온}}} || 최현재 || 김상천 || [[조승아]] || ||<#005890> {{{#fff 포스코퓨처엠}}} || 박지현 || 현유빈 || 최기훈 || }}} * 이번 시즌 퓨처스 지명 선수들 중에는 지난시즌까지 바둑리거였으나 이번 시즌에 퓨처스리거로 복귀 또는 내려온 선수는 없다. * {{{#264481 원익}}}은 퓨처스 1지명으로 여자랭킹 3위 김은지, 퓨처스 2지명으로 여자랭킹 2위인 김채영을 선발해 여자기사 2 + 남자기사 1조합으로 퓨처스 팀을 꾸렸다. * {{{#fb8243 고려아연}}}은 퓨처스 3지명으로 김경은을 선발했는데 김경은은 여자바둑리그에서 세시즌 동안 최정(고려아연 2지명)과 '보령머드' 팀에서 같이 뛴 경험이 있다. * 조승아는 {{{#3eb034 셀트리온}}} 퓨처스 3지명으로 선발됐다. * 이원도는 2시즌만에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 퓨처스 1지명으로 선발되고, 뒤이어 {{{#299cda 의정부}}} 팀에서 19-20시즌 셀트리온 퓨처스리거로 뛰었던 이호승을 3지명으로 선발했다. 이로써 이원도와 이호승은 19-20 시즌에 셀트리온에서 뛴 이후 다시 한 팀에서 뛰게 됐다.[* 당시에는 이원도가 5지명, 이호승이 퓨처스 1지명이었다.] * 20-21 시즌과 21-22 시즌 연속으로 합천의 퓨처스 1지명을 맡았던 현유빈은 {{{#005890 포스코퓨처엠}}} 퓨처스 2지명으로 선발됐다. * {{{#e60516 한국물가정보}}}는 퓨처스 2지명으로 최원진 선수를 지명했는데 최원진은 99년생으로 2022년 6월에 입단한 기사다. 지명을 한 12월 6일 당시에 공식대국 30판 미만이어서 랭킹 집계가 안됐던 신예 기사이다.[* 최원진은 2차 선발식 당일 열린 [[제28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예선에서 랭킹 진입에 필요한 공식 대국 규정 판수인 30판을 채웠다.] === 대만, 일본 팀 출전 선수 명단 === ||<-5> [[파일:22-23대만 수정판.png|height=80]] || ||<#624999><-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fff '''보물섬정예'''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1지명'''}}}}}}[br][[쉬하오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2지명'''}}}}}}[br][[왕위안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3지명'''}}}}}}[br][[린쥔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4지명'''}}}}}}[br][[라이쥔푸]]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5지명'''}}}}}}[br][[천치루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6지명'''}}}}}}[br]린리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7지명'''}}}}}}[br]젠징팅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8지명'''}}}}}}[br]쉬징언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24999; font-size: .9em" {{{#fff '''감독'''}}}}}} [[저우쥔쉰]] || 대만팀은 현재 대만 기전 8관왕인 [[쉬하오훙]] 九단[* 2022년 12월 8일 九단 승단.]을 필두로 천치루이 七단, 라이쥔푸 八단과 같은 강한 신예 기사[* [[2020년]]부터 천치루이나 쉬하오훙이 [[응씨배]]나 [[삼성화재배]]에서 상위 라운드까지 올라오는 등 본격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와 [[왕위안쥔]] 九단[* 나이는 [[1996년]]생으로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과 동갑인데 왕위안쥔이 워낙 [[노안]]이라... [[2022년]] 현재 [[대만]] [[국립칭화대학]](중국의 [[칭화대학]]이 [[국부천대]]로 인해 대만으로 망명, 대만에 [[재대복교]]한 학교이다.) [[경제학]]과에 재학중이다. [[이치리키 료]]는 [[사회학]]과인데 왕위안쥔은 경제학과인게 차이점.], 린쥔옌 九단, 린리샹 九단이라는 중견 기사가 참여한다. 여기에 젠징팅 六단, 쉬징언 四단[* 쉬징언은 2006년 생으로 이번 대만 선발팀 선수단 중 가장 나이가 어리다.]도 선수단에 합류했다. 한국에 [[중국어]]를 유창하게 잘 하는 기사가 엄청 많은 만큼[* [[김지석(바둑)|김지석]], [[목진석]], [[최정(바둑기사)|최정]] 등등 실시간 통역이 가능한 수준의 중국어를 하는 기사가 많다. 박정환이나 신진서는 중국어를 알아듣기는 하는데 통역까지는 못 한다. [[저우쥔쉰]] 대만팀 감독은 [[한게임 바둑]]과 [[https://naver.me/FOhMlvqM|인터뷰]]에서 실제로 대만팀 참가에 [[목진석]] 九단(한국 바둑 국가대표팀 감독)의 도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통역]]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감독은 [[저우쥔쉰]] 九단이 맡는다.[* 최초의 대만 九단이자 [[LG배]] 우승자로 유명한 그 사람이다.] ---- ||<-5> [[파일:22-23일본 수정판.png|height=80]] || ||<#dca051><-5>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 '''일본기원'''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1지명'''}}}}}}[br][[세키 고타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2지명'''}}}}}}[br][[히라타 도모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3지명'''}}}}}}[br][[오니시 류헤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4지명'''}}}}}}[br][[고이케 요시히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5지명'''}}}}}}[br][[히로세 유이치]]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6지명'''}}}}}}[br][[장루이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7지명'''}}}}}}[br][[사카이 유키(2004)|사카이 유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051; font-size: .9em" {{{#fff '''8지명'''}}}}}}[br][[후쿠오카 고타로]] ||<-2> || 일본팀은 신인 선수를 출전시켰다. 한국기원에서는 세계대회에서 유명한 [[이치리키 료]] 九단이나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이치리키나 시바노 둘 다 [[중국바둑갑조리그]]에 출전하고 있다. [[한국기원]]이 이를 명분으로 이치리키나 시바노의 출전을 요청했던 것.]도 출전하기를 바랐고 두 기사와 긍정적인 접촉이 있었으나 [[일본기원]] 지도부에서 출전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키 고타로]] 八단은 [[2022년]] 현재 7대 기전인 천원 타이틀 보유자고 [[히라타 도모야]] 七단, [[오니시 류헤이]] 七단, [[고이케 요시히로]] 七단[* [[2022년]] [[1월]] 六단에서 七단으로 승단했다.] 역시 [[2022년]] 들어서 일본 7대 기전 본선에 오르는 등 본격적으로 성과를 내는 기사들이다. === 리그 배정 === 12개 팀의 리그 배정은 11월 16일에 열린 1차 선수 선발식에서 진행됐다. 일본팀과 대만팀은 분산 배치되고, 나머지 국내 10개 팀은 무작위 추첨을 통해 리그를 배정했다. ||<-6>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리그 배정 결과''' }}} || ||<|4><#2b4d7d> '''{{{#ffbc00 난가리그}}}''' || [[파일:22-23셀트리온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포스코퓨처엠.png|height=80]] || [[파일:22-23한국물가정보 수정판.png|height=80]] || ||<#3eb034> {{{#fff '''셀트리온'''}}} ||<#005890> {{{#fff '''포스코퓨처엠'''}}} ||<#e60516> {{{#fff '''한국물가정보'''}}} || || [[파일:22-23KIXX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컴투스타이젬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대만 수정판.png|height=80]] || ||<#007562> {{{#fff '''KIXX'''}}} ||<#930b12> {{{#fff '''컴투스 타이젬'''}}} ||<#624999> {{{#fff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보물섬정예'''}}} || ||<-4><#545045> || ||<|4><#40623d> '''{{{#ffbc00 수담리그}}}''' || [[파일:22-23정관장천녹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고려아연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바둑메카의정부 수정판.png|height=80]] || ||<#cc000c> {{{#fff '''정관장 천녹'''}}} ||<#fb8243> {{{#fff '''고려아연'''}}} ||<#299cda> {{{#fff '''바둑메카 의정부'''}}} || || [[파일:22-23원익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수려한합천 수정판.png|height=80]] || [[파일:22-23일본 수정판.png|height=80]] || ||<#264481> {{{#fff '''원익'''}}} ||<#11439a> {{{#fff '''수려한 합천'''}}} ||<#dca051>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 '''일본기원'''}}} || == 하위리그 해당 시즌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2-23시즌]] == 시작하기 전에 == * [[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2021-2022 시즌]] 종료 후 리그 개혁과 관련해서 여러 논의가 있었고 이것이 2022년 6월 14일자 [[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023/0003697305|조선일보]] 기사를 통해 알려졌다. 속기 부활, 용병 도입, 경기 방식 등 여러 이야기가 나왔었다. 이후 용병도입 관련해서 나온 이야기가 해외팀의 출전 허용이었고 타이젬 측에서 이것에 대해 다루기도 했는데 [[https://naver.me/GwEgjBL5|10월 25일 조선일보 기사]]에서 해외팀의 출전을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고, 대만과 일본에서 팀을 구성해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https://news.tygem.com/news/tnews/viewpage.asp?pagec=1&seq=36625&gubun=&igubun=&find=&findword=|11월 3일 타이젬 뉴스]]를 통해 대만과 일본팀의 출전 선수 명단이 확정되면서 '''바둑리그 사상 최초로 해외 선수가 리그에서 뛰게 됐다.''' * 상금은 우승팀에게 2억 5천만원이 지급되며 준우승팀은 1억원, 플레이오프 탈락팀은 4천만원, 준플레이오프 탈락팀은 2천만원을 받는다.시즌 종료 후 지급되는 팀 상금은 국내팀과 해외팀 모두 차별 없이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매 경기 대국료는 선수 개인이 아닌 팀에게 지급이 된다. 승리팀에겐 1,200만원, 패배팀에게는 600만원이 지급된다. 단, 바둑리그에 출전하는 대만, 일본팀 선수단은 대국료를 지급하지 않는다.[* 대신 바둑리그 참가비인 3억원을 면제한다.] * [[https://n.news.naver.com/sports/golf/article/370/0000007657|11월 11일]] [[한게임 바둑]] 뉴스에서 감독 선임 기사가 올라왔다. 국내팀들은 기존 8팀 가운데 7팀의 감독이 유임 됐으며 '서울 {{{#e60516 한국물가정보}}}'는 한종진 九단이 한국프로기사협회 회장직 수행을 위해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후임 감독으로 국가대표팀 코치를 지낸 [[박정상]] 九단을 선임했다. 신생팀 두 팀의 경우 '울산 {{{#e49100 고려아연}}}'은 연고지인 울산 출신의 박승화 九단[* 박승화 九단은 지난 시즌엔 '{{{#005890 포스코케미칼}}}' 팀 5지명으로 활동했으며 이번 시즌을 통해 선수에서 감독으로 변신하게 됐다.], '성남 {{{#264481 원익}}}'은 지난 시즌까지 바둑리그 해설로 활약했던 [[이희성(1982)|이희성]] 九단을 각각 감독으로 선임했다. 물가정보 박정상 감독, 원익 이희성 감독, 고려아연 박승화 감독은 이번 시즌이 바둑리그 감독 데뷔시즌이 된다. 해외팀의 경우 대만은 [[저우쥔쉰]] 九단이 감독을 맡았다. * 이번 선수 선발식은 어느 시즌보다 치열할 것으로 보여진다. 바로 '''한국랭킹 1위 [[신진서]]가 3년 보호연한 만료[* 2019-20~2021-22 시즌 {{{#3eb034 셀트리온}}}]로 인해 드래프트로 풀렸기 때문.''' 거기다 2위인 [[변상일]]과 5위 [[신민준]][* 랭킹은 2022년 11월 랭킹 기준이다.]도 각각 3년 보호연한 만료와 보호지명 포기 등으로 풀렸다. 또한 일부 선수들의 군 문제 등도 있어서.[* {{{#11439a 수려한 합천}}}은 지난 시즌 3지명 나현이 군입대를 했는데 기존 4~5지명을 한 단계 올려 보호지명을 하는 것으로 해결했다.(선발식 결과 문단 참고)][* {{{#930b12 컴투스 타이젬}}}은 지난 시즌 주장 [[박하민]]의 군입대로 인해서 어쩔 수 없이 선수 전원을 풀어야했다. 이로 인하여 [[최정(바둑기사)|최정]], [[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박진솔]]도 드래프트로 풀렸다. 또한 {{{#cc000c 정관장 천녹}}}은 주장 [[이동훈(1998)|이동훈]]선수 관련 문제와 지난 시즌 성적등이 겹치며 선수를 새로 뽑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시즌 최하위였던 {{{#e60516 한국물가정보}}}도 강동윤만 남기고 전원 드래프트로 풀렸다.] 선수단의 대거 이동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차 선수선발식 결과 바둑리그에서 고참급 선수로 분류되었던 [[조한승]]과 [[이창호]]가 선발전으로 내려가게됐다. * 11월 16일 1차 선수선발식이 열리고 다음 날인 11월 17일에 울산광역시청에서 '울산 고려아연' [[https://naver.me/FQIavK5D|창단 협약식]]이 열렸고, 12월 22일에 [[https://naver.me/GXRgf7jP|창단식]]을 가졌다. 그외에도 팀별로 출정식 소식을 알린 팀들이 있다. '컴투스 타이젬'이 [[https://naver.me/xmP0s8uQ|12월 21일 발대식]]을 가졌고, '수려한 합천'은 12월 16일에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36950|출정식]]을 열었다. * [[2022년]] [[12월 26일]] 정규리그 1주차 오더가 처음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70&aid=0000007762|공개됐다]]. (1주차는 '난가리그' 1라운드 대국 3경기와 인터리그 1라운드 1~2경기가 열린다.) === 리그 진행방식 변경 === * 이번 시즌은 12개팀 체제로 진행되어 바둑리그 사상 처음으로 '''양대리그'''로 나뉘어 진행된다. 리그는 ''''난가(爛柯)\''''와 ''''수담(手談)\''''[* 리그의 명칭은 바둑과 관련있는 단어로 정했다. "난가(爛柯)"는 바둑 두는 것을 보다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는 중국 진나라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중국 주최 세계 기전인 [[난가배]]도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수담(手談)"은 '손으로 하는 대화'라는 뜻으로 바둑을 일컫는 말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타이틀 스폰서 [[KB국민은행]]의 앞 두 글자를 딴 ''''K리그\''''와 ''''B리그\''''로 불렸으나 이후에 'K리그'는 ''''난가리그\'''', 'B리그'는 ''''수담리그\''''로 각 조의 리그 명칭이 확정됐다.]으로 나누어지며, 팀당 '''16경기'''로 각 팀은 같은 리그팀과 10경기, 다른 리그 팀과 인터리그 6경기로 정규리그를 소화한다. 이렇게되면서 양 리그는 10라운드('난가리그'와 '수담리그' 각 30경기, 총 60경기), 인터리그는 6라운드(총 36경기) 체제로 진행한다.[* 이것은 메이저리그, 일본프로야구 방식과 매우 흡사하다. 인터리그는 일본프로야구 교류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본야구 교류전은 양 리그 팀끼리 전부 일정한 경기를 치룬다. 메이저리그는 타 리그 팀과 전부 붙지는 않는다.] * 팀 수 확대와 함께 기존 목~일 주 4일제 경기가 '''수~일 주 5일제'''로 변경된다. 매주 수~금은 각 리그별 정규리그 대국[* 난가리그와 수담리그가 번갈아가면서 격주로 진행한다.], 토~일은 인터리그 대국으로 진행한다. 해외팀은 자국 일정을 고려해 수~금에 진행되는 정규리그의 경우 대만팀은 수요일, 일본팀은 금요일에 경기를 하는 것으로 고정했으며, 인터리그는 대만팀과 일본팀 모두 일요일에 경기를 하는 것으로 정했다.[* 이로 인하여 별도 대진순번 추첨 없이 리그 배정 추첨결과에 따른 일정으로 정규시즌을 진행한다.] 또한 해외팀의 대국은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함에 따라 바둑리그 사상 최초로 비대면 온라인 대국이 실시된다. * 정규리그 경기는 종전 '5판 자율오더제' 방식에서 '4판 자율오더제 + 최종국 결판 오더' 방식으로 진행한다. '최종국 결판 오더'는 예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 도입됐던 '''[[에이스 결정전]] 방식'''을 바둑리그에 도입한 것으로 1~4국에 출전 선수가 5국에도 중복 출전이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다만 특정선수 의존 및 혹사 방지를 위해 한 선수당 중복 출전은 이번 시즌 최대 '''6번'''으로 제한했다. 에이스 결정전은 1~4국이 모두 끝난 후 5분 이내로 오더를 제출하여 진행한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에결은 특정 선수 중복 출전 제한이 없었다. 그래서 이영호, 이제동같은 에이스가 많이 나왔다. 무제한이 될 경우 신진서나 박정환같은 초특급 기사가 이변이 없는 이상 99% 나오기 때문에 밸런스 논쟁도 있을 것이고 혹사 논란도 있을 것이다. 스타는 맵 밸런스나 종족 상성, 소위 저격용 카드가 있어서 이영호같은 특급 선수도 에결에서 종종 지곤 했지만 바둑에서는 그런 게 없다.] * 정규리그는 종전 5판 다승제에서 5판 승점제로 변경되어 승점은 4:0 혹은 3:1 승리시(혹은 2승1무1패) '''3점''', 0:4 혹은 1:3 패배시(혹은 1승1무2패) '''0점'''이며 2:2에서 5국이 열릴 경우 5국 승리팀에게 승점 '''2점''', 패배팀은 '''1점'''이 주어진다. 무승부시에는 '''1.5점'''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순위 결정도 '팀 승점 → 팀 승수 → 개인 승수 → 승자승 → 동일 팀 간의 개인 승수 → 상위 지명자 다승순'으로 따지게 된다.[* 승점제가 도입된 것은 2006 시즌 이후 16시즌만이다.] * 포스트시즌은 양대리그제로 개편에 따라 각 리그 상위 1~3위팀 총 6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한다. 각 리그 2~3위가 준플레이오프에서 대결해 준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이 각 리그 1위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것으로 변경됐다. 양 리그 플레이오프 승자는 챔피언결정전인 ''''KB시리즈\''''[* 이번 시즌부터 바둑리그 챔피언결정전의 명칭이 'KB시리즈'로 정해졌다.]로 진출해 시즌 최종 우승팀을 가리게 된다. 양 리그 준PO, PO 그리고 최종 챔프전인 'KB시리즈'는 5전 3선승제 3번기로 실시한다.[* 이렇게 되면서 1시즌 만에 챔피언결정전(KB시리즈)이 5전 3선승제 3번기로 환원됐다.] 또한 포스트시즌에는 중복출전이 금지되어 에이스결정전 없이 진행한다. * 대국 규정이 종전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통일됐던 것을 다시 장고와 속기로 나눴으며 이번 시즌은 바둑리그 사상 최초로 '''전 경기 피셔방식'''으로 실시한다. 장고는 '''각자 기본시간 40분에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1판, 속기는 '''각자 기본시간 20분에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3판 , 그리고 초속기 대국이 신설되어 '''각자 기본시간 1분,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 1판으로 장고 1판(1국), 속기 3판(2~4국), 초속기 1판(5국 에이스결정전)이 한 경기로 구성된다. * 정규리그 경기 시작 시간은 1~2국은 저녁 7시, 3~4국은 통상적으로 저녁 8시 30분[* 단 1국/2국 중 1국이라도 8시 30분까지 종료되지 않으면 4국은 1국 2국중 먼저 종료된 대국 10분 후에 시작한다.]에 시작하며 결판오더가 나올 경우 5국은 통상적으로 밤 10시 30분부터 시작한다.(단, 2:2에서 4국이 종료시 종국이 된 시간에 따라 에이스 결정전의 시작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10시 30분을 넘어갈 경우 4국 종료 후 10분 후에 에이스결정전을 시작한다.) * [[한국바둑퓨처스리그/2022-23시즌|퓨처스바둑리그]]는 월요일과 화요일 저녁 7시에 정규리그와 인터리그가 통합라운드로 진행되며 이번 시즌은 양 리그 상위 두 팀이 순위결정전을 치른다. 퓨처스리그는 국내 10개팀만 참가한다. === 바둑리그 선발전 === 바둑리그 선발전은 11월 21일 부터 11월 30일까지 2라운드에 걸쳐 진행한다. 이번 시즌은 4~5지명 17명과 퓨처스리그 30명으로 총 47명을 선발한다. [[http://m.baduk.or.kr/square/F01_view.asp?noti_no=3678|선발전 상황]] 이번 선발전에서는 155명의 기사가 선발전에 참가했으며 그 중 24명은 랭킹 상위자로 분류되어 2차 선발전에 직행했다. * 1차 선발전은 11월 21일 부터 23일까지 진행하며 이번 1차 선발전에는 131명의 기사가 참가했다. 131명의 기사가 35개조(4인조 26개 / 3인조 9개)로 나눠서 조별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1국에서 승자전과 패자전을 치르게 될 선수를 가리고, 2국에서는 승/패자전을 진행해 승자전 승자는 2차 선발전 진출하고 패자전 패자는 탈락한다. 3국은 2국 승자전 패자와 2국 패자전 승자와 마지막 대결에서 이긴 선수가 2차 선발전에 진출한다. 3인조의 경우 1명은 부전으로 2국 승자전에 직행한 상태로 시작한다.] 으로 각조 2승자 2명씩 총 70명이 2차 선발전에 진출한다. 1차선발전은 각자 20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진행한다. ||<-5>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1차 선발전 통과자''' }}} ||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 최은규[br]박동주 || 이 연[br]김범서 || 이유진[br]이도현 || 김세현[br]김기범 || 김민호[br]최민서 || || '''6조''' || '''7조''' || '''8조''' || '''9조''' || '''10조''' || || 이주형[br]김효영 || 양민석[br]장건현 || 김선기[br]최원진 || 박수창[br]허영호 || 현유빈[br] 강우혁 || || '''11조''' || '''12조''' || '''13조''' || '''14조''' || '''15조''' || || 김희수(男)[br]정우진 || 문지환[br]박주민 || 김상천[br]오병우 || 김채영[br]김성재 || 송상훈[br]김미리 || || '''16조''' || '''17조''' || '''18조''' || '''19조''' || '''20조''' || || 주치홍[br]조승아 || 강지범[br]최기훈 || 이용수[br]김상인 || 김윤태[br]최병환 || 최현재[br]김민서 || || '''21조''' || '''22조''' || '''23조''' || '''24조''' ||<-2> '''25조''' || || 박지현[br]곽원근 || 강지훈[br]김경은 || 백찬희[br]서건우 || 금지우[br]김기용 || 조완규[br]안조영 || || '''26조''' || '''27조''' || '''28조''' || '''29조''' || '''30조''' || || 조종신[br]이승민 || 김민석[br]최영찬 || 정두호[br]윤성식 || 권효진(男)[br]김현찬 || 유재호[br]양 건 || || '''31조''' || '''32조''' || '''33조''' || '''34조''' ||<-2> '''35조''' || || 김승진[br]이춘규 || 임진욱[br]박재근 || 김은지[br]최정관 || 이호승[br]전영규 || 김은선[br]김승준 || * 지연 알림(오전조) * 3조 : 3국 문명근-'''이도현'''의 대국이 28일에 진행된다. * 4조 : 22일에 '''김세현'''-허서현 대국만 지연 대국을 거친 후 3국을 24일에 진행된다. * 11조 : 모든 경기가 23일부터 진행된다. * 14조 : 1국(통상 21일) 중 기민찬-'''김채영''' 대국에 한해 20일 11시에 진행됐다. * 15조 : 2국(통상 22일) 중 황진형-'''김수진''' 대국에 한해 오후조 시작시간인 15시에 진행된다.[* 오전조의 경우 통상적으로는 10시 진행.] * 지연 알림(오후조) * 20조 : 3국 '''김민서'''-김지명 대국이 26일에 진행된다. * 22조 : 2국 중 오유진-'''강지훈''' 대국에 한해 24일에 진행된다. 따라서 이 조는 3국을 25일에 진행. * 30조 : 3국 장은빈-'''양건''' 대국이 25일 진행된다. * 32조 : 모든 경기가 23일부터 진행된다. * 1차 선발전 7조에 있었던 '''[[이창호]]'''(지난 시즌 '유후' 3지명)'''가 2패로 탈락해 이번 바둑리그에서는 볼 수 없게됐다.''' 이창호는 시범 대회였던 2003년 드림리그 부터 꾸준히 바둑리그에 매 시즌 출전해왔으나 이번 선발전 탈락으로 이번 시즌에는 나오지 못하게 됐다. 12조에서는 지난시즌 퓨처스리그 공동 다승왕이었던 '''이현호'''(지난 시즌 '합천' 퓨처스 3지명)가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 * 2차 선발전은 11월 28일 부터 30일까지 진행하며 2차선발전에는 1차 선발전 통과자 70명에 랭킹 상위 24명이 추가로 합류하여 94명이 24개조로 나눠서 진행한다. 조 편성은 4인조 23개조, 2인조 1개조로 편성되었으며 4인 1개조로 구성하는 1조부터 23조까지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각조 2승자 2명씩, 2명이 한 조로 구성된 24조는 3번기로 먼저 2승을 거두는 1명이 선발전을 통과해 총 47명의 선수가 바둑리거 및 퓨처스리거로 선발할 자격을 얻고 이번 시즌을 뛰게 된다. ||<-5>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발전 최종 통과자''' }}} ||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 임진욱[br]백현우 || 송지훈[br]최현재 || 윤찬희[br]허영호 || 김승진[br]이호승 || 박현수[br]강지범 || || '''6조''' || '''7조''' || '''8조''' || '''9조''' || '''10조''' || || 김선기[br]김은지 || 송규상[br]최정관 || 이 연[br]한웅규 || 김창훈[br]김세현 || 박지현[br]오병우 || || '''11조''' || '''12조''' || '''13조''' || '''14조''' || '''15조''' || || 권효진(男)[br]강유택 || 김채영[br]김윤태 || 최원진[br]박재근 || 한상조[br]전영규 || 위태웅[br]조승아 || || '''16조''' || '''17조''' || '''18조''' || '''19조''' || '''20조''' || || 윤준상[br]최기훈 || 조한승[br]유재호 || 이원도[br]김상천 || 최재영[br]김성재 || 진시영[br]김경은 || || '''21조''' || '''22조''' || '''23조''' ||<-2> '''24조 (3번기)''' || || 김희수(男)[br]허영락 || 한상훈[br]현유빈 || 김형우[br]송상훈 ||<-2> 유오성[br]{{{-2 (유오성 2 : 0 김민호)}}} || * 지연알림 * 8조 : 2국 한웅규-김은선 대국이 30일로 지연됨에 따라 3국은 12월 첫날에 진행되게 됐다.(양 선수 모두 1국 패배) * 12조 : 1차선발 3조 문명근-이도현 대국이 결론나는대로 그 승자의 2차선발 첫 대국이 진행된다. 그 결과 이도현이 2차선발전으로 올라갔으나 그 첫 대국이 당일 15시로 예정되어 있는, 사실상 더블헤더나 다름없던 일정이었던 탓인지 1패로 시작하게 됐다. * 2차 선발전 7조의 '''금지우'''(지난 시즌 '셀트리온' 5지명), 11조의 '''김미리'''(지난 시즌 '컴투스' 퓨처스 3지명), 컴투스 내전에 휘말린 14조의 '''조완규'''(지난 시즌 '컴투스' 퓨처스 1지명)가 2판 만에 탈락하여, 이번시즌 바둑리그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14조는 조완규와 함께 한상조(지난 시즌 '컴투스' 5지명), 강우혁(지난 시즌 '컴투스' 퓨처스 2지명)이 한 조에 편성됐다.] 또한 재기를 노리던 15조의 '''최영찬'''과 22조의 '''백찬희'''도 선발전 통과에 실패했다. * 2차 선발전 둘쨋날 3조의 '''곽원근'''(지난 시즌 '유후' 퓨처스 3지명), 13조의 '''박진영'''(지난시즌 '합천' 퓨처스 2지명)도 이번시즌 바둑리그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난 시즌 합천의 퓨처스리그 우승 멤버 3인방인 현유빈, 박진영, 이현호 중 현유빈만 살아남았다.] 그리고 충격적인 소식 들이 여러가지 전해졌는데.. 6조의 '''한태희''' 가 김은지에게 충격의 2패를 당하면서 탈락했고, 10조의 '''26위 류민형'''(지난시즌 '포스코' 퓨처스 1지명)[* 류민형은 포스코에서 지난 시즌에 퓨처스리그 10승 6패, 바둑리그에서도 자주 콜업되어 10경기 출전해 4승(6패)을 거두는 등 조커 역할을 했었다.]도 116위 오병우(20-21 시즌 '포스코' 퓨처스 3지명)에게 패배하면서 탈락했으며, 20조의 '''안조영'''(지난시즌 '의정부' 퓨처스 1지명)도 여자랭킹 18위이자 통합랭킹 218위 김경은에게 충격의 패배를 당하며 탈락했다. 또한 컴투스 내전에 휘말린 14조 '''강우혁'''(지난 시즌 '컴투스' 퓨처스 2지명)이 전영규에게 패배하면서 컴투스 내전이 한상조 혼자 살아남는 피의 내전이 되었다. 그 외 재기를 노리던 1조의 '''이춘규''', 4조의 '''정서준''', 9조의 '''강지훈''', 11조의 '''박주민''', 18조의 '''김현찬''', 19조의 '''김기용'''이 모두 선발전 통과에 실패하면서 이번 선발전이 완전 이변의 무대가 되고 있다. * 2차 선발전 12조에서 2022년 11월 여자랭킹 2위 '''김채영'''이 조 1위로 2차 선발전을 통과했다. 김채영은 2013년 'SK에너지' 락스타리그[* 당시에는 퓨처스리그가 '락스타리그'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고, 여자선수 1명을 의무적으로 선발해야한다는 규정이 있었던 시절이었다.] 4지명 이후 처음으로 이번 시즌 바둑리그에 모습을 보이게 됐다. 15조의 경우 3국에서 여자기사끼리 맞대결이 성사됐는데(김효영 vs 조승아) '''조승아'''가 선발전을 통과했다. 여기에 6조에서는 11월 여자랭킹 3위 '''김은지'''[* 2007년생으로 이번 시즌 바둑리그와 퓨처스리그를 통틀어 최연소 선수가 됐다.]가 선발전을 통과했고, 20조에서는 '''김경은'''이 안조영을 꺾고 선발전을 통과해 여자기사 4명이 선발전을 뚫으며 이번 시즌에 모습을 보이게 됐다. 이미 퓨처스리거 경험이 있는 김채영을 제외한 김은지, 조승아, 김경은 세 선수는 이번 시즌을 통해 바둑리그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 12월 1일에 열린 8조 3국 지연대국을 끝으로 바둑리그 4~5지명과 퓨처스리거에서 이번 시즌동안 활동하게 될 47명의 선수들이 모두 가려졌다. 8조 3국은 '''한웅규'''가 '''김승준'''(지난 시즌 'KIXX' 퓨처스 3지명)을 잡고 마지막으로 선발전을 통과했다. == 대회 진행 == === 주차별 정규 리그 일정 === * 각 리그 대국은 통상적으로 1주차부터 10주차까지는 홀수주차는 '난가리그', 짝수주차는 '수담리그'가 진행된다.[* 단 4주차와 5주차는 수담리그가 2주 연속, 6주차와 7주차는 난가리그가 2주 연속으로 진행된다.] 11주차부터는 반대로 홀수주차 '수담리그', '짝수주차에 '난가리그' 경기가 진행된다. * 인터리그는 한 라운드당 3주로 편성된다. || '''주차''' || '''날짜''' || '''진행 리그''' || '''인터리그''' || || 1주차 || 2022년 12월 28일 ~ 2023년 1월 1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1|{{{#ffbc00 난가 1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1.1|1R 1~2경기]] || || 2주차 || 2023년 1월 4일 ~ 2023년 1월 8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1|{{{#ffbc00 수담 1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1.2|1R 3~4경기]] || || 3주차 || 2023년 1월 11일 ~ 2023년 1월 15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2|{{{#ffbc00 난가 2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1.3|1R 5~6경기]] || || 4주차 || 2023년 1월 18일 ~ 2023년 1월 22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2|{{{#ffbc00 수담 2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2.1|2R 1~2경기]] || || 5주차 || 2023년 1월 25일 ~ 2023년 1월 29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3|{{{#ffbc00 수담 3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2.2|2R 3~4경기]] || || 6주차 || 2023년 2월 1일 ~ 2023년 2월 5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3|{{{#ffbc00 난가 3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2.3|2R 5~6경기]] || || 7주차 || 2023년 2월 8일 ~ 2023년 2월 12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4|{{{#ffbc00 난가 4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3.1|3R 1~2경기]] || || 8주차 || 2023년 2월 15일 ~ 2023년 2월 19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4|{{{#ffbc00 수담 4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3.2|3R 3~4경기]] || || 9주차 || 2023년 2월 22일 ~ 2023년 2월 26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5|{{{#ffbc00 난가 5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3.3|3R 5~6경기]] || || 10주차 || 2023년 3월 1일 ~ 2023년 3월 5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5|{{{#ffbc00 수담 5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4.1|4R 1~2경기]] || || 11주차 || 2023년 3월 8일 ~ 2023년 3월 12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6|{{{#ffbc00 수담 6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4.2|4R 3~4경기]] || || 12주차 || 2023년 3월 15일 ~ 2023년 3월 19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6|{{{#ffbc00 난가 6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4.3|4R 5~6경기]] || || 13주차 || 2023년 3월 22일 ~ 2023년 3월 26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7|{{{#ffbc00 수담 7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5.1|5R 1~2경기]] || || 14주차 || 2023년 3월 29일 ~ 2023년 4월 2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7|{{{#ffbc00 난가 7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5.2|5R 3~4경기]] || || 15주차 || 2023년 4월 5일 ~ 2023년 4월 9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8|{{{#ffbc00 수담 8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5.3|5R 5~6경기]] || || 16주차 || 2023년 4월 12일 ~ 2023년 4월 16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8|{{{#ffbc00 난가 8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6.1|6R 1~2경기]] || || 17주차 || 2023년 4월 19일 ~ 2023년 4월 23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9|{{{#ffbc00 수담 9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6.2|6R 3~4경기]] || || 18주차 || 2023년 4월 26일 ~ 2023년 4월 30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9|{{{#ffbc00 난가 9R}}}]]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인터리그#s-3.6.3|6R 5~6경기]] || ||<-4>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 바둑 오픈]] (5월 4일~9일) 휴식기 || || 19주차 || 2023년 5월 10일 ~ 2023년 5월 12일 ||<#40623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수담리그#s-4.10|{{{#ffbc00 수담 FR}}}]] ||<|2> 인터리그[br]일정 종료 || || 20주차 || 2023년 5월 17일 ~ 2023년 5월 19일 ||<#2b4d7d>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난가리그#s-4.10|{{{#ffbc00 난가 FR}}}]] || === 정규리그 순위 === [include(틀: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정규리그 순위표)] ===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include(틀: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포스트시즌)] === 전체 경기 일람 === [include(틀: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 == 대회 결과 및 시상식 == ||<:>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gold 우승}}}'''|| ||<#fff> [[파일:22-23KIXX 수정판.png|width=100]] || ||<#007562> {{{+1 {{{#fff 광주 '''KIXX'''}}}}}}[br]{{{#fff (두 번째 우승 / 16시즌 만의 우승)}}} || ---- * 시상식은 7월 24일 [[더 플라자 서울, 오토그래프 컬렉션]]에서 열렸다. * '''시즌 종합 MVP'''[*MVP후보 시즌 승률(정규시즌+포스트시즌)60%이상이며 최소 10국 이상 출전한 선수] : '''[[신진서]] 九단 ({{{#007562 KIXX}}}, 정규시즌 20승 2패 + 포스트시즌 8승 무패)''' - 정규시즌 최초 단일 시즌 20승과 포스트시즌에서도 압도적인 모습으로 KIXX의 16년 만의 우승을 이끈 '우승 청부사' 역할을 완벽히 해내며 팬투표 93.7%, 기자단 만장일치의 압도적인 지지로 지난 시즌에 이어 2시즌 연속 MVP를 수상하게 되었다. * 다승왕 : [[신진서]] 九단({{{#007562 KIXX}}}) - 20승 2패 * 감독상 : 김영환 감독 ({{{#007562 KIXX}}}) * 신인왕[*신인왕후보 리그 1년차 선수중 정규시즌 승률 30%이상이며 최소 6국이상 출전한 선수] : [[권효진(2004)|권효진]] 六단({{{#CC000C 정관장 천녹}}}) - 13경기 출전 6승 7패 * 단체 시상 (우승팀과 준우승팀 시상이 진행됐다.) ||<:>
'''{{{#fff 순위}}}'''|| '''{{{#fff 팀}}}''' || '''{{{#fff 소속 선수}}}''' || ||<#545045> '''{{{#gold 우승}}}''' ||<#007562> {{{#fff 광주 '''KIXX'''}}} || 신진서, 박진솔, 김승재, 백현우, 김창훈 || ||<#545045> '''{{{#silver 준우승}}}''' ||<#cc000c> {{{#fff 대전 '''정관장 천녹'''}}} || 변상일, 홍성지, 김정현, 권효진, 허영락 || ||<#545045><|2> '''{{{#b8860b PO[br]탈락팀}}}''' ||<#e60516> {{{#fff 서울 '''한국물가정보'''}}} || 강동윤, 한승주, 강승민, 조한승, 진시영 || ||<#11439a> {{{#fff 합천 '''수려한 합천'''}}} || 박정환, 박영훈, 김진휘, 박종훈, 허영호 || ||<#545045><|2> '''{{{#fff 준PO[br]탈락팀}}}''' ||<#3eb034> {{{#FFF 인천 '''셀트리온'''}}} || 김명훈, 최철한, 심재익, 윤찬희, 송규상 || ||<#fb8243> {{{#FFF 울산 '''고려아연'''}}} || 신민준, 최정, 홍무진, 윤준상, 박현수 || * 퓨처스리그 다승왕 : 이 연 五단({{{#cc000c 정관장 천녹}}}) - 10승 1패 * 퓨처스리그 단체 시상 (우승팀과 준우승팀 시상이 진행됐다.) ||<:>
'''{{{#fff 순위}}}'''|| '''{{{#fff 팀}}}''' || '''{{{#fff 소속 선수}}}''' || ||<#545045> '''{{{#fff 퓨처스리그}}} {{{#gold 우승}}}''' ||<#cc000c> {{{#fff 대전 '''정관장 천녹'''}}} || 이연, 김승진, 최정관 || ||<#545045> '''{{{#fff 퓨처스리그}}} {{{#silver 준우승}}}''' ||<#3eb034> {{{#FFF 인천 '''셀트리온'''}}} || 최현재, 김상천, 조승아 || ||<#545045> '''{{{#fff 퓨처스리그}}} {{{#b8860b 3위}}}''' ||<#299cda> {{{#FFF 의정부 '''바둑메카 의정부'''}}} || 이원도, 전영규, 이호승 || == 개인 다승순위(상위 10위권) == * [[http://kbleague.baduk.or.kr/m/record/person_rank_new22.asp|리그 전체 다승 순위]] === 난가리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7>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21KB리그.png|height=35]]||{{{#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br]난가리그 정규시즌 다승 순위'''[br]{{{-2 (상위 10위권내 순위)}}}}}} ||}}} || ||<:> '''순위''' ||<:> '''선수'''[*A 윗첨자의 숫자는 지명 순번] ||<:> '''소속팀''' ||<:> '''경기''' ||<:> '''승''' ||<:> '''패''' ||<:> '''비고''' || || 1 || 신진서^^1^^ ||<#007562> {{{#fff KIXX}}} || 22 || 20 || 2 || [* '''한국바둑리그 단일 시즌 정규리그 최다승'''] || || 2 || 김명훈^^1^^ ||<#3eb034> {{{#fff 셀트리온}}} || 22 || 16 || 6 || || || 3 || 원성진^^1^^ ||<#005890> {{{#fff 포스코}}} || 21 || 14 || 7 || || || 4 || 강동윤^^1^^ ||<#e60516> {{{#fff 물가정보}}} || 19 || 12 || 7 || || ||<|2> 5 || 박건호^^2^^ ||<#930b12> {{{#fff 타이젬}}} || 20 || 11 || 9 || || || 한승주^^2^^ ||<#e60516> {{{#fff 물가정보}}} || 19 || 11 || 8 || || ||<|2> 7 || 강승민^^3^^ ||<#e60516> {{{#fff 물가정보}}} || 16 || 10 || 6 || || || 최재영^^4^^ ||<#930b12> {{{#fff 타이젬}}} || 15 || 10 || 5 || || || 9 || 안성준^^1^^ ||<#930b12> {{{#fff 타이젬}}} || 18 || 9 || 9 || || ||<|4> 10 || 박민규^^2^^ ||<#005890> {{{#fff 포스코}}} || 17 || 8 || 9 || || || 강유택^^4^^ ||<#005890> {{{#fff 포스코}}} || 15 || 8 || 7 || || || 쉬하오훙^^1^^ ||<#624999> {{{#fff 대만}}} || 15 || 8 || 7 || || || 백현우^^4^^ ||<#007562> {{{#fff KIXX}}} || 14 || 8 || 6 || || }}} === 수담리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7>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21KB리그.png|height=35]]||{{{#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br]수담리그 정규시즌 다승 순위'''[br]{{{-2 (상위 10위권내 순위)}}}}}} ||}}} || ||<:> '''순위''' ||<:> '''선수'''[*A] ||<:> '''소속팀''' ||<:> '''경기''' ||<:> '''승''' ||<:> '''패''' ||<:> '''비고''' || ||<|2> 1 || 박정환^^1^^ ||<#11439a> {{{#fff 합천}}} || 22 || 16 || 6 || || || 신민준^^1^^ ||<#fb8243> {{{#fff 고려아연}}} || 20 || 16 || 4 || || || 3 || 변상일^^1^^ ||<#cc000c> {{{#fff 정관장}}} || 22 || 15 || 7 || || || 4 || 김지석^^1^^ ||<#299cda> {{{#fff 의정부}}} || 21 || 13 || 8 || || ||<|2> 5 || 이창석^^2^^ ||<#264481> {{{#fff 원익}}} || 17 || 12 || 5 || || || 홍성지^^2^^ ||<#cc000c> {{{#fff 정관장}}} || 16 || 12 || 4 || || ||<|5> 7 || 이지현^^1^^ ||<#264481> {{{#fff 원익}}} || 19 || 9 || 10 || || || 박영훈^^2^^ ||<#11439a> {{{#fff 합천}}} || 17 || 9 || 8 || || || 설현준^^3^^ ||<#299cda> {{{#fff 의정부}}} || 18 || 9 || 9 || || || 김진휘^^3^^ ||<#11439a> {{{#fff 합천}}} || 17 || 9 || 8 || || || 이원영^^2^^ ||<#299cda> {{{#fff 의정부}}} || 15 || 9 || 6 || || }}} == 여담 == * 이번 시즌은 경기 종료 후 승자 선수들이 바둑리그 타월에 싸인을 하고 세리머니까지 직접한다. 그 첫 주인공은 셀트리온의 심재익 선수가 됐다. 참고로 선수들의 친필 싸인 타월은 바둑리그 퀴즈 이벤트를 열어 추첨을 통해 당첨된 사람들에게 주어질 예정이다. 세레머니가 화제게 되다보니 주관 방송사인 [[바둑TV]]에서 월간 세레머니상을 만들었다. ||<:>
'''{{{#fff 2022-202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dcdcdc 월간 세레머니상 수상작}}}'''||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월 || 수상자 || 2위 || ||<|2> 1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mMRQiF5J5Y)]}}}||{{{#!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MNIH1ql50s)]}}}|| || '''최정'''[* 일명 '샴푸의 요정' 세레머니.(2023년 1월 20일, 수담 2라운드 vs {{{#dca051 일본기원}}}) 여담으로 이후 이 세레머니를 송규상({{{#3eb034 셀트리온}}}) 선수가 패러디했다.][br]{{{-1 {{{#fb8243 고려아연}}}}}} || 강동윤[* 시간패로 괴로워하는 모습을 능청스럽게 연기했다.(2023년 1월 13일, 난가 2라운드 vs {{{#930b12 컴투스 타이젬}}})][br]{{{-1 {{{#e60516 한국물가정보}}}}}} || ||<|2> 2월[* 2월 월간 세레머니상 1,2위는 모두 2023년 2월 15일 열린 {{{#fb8243 고려아연}}}과 {{{#11439a 수려한 합쳔}}}의 수담리그 4라운드 대국에서 나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pba73NGsIc)]}}}||{{{#!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ko0oh1kaWE)]}}}|| || '''신민준&최정'''[* 신민준이 투수, 최정이 타자가 되여 야구 세리머니를 했다.][br]{{{-1 {{{#fb8243 고려아연}}}}}} || 박정환[* 깜찍한 승리 세리머니를 선보였다.][br]{{{-1 {{{#11439a 수려한 합천}}}}}} || ||<|2> 3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Q-0PGsoIKQ)]}}}||{{{#!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CTV9VucWE)]}}}|| || '''박정환'''[* 어깨를 털고 엄지척을 했다. (2023년 3월 3일, 수담 5R 3G vs {{{#dca051 일본기원}}})][br]{{{-1 {{{#11439a 수려한 합천}}}}}} || 원성진 & 강동윤[* 서로 악수를 하고 파이트 자세를 취했다.(2023년 3월 17일, 난가 6R 3G) 참고로 이 날 경기에서 두 선수가 '''에이스 결정전 대국을 두었다.'''][br]{{{-1 {{{#005890 포스코퓨처엠}}}, {{{#e60516 한국물가정보}}}}}} || ||<|2> 4월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35TIBf1uOs)]}}}||{{{#!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zqyW_yyg0s)]}}}|| || '''신진서'''[* 두 검지 손가락을 치켜올리며 승리를 자축했다. (2023년 4월 13일, 난가 8R 3G vs {{{#005890 포스코퓨처엠}}})][br]{{{-1 {{{#007562 KIXX}}}}}} || 김채영[* 바둑리그 데뷔 첫승을 자축했다.(2023년 4월 15일, 인터 6R 1G vs {{{#007562 KIXX}}})][br]{{{-1 {{{#264481 원익}}}}}} || }}}}}}}}} || * 선수들에게는 1승 당 별 배지가 지급된다. 1승당 은색 별 배지 1개이며 5승이 될 경우 금색 별 배지가 주어진다. 그리고 별도로 에이스결정전에서 승리할 경우에는 '손가락 브이' 형태의 배지를 달게 된다. 에이스결정전 승리시에는 1승당 은색 '손가락 브이' 배지가 지급되는데 이것도 역시 에이스결정전에서 5승을 거두면 금색으로 바뀌게 된다. * 이번 시즌 대면대국으로 열리는 경기는 계시원 없이 운영한다. 그래서 '''계시기 버튼을 선수들이 직접 누른다.''' 아마추어 대회인 [[제16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에서 처럼 계시원 없이 대국을 진행하는 방식이 채택됐고, 여자 프로 기전인 [[뉴스핌 GAM배 여자바둑최강전]] 처럼 바둑리그에서도 계시기 버튼을 선수들이 직접 누르게 됐다.[* 다만 계시기 버튼에 차이가 있는데 한세실업배에서는 흑백 일체형 버튼이 사용됐고 현재 바둑TV에서 중계하는 계시원 없는 프로 대국에서는 흑백이 분리되어 선수들 앞에 버튼이 설치되어있다.][* 2023년 1월 2일에 개막한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제한시간 각자 10분, 40초 초읽기 5회)에서 계시원 없이 대회운영을 시작했고,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각자 90분, 1분 초읽기 3회)은 각조 32강 2경기 일정이 시작된 2023년 1월 7일과 8일에는 바둑리그와 마찬가지로 계시원 없이 선수들이 직접 계시기 버튼을 누르도록 했다.] * 계시원 없이 초읽기를 계시기가 읽어주고 선수들이 착수 후 직접 버튼을 눌러 턴을 넘기는 과정에서 시간패 해프닝이 속출하고 있다. 첫 주차 부터 세 차례나 시간패가 발생으며[* 난가 1라운드 3경기에서 벌어진 김형우({{{#930b12 타이젬}}})시간패의 경우 바둑이 상대였던 [[신진서]]({{{#007562 KIXX}}})쪽으로 기울어 진 상태에서 나왔고, 인터 1라운드 1경기에서 나온 [[변상일]]({{{#cc000c 정관장}}})의 시간패는 '''변상일이 바둑 내용을 이기고도 타임 오버를 당했다.'''(...), 인터 1라운드 2경기에서 나온 [[강동윤]]({{{#e60516 물가정보}}})의 시간패는 '''초반에서 중반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타임 오버가 나와 단 76수만에 허무하게 끝나버렸다.'''][* 현재 적용중인 추가시간 20초 피셔 방식은 시간이 얼마 안남을 경우 사실상 20초 초읽기로 두는 것과 다름 없는 상황이 된다. 거기다 선수들이 직접 버튼을 누르는 시간도 감안하면 버튼 누르다가 시간이 오버될 수도 있다. 그러다보니 해설을 맡고있는 [[유창혁]] 九단과 [[백홍석(1986)|백홍석]] 九단은 첫 주차 중계에서도 초읽기 상황에서 '아홉'에 착점하는 것을 지양해야한다는 내용의 해설을 하기도 했다.] 3주차에 열린 난가 2라운드 {{{#007562 KIXX}}}와 {{{#3eb034 셀트리온}}}의 대국 중 3국(신진서:심재익)에서 계시기에 문제가 생겨 대국이 잠시 중단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 정규시즌 5주차까지 열린 대국들 가운데 13판에서 시간패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이번 시즌은 시즌 일정이 절반이 채 지나지도 않은 상황에서 '''바둑리그 역사상 최다 시간패 발생시즌'''으로 기록에 남게 됐다. 게다가 지난 3월 23일 열린 {{{#299cda 의정부}}}와 {{{#11439a 합천}}}의 대국에서 계시기 문제[* 3국과 5국에서 김지석({{{#299cda 의정부}}})가 초읽기 상황에서 버튼을 눌렀는데 상대방의 시간으로 넘어가지 않고 본인의 시간이 계속 흘러 시간패 안내 음성이 나왔다. 비디오 판독 끝에 시간내 버튼을 누른 것을 확인해 대국을 속개했다. 더군다나 5국에서 김지석과 대국 중이던 박정환({{{#11439a 합천}}})도 착수후 버튼을 늘렀는데도 상대방의 시간이 가는 것이 아닌 자신의 시간이 흘러가 초읽기가 불리는 상황이 나오기도 했다.]가 터지며 결국엔 이틀 뒤인 3월 25일 열린 인터 5라운드 {{{#299cda 의정부}}}와 {{{#005890 포스코}}}의 대국부터 스튜디오 계시기가 아닌 한국기원에서 사용하는 전자 계시기로 교체했다.[* 나머지 기전에서는 정상대로 디지털 계시기를 쓴다. 전자계시기는 예선대국장이나 야외 대국시에 주로 사용 중인 계시기로 방송과 연동되는(자막으로 표시된다.) 디지털 계시기랑 달리 방송과는 연동이 안된다. 그래서 계시기에 표시된 남은 시간 표시를 계시기를 찍는 카메라를 따로 설치해 거기서 찍은 화면은 PIP 형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 결국 정규시즌을 모두 마친 결과 이번시즌 정규리그에서 무려 '''25번의 시간패'''가 발생했는데 다행히 전자계시기로 교체 이후 시간패는 많이 줄어들었다. * 이번 대회 평균나이가 가장 어린 팀은 22.8세의 '{{{#624999 보물섬정예}}}',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팀은 32세의 '{{{#e60516 한국물가정보}}}'다. 바둑리거와 퓨처스 통틀어 전체 최고령 선수는 {{{#e60516 물가정보}}}의 [[조한승]](4지명), 최연소 선수는 {{{#264481 원익}}}의 [[김은지]](퓨처스 1지명)이다. 참고로 바둑리그만으로 한정해 최연소 선수는 2006년생인 {{{#624499 보물섬정예}}} 쉬징언 선수이다. * 개막전 당일 공개된 각 팀 감독과 주장들이 뽑은 포스트시즌 예상 팀은 '난가리그'는 {{{#007562 KIXX}}}, {{{#e60516 한국물가정보}}}, {{{#3eb034 셀트리온}}} 순으로 꼽았고, '수담리그'에서는 {{{#11439a 수려한 합천}}},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 {{{#fb8243 고려아연}}} 순으로 꼽았다. * {{{#624999 보물섬정예}}}, {{{#dca051 일본기원}}}과 대국에서 진행되는 온라인 대국은 [[사이버오로]]를 사용하며 {{{#624999 보물섬정예}}}는 대만 해봉기원에 PC를 설치하여 온라인 대국을 진행하고 {{{#dca051 일본기원}}}은 [[홍맑은샘]] 四단이 운영중인 홍도장에 PC를 설치하여 온라인 대국을 진행한다. 국내 10개팀은 해외팀과 대국하는 경우 바둑TV 지하스튜디오에 PC룰 세팅하여 대국한다. * 에이스 결정전 도입에 의한 반대급부로, 운이 나쁘면 4-5지명, 특히 5지명 중에서는 팀이 포스트시즌에 올라가거나 하지 않는 이상은 한 경기도 못 뛰는 선수가 나올수도 있다. 그래서인지 이번 시즌 퓨처스바둑리그에는 정규시즌 동안 1군 오더외 선수들의 퓨처스리그 출전을 허용했다. 다만 1군 선수들은 퓨처스리그 순위결정전에는 나갈 수 없다. * 바둑TV 유튜브에서 국내 10개팀을 대상으로 '랜선반상회' 바둑리그 편을 진행한다. 김규리 캐스터와 바둑리그 중계를 맡고있는 류승희 캐스터의 진행으로 국내 10개팀에 대표 선수들이 나와서 토크를 진행한다. 현재 각 팀별 확정된 출연자는 다음과 같다.(팀 순서는 바둑TV 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라온 순서) || 팀 || 출연자(괄호 안의 숫자는 지명순번) || 영상 || ||<#cc000c> {{{#fff 정관장 천녹}}} || 변상일(1), 홍성지(2), 허영락(5) || [[https://youtu.be/TuM8IVGvKo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e60516> {{{#fff 한국물가정보}}} || 강동윤(1), 강승민(3) || [[https://youtu.be/OTVKMKZU-B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3eb034> {{{#fff 셀트리온}}} || 최철한(2), 송규상(5) || [[https://youtu.be/fjPu4sRgxC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fb8243> {{{#fff 고려아연}}} || 신민준(1), 최정(2), 홍무진(3) || [[https://youtu.be/eN65mNBQW4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930b12> {{{#fff 컴투스 타이젬}}} || 안성준(1), 안국현(3), 최재영(4) || [[https://youtu.be/hKTtqWBRP3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99cda> {{{#fff 바둑메카 의정부}}} || 김지석(1), 이원영(2) || [[https://youtu.be/JnnOJXw13S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11439a> {{{#fff 수려한 합천}}} || 박정환(1), 박영훈(2) || [[https://youtu.be/q_7xqPfU-3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64481> {{{#fff 원익}}} || 이지현(1), 송지훈(4), 한상조(5) || [[https://youtu.be/vNC7BGTpcS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005890> {{{#fff 포스코퓨처엠}}}[* 사명 변경 전에 찍었다.] || 원성진(1), 박민규(2), 한우진(3) || [[https://youtu.be/iizKkgiFBW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007562> {{{#fff KIXX}}} || 신진서(1), 박진솔(2), 백현우(4) || [[https://youtu.be/9BA6eo16IX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2년 12월 31일에 인터리그 개막전으로 열린 {{{#cc000c 정관장 천녹}}}과 {{{#005890 포스코케미칼}}}의 대국이 5국 에이스결정전까지 가면서 자정을 넘어서 끝나 5국 에이스결정전으로 열린 [[변상일]]과 박민규의 대국이 바둑리그 최초의 '''송구영신([[送]][[舊]][[迎]][[新]]) 대국이 됐다.''' 그 외에도 에결 도입의 영향으로 '''[[무박 2일 경기]]'''가 속출하고 있다. 그리고 1월 18일 열린 수담 2라운드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와 {{{#11439a 수려한 합천}}}의 경기가 에이스결정전까지 간 끝에 '''1월 19일 0시 43분'''에 끝나서 2012 시즌 16라운드 '롯데손해보험'과 '넷마블'의 대국이 2012년 9월 2일 저녁에 시작해 9월 3일 0시 30분에 끝난 것을 넘어선 가장 늦게 끝난 경기로 기록됐다. 그러나 이 기록은 두 달 뒤에 열린 {{{#005890 포스코케미칼}}}과 {{{#e60516 한국물가정보}}}의 난가 6라운드 대국에서 다시 깨졌다. 여기서는 3월 17일 저녁 7시에 시작해 '''3월 18일 0시 55분'''에 끝나 종전 기록에서 무려 '''12분을 갱신했다.''' * 2023년 2월 3일 열린 {{{#005890 포스코케미칼}}}과 {{{#007562 KIXX}}}의 난가리그 3라운드 경기의 경우 [[신진서]]({{{#007562 KIXX}}})에 대한 혹사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신진서는 이날 하루 세 판[* [[제41기 KBS 바둑왕전]], 바둑리그 대국 2판(1국 장고, 5국 에이스결정전 출전)]의 공식대국을 소화하는 빡빡한 대국을 해야했고[* 본선 대국으로만 하루 세판을 둔 것은 2023년 2월 3일의 신진서가 처음이었다고 한다.] 그로 인해 이날 세 번째 공식대국이었던 [[원성진]]({{{#005890 포스코}}})과의 에이스 결정전에서 신진서는 지친 모습을 보이며 패배, 바둑리그 연승 기록이 36연승에서 끊기고 말았다. 이 날 바둑TV 유튜브 스트리밍 채팅창등에서 "트리플 헤더"에 대한 비판하는 글들이 쏟아졌다. ([[https://naver.me/Fni4Y60d|관련기사]]) 이후 3월 24일 열린 {{{#299cda 바둑메카 의정부}}}와 {{{#11439a 수려한 합천}}}의 수담 7라운드 대국에서도 [[김지석(바둑)|김지석]]({{{#299cda 의정부}}})에 대한 혹사 문제가 나오기도 했다. 김지석은 이 날 용성전 예선과 바둑리그 두 판을 두어 트리플 헤더를 했으며 이날 자신이 치른 3판의 대국 모두 승리를 거두긴 했으나. 채팅창에서는 역시 트리플 헤더를 비판하는 이야기들이 나왔다. * 해외팀이 처음으로 참가한 시즌이었는데, 일본기원은 1승 15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었다. 개인승수는 18승이다. 후쿠오카 고타로가 6승 5패로 에이스 역할을 했다. 고춧가루 부대 역할도 못한 셈이다. 대만 보물섬정예는 4승 12패로 전체적으로는 성적이 좋지는 않았지만 개인승수가 29승이고, 마지막 게임에서 타이젬을 이겨 고춧가루 부대 역할을 했다. 5위 타이젬이 36승이고 1위팀인 한국물가정보가 41승이다. 쉬하오훙(8승7패)과 린쥔옌(6승4패)이 제몫을 해주었다. 대만은 한국기사들과의 경쟁력이 어느정도는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승점제 도입을 했는데, 에결없는 승리가 3점, 에결 승리가 2점, 에결 패배가 1점, 노에결 패배가 0점이다. 난가리그에서 3위 킥스가 10승 6패 승점 25점인데, 2위 셀트리온이 9승 7패 승점 26점이다. 7승 9패인 포스코랑 10승 6패 킥스가 25점으로 같다. 형평성 측면에서는 맞지 않는 느낌이다. 에결의 원조인 스타 프로리그는 팀승수>팀득실차로 순위를 결정지었는데 승점제가 아니었다. 3-0이기나 3-2로 이기나 똑같은 1승이고 득실차에 영향을 주었다. * 시즌 최종 우승을 차지한 'Kixx'는 바둑리그 역사상 기적의 우승을 만든 팀이 됐다. 정규 시즌 동안 신진서(20승 2패)와 백현우(8승 6패)를 제외하면 나머지 주전 멤버들의 성적이 매우 좋지 않았기 때문.[* 2지명 박진솔 6승 11패, 3지명 김승재 1승 9패, 5지명 김창훈 2승 5패] 이 때문에 한 때는 난가리그 5위까지 쳐지기도 했다. 특히 3지명 김승재의 경우 시즌 첫 경기 승리 이후 9연패라는 최악의 시즌을 보냈고, 포스트시즌에서도 준플레이오프까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으나, 플레이오프 2차전 부터 살아나기 시작하며 4연승을 해내며 우승에 큰 역할을 해냈다. * 이 시즌에 도입된 피셔방식, 계시원 없는 대국, 선수들의 승리 세리머니는 이 시즌이 끝난 직후 개막한 [[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에도 그대로 도입했다. [[분류:한국바둑리그]][[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