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외래어)] [include(틀:순우리말)] [목차] == 개요 == == 범례 == * ^^[표]^^: 표준국어대사전 어원 * ^^[샘]^^: 우리말샘 역사정보 == 목록 == === ㄱ === * 가라치:<거러치<훈몽><<몽고어> qarači * 가리온: ↼가리운ᄆᆞᆯ<번노>←가리움[<<몽고어>qali’un]+ᄆᆞᆯ * 갈지개:<갈지게<훈몽><<몽고어> qarciqai * 고들개:<고ᄃᆞᆯ개<번노><<몽고어> qudurqa^^[표]^^ * 구렁말:<구러ᇰᄆᆞᆯ<번노>←구러ᇰ [<<몽고어> küreng]+ᄆᆞᆯ * {{{#8b4513,#wheat 구렁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97045|구렁빛]] === ㄴ === * 노구: ‘노고’와 ‘노구’는 중국어 ‘라과(鑼鍋)’의 차용어로서 중국 음을 한글로 표기한 것이다.^^[샘]^^ === ㄷ === * 대야: <다야<훈해><<중국어>大匜^^[표]^^ * 더그레: 더그레<번노><<몽고어>degelei === ㄹ === === ㅁ === * 먹: 먹<능엄><<중국어>墨^^[표]^^, '먹'은 중국어 '묵(墨)'의 차용어이다.^^[샘]^^ === ㅂ === * 바리: 바리<석상>←발<鉢<<산스크리트어>pātra+-이^^[표]^^ * 배추: <ᄇᆡᄎᆡ<훈몽><<중국어>白菜^^[표]^^, ‘ᄇᆡᄎᆡ’는 본래 한자 ‘白菜’의 중국어 발음 [baicai]에서 온 것이다.^^[샘]^^ * 버렁: <버러<두시-초><<몽고어>begelei^^[표]^^ * 보배: <보ᄇᆡ<용가><<중국어>寶貝 * 부처: <부쳐<부텨<석상><<중국어>佛體<<산스크리트어>buddha^^[표]^^ * 붓:<붇<훈해><<중국어>筆 * 빈대떡: ↼빙쟈<역해><<중국어>餠𩜼 === ㅅ === * 수수: <슈슈<훈몽><<중국어>薥黍 * 술래: <巡邏 * 시금치: <시근ᄎᆡ<번노><<중국어>赤根菜 === ㅇ === * 업진: <<몽고어>ebči’ün * 오늬:<오ᄂᆡ<번노><<몽고어>onuㆍoni^^[표]^^ * 옥수수: <옥슈슈<역해>←옥[<玉] +슈슈[<<중국어>蜀黍] * 요: <욯<ᅀᅭᇂ<월곡><<중국어>褥 === ㅈ === * 자: <잫<훈해><<중국어>尺 * 저: ‘뎧’은 중국어 ‘笛’을 차용한 어휘이다. * 접시: <뎝시<번노><<중국어>楪子^^[표]^^ === ㅊ === === ㅋ === === ㅌ === * 퉁: <투ᇰ<석상><<중국어>銅 === ㅍ === === ㅎ === * 휘: <휘<박언><<중국어>斛 [[분류:한국어]]